KR101722745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45B1
KR101722745B1 KR1020150107595A KR20150107595A KR101722745B1 KR 101722745 B1 KR101722745 B1 KR 101722745B1 KR 1020150107595 A KR1020150107595 A KR 1020150107595A KR 20150107595 A KR20150107595 A KR 20150107595A KR 101722745 B1 KR101722745 B1 KR 10172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utch
clutch gear
wor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380A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가 복수 개의 기어 가운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기어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효용성을 높이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박은 선체, 선체의 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압축기, 공기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 선체에 설치된 추진기, 추진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 클러치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클러치기어를 제1기어 또는 제2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 시키는 클러치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부로 추진기와 공기발생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 기술이 발전 됨에 따라, 대형 선박의 건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대형 선박은 한 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실어 원거리의 운송처로 운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대형화된 선박은 해수와 접촉면적이 넓어, 방향전환이 정밀하지 못하고 연료의 소비량이 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우스러스터 시스템과 공기윤활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우스러스터 시스템은 선체 선수에 프로펠러가 설치되어, 선박의 방향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기윤활 시스템은 선저면에 공기층(air layer)을 형성하여 선박과 해수와의 마찰저항을 줄여 선박 운항에 소비되는 연료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바우스러스터 시스템은 공기윤활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시간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력을 출력 시킬 수 있는 고가의 발전기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고가의 발전기는 바우스러스터 시스템의 제반 비용을 증가 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우스러스터 시스템의 제반 비용의 상승은 공기윤활 시스템을 이용해 연료 소비량 감축으로, 해결할 수 없는 선박운항의 또 다른 비용상승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미국등록특허 6,009,822 (2000.01.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구동부가 복수 개의 기어 가운데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기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활용성을 높인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추진기, 상기 추진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2기어, 클러치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클러치기어를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 시키는 클러치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와 윔기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클러치구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클러치기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레일과, 상기 클러치 기어가 고정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가 고정되어 상기 수레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를 평행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기어는 일측부에 상기 제1기어가 치합되는 제1웜(worm)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상기 제2기어가 치합되는 제2웜(wor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웜과 상기 제2웜은 기어 피치 또는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로 추진기와 공기발생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진기와 관련된 설비 비용 및 공기발생장치와 관련된 설비 비용을 감소시켜, 선박의 전체적인 운항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제1 기어, 제2 기어 및 클러치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클러치구동부가 제1기어에서 제2기어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2의 클러치구동부가 제1기어와 치합되어 공기압축기가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2의 클러치구동부가 제2기어와 치합되어 추진기가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도 7은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치합되는 클러치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및 선박에 포함되는 추진기 및 공기압축기를 작동시키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의 제1 기어, 제2 기어 및 클러치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선박(1)은 클러치구동부(50)를 이용해 하나의 구동부(40)에 연결된 클러치기어(410)를 제1기어(211) 또는 제2기어(322)에 연결시켜, 제1기어(211)에 연결된 공기압축기(20) 또는 제2기어(322)에 연결된 추진기(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선박(1)은 하나의 구동부(40)를 이동시켜 클러치기어(410)가 복수 개의 기어 가운데 어느 하나의 기어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부(40)가 복수 개의 기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박(1)에 설치되는 추진기(30)의 전원공급장치의 비용 및 공기압축기(20)의 전원공급장치의 비용 나아가 이와 관련된 제반 비용들은 감소될 수 있다.
선박(1)은 선저면에 형성된 공기분사구(250)가 형성된 선체(10), 공기분사구(25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20) 및 공기압축기(20)의 구동축(210)에 연결된 제1기어(2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박(1)은 선체(10)에 설치된 추진기(30), 추진기(30)의 구동축(320)에 연결된 제2기어(322), 제1기어(211)와 제2기어(322)에 치합 되는 클러치기어(410) 및 제1기어(211)와 제2기어(322) 사이에서 클러치기어(410)를 이동시키는 클러치구동부(50) 등도 포함하여, 각 기어에 연결된 공기압축기(20) 및 추진기(30)가 하나의 구동부(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선박(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211)가 공기압축기(20)에 설치되고, 제2기어(322)가 추진기(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1기어(211)가 공기압축기(20)에 설치되고, 제2기어(322)에 추진기(30)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기어(211)에 추진기(30)가 설치될 수 있고, 제2기어(322)에 공기압축기(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선박(1)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선체(10)는 내부에 공기압축기(20)의 설비 및 추진기(30)의 설비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설비를 구동시켜 해상에서 운항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체(10)는 공기압축기(20) 및 추진기(30)의 설비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40) 그리고 구동부(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즉, 발전기를 포함하고 있다.
