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839B1 -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839B1
KR101721839B1 KR1020150087234A KR20150087234A KR101721839B1 KR 101721839 B1 KR101721839 B1 KR 101721839B1 KR 1020150087234 A KR1020150087234 A KR 1020150087234A KR 20150087234 A KR20150087234 A KR 20150087234A KR 101721839 B1 KR101721839 B1 KR 10172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job
field
work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586A (ko
Inventor
정원익
박대훈
Original Assignee
이성씨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씨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씨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절차등의 자료가 입력된 단말기(NFC 통신 가능한)를 소지하고 단말기에 표시되는 작업 절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위치, 작업 장치/기기, 중요 포인트(위험 요소, 중요 작업 등) 등에 부착된 NFC태그를 단말기로 태깅하게 하여 작업 사항의 기록(작업자, 작업시간 등)을 남김과 동시에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표시해 위험 요소나 중요 포인트 등을 작업자가 확실히 인지하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며, 반복되는 작업이나 작업자의 집중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중요 절차를 수행하고 NFC태그를 재 태깅하게 함으로써 인적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HUMAN ERROR MITIGATING METHOD OF NUCLEAR POWER PLANT BASED NFC}
본 발명은 인적 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내에서 작업자가 NFC 통신 가능한 단말기를 소지하고 단말기에 표시되는 작업 절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때, 중요 포인트에 부착된 NFC태그를 통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행하여 지는 시험, 점검, 작업 등의 인적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보통 100개 이상의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계통(system)으로 구성된다. 이들 계통은 크게,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핵 증기 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 증기를 발전기로 전달하는 2차 순환냉각계통, 상기 2차 순환냉각계통으로부터 증기를 공급 받아 발전기를 돌리는 터빈 발전기 계통, 및 기타 부수설비로 구분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을 수행하면서 각 계통의 건전성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원자로 계통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시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이때, 원자력 발전소 운전 중 원자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계통의 이상이나 핵증기 공급계통내의 냉각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봉 낙하에 의한 원자로 정지기능을 개시하고, 공학적 안전설비작동계통을 구동하여 원자로를 냉각시켜야 한다.
지금까지 원자력발전소에서의 많은 사건·사고 경험을 통해 알려진 바에 의하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사건 또는 사고의 결정적인 원인들 중 하나가 인적 요인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2004년 및 2005년에 발생된 불시정지 사건의 약 40% 정도가 인적 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졌을 뿐 아니라, 인적 요인과 관련된 불시정지 사
건들 중 80% 이상이 부적절한 원자력발전소의 일상직무(정비/시험 직무 및 비정상 대응 직무)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원자력발전소는 단위용량의 증대, 계측제어시스템의 기능 추가 및 다양화, 고도화된 전자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안전성 강화를 위한 안전설비의 보강 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원자력발전소는 더욱 복잡해지고 이를 운영하는 인간의 역할은 점점더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의 원자력발전소 운전원은 자동화의 촉진에도 불구하고 안전운전을 위해 계통의 동작을 면밀히 감시하고, 이상을 진단해야 하며, 고장/정지에 대한 대응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비정상 및 비상상황시 폭주하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정보를 충분히 이해하고, 신속 정확히 대응해야 하는 등, 업무의 과중한 부담을 안고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그 기능이 정의되고, 정의된 기능을 인간과 기계 간에 할당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인간은 설계자에 의해 설계된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를 감지하고 해석하여 판단을 내리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자의 수행도는 작업자에 미치는 내·외적 인적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설계시에 이러한 인적요인을 완벽하게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인간의 수행도와 실제 원자력발전소 작업시에 나타나는 작업자의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인적오류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이 등록특허 10-1026159호(명칭: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시스템 및 그방법)와 등록특허 10-0960271호(명칭:디지털 시스템 오류유발가능 결함 판별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인적유발과 관련된 오류를 체크하고 이를 개선하여 다음에 이를 반영하여 오류를 개선하도록 할 뿐, 실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방법을 제시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업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인적오류와 잠재적인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하고 발전설비의 안전운전에 기여하기 위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최초 작업 위치 또는 원자력 발전소 내의 작업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를 이용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은, (a)작업관리PC가 운전, 정비, 시험 또는 교정 중 어느 하나의 작업지시에 대한 내용과 작업절차서를 작업지시정보로 작업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작업지시단계와, (b)작업관리서버가 상기 (a)단계의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PC로 전송하고, 현장 PC는 태깅(Tagging)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현장 입구에 구비된 작업자의 현장단말기로 작업지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c)현장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최초 작업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작업을 개시하고, 상기 현장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작업지시 정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각각의 NFC태그에 현장단말기를 태깅함으로써, NFC 태그 ID별 작업지시정보를 작업자용 현장단말기에 표시하고, 현장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최종 작업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하여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와, (d)작업자용 현장 단말기는 현장 PC에 구비된 NFC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수행정보를 전송하고, 작성된 작업 수행 정보에 따른 작업평가서를 상기 작업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e)작업관리자PC가 작업관리서버에 등록된 작업평가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작업 절차등의 자료가 입력된 단말기(NFC 통신 가능한)를 소지하고 단말기에 표시되는 작업 절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위치, 작업 장치/기기, 중요 포인트(위험 요소, 중요 작업 등) 등에 부착된 NFC태그를 단말기로 태깅하게 하여 작업 사항의 기록(작업자, 작업시간 등)을 남기고,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표시해 위험 요소나 중요 포인트 및 인적오류 사례 등을 작업자가 확실히 인지하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며, 반복되는 작업이나 작업자의 집중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중요 절차를 수행할 경우 NFC태그를 재 태깅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인적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작업관리서버의 상세 구성도,
그리고,
도 5는 현장단말기의 상세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사전점검(First Check)"이란 작업자가 작업현장에 도착했을 때 상황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법으로 작업현장에 대한 사전점검을 통해 작업의 핵심사항, 계통설비조건, 작업환경, 위험요소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가질 수 있다.
