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349B1 -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349B1
KR101734349B1 KR1020170032593A KR20170032593A KR101734349B1 KR 101734349 B1 KR101734349 B1 KR 101734349B1 KR 1020170032593 A KR1020170032593 A KR 1020170032593A KR 20170032593 A KR20170032593 A KR 20170032593A KR 101734349 B1 KR101734349 B1 KR 10173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working
data
interaction
simulation model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룡
김광훈
김빈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7003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Abstract

본 발명은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은 워 게임에서 페더레이션을 구성하는 페더레이트에 해당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에서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연계되는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에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에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 간에 연동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연동 응답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연동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는: 페더레이트들 간에 연동되는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페더레이트들 간의 연동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기술된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부; 상기 페더레이트들을 연동시키는 연동 엔진으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에뮬레이터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페더레이션의 연동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로 전송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전송한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INTERACTION TEST SYSTEM OF WAR GAME SIMULATION ENGINE EMPLOYING DYNAMIC MEMORY MAP FILE MANAGEMENT}
본 발명은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쟁이 일어난 상황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군사작전을 모의 실시하는 워 게임(war game)은 경제적이고 과학적인 군사훈련 수단으로 인정받아 2차 세계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워 게임에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모델은 특정 목적에 맞게 개발되어 운용되나, 개발 시 다른 시뮬레이션 모델과의 상호 연계를 위한 연동 기능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동 기능의 개발을 위해서는 연동 운용 시와 동일한 환경의 페더레이션(federation) 구축 및 연동 대상이 되는 상대방 측 시뮬레이션 모델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델 개발 시 연동 대상 모델을 확보하여 개발 모델의 연동 기능을 테스트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 시 페더레이션 상에서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에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은 워 게임에서 페더레이션을 구성하는 페더레이트에 해당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에서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연계되는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에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에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 간에 연동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연동 응답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연동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는: 페더레이트들 간에 연동되는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페더레이트들 간의 연동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기술된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부; 상기 페더레이트들을 연동시키는 연동 엔진으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에뮬레이터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페더레이션의 연동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로 전송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전송한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는: 페더레이션의 객체, 객체의 속성, 객체에 의해 수행되는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페더레이트에 적용할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로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객체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객체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객체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객체 테이블, 상기 속성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속성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속성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속성 테이블, 상기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상호작용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상호작용 테이블, 및 상기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파라미터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파라미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객체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속성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속성에 대응하는 속성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상호작용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파라미터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불러온 객체 연동 데이터, 속성 연동 데이터,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 및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기능 개발 시 연동 대상이 되는 상대방 측 시뮬레이션 모델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에뮬레이션 장치가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연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연동 테스트에 수반되는 제약사항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장치가 사용되는 연동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연동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동 엔진으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장치(40)가 사용되는 연동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은 워 게임에서 페더레이션을 구성하는 개별 시뮬레이션 시스템으로서 페더레이트(federate)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은 연동 엔진(30)이 전송한 연동 데이터 패킷을 HLA(High Level Architecture) 및 RTI(Run-Time Infrastructure)(20)를 통해 주고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은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로부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에 응답한 연동 응답 데이터 패킷을 다시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로 전송함으로써 페더레이션 내 연동 기능이 테스트될 수 있다.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는 이러한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의 연동 테스트에서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과 연계되는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에 연동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장치(4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는 저장부(410), 에뮬레이터부(4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410)는 상기 에뮬레이터부(420)가 생성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저장한다.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페더레이트들 간에 연동되는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페더레이트들 간의 연동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기술된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부(450)를 통해 입력한 연동 정보를 객체 테이블(421), 객체 속성 테이블(422), 상호작용 테이블(423)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을 이용하여 연동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페더레이트들에게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동 엔진(30)으로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4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일 예로 HDD, SSD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RAM, ROM, 레지스터, 캐쉬 등 각종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410)는 상기 에뮬레이터부(420)에서 생성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저장한다. 