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935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935B1
KR102213935B1 KR1020200107395A KR20200107395A KR102213935B1 KR 102213935 B1 KR102213935 B1 KR 102213935B1 KR 1020200107395 A KR1020200107395 A KR 1020200107395A KR 20200107395 A KR20200107395 A KR 20200107395A KR 102213935 B1 KR102213935 B1 KR 10221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loor plate
plate
suppo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수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수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수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0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정이 가능한 회전형 시설물 지주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시설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ANDGLE ADJUSTABLE POS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정이 가능한 회전형 시설물 지주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물,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판재 하부에는 전력 및 통신케이블 등이 설치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바닥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바닥판재 지주가 설치된다.
종래의 바닥판재 지주는, 지주봉을 가지는 베이스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고, 베이스의 지주봉에 바닥판재를 지지하는 헤드가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바닥판재 지주는 수평을 이루는 콘크리트 바닥에 설치시는 헤드의 상면에 바닥판재를 수평으로 줄맞춤하여 시공할 수 있지만, 콘크리트 바닥이 경사진 경우에는 그 콘크리트 바닥에 지주를 고정하여 바닥판재를 시공할시는 바닥판재 또한 콘크리트의 경사진 기울기를 따라 경사지게 시공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613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1407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주의 회전형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지지 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주 본체가 하부에서 각도 조절이 작용되도록 하며, 바닥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에 수직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지지 브라켓의 회전을 위한 힌지가 구비되며, 돌기가 형성되어 지주의 홈에 회전이 되면서 안착되어 고정이 되도록 구현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시설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주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가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와 직교되도록 상기 지주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바닥판;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바닥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닥판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2 바닥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을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관통하고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을 바닥면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앵커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부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전단에 위치하는 제1 공간과 후단에 위치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아우터 지주; 상기 아우터 지주가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을 관통하고 하강되어 상기 제2 바닥판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 이너 지주; 및 상기 아우터 지주가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이너 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닥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앵커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앵커 삽입홀; 및 상기 제1 이너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의 하측 입구와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이너 지주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지주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너 지주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닥판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기 제2 바닥판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이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 관통홀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너 지주의 상하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너 지주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돌기가 전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부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의 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과 대향하며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주의 회전형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지지 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주 본체가 하부에서 각도 조절이 작용되도록 하며, 바닥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에 수직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지지 브라켓의 회전을 위한 힌지가 구비되며, 돌기가 형성되어 지주의 홈에 회전이 되면서 안착되어 고정이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 기초면에서도 시설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어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아우터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의 경사면 안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제1 바닥판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2의 제1 이너 지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는 도 1의 안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1)는, 안착부(10) 및 지주부(20)를 포함한다.
안착부(10)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측에 설치되는 지주부(20)를 지지한다.
지주부(20)는, 시설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안착부(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1)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는, 제1 바닥판(100), 제2 바닥판(200) 및 다수 개의 앵커 볼트(300)를 포함한다.
제1 바닥판(100)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지주부(20)가 직립될 수 있도록 지주부(21)와 직교되도록 지주부(21)의 하측에 설치되며, 후단이 제2 바닥판(200)의 후단과 힌지 결합(H)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바닥판(200)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바닥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제1 바닥판(100)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바닥판(1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후단이 힌지 결합(H)된다.
앵커 볼트(300)는,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을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관통하고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을 바닥면에 고정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1)는, 경사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안착되는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을 다수 개의 앵커 볼트(300)를 이용하여 제1 바닥판(100)이 평면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경우에도 안정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1)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21)는, 아우터 지주(400), 제1 이너 지주(500) 및 제2 이너 지주(600)를 포함한다.
아우터 지주(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전단에 위치하는 제1 공간(S1)과 후단에 위치하는 제2 공간(S2)으로 중간 격벽(P)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아우터 지주(400)는, 각 변(A)이 내측에 안착된 제1 이너 지주(500) 및 제2 이너 지주(6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이너 지주(500) 및 제2 이너 지주(6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할 수 있다.