선체(10)는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부(40)에 연결된 클러치기어(410)가 공기압축기의 설비 및 추진기의 설비 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선체(10)는 다양한 제어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러한 설비를 개별적으로 각각 제어한다.
이로 인해, 선체(10)는 공기압축기의 설비를 구동시켜 해수와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운항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추진기의 설비를 구동시켜 선수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공기압축기(20)는 선저면에 형성된 공기분사구(25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공기압축기(20)는 구동축(210)에 의해 윔 휠(worm wheel) 형상의 제1기어(211)에 연결되어, 제1기어(211)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410)의 회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공기압축기(20)는 일 예로, 스크류공기압축기(screw air compressor)로 형성되어, 제1공기공급관(220)에 연결된 공기저장부(230)로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진 압축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공기저장부(230)는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공급된 압축공기를 저장한다.
공기저장부(230)는 저장된 압축공기를 제2공기공급관(240)을 통해, 선체(10)의 폭의 방향으로 개구 된 복수 개의 공기분사구(250)로 배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1공기공급관(230) 및 제2공기공급관(240)에는 밸브 등이 설치되어, 공기분사구(250)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추진기(30)는 선체(1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추진기(30)는 구동축(320)에 의해 윔 휠(worm wheel)형상의 제2기어(322)에 연결되며, 제2기어(322)는 구동부(40)와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추진기(30)는 폭이 좁고 약간 비틀린 형상 날개 형상인 프로펠러(propeller)로 형성되어 추진력을 원만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추진기(30)는 선체(10)가 부두에 정박할 때, 예인선의 도움 없이 선체(10)가 정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선체(10)에서 공급되는 전원(S)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0)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부(40)에 연결된 클러치기어(410) 그리고, 클러치기어(4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40)는 클러치구동부(50)와 연결되어,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0)는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 사이를 이동하면서, 클러치기어(410)가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에 적절하게 치합 하여, 제1기어(211) 또는 제2기어(322)에서 토크(torque)가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치기어(410)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비틀린 나사산을 가진 윔(worm)이 형성된 원통형 기어가 될 수 있다. 클러치기어(410)에 형성된 윔은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 가운데 어느 하나의 기어와 치합 되어 하나의 윔기어(worm gear)를 형성한다. 이때, 클러치기어(410)의 회동력은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에서 토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치기어(410)의 형상은 웜이 형성된 원통형 기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어로 변형되어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와 치합 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치기어(410)는 상황에 따라 선체(10) 내부에 제1기어(211)및 제2기어(322)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클러치기어(410)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각 기어와 치합 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상에서는 클러치기어(410)와 제1기어(211)및 제2기어(322)간의 치합 관계가 명확히 설명될 수 있도록 클러치기어(410)가 제1기어(211) 및 제2기어(322)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원통형 기어로 형성되어, 각 기어에 치합 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클러치구동부(50)는 고정된 구동부(40)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구동부(40)에 연결된 클러치기어(410)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클러치구동부(50)는 내부에 원격제어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선체(10)에 설치된 다양한 제어시스템에 의해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클러치구동부(50)는 클러치기어(4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부(510)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부(520) 등을 포함하며, 선체(10) 내부에 설치된 갑판(D) 또는 갑판에 설치된 지지부(60)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이동부(510)는 갑판(D) 및 지지부(60)의 상단부에 형성된 레일(511) 및 레일(511)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수레바퀴(513)를 포함하는 수레부로 형성될 수 있다. 수레부는 클러치기어(410)를 견고하게 고정한 채로 수평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수레부의 수레바퀴(513)와 레일(511)에는 각각 고정홀(513a)이 형성되어, 고정홀(513a)에 고정핀(512)이 삽입되면, 수레바퀴(513)는 레일(511)의 특정위치에 튼튼하게 고정 될 수 있다.
즉, 수레부는 고정핀(512) 및 고정홀(513a)의 결합에 의해 특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이동부(520)는 수평이동부(510) 상에 설치되어, 수평이동부(510)에 고정된 구동부(40) 및 클러치기어(41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이동부(520)는 일 예로, 공기로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체로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클러치기어(410)를 수직이동 시킬 수 있다.