나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는 출력부(440), 입력부(450) 및 연동규약 로딩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440)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과 연동되는 페더레이션 객체, 객체의 속성, 객체에 의해 수행되는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440)는 모니터와 같은 표시 장치에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50)는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페더레이트(즉, 연동 기능의 개발 및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에 적용할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45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에 적용할 객체(예컨대, 부대) 및 그 객체의 상호작용(예컨대, 부대의 행동)을 입력받아 상기 에뮬레이터부(4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동규약 로딩부(460)는 페더레이트들이 상호 연동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개별 연동 데이터별로 수행되어야 하는 서비스를 기술하는 페더레이션 객체 모델(Federation Object Model, FOM)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로서, 일 예로 CPU, GPU, AP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객체 테이블(421), 객체 속성 테이블(422), 상호작용 테이블(423)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객체 테이블(421)은 객체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객체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객체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테이블이다. 상기 객체 속성 테이블(422)은 객체의 속성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속성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속성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테이블이다. 상기 상호작용 테이블(423)은 객체에 의해 수행되는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상호작용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테이블이다. 상기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은 상호작용의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파라미터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테이블이다.
상기 객체 테이블(421), 상기 객체 속성 테이블(422), 상기 상호작용 테이블(423) 및 상기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은 연동규약 로딩부(460)에 의해 로딩된 연동 대상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연동 데이터들을 매칭시켜 상기 에뮬레이터부(420)에 구비된 레지스터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상기 객체 테이블(42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객체 속성 테이블(422)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에 대응하는 속성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상호작용 테이블(423)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상기 불러온 객체 연동 데이터, 속성 연동 데이터,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 및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연동 데이터 패킷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에 의해 연동 엔진(30)으로 전송되고, 상기 연동 엔진(30)은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HLA 및 RTI(20)를 통해 테스트 대상 페더레이트인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은 연동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그에 응답하는 연동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시 연동 엔진(30)을 거쳐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로 상기 연동 응답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은 연동 대상 모델과의 연동 기능이 테스트되고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연동 기능의 개발이 진행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에뮬레이터부(420)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연동 엔진(30)으로 전송한 이력을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45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3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의 연동 기능을 테스트할 시 동일한 객체로 동일한 상호작용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450)를 통해 상기 에뮬레이터부(420)에 객체와 상호작용을 매번 입력하게 되면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연동 테스트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테스트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뮬레이터부(420)가 특정 객체의 특정 상호작용에 따른 특정 속성의 갱신에 관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연동 엔진(30)으로 전송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저장부(410)에 남기고, 사용자로부터 그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40)가 동일한 객체의 동일한 상호작용에 따른 동일한 속성의 갱신을 위해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연동 엔진(3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동 테스트 시 사용자의 반복적인 입력 작업이 크게 줄어들어 테스트 시간이 단축되고 테스트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방법(100)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상기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션 장치(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페더레이트들 간에 연동되는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10), 상기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페더레이트들 간의 연동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기술된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20), 및 페더레이트들을 연동시키는 연동 엔진(30)으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10)는 페더레이션 객체 모델 데이터를 기초로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페더레이션의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12), 및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페더레이트(즉,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에 적용할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단계(S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S12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S120)는 객체 테이블(421), 객체 속성 테이블(422), 상호작용 테이블(423)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로부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객체 테이블(421), 객체 속성 테이블(422), 상호작용 테이블(423)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로부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 테이블(42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에 매칭된 객체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21), 객체 속성 테이블(422)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에 매칭된 객체 속성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22), 상호작용 테이블(423)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에 매칭된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23),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424)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 파라미터에 매칭된 상호작용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24), 및 상기 불러온 객체 연동 데이터, 객체 속성 연동 데이터,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 및 상호작용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S12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연동 엔진(30)으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동 엔진(30)으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동 엔진(30)으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는, 연동 데이터 패킷을 연동 엔진(30)으로 전송한 후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하는 단계(S141),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부(410)에 저장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S142), 및 연동 데이터 패킷을 연동 엔진(30)으로 재전송하는 단계(S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10)의 연동 테스트를 위한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에뮬레이션 방법(100)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0: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20: HLA/RTI
30: 연동 엔진
40: 에뮬레이션 장치
410: 저장부
420: 에뮬레이터부
421: 객체 테이블
422: 객체 속성 테이블
423: 상호작용 테이블
424: 상호작용 파라미터 테이블
4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440: 출력부
450: 입력부
460: 연동규약 로딩부