제1 이너 지주(500)는, 아우터 지주(400)가 시설물의 하중에 의해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제1 공간(S1)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며, 제2 바닥판(200)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 간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면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 간에 이격 간격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제1 바닥판(100)을 관통하고 하강되어 제2 바닥판(200)의 상측에 안착된다.
이때, 제1 이너 지주(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1 바닥판(100)의 하측으로 하강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이너 지주(600)는, 아우터 지주(400)가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제2 공간(S2)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2)는, 지주의 회전형 구조를 이룸과 동시에 지지 브라켓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주 본체가 하부에서 각도 조절이 작용되도록 하며, 바닥 기초 콘크리트 또는 바닥 슬라브에 수직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는 지지 브라켓의 회전을 위한 힌지가 구비되며, 돌기가 형성되어 지주의 홈에 회전이 되면서 안착되어 고정이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 기초면에서도 시설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어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제1 바닥판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바닥판(10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 다수 개의 앵커 삽입홀(120) 및 지주 관통홀(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아우터 지주(400)의 하측이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공간(S1)과 대향하는 위치에 지주 관통홀(130)되고, 각 모서리에 앵커 삽입홀(120)이 형성된다.
앵커 삽입홀(120)은, 앵커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때, 제2 바닥판(200) 역시 앵커 삽입홀(120)을 통과한 앵커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에 관통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지주 관통홀(130)은, 제1 이너 지주(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공간(S1)의 하측 입구와 대향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이너 지주(5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너 지주(5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바닥판(20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510)이 제2 바닥판(200)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이너 지주(500)는, 체결 돌기(131)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520-1, 520-2)이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주 관통홀(130)은, 삽입되어 있는 제1 이너 지주(500)의 상하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520-1, 520-2)에 삽입되어 제1 이너 지주(5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돌기(131)가 전면으로부터 고정홈(520-1, 520-2)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바닥판(100)은, 제2 바닥판(200)이 안착되는 바닥면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여 체결 돌기(131)가 다수 개의 고정홈(520-1, 520-2) 중 선택하여 체결됨으로써, 제2 바닥판(200)과의 이격 간격이 제1 이너 지주(500)에 의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는 도 1의 안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2)는, 제1 바닥판(100), 제2 바닥판(200), 다수 개의 앵커 볼트(300) 및 간격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제1 바닥판(100), 제2 바닥판(200) 및 다수 개의 앵커 볼트(3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간격 지지부(700)는, 제1 바닥판(100)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 간에 이격 간격에 설치되어 제1 바닥판(100)의 전단과 제2 바닥판(200)의 전단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2)는, 제1 바닥판(100)과 제2 바닥판(200) 사이를 지탱하는 제1 이너 지주(500) 또는 앵커 볼트(300)만으로 시설물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제1 바닥판(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간격 지지부(700)를 추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간격 지지부(700)는, 상부 지지 프레임(710), 수직 지지 프레임(720), 중간 지지 프레임(730), 제1 관통홀(740) 및 제2 관통홀(750)을 포함한다.
상부 지지 프레임(710)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바닥판(100)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후단으로부터 수직 지지 프레임(720)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수직 지지 프레임(720)은, 상부 지지 프레임(710)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바닥판(100)의 전단과 제2 바닥판(200)의 전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바닥판(100)의 전단과 제2 바닥판(200)의 전단 사이를 지지한다.