"불확실 시 중지(Stop When Unsure)"란 작업자가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직면하여 혼란이나 불확실성을 느낄 때 일단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얻는 것을 말한다.
"자기진단(Self-Check)"이란 직원 개개인이 세부항목에 대한 주의력을 집중시키기 위해 분명하게 판단하고 기기를 조작하는 인적행위 기법으로 STAR(Stop, Think, Act, Review)라고 지칭한다. 원자력발전소의 정비, 운전, 시험관련 작업 활동에 적용되며 자기진단은 일정거리에서 관찰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분명하게 수행한다.
"의사소통 재확인기법(3-Way Communication)"이란 발전소 운전변수 정보교환 및 기기 조작시 전달자 지시사항에 수신자의 응답상태가 일치한 경우에만 다음 절차 수행 및 기기조작을 승인하는 인적오류 예방기법으로 간결하고 명료한 언어로 지시하며, 수신자가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음표문자"란 영문 알파벳이나 숫자는 어떤 경우에 유사한 발음으로 작업자에게 혼란을 발생할 수 있어 별도로 약속된 단어나 표현을 이용하여 발음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동시 확인(Concurrent Verification)"이란 발전소 안전 및 출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기기조작 및 정비작업에 적용하며 대상 기기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보유한 두 명의 직원이 동시에 절차를 확인 후 기기조작 및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절차서 또는 작업계획서의 동시 확인이 요구되는 항목은 사전에 명시한다.
"독립확인(Independent Verification)"이란 오조작의 결과가 발전소 안전 및 출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일정시간 경과 후 과도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기기조작 및 작업항목에 적용한다. 조작자가 우선 기기배열을 수행 후 별도의 직원이 인적오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절차서 또는 작업계획서의 독립확인이 요구되는 항목은 사전에 명시되어야 한다.
"동료점검(Peer Check)"이란 기기조작 및 정비작업시 대상기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보유한 동료직원으로부터 점검받는 방법으로 확인기법을 사용하는 기기조작 및 작업항목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동료점검자는 조작자의 행위가 올바르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확실히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인식표 부착(Flagging) 및 운전방벽 설치(Operational Barriers)"이란 인식표는 조작 대상 스위치 및 기기에 정확한 구분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부착하는 표식이고, 운전방벽은 조작대상 기기의 인접한 위치에 동일기능 및 모습이 유사한 기기가 있는 물리적인 격리를 통해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커버를 의미한다.
"작업 전 회의(Pre-Job Briefing)"란 발전소 안전 및 출력 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 시험 및 정비 작업시 업무수행자 전원이 참여하여 업무 수행의 목적과 주요항목, 역할과 책임, 인적오류 발생 요소 및 방지 수단 등을 설명, 토의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업무가 완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작업 후 평가(Postjob Critique)"란 작업 후 결과를 추후 작업에 반영토록 개선 사항을 도출하기 위한 평가를 의미한다.
"절차서 준수(Procedure Use & Adherence)"란 발전소 안전 및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절차서 및 작업계획서를 준수하여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절차서 사용 중 불확실한 내용이 확인될 경우에는 임의 판단을 배제하고 관련 지식을 보유한 직원에게 자문을 구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인적 오류 예방 시스템은 작업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작업관리자 PC(110)와, 작업관리자 PC(100)를 통하여 작업 지시 정보를 관리하는 작업관리서버(120), 작업관리서버(1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작업자 PC(130)와 감독자 PC(140), 작업관리서버(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을 진행할 원자력 발전소 내의 현장에 구비된 현장 PC(180)와 현장단말기(160),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150)내의 주요 점검시설 및 작업할 장소에 구비된 NFC tag(151~n)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작업관리자 PC(100)는 작업관리서버(120)에 작업지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로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 지시정보에는 작업일시, 작업범위, 작업절차서 등을 포함함은 물론, 중요 절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작업 코드와 작업을 감독할 유자격 감독자 및 실제 작업을 진행할 작업자 ID를 입력하여 작업자와 감독자를 특정하고, 중요 작업철차 및 인적 오류 사례 등의 코멘트를 입력하고 작업지시를 완료한다.
상술한 작업 지시 정보에는 운전, 정비, 시험, 교정 등의 작업을 포함하고, 작업관리자가 해당 작업 코드를 서버에 입력하면 관련 작업 절차서 등의 자료가 자동으로 연동되어 등록된다.
이러한 작업관리자 PC(100)는 작업관리서버(1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격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직접 작업관리서버(120)에서 작업지시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작업관리서버(120)에 작업지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작업관리서버(120)는 지정된 감독자와 작업자의 PC(130,140)의 ID로 온라인을 통해 작업지시 알림 메시지를 생성시켜 전달하도록 한다.
