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18B1 -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18B1
KR101721518B1 KR1020150113254A KR20150113254A KR101721518B1 KR 101721518 B1 KR101721518 B1 KR 101721518B1 KR 1020150113254 A KR1020150113254 A KR 1020150113254A KR 20150113254 A KR20150113254 A KR 20150113254A KR 101721518 B1 KR101721518 B1 KR 10172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ontact
lower plat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631A (ko
Inventor
김태호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Publication of KR2016013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는, 중앙에 접촉홈이 형성되는 하판 접촉홈에 일단이 접촉하며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지주가 배치되고, 가이드부가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하판과의 유격을 생성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DEVICE FOR SUPPORTING PROP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량구조물, 도로시설물, 보행난간, 휀스, 방음벽등의 구조물을 시공할 때에, 그 구조물의 하부를 이루는 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 지지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지주 지지 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10-1216895(발명의 명칭: 구조물 지주 지지장치)가 있다.
종래의 지주 지지 장치는 단순히 구조물의 지주를 지지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주의 설치 장소의 지면이 기울어져 있거나, 평평하지 않을 경우, 임시 방편으로 볼트나 너트 같은 쇠 조각을 바쳐가며 지주를 받쳐 설치된 구조물의 균형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된 구조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설치된 구조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지주 지지 장치는 중앙에 접촉홈이 형성되는 하판; 상기 접촉홈에 일단이 접촉하며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지주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하판과의 유격을 생성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지주 지지 장치의 시공 방법은, 상판을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며 하판과의 유격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상판에 지주를 배치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지지홀을 관통시키며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에는 접촉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접촉홈에 일단이 접촉하며 설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부가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주 지지 장치의 상하판 간의 유격을 조정하여, 구조물의 특정 지주에 높이를 제공하여, 구조물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주가 배치될 지면이 기울어져 있더라도, 상판이 지주의 하중에 따라 기울어져 지주를 떠 받들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지주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3은 상판의 이동으로 상판 및 하판 간의 추가 유격 생성시, 지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유격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아, 상판 및 하판 간의 유격을 추가로 생성시키지 않은 경우, 지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지주 지지 장치의 하판(10)의 상면 중앙에는 접촉홈(12)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0)의 일단은 접촉홈(12)에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부(10)는 상판(30)에 연결되고, 상판(30)의 하중이 실릴 경우, 상판(30)의 기울어짐에 따라, 접촉홈(12)에 접촉한 가이드부(10)의 일단은 접촉홈(12)을 따라 상판(30)의 기울어짐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판(10)의 두께는 상판(3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상판(30)이 하판(10)보다 얇기 때문에, 상판(30)과 하판(10)간의 유격이 생성 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판(30)이 하판(10)보다 얇기 때문에, 상판(30)을 이동시키는 것이 하판(10)을 이동시키는 것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0)는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0)는 상판(30)의 중앙을 관통하며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부(10)가 고정 나사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지 지면 방향이 하방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겠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30)은 가이드부(1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판(30)은 가이드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0)가 회전하게되면, 상판(30)은 가이드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판(30) 및 하판(10)이 원판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판(30) 및 하판(10)이 판형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판(3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0) 및 하판(10)간에는 유격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상판(30)을 이동시켜 상판(30) 및 하판(10)간에 유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상판의 이동으로 상판 및 하판 간의 추가 유격 생성시, 지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판(30)에 지주가 설치되지 않고, 상판(30)이 이동되어 추가 유격이 생성된 상태에서는, 상판(30)은 하판(10)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판(30)의 상면 중앙에는 접촉홈(32)이 형성된다. 접촉홈(32)의 중앙에는 가이드부(10)가 관통하는 관통홀(33)이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20)는 접촉홈(32)을 중앙을 통과하며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홈(3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접촉홈(32)이 생략된 경우, 관통홀(33)은 상판(3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30)의 하면에는 접촉돌기(35)가 형성된다. 접촉돌기(35)는 상판(30)의 상면에 접촉홈(32)이 형성됨에 따라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접촉홈(32)과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관통홀(33)은 접촉돌기(35)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돌기(35)는 반구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시 접촉돌기(35)의 횡단면이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돌기(35)의 횡단면적은 접촉홈(12)의 횡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35)의 반경 역시 접촉홈(12)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상판(30) 및 하판(10) 간의 유격이 일정 범위로 추가로 발생된 이후, 상판(30)에 지주가 배치되어 상판(30)이 기울어진 경우, 접촉돌기(35)는 기울어져 일부가 접촉홈(12)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돌기(35)의 일부가 접촉홈(12)과 접촉하게 되어,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지주로부터의 상판(30)이 받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상판(30)이 견고하게 지주를 떠 받들 수 있게 한다. 이때 접촉돌기(35)의 또 다른 일부는 지주 지지 장치 구성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판(30)이 기울어졌을 때 접촉홈(12)과 접촉하는 접촉돌기(35)의 일부의 면적은 상판(30) 및 하판(10) 간의 유격이 작을수록, 더 클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접촉돌기(35)의 일부와 접촉홈(12)의 일부가 접촉할 수도 있다.
