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36B1 -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36B1
KR101721436B1 KR1020160129618A KR20160129618A KR101721436B1 KR 101721436 B1 KR101721436 B1 KR 101721436B1 KR 1020160129618 A KR1020160129618 A KR 1020160129618A KR 20160129618 A KR20160129618 A KR 20160129618A KR 101721436 B1 KR101721436 B1 KR 10172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setting
user
file
tac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장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6012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Abstract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는,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에서 기 선언된 설정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기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하여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며, 통합 설정 파일의 각 내부 클래스 변수를 기 설정된 문자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설정 파일 통합부, 생성된 통합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합동연습 모드 및 연합 연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모드 각각에 대해 설정한 설정과 아이디를 매칭하여 각 모드 별 설정 값을 저장하는 아이디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WARGAME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WARGAME SETTING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엔진 설정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재 전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다양한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은 실제 전장 및 군용자산과 유사한 가상 데이터를 설정하고, 전장환경 이벤트의 진행상황에 따라 예측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전쟁에서 효율적인 전투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이러한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의 엔진은 외부 설정 파일을 통해 엔진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있어, 시뮬레이션 모의 통제 도구를 통해 엔진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성능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이 합동연습, 연합연습 등 다양한 모드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모드로의 변경을 위해 시뮬레이션 설정 파일의 설정을 변경하여 재컴파일하거나, 각각의 모드에 맞추어 실행 파일을 별도로 생성해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3814호(2009.11.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되는 복수의 설정 파일을 하나의 설정 파일로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의 설정 관리가 용이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는,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에서 기 선언된 설정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기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하여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통합 설정 파일의 각 내부 클래스 변수를 기 설정된 문자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설정 파일 통합부; 상기 생성된 통합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합동연습 모드 및 연합 연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부; 및 상기 모드 각각에 대해 설정한 설정과 아이디를 매칭하여 각 모드 별 설정 값을 저장하는 아이디 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전술 시뮬레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엔진 상태 정보, MMF 메모리 정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시뮬레이션 중인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 제어, 상기 시뮬레이션 진행 속도 및 전술 시뮬레이션 명령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에서 기 선언된 설정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추출한 기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하여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통합 설정 파일의 각 내부 클래스 변수를 기 설정된 문자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 합동연습 모드 및 연합 연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각 모드에 대해 설정한 설정과 아이디를 매칭하여 각 모드 별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생성된 통합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사용자가 전술 시뮬레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엔진 상태 정보, MMF 메모리 정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시뮬레이션 중인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 제어, 상기 시뮬레이션 진행 속도 및 전술 시뮬레이션 명령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되는 복수의 설정 파일을 하나의 설정 파일로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의 설정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술 시뮬레이션 통합 설정 파일에 엔진 설정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여 관리함으로써 설정 변경을 위해 코드를 재컴파일할 필요를 없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복수의 기존 설정 파일을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통제도구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설정 파일 통합부(102), 아이디 설정부(104), 시뮬레이션부(106), 인터페이스 제공부(108) 및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설정 파일들을 통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설정을 위한 기존의 복수 개의 설정 파일들을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통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설정 파일들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 내의 메모리(예를 들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는 복수의 기존 설정 파일을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의 (a)와 같이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되는 기존 설정 파일은 복수의 파일(start_game_time.cfg, executive.cfg, ipc.cfg, aar_result_info.cfg 등)로 분산되어 있어, 설정을 변경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설정 파일을 각각 확인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설정 파일들이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통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전술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사용되는 통합 설정 파일의 예시도이다.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분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이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jossm.cfg)로 통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분산된 복수의 설정 파일에서 기선언된 설정들(예를 들어, #define, const, enum 등)을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상기 선언들을 옮겨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클래스란 사용자가 훈련을 수행할 통합 설정 파일의 환경을 실행간에 참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데이터 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통합 설정 파일의 내용을 시뮬레이션 내에 설정 클래스를 선언하고, 분산된 복수의 설정 파일에서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함으로써, 복수의 설정 파일들을 각각 접근하는 대신 통합 설정 파일의 내부 클래스 변수로 접근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분산된 설정 파일에서 ipc.cfg는 Shared Memory 설정이라는 내부 클래스 변수로 통합될 수 있고, start_game_time.cfg는 Game Time 설정이라는 내부 클래스 변수 등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개별 설정파일인 start_game_time.cfg의 훈련시작시간 설정은 통합 설정파일인 jossm.cfg의 'Game Time' 구분에서 STARTGAMETIME으로 이름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는 GlobalVar 클래스의 STARTGAMETIME 변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헤더파일인 CEngMapDefine.h에 #define으로 정의된 MEM_LINKED_LIST_SIZE 메모리 크기 설정은 통합 설정파일인 jossm.cfg의 'Memory Size' 구분에서 'MEM_LINKED_LIST_SIZE' 로 이름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는 CEngMapDefine 클래스의 MEM_LINKED_LIST_SIZE 변수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통합 설정 파일의 각 설정 항목(즉, 내부 클래스 변수)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통합 설정 파일의 각 설정 항목들을 기 설정된 문자 또는 간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파일 통합부(102)는 각 설정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주석 추가 여부를 확인하고, 주석을 추가할 수 있다.