이후, 작업관리자 PC(110)를 통하여 작업 착수전에 작업자와 감독자를 불러 작업전 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독자 및 작업자는 작업 알림 메시지에 따라 작업 내용을 숙지하고 작업 착수 전에 회의에 참석하여, 작업관리자는 모든 작업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착수 전 회의를 주관하고 작업 내용에 대해 브리핑 한다.
이때, 작업의 핵심사항, 설비조건, 작업환경, 위험요소 등을 전파하고 감독자 및 작업자의 정확한 이해 및 숙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물론 해당 작업에 관련된 사고 사례 및 인적 오류 사례를 전파하고 이에 따른 재발 방지 내용 등을 전파하고, 상기 내용에 대한 상호 토의를 실시한다.
또한, 작업관리자는 작업관리자PC(110)를 통하여 착수 전 회의에서 도출된 토의 및 추가 사항 등의 정보를 작업지시에 추가 입력하여 해당 작업 수행 시 절차 안내에 나타나도록 한다.
이러한 회의를 통하여 최종 작업 지시 정보에는 작업자 정보, 작업 일시, 작업 범위 및 내용, 현장 초기 조건, 관련 절차서, 사고 사례 및 인적 오류 사례를 비롯한 작업 기기, 설비, 장소에 대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지시에 따른 작업을 시작하기 전 작업자는 원자력 발전소(150)의 작업 현장 입구에 설치된 현장 PC(180)에 자신의 ID를 입력하고 작업관리 서버(120)로부터 작업지시정보를 다운로드 한다.
현장단말기(160)는 종이문서로 출력된 절차서를 현장에 가지고 가서 작업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참조자료(참조문서, 도면, 사진, 유사시 대응방안 등)에 대한 링크를 해당 절차 표시와 함께 제공하여 작업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용 현장단말기(160a)와 감독자용 현장단말기(160b)로 구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현장 입구에 구비된 작업자용 현장 단말기(160a) 중 한 대를취하여 현장 PC(180)에 태깅을 통하여 해당 현장 단말기(160a)를 등록한다.
태깅은 직접 현장 PC에 구비된 tag(181)를 통할 수도 있으나, 현장 PC와 연결된 NFC 동글에 태깅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감독자도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b) 중 한대를 취하고 현장 PC(180)에 태깅을 통하여 등록하도록 한다.
현장 단말기를 현장 PC의 Tag나 PC에 연결된 NFC 동글에 접촉하면 NFC 통신에 의해 현장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현장 PC가 인식하고 저장하여 작업에 사용될 작업자용 현장 단말기와 감독자용 현장단말기(160a,160b)를 등록한다.
최초 현장 PC(180)와 연결된 현장 단말기(160)는 자동으로 초기화를 진행하고, 현장 PC(180)는 사용자의 ID를 통해 작업관리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한 작업 지시정보를 현장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NFC Tag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통신방법 예를 들면, USB,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통신 방법은 단지 태깅(tagging)이나 테더링(tethering)을 통하기 때문에 외부와의 통신없이 사용자의 조작 없이 두 기기 간 통신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신을 통해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관리서버(120)는 작업코드와 관련된 부자재를 작업코드별 부자재 저장부(122)에서 판독하여 현장 단말기(16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과 관련된 공구, 계측기 등을 소지하고 작업 현장 즉 소내로 이동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관리서버(120)는 작업코드 저장부(122)와 각각의 작업코드와 연계되어 작업과 관련된 부자재등을 저장하는 작업코드별 부자재 저장부(123)와, 해당 작업코드별 작업절차에 대한 내용을 저장하는 작업절차서 저장부(124), 그리고 작업자와 감독자별 ID저장부(125), 그리고 작업관리 서버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12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작업관리서버의 상세 구성도를 참고하면, 작업코드 저장부(122)는 작업 종류별로 이를 코드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작업관리자가 간단한 작업코드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코드별 부자재 저장부(123)는 작업코드 저장부(121)에 저장된 작업별 필요한 부자재, 즉, 공구, 계측기 등을 테이블로 구성하여 저장하고, 작업절차서 저장부(124)는 입력되는 작업코드에 따른 작업 절차에 대한 내용을 테이블로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작업자/감독자 ID저장부(125)는 작업자별 감독자별로 ID를 저장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서버제어부(121)는 작업관리자 PC(110)를 통하여 작업코드와 작업자 ID가 입력되면, 작업코드 저장부(122)에서 작업코드를 판독하고, 해당 작업코드와 관련된 부자재 정보를 작업코드별 부자재 저장부(123)에서 판독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작업 절차서를 작업절차서 저장부(124)에서 판독하고, 관련 정보를 작업자/감독자 ID 저장부(125)에서 판독된 작업자와 감독자의 PC(130,140)로 전송함과 동시에 알림 문자 메세지를 발송하도록 동작된다.
원자력 발전소(150)는 작업현장으로서,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NFC 태그(151~n)가 부착된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내의 작업 현장에서는 계통 운전에 필요한 필수 통신을 제외한 다른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단말기(160)에는 작업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전송되어 현장에서는 완전한 로컬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150) 내의 작업 현장으로 입장하기 전에 현장 PC(180)를 통하여 현장 단말기(160)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장 PC(180)는 작업 현장 입구에 설치되며, 작업관리서버(120)로부터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받아, 현장단말기(160)로 전송하여 작업을 개시하고 동시에 현장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결과를 작업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동작된다.