도 4는 유격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아, 상판 및 하판 간의 유격을 추가로 생성시키지 않은 경우, 지주 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판(30)에 접촉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접촉돌기(35)의 일부가 하판(10)의 접촉홈(12)에 삽입되므로, 사용자는 상판(30)을 상하로 조정하여, 상판(30)과 하판(10)의 유격이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유격이 최소화되는 경우는, 접촉홈(12)의 최장 깊이만큼 접촉돌기(35)의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돌기(35)의 반경이, 접촉홈(12)의 반경보다 길 수 있기 때문에, 접촉홈(12)의 최장 깊이만큼 접촉돌기(35)의 일부가 삽입되더라도, 상판(30)과 한판(10)사이에는 유격이 있을 수도 있다.
상판(30)의 접촉돌기(35)의 일부가 하판의 접촉홈(12)에 삽입될 때, 삽입된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접촉홈(12)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접촉돌기(35)가 접촉홈(12)에 삽입됨에 따라, 접촉돌기(35)의 일부와 접촉홈(12)은 접촉하게 된다.
접촉돌기(35)가 접촉홈(12)에 접촉하며 삽입되기 위해, 접촉돌기(35)와 접촉홈(12)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접촉돌기(35)는 볼록한 형상이며, 접촉홈(12)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즉 접촉돌기(35)가 반구형인 경우, 접촉홈(12)도 반구형일 수 있다. 접촉돌기(35)가 반구형인 경우, 접촉홈(12)도 반구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접촉돌기(35)의 곡률과 접촉홈(12)의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35)와 접촉홈(12)의 곡률은 동일하나, 배치시 높이 및 깊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35)의 높이는 접촉홈(12)의 깊이보다 길 수 있다.
접촉돌기(35)가 원판형일 경우, 상판(30) 및 하판(10) 간의 유격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접촉돌기(35)와 접촉홈(12)은 일부만 접촉한다. 즉 접촉돌기(35)의 측면 중 일부만 접촉홈(12)과 접촉한다. 또한 이 경우, 접촉홈(12)의 전체 표면은 접촉돌기(35)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접촉홈(12)의 전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식으로 상판(30)과 하판(10)간의 유격의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판(30)과 하판(10)간에 유격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아, 접촉돌기(35)의 일부가 접촉홈(32)에 삽입된 경우, 접촉돌기(35)와 접촉홈(32)의 접촉으로 발생한 마찰력으로 인해, 상판(30) 및 하판(10)은 횡으로 가해진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지주 지지 장치에 설치될 지주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 일 수 있다.
상판(30) 및 하판(10) 각각의 외곽에는 지주 설치시 각각의 지지대(40)가 관통되는 지지홀(14, 34)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지지대(40)는 상판(30)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원통형일 수 있다.
지지대(40) 설치시 지지대(40)의 하판(10) 통과 부분 즉 지지대(40)가 하판(10)에 설치시 지지대(40) 중 하판(10) 이하의 부분은 매립되거나, 별도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하판(10)의 지지홀(14)은 상판(30)의 지지홀(34)보다 큰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또한 지지홀(14)은 상판(3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판(30)의 지지홀(34)을 통과한 지지대(40)가 하판(10)의 지지홀(14)을 통과할 수 있게하는 소정의 형태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판(10)의 지지홀(14)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판(10)의 각각의 지지홀(14)은 하판(1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판(10)의 외곽에 형성되며. 하판(1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지지홀(14)까지의 거리는 각각 같을 수 있다.