설정 파일 통합부(102)가 분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을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통합하고, 설정 파일 내의 각 설정 항목을 기 설정된 문자 또는 간격 등으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만으로 각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각 설정 항목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아이디 설정부(104)는 각 모드에 따른 설정 파일과 대응하여 아이디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이디 설정부(104)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 모드에 따른 통합 설정 파일의 설정을 각각의 아이디에 매칭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드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시나리오의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합동연습, 연합연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디 설정부(104)는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에 대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설정을 각각의 아이디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아이디 설정부(104)는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에 대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설정을 각각의 아이디에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아이디만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시뮬레이션 파일(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파일 등)에 대한 각각의 설정의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시뮬레이션부(106)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부(106)는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 설정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파일을 적재(즉, 로딩)하여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부(106)는 통합 설정 파일의 아이디에 매칭된 설정을 확인하고, 해당 설정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사용자에게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사용자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모의 통제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사용자에게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엔진 상태 정보, MMF(Memory Mapped File) 메모리 정보, 이벤트 정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란 전술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파라미터로, 예를 들어, 부대 파라미터, 표적 파라미터, 형판 파라미터, 치사율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상태 정보에는 예를 들어 단독, 합동, 연합 등 연습모드 설정과 시나리오 파일 지정 설정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MMF(Memory Mapped File) 메모리 정보는 예를 들어, MMF 파일의 경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링크드리스트의 최대 개수, 이벤트 개체의 최대 개수, 공유메모리의 키값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훈련시작시간, 해뜨는시간, 해지는시간 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를 수신받아 설정 파일의 설정을 기 저장된 설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통제도구의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사용자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제어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모의 통제도구를 의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08)는 상태 요약부(202), 시뮬레이션 제어부(204), 모니터링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요약부(202)는 현재 진행되는 시뮬레이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요약부(202)는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게임 시간, 목표 시간, 현재 배속, 변경 배속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시뮬레이션 제어에 따른 시뮬레이션 상태를 요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제어부(204)는 사용자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제어부(204)는 게임 통제부(212), 게임 저장부(214), 기술 통제부(216), 제어 도구부(218) 및 배속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통제부(212)는 사용자에게 전술 시뮬레이션의 작동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통제부(212)는 게임 시작, 일시 정지, 재 수행, 목표 시간 설정, 게임 종료 등의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술 시뮬레이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게임 저장부(214)는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저장부(214)는 자동 저장, 게임 저장 주기 변경, 게임 즉시 저장 등의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술 통제부(216)는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명령 등을 제어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 통제부(216)는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명령을 전송, 데이터 전송, 동원령 선포 등과 같이 시뮬레이션 내의 명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도구부(218)는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이터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도구부(218)는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를 조회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명령 패킷을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 시뮬레이션이 종료된 경우, 이를 리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배속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배속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속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배속 제어에 따라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진행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6)는 사용자에게 현재 진행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로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206)는 사용자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제어함에 따라 일어나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의 변경 등에 대한 로그(예를 들어, 엔진 상태 정보, MMF 메모리 정보, 이벤트 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08)에서 제공되는 모의 통제도구를 이용하여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110)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시뮬레이션 하고자 하는 파일, 통합 설정 파일, 설정 파일과 매칭되어 저장된 아이디의 설정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대표적인 예시만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10)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기 저장된 기존 설정 파일을 확인한다(S402). 구체적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분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기존 설정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기존 설정 파일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S404). 구체적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분산된 복수의 설정 파일에서 선언된 설정들(예를 들어, #define, const, enum 등)을 확인하고,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로 상기 선언들을 옮겨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각 모드에 따른 설정 파일과 대응하여 아이디를 설정한다(S406). 