현장 단말기(160)는 작업자용 현장 단말기(160a)와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b)로 구성하고, 현장 PC(180)에 태깅(Tagging)이나 테더링(Tethering)을 통하여 작업관리 서버(120)로부터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실지로 원자력 발전소내의 작업 현장(150) 곳곳에 구비된 NFC 태그(151~n)와의 통신을 통하여 표시된 작업순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된 작업결과를 현장PC(180)로 전송하도록 동작된다.
즉, 초기 조건 수행 확인 후 현장 단말기는 저장된 작업 절차를 단계별로 작업자에게 표시하며 작업자는 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절차상에 기록되지 않은 태그에 태깅할 경우 작업 기기가 아님을 표시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의 현장단말기의 상세구성도를 참고하면, 작업자용 현장 단말기(160a)와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b)를 포함하는 현장단말기(160)는 작업 지시 내용과 작업 수행결과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말기표시부(161)와,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162), 장치의 초기 조건 및 상태를 저장하고, 작업 지시 내용과 오류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기 저장부(163), 입력부(164), 그리고 현장PC 또는 최초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NFC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인터페이스(16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현장 단말기(160)는 작업 절차 수행 중 검사, 측정, 조작 등에 대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단말기표시부(161)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장 단말기(160)는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최초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151~n)에 접촉하여 작업이 개시되면 현장 단말기의 제어부(160b)는 작업자에게 작업 현장 및 장치의 초기 조건 및 상태를 단말기 표시부(160a)에 표시하여 이를 비교 확인하거나 조작하게 한다.
누설, 고소, 밀폐지역 등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 환경일 경우에는 해당 NFC tag(151~n)를 태깅하여 이를 표시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에 대한 작업지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유사한 기기가 연속하여 있는 경우 현장 단말기(160)는 구별 가능한 인식표를 부착하거나 운전방벽 등의 준비사항을 작업자에게 표시하고 이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항목 중 현장 단말기가 지시하는 사항에 대한 조치 후, 작업자는 단말기에 조치 여부를 입력부(164)를 통하여 입력한다.
즉, 작업 현장으로 이동한 작업자는 작업자용 단말기(160a)를 이용하여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151~n)를 접촉하면 해당 Tag정보를 판독하여 작업 지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작업 개시 시간을 저장한다.
이러한 Tag정보를 통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요한 작업 절차이거나 위험 요소가 있는 절차 수행 전 현장 단말기는 알림을 발생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해당 절차 관련 위치 및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에 현장 단말기를 접촉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중요 절차 및 위험 절차를 수행 후 NFC 태그에 현장단말기(160)를 재접촉하여 절차의 수행 결과에 대한 재확인이 되도록 한다.
작업 절차 수행 중, 시험이나 정비를 위해 운영 중인 계통을 조정하거나 우회, 차단할 경우 해당 위치 및 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면 관련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의 개시, 종료 및 절차의 수행을 해당 기기 또는 위치에 부착된 NFC 태그에 태깅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플랜트 작업 현장의 특성이 복잡하고 비슷한 계통이 연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디 때문에 이로 인한 작업자가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는 계통 및 플랜트 전체의 정지로 인한 경제적 손실만을 유발하지만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방사능 유출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개시, 종료 시 NFC 태그를 태깅하여 작업 위치가 맞는가 확인함은 물론, 작업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오류의 가능성이 있거나 안전상 중요한 절차의 경우 해당 기기, 위치에 부착된 NFC 태그를 태깅하게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절차와 다른 기기의 작동을 차단하고, 작업자 임의로 절차를 건너뛸 수 없도록 하며, 절차 수행을 위해 우회 또는 차단한 계통에 대한 절차 수행 후 원상복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단말기(160)는 절차서를 준수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절차 진행 중, 해당 절차 즉 태깅한 위치에서 발생된 사고 사례가 있을 경우 단말기 저장부(163)에 저장된 태그 위치별 정보에서 이를 판독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재발방지를 요구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단말기(160)는 절차서 표시와 함께 예상치 못한 기기상태 및 현장 환경에 대한 긴급한 사항의 발생 시 대처법, 조치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표시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장 단말기(160)는 절차 수행 중 개선 사항이나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입력부(164)를 통하여 입력창에 바로 메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작업 초기 조건에 대한 확인과 조치를 마친 후 작업자는 작업지시정보상의 최종 위치 또는 기기의 태그에 현장 단말기(160)를 재접촉하여 초기 조건 수행 기록과 시간을 저장하도록 한다.
즉, 현장에서의 작업 수행 완료 후 작업자는 현장 단말기(160)를 작업지시정보상의 최초 위치 또는 기기의 태그에 재접촉하여 작업완료하고, 확인 서명 입력창을 단말기 표시부(160a)에 표시하고 작업자의 서명 입력을 통해 현장 작업 수행을 완료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초 위치 또는 기기의 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의 개시를 알리고 작업 종료 후 해당 기기에 다시 태깅하여 작업의 종료를 알릴 수 있다.
감독자 및 작업자의 현장 단말기(160)는 현장 작업이 종료된 후 현장 PC(180)와 통신하여 작업 결과 및 기타 작업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하여 현장PC(180)에 다운로드한다.
현장 PC(180)에 작업 정보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현장 단말기는 다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초기화된다.