한편, 클러치구동부(50)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부(60)는 갑판(D)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지지대(610)와 지지대(6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판(6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지판(620)에는 복수 개의 레일(5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레일(511) 사이에 레일(511)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홀(621)이 개구 될 수 있다. 클러치기어(410)는 레일(511) 및 가이드홀(621)을 통해, 제1기어(211)와 제2기어(322)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클러치구동부가 제1기어에서 제2기어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은 수평이동부가 수평 이동하여 클러치기어가 수평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수평 이동된 클러치기어가 수직 이동 한 후, 다시 수평이동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구동부(40) 및 클러치기어(410)는 클러치구동부(50)의 수직이동부(520)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다. 이때, 클러치기어(410)의 일부는 제1기어(211)와 치합 될 수 있고, 치합 된 상태에서 클러치기어(410)는 구동부(40)의 중심축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기어(211)에서 토크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기어(211)에서 발생된 토크에 의해 공기압축기(20)가 작동되는 것은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클러치구동부(50)가 작동을 멈춘 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510)가 수평방향으로 레일(511)을 따라 이동하면, 클러치구동부(50)는 제1기어(20)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수평이동부(510)는 수직이동부(520)가 구동부(40) 및 클러치기어(410)를 수직이동으로 하강시켰을 때, 클러치기어(410)가 제1기어(211)와 제2기어(322)가 동시에 접하지 않을 지점까지 충분히 이동한다.
수평이동부(510)가 수평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한 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520)는 구동부(40) 및 클러치기어(410)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부(510)는 하강된 클러치기어(410)가 제2기어(322)와 치합 될 수 있도록 레일(511)을 따라 다시 수평 이동한다.
수평이동부(510)가 수평이동 하여, 클러치기어(410)와 제2기어(322)가 접하게 되면, 구동부(40)에 포함된 조정부는 클러치기어(410)를 천천히 회동시켜, 클러치기어(410)가 제2기어(322)에 원만하게 치합 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치기어(410)와 제2기어(322)의 치합을 통해 구동되는 추진기(30)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클러치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 및 제2기어의 상황에 따라 구동되는 공기압축기 및 추진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클러치구동부가 제1기어와 치합되어 공기압축기가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클러치기어(410)가 제1기어(211)와 치합되어, 구동부(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기어(211)는 클러치기어(41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어(211)에서 발생된 토크의 크기는 클러치기어(410)에 형성된 기어치와 제1기어(211)에 형성된 기어치 간의 기어비를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어(211)는 공기압축기(20)의 스크루로터와 연결되어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되는 스크루로터는 공기압축기(20)의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의 체적을 변화시켜 압축하여 송출구로 이송시킬 수 있다. 압축된 공기는 제1공기공급관(230)을 따라 공기저장부(230)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공기저장부(230)는 일정량의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공기분사구(250)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분사구(250)에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클러치구동부가 제2기어와 치합되어 추진기가 작동되는 작동도이다.
클러치기어(410)가 제2기어(322)와 치합되어, 구동부(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기어(322)는 클러치기어(41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토크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기어(410)에 형성된 기어치와 제2기어(322)에 형성된 기어치 간의 기어비를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기어(322)는 구동축(320)과 연결되어 추진기(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클러치구동부가, 제1기어와 제2기어와 치합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기어 및 제2기어와 치합되는 클러치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구동부(40)에 연결된 클러치기어(410-1), 제1기어(211-1) 및 제2기어(322-1)을 제외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이 반복되지 않고, 간결한 것이 되도록 일 실시예와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클러치기어(410-1)는 피치 및 직경의 서로 다른 제1웜(411) 및 제2웜(422)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제1웜(411)은 제1기어(211-1)와 치합 될 수 있는 제1피치(P1) 및 제1직경(D1)을 가지며, 제2웜(422)은 제2기어(322-1)와 치합 될 수 있는 제2피치(P2) 및 제2직경(D2)을 가진다.
이때, 제2웜(422)의 제2피치(P2) 및 제2직경(D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웜(411)의 제1피치(P1) 및 제1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웜(422) 및 제1웜(411)의 피치 및 직경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제1웜(411)의 피치 및 직경이 제2웜(422)의 피치 및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웜(411)과 제2웜(422)의 피치 및 직경에 대응하여 제1기어(211-1)과 제2기어(3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기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압축기(20) 및 추진기(30)를 작동시킨다.