구체적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 모드에 따른 통합 설정 파일의 설정을 각각의 아이디에 매칭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드란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에서 시뮬레이션하는 시나리오의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합동연습, 연합연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에 대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설정을 각각의 아이디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 파일을 실행한다(S408). 구체적으로,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하고자 하는 시뮬레이션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파일을 시뮬레이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는 통합 설정 파일의 아이디에 매칭된 설정을 확인하고, 해당 설정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시뮬레이션 파일에 대한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고 시뮬레이션 파일을 실행하고자 하는 장치(예를 들어,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1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102: 설정 파일 통합부
104: 아이디 설정부
106: 시뮬레이션부
108: 인터페이스 제공부
110: 저장부
202: 상태 요약부
204: 시뮬레이션 제어부
206: 모니터링부
212: 게임 통제부
214: 게임 저장부
216: 기술 통제부
218: 제어 도구부
220: 배속 제어부

Claims (6)

  1.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에서 기 선언된 설정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기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설정하여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통합 설정 파일의 각 내부 클래스 변수를 기 설정된 문자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설정 파일 통합부;
    상기 생성된 통합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합동연습 모드 및 연합 연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모드 각각에 대해 설정한 설정과 아이디를 매칭하여 각 모드 별 설정 값을 저장하는 아이디 설정부; 및
    사용자가 전술 시뮬레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엔진 상태 정보, MMF 메모리 정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시뮬레이션 중인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 제어, 상기 시뮬레이션 진행 속도 및 전술 시뮬레이션 명령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4.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파일들에서 기 선언된 설정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추출한 기 선언된 설정들을 내부 클래스 변수로 하여 하나의 통합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통합 설정 파일의 각 내부 클래스 변수를 기 설정된 문자 및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
    합동연습 모드 및 연합 연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전술 시뮬레이션의 각 모드에 대해 설정한 설정과 아이디를 매칭하여 각 모드 별 설정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생성된 통합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상기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술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사용자가 전술 시뮬레이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의 엔진 상태 정보, MMF 메모리 정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시뮬레이션 중인 전술 시뮬레이션의 파라미터 제어, 상기 시뮬레이션 진행 속도 및 전술 시뮬레이션 명령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KR1020160129618A 2016-10-07 2016-10-07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KR10172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18A KR101721436B1 (ko) 2016-10-07 2016-10-07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618A KR101721436B1 (ko) 2016-10-07 2016-10-07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436B1 true KR101721436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618A KR101721436B1 (ko) 2016-10-07 2016-10-07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4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814A (ko) 2009-10-13 2009-11-02 채구석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한 멀티유저 간의 유기적 학습과 자원 공유에 따른 동적 광고의 생성 및 기업 홍보 연계 서비스의 제공방법
KR20120034310A (ko) * 2010-10-01 2012-04-12 엔에이치엔(주) 전략 시뮬레이션 방식을 도입한 전투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814A (ko) 2009-10-13 2009-11-02 채구석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한 멀티유저 간의 유기적 학습과 자원 공유에 따른 동적 광고의 생성 및 기업 홍보 연계 서비스의 제공방법
KR20120034310A (ko) * 2010-10-01 2012-04-12 엔에이치엔(주) 전략 시뮬레이션 방식을 도입한 전투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7896B2 (en) Extensible execution language
US20070156374A1 (en) Complex process modeling and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10318251B1 (en) Code generation and simulation for graphical programming
CN110852695A (zh) 任务审批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Maia et al. Dragonfly: a tool for simulating self-adaptive drone behaviours
KR101765174B1 (ko)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 기반 워 게임 모의 시스템 및 방법
CN105608247A (zh) 面向ima资源安全性分析的aadl到ecpn模型转换方法
FI3000239T3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elektroniikkalaitteiden yleisohjausta varten
KR102362749B1 (ko) 지식베이스 기반 인공지능 적방책 분석 및 아방책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111201A (zh) 一种基于游戏的技能创建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KR101721436B1 (ko)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설정 관리 방법
KR101734349B1 (ko)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Zaitsev et al. Modeling with colored Petri nets: specification, ver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ystems
CN107261501B (zh) 游戏数值环境构建方法及装置
CN105093964A (zh) 工业电子嵌入式系统仿真用设备模型的构建方法
US10386806B2 (en) Method for connecting models of technical systems in a testing device equipped for control unit development
Pierzchała et al. Distributed military simulation augmented by computational collective intelligence
KR20100065046A (ko) 임베디드 기반 시스템의 응용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5677941A (zh) 一种多通道目标和干扰模型仿真的方法及模拟器
KR101728367B1 (ko) 워게임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워게임 시뮬레이션 방법
KR20100129393A (ko) Xml을 이용한 운용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7037A (ko) 3-계층 아키텍처 기반의 분산 전장 모의 실험 관리 시스템
KR102419393B1 (ko) 비행 안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667343B1 (ko)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 평가 방법 및 장치
Le Roux Implementing a low cost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al-time behavioural modelling and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