이후, 감독자 및 작업자는 사용한 현장 단말기를 지정된 장소에 반납하고 복귀한다.
이때, 현장 PC(180)는 작업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이를 작업관리 서버(120)로 업로드하고 작업관리자 PC(110)에게 작업 종료 알림을 발생시킨다.
또한, 작업관리자 PC(110)에 작업종료를 발생시킨 작업관리 서버(120)는 작업자PC(130) 또는 감독자PC(140)에 작업 평가서 요청 알림을 발생시킨다.
작업 종료 후 현장에서 복귀한 감독자 및 작업자는 PC(130,140)에 발생된 알림에 따라 작업 평가서를 작성한다.
이러한 작업평가서에는 절차 수행 중 현장 단말기를 통해 입력했던 개선 사항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메모를 토대로 상세 내용을 추가 입력하고, 작업 중 사고나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경위서를 첨부한다.
작업 평가서 작성이 완료되면 작업관리 서버(120)에 작업평가서를 업로드하고 작업 관리자 PC(110)에 작업 평가서 수신 알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 PC(110)에 작업 평가서 수신 알림을 확인하면 작업관리서버(120)는 현장으로부터 업로드된 작업 데이터와 작업자 및 감독자의 작업 평가서를 토대로 완료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
작성된 완료보고서는 작업 관리자가 검토하여 필요 시 작업 평가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작업관리자는 완료 보고서에 나타난 절차 수행 중 개선 사항 및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관련 절차에 개선 반영되도록 작업관리서버(120)에 절차서나 또는 해당 tag별 데이터에 반영되도록 한다.
작업관리자는 작업 중 사고나 오류 발생 보고가 있을 경우 작업 평가회의를 소집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그 내용을 사고사례로 관련 작업 절차에 연동한다.
상기 사항의 종료 후 작업관리자는 작업 완료를 승인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은 작업지시입력단계(S120)와, 현장단말기로 작업지시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S130), 작업개시단계(S140), 작업초기 조건 및 상태 확인 단계(S150), 작업절차 수행단계(S160), 현장 작업 수행 완료단계(S170), 작업수행 정보 등록단계(S180), 작업종료단계(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작업지시입력단계(S120)는 운전, 정비, 시험, 교정 등의 작업을 지시하기 위하여 작업관리자는 작업관리자 PC(110)를 이용하여 작업관리 서버(120)에 작업지시정보를 입력한다(S121)
작업관리자가 작업관리자 PC(110)를 통하여 해당 작업과 관련된 코드를 작업관리서버(120)에 입력하면 작업관리서버(120)의 제어부(121)는 작업코드저장부(122)에 저장된 작업코드를 판독하고 작업절차서 저장부(124)에서 해당 작업코드와 관련된 작업 절차서 등의 자료를 판독하여 자동으로 연동되어 등록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관리자 PC(110)에 작업관리서버의 제어부(121)는 작업자/감독자 ID저장부(126)에서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자격 감독자 및 작업자의 ID를 작업관리자 PC(110)에 리스트로 표시되도록 하여 작업관리자는 감독자와 작업자를 선택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또한, 작업관리자PC(110)는 중요 작업철차 및 인적 오류 사례 등의 코멘트를 입력하고 작업지시정보를 완료한다.
이때, 작업절차와 인적오류 사례등의 코멘트를 입력할 때는 원자력 발전소(150)의 곳곳에 설치된 tag 번호와 일치시켜 현장에서 tag 태깅시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22에서 작업지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작업관리서버(120)는 작업자 PC(130) 및/또는 감독자 PC(140)에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하고 팝업창으로 작업지시 알림 메세지를 발송하도록 한다(S123).
바람직하게는 단계 S123에서 작업관리자는 작업자 PC(130) 및/또는 감독자 PC(140)에 작업개시를 하기 전에 작업지시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즉, 감독자 및 작업자가 알림 메시지를 통해 작업 내용을 숙지하고 착수 전 회의에 참석하도록 한 다음, 작업관리자는 모든 작업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착수 전 회의를 주관하고 작업 내용에 대해 브리핑 한다.
이때, 중요 작업 내용을 비롯한 설비조건, 작업환경, 위험요소 등을 전파하고 감독자 및 작업자의 정확한 이해 및 숙지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에 관련된 사고 사례 및 인적 오류 사례를 전파하고 이에 따른 재발 방지 내용 등을 전파하도록 하고, 회의 내용에 대하여 상호 토의를 거쳐 작업지시에 관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즉, 작업관리자는 착수 전 회의에서 도출된 토의 및 추가 사항 등의 정보를 작업지시에 추가 입력하여 해당 작업 수행 시 절차 안내에 나타나도록 한다(S124).
단계 S124에서 추가 작업지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S123에서의 작업지시정보가 최종 작업지시내용이 되고, 또한, 단계 S124에서 추가 작업지시 정보가 있는 경우는 반영된 작업 지시 정보가 최종 작업지시 정보가 되어 작업관리서버(120)에서 현장PC(180)로 전달하게 된다(S125).
단계 S120에서 작업 지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현장단말기(160)로 작업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먼저 단계 S130은 작업지시정보에 따른 작업을 시작하기 전 작업자와 감독자는 작업 현장 입구에 설치된 현장 PC(180)에 자신의 ID를 입력하고(S131), 작업관리 서버(120)로부터 작업내용을 다운로드 한다(S125).