더욱이, 클러치기어(410-1)는 선체(10)의 운항 상황에 따라, 클러치구동부(50)에 의해 제1기어(211-1)에서 제2기어(322-1)로 또는 제2기어(322-1)에서 제1기어(211-1)로 이동되어, 각 기어에 연결된 설비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기어(410-1)가 이동하여 제1기어(211-1)와 치합 되면, 클러치기어(410-1)는 제1기어(211-1)와 연결된 공기압축기(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클러치기어(410-1)가 이동하여 제2기어(322-1)와 치합 되면, 클러치기어(410-1)는 제2기어(322-1)와 연결된 추진기(3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선박 10: 선체
20: 공기압축기 30: 추진기
40: 구동부 50: 클러치구동부
60: 지지부 70: 웜기어
210: 상기 공기압축기의 구동축 211: 제1기어
220: 제1공기공급관 230: 공기저장부
240: 제2공기공급관 250: 공기분사구
320: 상기 추진기의 구동축 322: 제2기어
410: 클러치기어 411: 제1웜
422: 제2웜 510: 수평이동부
511: 레일 512: 고정핀
513: 수레바퀴 513: 고정홀
520: 수직이동부 610: 지지대
620: 지지판 621: 가이드홀

Claims (8)

  1. 선체;
    상기 선체의 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압축기;
    상기 공기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기어;
    상기 선체에 설치된 추진기;
    상기 추진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2기어;
    클러치기어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클러치기어를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 시키는 클러치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와 윔기어를 이루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구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와 상기 클러치기어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이동부를 포함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레일과, 상기 클러치기어가 고정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수레부를 포함하는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가 고정되어 상기 수레부에 안착되는 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클러치기어를 평행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는 일측부에 상기 제1기어가 치합되는 제1웜(worm)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상기 제2기어가 치합되는 제2웜(worm)이 형성하는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웜과 상기 제2웜은 기어 피치 또는 직경이 서로 다른 선박.
KR1020150107595A 2015-07-29 2015-07-29 선박 KR10172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595A KR101722745B1 (ko) 2015-07-29 2015-07-29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595A KR101722745B1 (ko) 2015-07-29 2015-07-29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80A KR20170014380A (ko) 2017-02-08
KR101722745B1 true KR101722745B1 (ko) 2017-04-03

Family

ID=5815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595A KR101722745B1 (ko) 2015-07-29 2015-07-2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925B1 (ko) * 2019-11-04 2024-01-25 삼성중공업(주) 부유식 구조물
CN112061361B (zh) * 2020-10-10 2022-05-27 宁波海伯集团有限公司 一种船用推进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822A (en) 1999-03-29 2000-01-04 Aron; Douglas A. Bow or stern thruster
JP2009184598A (ja) * 2008-02-08 2009-08-20 Kawasaki Heavy Ind Ltd 舶用スラスタの上部ギヤボック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44B1 (ko) * 2012-10-25 2019-09-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사이드 스러스터
KR101563709B1 (ko) * 2013-12-30 2015-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공기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822A (en) 1999-03-29 2000-01-04 Aron; Douglas A. Bow or stern thruster
JP2009184598A (ja) * 2008-02-08 2009-08-20 Kawasaki Heavy Ind Ltd 舶用スラスタの上部ギヤボック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80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526B1 (en) Vessel and underwater mountable azimuthing thruster
CN102464213B (zh) 用于船舶的系泊系统以及包括该系泊系统的浮体和岸壁
KR101722745B1 (ko) 선박
US20150068439A1 (en) Device for propelling and turning hull
CN105228895A (zh) 推进系统
CN102159452A (zh) 浮动结构的平衡保持装置
CN105383672A (zh) 浮式海上设备及浮式海上设备的电力供给方法
JP3462475B2 (ja) 油圧モータ並列駆動型船尾推進装置、及びこれを制御するための油圧システム
CN102897290A (zh) 电力全回转舵桨推进的海洋石油平台支持船
CN107406123A (zh) 用于船舶的发动机舱布置
CN102089203A (zh) 用于将推船联接到驳船的联接装置
KR101346174B1 (ko)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6590146B2 (ja) 操舵装置、航走体
KR20040074993A (ko) 해양선박의 조종장치
CN107352012A (zh) 一种海洋工程辅助船
KR10147520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815097B1 (ko) 선박
KR10148767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170063124A (ko) 다중 동력입력 모듈을 갖는 해양 플랜트용 아지무스 스러스터
KR20190078216A (ko) 선박
CN111017111A (zh) 一种船舶功能模块及其组合结构物
CN202828031U (zh) 电力全回转舵桨推进的海洋石油平台支持船
KR101487664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구속장치
EP2611724B1 (en) A slewing apparatus
KR20200043860A (ko) 예인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