Claims (4)

  1. 워 게임에서 페더레이션을 구성하는 페더레이트에 해당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에서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연계되는 연동 대상 모델을 대신하여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에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에뮬레이션 장치; 및
    상기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과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 간에 연동 데이터 패킷 및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연동 응답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연동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는:
    페더레이트들 간에 연동되는 연동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페더레이트들 간의 연동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기술된 연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에뮬레이터부;
    상기 페더레이트들을 연동시키는 연동 엔진으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에뮬레이터부에서 생성되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연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페더레이션의 연동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로 전송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전송한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연동 데이터 패킷을 불러오는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상기 연동 엔진으로 재전송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션 장치는:
    페더레이션의 객체, 객체의 속성, 객체에 의해 수행되는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테스트 대상 페더레이트에 적용할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로딩부를 더 포함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객체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객체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객체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객체 테이블, 상기 속성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속성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속성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속성 테이블, 상기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상호작용을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상호작용 테이블, 및 상기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데이터와 해당 파라미터를 상기 규약에 따라 기술한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매칭시킨 파라미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 속성, 상호작용 및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뮬레이터부는:
    상기 객체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속성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속성에 대응하는 속성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상호작용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파라미터 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불러온 객체 연동 데이터, 속성 연동 데이터, 상호작용 연동 데이터 및 파라미터 연동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동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 연동 테스트 시스템.
KR1020170032593A 2017-03-15 2017-03-15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KR10173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93A KR101734349B1 (ko) 2017-03-15 2017-03-15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93A KR101734349B1 (ko) 2017-03-15 2017-03-15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347A Division KR101724519B1 (ko) 2016-08-31 2016-08-31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를 위한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349B1 true KR101734349B1 (ko) 2017-06-09

Family

ID=5922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593A KR101734349B1 (ko) 2017-03-15 2017-03-15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3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06A (ko) * 2018-12-06 2020-06-16 국방과학연구소 개별 시뮬레이션 모델을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연동하는 방법 및 어댑터
WO2020210675A1 (en) * 2019-04-12 2020-10-15 GameDriver, Inc. Video game testing and automation framework
CN113750540A (zh) * 2021-09-17 2021-12-07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游戏匹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621841B1 (ko) * 2014-12-18 2016-05-17 한국과학기술원 Hla/rti 기반 혼합회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60B1 (ko) * 2014-11-12 2015-09-30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워게임 모델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621841B1 (ko) * 2014-12-18 2016-05-17 한국과학기술원 Hla/rti 기반 혼합회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06A (ko) * 2018-12-06 2020-06-16 국방과학연구소 개별 시뮬레이션 모델을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연동하는 방법 및 어댑터
KR102128042B1 (ko) 2018-12-06 2020-06-29 국방과학연구소 개별 시뮬레이션 모델을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연동하는 방법 및 어댑터
WO2020210675A1 (en) * 2019-04-12 2020-10-15 GameDriver, Inc. Video game testing and automation framework
US11216358B2 (en) 2019-04-12 2022-01-04 GameDriver, Inc. Video game testing and automation framework
US11829286B2 (en) 2019-04-12 2023-11-28 GameDriver, Inc. Video game testing and automation framework
CN113750540A (zh) * 2021-09-17 2021-12-07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游戏匹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CN113750540B (zh) * 2021-09-17 2023-08-18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游戏匹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220B2 (en) Extensible execution language
US8584083B2 (en) Software application recreation
US80015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rce code-based test cases
CN102483698B (zh) 动态web应用的客户端层验证
US9465718B2 (en) Filter generation for load testing managed environments
US20150355933A1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virtual device
US20170177455A1 (en) Test case generation
US20030074423A1 (en) Testing web services as components
JP6835972B2 (ja) データ統合ワークフローエディタ中に構築されたテストケース生成器
WO2013030674A2 (e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virtual device
KR101734349B1 (ko) 동적 메모리맵 파일 관리를 이용하는 워 게임 시뮬레이션 엔진의 연동 테스트 시스템
WO2007060094A2 (en) Software application interfacing testing
JP6551715B2 (ja) 拡張性保有装置
KR101425527B1 (ko) 원자력발전소 훈련용 시뮬레이터의 실시간 중대사고 모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897107B (zh) 一种web远程数据计算与仿真的实现系统和方法
WO2017159638A1 (ja) 能力付与データ生成装置
CN103180834B (zh) 自动操作系统测试框架
Coleman et al. COMPASS tool vision for a system of systems collaborative development environment
CN110532182A (zh) 一种虚拟化平台的自动化测试方法及装置
KR101724519B1 (ko) 워 게임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동 테스트를 위한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N114791885A (zh) 接口测试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9114223A (ja) 仮想化されたシステム上で組み込みソフトウェアを自動で生成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11799724B2 (en) Internet-of-things model-based virtual internet-of-things devic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332201B1 (en) Innovative verification methodology for deeply embedded computational element
Kakadiya Block-chain oriented software testing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