단계 S131은 현장 PC(180)에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의 ID를 입력함으로써, 작업관리서버(120)에 인증을 받아, 작업관리서버(120)에 저장된 ID별 작업지시정보를 다운받기 위해서이다.
단계 S125에서 작업지시 정보가 작업관리서버(120)에서 현장PC(180)로 모두 다운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는 현장 입구에 구비된 현장단말기(1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다음 현장PC(180)의 tag(181)에 태깅을 하여 NFC 연결을 시도한다(S132).
작업자와 감독자의 현장 단말기(160a,160b)를 현장 PC(180)에 태깅하면, NFC 통신에 의해 현장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현장 PC(180)가 인식하고 이를 저장한다.
이때, 각각 작업자용 현장단말기(160a)와 감독자용 현장단말기(160b)의 고유 번호를 각각 등록하도록 한다(S133).
이와 동시에 최초 현장 PC(180)와 연결된 현장 단말기(160a,160b)는 자동으로 초기화를 진행한다(S134).
단계 S133에서 작업자와 감독자의 현장단말기가 등록되면 현장 PC(180)는 입력된 사용자의 ID를 통해 작업관리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한 작업 지시정보를 다양한 통신방법(USB,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 작업자와 감독자의 현장 단말기(160a,160b)로 전송한다(S135).
단계 S135에서 작업 지시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현장 PC(180)는 작업관리 서버(120)에 작업 개시 알림을 발생시키고(S136), 작업관리서버(120)는 작업이 개시됨을 작업관리자PC(110)에 전달하여 작업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37).
작업 현장에서는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단말기에는 작업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전송되어 현장에서는 완전한 로컬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계 S135에서 현장 PC(180)로부터 작업지시정보를 전송받은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용현장단말기(160a,160b)를 소지한 작업자와 감독자가 현장으로 진입하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S140).
이때, 현장 PC(180)는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가 현장으로 진입하기 전에 작업 지시와 관련된 부자재 정보 예를 들면 공구, 계측기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작업자나 감독자가 이를 소지하고 작업 현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현장으로 이동한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는 먼저 작업지시정보상의 최초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151~n)를 현장 단말기로 접촉하여 작업개시를 알린다.
즉, 현장 단말기는 작업지시정보상의 최초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의 정보를 읽어 작업 지시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작업 개시 시간을 저장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단계 S140에서 작업이 개시되면, 작업초기 조건 및 상태 확인 단계(S150)를 진행한다.
단계 S150의 작업초기 조건 및 상태 확인 단계는 먼저, 최초 작업 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여 작업이 개시되면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단말기 표시부(160a)에 작업 현장 및 장치의 초기 조건 및 상태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이를 비교 확인하거나 조작하게 한다(S160)
누설, 고소, 밀폐지역 등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 환경일 경우 이를 표시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사한 기기가 연속하여 있는 경우 현장 단말기는 구별 가능한 인식표를 부착하거나 운전방벽 등의 준비사항을 작업자에게 표시하고 이를 수행하게 한다.
상기 항목 중 현장 단말기가 지시하는 사항에 대한 조치 후, 작업자는 단말기에 조치 여부를 체크한다.
작업 초기 조건에 대한 확인과 조치를 마친 후 작업자는 최초 접촉한 NFC 태그에 현장 단말기를 재 접촉하여 초기 조건 수행 기록과 시간을 저장한다(S161).
단계 S161에서 작업초기 조건 및 상태 확인 단계가 완료되면, 작업자와 감독자는 작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S162).
즉,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초기 조건 수행 확인 후 저장된 작업 절차를 단계별로 작업자에게 표시하며 작업자는 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작업 내용에는 작업 수행 시 작업자가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직면하여 혼란이나 불확실성을 느낄 때 일단 작업을 중단하고 작업감독자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도움을 얻는 불확실 시 중지(Stop When Unsure)나, 또한, 작업지시정보에 사전에 명시된 동시 확인 사항에 대해서는 작업자는 감독자와 함께 동시에 절차를 확인 후 기기조작 및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독립확인(Independent Verification)과 동료점검이 명시된 기기는 작업자 또는 감독자가 인적오류 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 절차의 표시는 원자력 발전소(150)의 곳곳에 구비된 NFC 태그(150~n)에 태깅함으로써, 단말기 저장부(163)에 저장된 태그 ID별 작업절차서를 판독하여 단말기 표시부(161)에 표시하면 된다.
이때, 단말기 제어부(162)는 작업 절차 수행 중 검사, 측정, 조작 등에 대한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입력부(164)를 통하여 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요 작업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즉, 중요한 작업 절차이거나 위험 요소가 있는 절차 수행 전 현장 단말기는 알림을 발생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해당 절차 관련 위치 및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151~n)에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를 접촉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러한 NFC 태그(151~n)는 인식표가 부착(Flagging)된 스위치나 기기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착하고, 운전방벽 설치(Operational Barriers) 기기에서는 NFC태그도 격리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요 절차 및 위험 절차를 수행 후 해당 NFC 태그(151~n)에 재접촉하여 절차의 수행 결과에 대한 재확인이 되도록 한다.
작업 절차 수행 중, 시험이나 정비를 위해 운영 중인 계통을 조정하거나 우회, 차단할 경우 해당 위치 및 장치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고 관련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절차 진행 중, 해당 절차에서 발생된 사고 사례가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재발방지를 요구한다.