중간 지지 프레임(730)은, 상부 지지 프레임(710)과 대향하면서 수직 지지 프레임(720)의 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관통홀(740)은, 상부 지지 프레임(71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앵커 볼트(300)가 관통하고 삽입됨으로써, 제1 바닥판(100)의 전단과 제2 바닥판(200)의 전단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수직 지지 프레임(720)이 지지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관통홀(750)은, 제1 관통홀(740)과 대향하며 중간 지지 프레임(73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제1 관통홀(740)을 통과한 앵커 볼트(300)가 관통하고 삽입됨으로써, 제1 바닥판(100)의 전단과 제2 바닥판(200)의 전단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수직 지지 프레임(720)이 지지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10: 안착부
20: 지주부
100: 제1 바닥판
200: 제2 바닥판
300: 앵커 볼트
400: 아우터 지주
500: 제1 이너 지주
600: 제2 이너 지주
700: 간격 지지부

Claims (2)

  1.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시설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부가 직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부와 직교되도록 상기 지주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바닥판;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바닥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닥판으로부터 회동되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후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2 바닥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을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관통하고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을 바닥면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앵커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는,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전단에 위치하는 제1 공간과 후단에 위치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아우터 지주;
    상기 아우터 지주가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을 관통하고 하강되어 상기 제2 바닥판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 이너 지주; 및
    상기 아우터 지주가 휘지 않도록 지탱하기 위해 상기 제2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는 제2 이너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앵커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앵커 삽입홀; 및
    상기 제1 이너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간의 하측 입구와 대향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이너 지주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지주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너 지주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바닥판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기 제2 바닥판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홈이 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 관통홀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이너 지주의 상하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이너 지주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돌기가 전면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이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 간에 이격 간격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 지지부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닥판의 전단과 상기 제2 바닥판의 전단 사이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의 전단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앵커 볼트가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과 대향하며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2. 삭제
KR1020200107395A 2020-08-25 2020-08-25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KR10221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95A KR102213935B1 (ko) 2020-08-25 2020-08-25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95A KR102213935B1 (ko) 2020-08-25 2020-08-25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935B1 true KR102213935B1 (ko) 2021-02-08

Family

ID=7456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395A KR102213935B1 (ko) 2020-08-25 2020-08-25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9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941U (ja) * 1991-12-12 1993-07-0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KR101236137B1 (ko)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CN205117375U (zh) * 2015-11-06 2016-03-30 河南理工大学 一种角度可调的单体支柱柱鞋
KR101614074B1 (ko) 2014-09-18 2016-04-22 최종대 파라솔 지주 각도조절장치
KR20160135631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057248B1 (ko) * 2019-08-19 2019-12-18 성환건설(주) 하수관로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941U (ja) * 1991-12-12 1993-07-02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後付階段手摺用基礎金具
KR101236137B1 (ko)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KR101614074B1 (ko) 2014-09-18 2016-04-22 최종대 파라솔 지주 각도조절장치
KR20160135631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 에스디씨컨스트룩 지주 지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N205117375U (zh) * 2015-11-06 2016-03-30 河南理工大学 一种角度可调的单体支柱柱鞋
KR102057248B1 (ko) * 2019-08-19 2019-12-18 성환건설(주) 하수관로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6213A1 (en) Adjustable hanging device
JP3205992U (ja) ユニットハウス用基礎の高さ調整機構
JP6430721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US20070006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101926109B1 (ko) 기울기 조정이 용이한 안테나 거치대
US20050005561A1 (en) Lateral and uplift resistance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in structural framing
KR101237518B1 (ko) 지주용 기초구조물
KR102088599B1 (ko) 각도 조정이 용이한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21393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주
KR102261191B1 (ko) 가설 흙막이 구조체
EP2226451B1 (en) Intrusion prevention upright and enclosure
KR20080003121U (ko) 케이블 받침대의 각도 조절구조
US11242694B2 (en) Base for a fence post
JP7083447B2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枠取付装置
JP2019190001A (ja) 支柱固定用台座
US10612269B2 (en) Fence system
KR102157487B1 (ko)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JP3818443B2 (ja) 忍び返し付きフェンス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20230161622A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2642610B1 (ko) 방음벽 지주 연결구조
KR102300692B1 (ko)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KR102700791B1 (ko) 블록 및 바닥부품
KR102441967B1 (ko) 건축 구조물
KR102246719B1 (ko) 난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