상판(30)의 지지홀(34)은 원형 일 수 있다. 또한 상판(30)의 지지홀(34)은 하판(10)의 지지홀(14)보다 작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판(30)의 지지홀(34)의 지름은 지지대(40)의 설치시 수평단면(지면과 수평한 단면)의 지름과 일치할 수 있다. 상판(30)의 지지홀(34)의 지름과 지지대(40)의 수평단면의 지름이 일치하기 때문에, 상판(30)은 지지대(40)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지지홀(14)이 타원형일 때, 지지홀(14)의 장축의 길이는 지지홀(34)의 지름보다 길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홀(34)은 상판(30)의 중심을 중심으로, 상판(30)의 외곽에 형성되며. 상판(30)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지지홀(34)까지의 거리는 각각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10)의 지지홀(14)은 상판(30)의 지지홀(34)보다 크기 때문에, 상판(3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지지홀(34)을 관통한 지지대(40)가 지지홀(14)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지지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상판(30)을 이동시켜 하판(10)과의 유격을 조절한다(S501).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판(30)을 이동시켜 하판(10)과의 유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30)을 이동시켜 하판(10)과의 유격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상판(30)을 가이드부(20)의 타단으로 이동시켜, 하판(10)과의 유격을 최대한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의 타단은 접촉홈(12)과 접촉하는 일단의 반대쪽 부분일 수 있다.
도 6에는 상판(30)이 이동되어, 하판(10)간의 유격이 조절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판(30)이 이동되어 유격이 추가로 생성된 상태에서는, 상판(30)은 하판(10)과 평행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30)과 배치될 지주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상판(30)을 이동시킨다. 또한 이때 하판(10)의 하면은 지면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즉 하판(10)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지주를 먼저 상판(30)에 배치시키고, 상판(30)을 이동시켜 필요한 만큼의 유격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판(30)에 지주를 배치할 수 있다(S503). 지주가 배치되는 곳의 지형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 상판(30)은 지주의 배치로 인해 기울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는 가이드부(20)가 삽입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는 파이프 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는 가이드부(20)의 외곽에 가이드부(20)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지주가 배치되어 상판(30)이 기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면의 경사가 좌에서 우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상판(30)은 지주의 배치에 따라, 지면의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판(10)은 지면과 맞닿아 고정되어 있어 움직이지 지주가 배치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상판(30)은 상방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넓어지는 접촉홈(32)의 중앙의 관통홀(33)을 통해 가이드부(20)와 연결되고, 상판(30)의 중앙을 관통하며 상판(30)과 연결되는 가이드부(10)는 길이방향으로 긴 막대형이므로, 상판(30)에 일측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0)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판(20) 역시 기울어지게 된다.
상판(30)과 연결된 가이드부(10)의 일단은 접촉홈(12)과 접촉하고, 접촉홈은 오목한 형태이고,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으므로, 상판(30)이 기울어짐에 따라 가이드부(10)의 일단은 접촉홈(12)을 따라 하중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가이드부(10)의 일단은 접촉홈(12)의 굴곡을 따라 회전이동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리로, 상판(30)에 지주가 배치되면, 상판(30)은 하중이 가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가이드부(10)의 접촉홈(12)과 접촉하는 일단은 상판(30)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10)의 타단은 상판(30)이 기울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판(30) 및 하판(10) 간의 유격이 일정 범위 이내이고, 상판(30)에 지주가 배치되어 상판(30)이 기울어진 경우,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접촉홈(12)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돌기(35)가 기울어져 일부가 접촉홈(12)과 접촉하게 되어,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지주로부터의 상판(30)이 받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상판(30)이 견고하게 지주를 떠 받들 수 있게 한다. 이때 접촉돌기(35)의 또 다른 일부는 지주 지지 장치 구성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판(30)에 인가되는 하중은 하판(10)과 접촉하는 가이드부(10)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접촉돌기(35)의 일부는 접촉홈(12)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판(30)의 지지홀(34) 및 하판(10)의 지지홀(14)을 관통하여 지지대(40)를 설치할 수 있다(S505). 지지대(40)는 상판(30)과 하판(10)을 고정시켜, 현재의 상태를 유지 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40)는 지주 설치 이전에 느슨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대(40)는 지주 설치 이후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30)과 하판(10)의 유격은 지주 설치 이후에도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주 설치 이후, 상판(30)을 이동시켜 하판(10)과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상판(3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대(40)가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대(40) 설치시 하판(10)을 통과한 부분 즉 지지대(40)가 하판(10)에 설치시 지지대(40) 중 하판(10) 이하에 부분 매립되거나, 별도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0)는 상판(30)과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판 12: 접촉홈
14: 지지부 20: 가이드부
30: 상판 32: 접촉홈
33: 관통홀 34: 지지홀
40: 지지대

Claims (14)

  1. 중앙에 접촉홈이 형성되는 하판;
    상기 접촉홈에 일단이 접촉하며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지주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하판과의 유격을 생성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홈은,
    상기 하판의 내부로 삽입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판이 상기 지주의 하중 방향에 따라 기울어질 때,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상기 접촉홈에 접하여 상기 접촉홈을 지지한 채로 상기 상판의 기울어짐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기울기 및 상기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지주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상판의 중앙에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중앙에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지지홀 및 상기 하판의 지지홀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현재 상태를 고정 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지주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지지홀의 지름은 상기 지지대의 횡단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주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지지홀은 원형이고,
    상기 하판의 지지홀은 상기 상판의 지지홀보다 큰 원형인, 지주 지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지지홀은 원형이고,
    상기 하판의 지지홀은 타원형인, 지주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지지홀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상판의 지지홀의 지름 보다 긴, 지주 지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중앙에는,
    상기 하판 방향으로 접촉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촉돌기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지주 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 및 상기 접촉홈의 곡률은 동일하며,
    상기 접촉돌기의 높이는 상기 접촉홈의 깊이보다 긴, 지주 지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간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배치 될 경우,
    상기 접촉돌기의 일부는 상기 접촉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홈의 전부와 접촉하는, 지주 지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간에 유격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상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기울어져 일부가 상기 접촉홈의 일부 접촉하는, 지주 지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고정 나사이며,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지주 지지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보다 두꺼운, 지주 지지 장치.