또한,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현장 단말기는 절차서 표시와 함께 예상치 못한 기기상태 및 현장 환경에 대한 긴급한 사항의 발생 시 대처법, 조치사항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링크를 표시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절차 수행 중 개선 사항이나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단말기표시부에 바로 메모할 수 있는 입력창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장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S170), 작업지시 정보상의 최종 위치 또는 기기 태그(151~n)에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로 재접촉하여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확인 서명 입력창을 단말기표시부(160a)에 표시하고 작업자 및 감독자의 서명 입력을 통해 현장 작업 수행을 완료하였음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현장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감독자 및 작업자는 사용한 현장 단말기를 현장 PC(180)에 구비된 NFC태그(181) 또는 현장 PC(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NFC 동글에 태깅한다(S181).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는 현장 PC(180)와 자동으로 통신 연결되어 작업 결과 및 기타 작업자의 입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S182).
작업자용 및/또는 감독자용 현장 단말기(160a,160b)에서 현장PC(180)로의 작업 정보의 다운로드가 완료 된 후 현장 단말기는 다음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초기화 된다.
감독자 및 작업자는 사용한 현장 단말기를 지정된 장소에 반납하고 복귀한다.
한편, 현장 PC(180)는 작업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이를 작업관리 서버(120)로 업로드하고(S183), 다시 작업관리 서버(120)는 작업관리자PC(110)로 작업 종료 알림을 발생시켜 작업관리자가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84).
또한, 작업관리 서버(120)는 작업자 및/또는 감독자PC(130,140)에 작업 평가서 요청 알림을 발생시키면, 작업 종료 후 현장에서 복귀한 감독자 및 작업자는 개인 업무용 컴퓨터에 발생된 알림에 따라 작업 평가서를 입력한다(S191).
절차 수행 중 현장 단말기를 통해 입력했던 개선 사항 또는 사고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메모를 토대로 상세 내용을 추가 입력하고, 작업 중 사고나 오류가 발생하였다면 경위서를 첨부한다.
단계 S191에서 작업 평가서 작성이 완료되면 작업관리 서버(120)로 업로드 하고(S192) 작업 관리자 PC(110)에게 작업 평가서 완료 알림을 발생시키고(S193), 작업 관리자 PC(110)의 작업 평가서 수신 알림을 작업자가 확인하면 작업관리서버(120)는 현장으로부터 업로드 된 작업 데이터와 작업자 및 감독자의 작업 평가서를 토대로 완료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
작업 관리자는 생성된 완료 보고서를 검토하여 필요 시 작업 후 평가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작업관리자는 완료 보고서에 나타난 절차 수행 중 개선 사항 및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관련 절차에 개선 반영한다.
작업관리자는 작업 중 사고나 오류 발생 보고가 있을 경우 작업 평가회의를 소집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하여 그 내용을 사고사례로 관련 작업 절차에 연동한다.
상기 사항의 종료 후 작업관리자는 작업 완료를 승인한다(S19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를 기반으로 하고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행하여 지는 시험, 점검, 작업 등의 인적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 절차등의 자료가 입력된 단말기(NFC 통신 가능한)를 소지하고 단말기에 표시되는 작업 절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위치, 작업 장치/기기, 중요 포인트(위험 요소, 중요 작업 등) 등에 부착된 NFC태그를 단말기로 태깅하게 하여 작업 사항의 기록(작업자, 작업시간 등)을 남김과 동시에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표시해 위험 요소나 중요 포인트 등을 작업자가 확실히 인지하고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며, 반복되는 작업이나 작업자의 집중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중요 절차를 수행하고 NFC태그를 재 태깅하게 함으로써 인적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원자력 발전소내에서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태깅으로 확인한다는 개념에서 원자력발전소내의 최초 위치 또는 기기의 태그에 태깅하고 작업 종료시 동일 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작업지시정보 상에 명시된 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을 시작하고, 작업지시정보 상에 최종 위치 또는 기기의 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의 종료를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작업관리자PC 120 : 작업관리서버
130 : 작업자PC 140 : 감독자PC
150 : 원자력발전소 151~n : NFC 태그
160 : 현장단말기
160a : 작업자용 현장단말기 160b : 감독자용 현장단말기
180 : 현장 PC 181 : Tag

Claims (5)

  1. 삭제
  2. (a)작업관리자 PC가 운전, 정비, 시험 또는 교정 중 어느 하나의 작업지시에 대한 내용과 작업절차서를 작업지시정보로 작업관리 서버에 입력하는 작업지시단계;
    (b)작업관리서버가 작업관리PC에 감독자 및 작업자의 리스트를 표시하여 감독자와 작업자를 선택하고,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선택된 감독자 및 작업자 PC로 전송하는 단계;
    (c)작업관리서버가 상기 감독자 및 작업자 PC가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작업지시 정보를 현장 PC로 전송하고, 현장 PC는 태깅(Tagging)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현장 입구에 구비된 감독자 및 작업자의 현장단말기로 작업지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상기 (c)단계 이후 상기 현장 PC가 작업관리서버에 작업개시 알림을 발생시키고, 알림을 수시한 작업관리서버는 작업관리자PC로 작업개시를 알리고, 현장단말기가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최초 작업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여 작업개시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작업관리자PC로 전송하는 단계;
    (e)상기 감독자와 작업자의 현장단말기에 작업현장 및 장치의 초기조건 및 상태를 표시하고, 초기 조건 및 상태 확인 후 작업자 현장단말기를 최초 접촉한 NFC태그에 재접촉하여 초기 조건 수행기록과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f)상기 감독자와 작업자의 현장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작업지시 정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각각의 NFC태그에 현장단말기를 태깅함으로써, NFC 태그 ID별 작업지시정보를 작업자용 현장단말기에 표시하고, 현장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지시정보에 따라 최종 작업위치 또는 기기에 부착된 NFC태그에 접촉하여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
    (g)감독자와 작업자의 현장 단말기는 현장 PC에 구비된 NFC태그에 태깅하여 작업수행정보를 전송하고, 현장PC는 작업관리서버로 작업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작업관리서버는 작업관리자PC로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
    (h)상기 (g)단계에서 알람 발생 이후에 작업관리서버에서 작업자와 감독자 PC에 작업평가서 요청을 알리고, 작업자와 감독자 PC에서 작업평가서를 작업관리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i)작업관리서버는 작업평가서가 업로드되면 작업관리자 PC에 작업평가서 완료를 알리고, 작업관리자 PC에서 승인 확인 시 작업관리서버는 완료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작업지시 정보에는 작업지시와 관련된 공구와 계측기를 포함하는 부자재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f-1)상기 현장단말기를 이용하여 작업 수행을 완료하는 단계;
    (f-2)상기 현장단말기에 확인 서명창에 서명입력을 통해 작업자 및 감독자의 현장 작업 수행을 완료하는 단계;
    (f-3)상기 (f-2)단계에서 작업 수행이 완료되면 현장단말기를 현장PC에 태깅(tagging)하여 현장PC에서 작업 수행 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f-4)상기 (f-3)단계에서 작업수행 내용이 다운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장단말기를 초기화하는 단계;
    (f-5)상기 (f-3)단계에서 작업 수행 내용을 다운로드한 현장 PC가 작업관리서버로 해당 작업 수행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및
    (f-6)작업수행내용을 다운로드한 작업관리서버는 작업관리자PC로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5. 삭제
KR1020150087234A 2014-09-18 2015-06-19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KR101721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424 2014-09-18
KR20140124424 2014-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86A KR20160033586A (ko) 2016-03-28
KR101721839B1 true KR101721839B1 (ko) 2017-03-31

Family

ID=5700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234A KR101721839B1 (ko) 2014-09-18 2015-06-19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44B1 (ko) 2018-09-17 2019-05-13 금양산업개발 (주)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691B1 (ko) * 2020-10-27 2021-08-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현장에서 두 명 이상의 작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 관리 방법
KR102645068B1 (ko) * 2021-01-30 2024-03-07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Nfc 태그를 이용해 오프라인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ar 글래스의 정보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180A (ja) * 2009-07-30 2011-02-17 Idemitsu Kosan Co Ltd プラント等の運転操作支援システム
JP2011227811A (ja) * 2010-04-22 2011-11-1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044A (ko) * 2014-07-18 2014-08-07 주식회사 지오네트 무선 전자인식 수단을 이용한 작업 품질안전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180A (ja) * 2009-07-30 2011-02-17 Idemitsu Kosan Co Ltd プラント等の運転操作支援システム
JP2011227811A (ja) * 2010-04-22 2011-11-10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중구 외 1인, "NFC 기반 전력설비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2013 대한전기학회 전력기술부문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3.10., pp41-4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344B1 (ko) 2018-09-17 2019-05-13 금양산업개발 (주)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86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absence of voltage
US20200202472A1 (en) Adapting workers safety procedures based on inputs from an automated debriefing system
CN103383722B (zh) 一种结合产品和过程的软件安全性举证开发方法
Bridges et al. Human factors elements missing from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KR101721839B1 (ko) Nfc 기반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 예방 방법
JP2008158879A (ja) 避難経路算出装置、避難経路算出方法及び避難経路算出プログラム
Leveson The Therac-25: 30 years later
KR102517384B1 (ko) 산업현장 방폭검사용 스마트 플랫폼
US11325258B2 (en)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failure recovery
KR2020000973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밀폐공간 안전작업 시스템 및 방법
US10672257B2 (en) Method for securing fire-hazardous operations to be executed by a person
Khan et al. Testing and validation of safety logic in the virtual environment
Lew et al. Computerized operator suppor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hybrid main control room
JP2009271891A (ja) 保守点検作業支援装置
Kamanja et al. Characterization of resilience in Nuclear Power Plants
WO2018158928A1 (ja) 設備保全支援システム及び設備保全支援方法
US20220100180A1 (en) Safety instrumented system interface
Enberg Proof-Testing Level-Measurement Devices in Storage-Tank Safety Systems.
Polavarapu Integration of human factors in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Golob et al.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risk acceptance criteria for the Seveso establishments
Bridges Controlling Human Performance Between Both Unplanned and Planned Tasks within Abnormal Operation Mode
Hruby et al. DEFENSE NUCLEAR FACILITIES SAFETY BOARD
Kosmowski Cognitive engineering and functional safety technology for reducing risks in hazardous plants
JP2006163955A (ja) 作業工法管理システム
GOWLAND Layers of protection-know your on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