  14. 지주 지지 장치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판을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며 하판과의 유격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상판에 지주를 배치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지지홀을 관통시키며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하판의 내부로 삽입된 오목한 형태의 접촉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접촉홈에 일단이 접촉하며 설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부가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판에 지주를 배치 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판이 상기 지주의 하중 방향에 따라 기울어질 때,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이 상기 접촉홈에 접하여 상기 접촉홈을 지지한 채로 상기 상판의 기울어짐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기울기 및 상기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 방법.
KR1020150113254A 2015-05-18 2015-08-11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721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68935 2015-05-18
KR1020150068935 2015-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31A KR20160135631A (ko) 2016-11-28
KR101721518B1 true KR101721518B1 (ko) 2017-03-30

Family

ID=5770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54A KR101721518B1 (ko) 2015-05-18 2015-08-11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956B2 (en) 2020-03-27 2024-01-3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Wearable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mov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35B1 (ko) * 2020-08-25 2021-02-08 주식회사 청수이엔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627A (ja) * 2001-03-01 2002-09-11 Xyence Corp 柱脚金物
JP2006328804A (ja) * 2005-05-26 2006-12-07 Yazaki Ind Chem Co Ltd 支柱の柱脚スタンド
JP2008196235A (ja) * 2007-02-14 2008-08-28 Shuhei Izumi 据付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627A (ja) * 2001-03-01 2002-09-11 Xyence Corp 柱脚金物
JP2006328804A (ja) * 2005-05-26 2006-12-07 Yazaki Ind Chem Co Ltd 支柱の柱脚スタンド
JP2008196235A (ja) * 2007-02-14 2008-08-28 Shuhei Izumi 据付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3956B2 (en) 2020-03-27 2024-01-3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Wearable gravity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of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31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18B1 (ko)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415242B1 (ko) 3차원 내진이 가능한 내진 댐퍼
KR101482082B1 (ko)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US8602572B2 (en) Belt supporting type reflecting mirror mount
KR101427522B1 (ko) 강화된 수직방향 지지력을 갖는 높이 가변형 받침대 장치
US20180230699A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access floor panel
CN112031194B (zh) 带有电涡流阻尼器的tmd装置
KR200486561Y1 (ko) 몰드 변압기 지지구조
JP2005140318A (ja) 免震装置
JP2017067710A (ja) 測量機の支柱構造
KR101914911B1 (ko) 3차원 면진장치
CN107831584A (zh) 大口径反射镜的复合支撑结构、支撑和调节方法
JP5972309B2 (ja) 免震装置、及び免震工法
KR20180055421A (ko) 카메라 레벨링 장치
KR20080016134A (ko) 진동 감쇠기
KR102350187B1 (ko) 내진 구조의 베이스 모듈을 갖는 패널 지지 조립체
JP7475296B2 (ja) 滑り支承装置
KR20170121404A (ko) 진동 흡수 댐퍼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CN208443478U (zh) 一种光线传感器的安装结构
KR102214541B1 (ko) 경량틀 지지 구조
JP6725102B2 (ja) 枠構造、及び空間構造体
JP4102211B2 (ja) 免震装置
JP2014224572A (ja) 張弦チューンドマスダンパ
CN211902085U (zh) 抗震性能好的弯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