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124B1 -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124B1
KR101720124B1 KR1020160115518A KR20160115518A KR101720124B1 KR 101720124 B1 KR101720124 B1 KR 101720124B1 KR 1020160115518 A KR1020160115518 A KR 1020160115518A KR 20160115518 A KR20160115518 A KR 20160115518A KR 101720124 B1 KR101720124 B1 KR 10172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pump
flap
gu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완
Original Assignee
신신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이앤지(주) filed Critical 신신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16011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수에서 외수로 배수되는 배수홀(H)이 형성된 구조물(S)에 설치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H)과 연통되는 내측 연통홀(12)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S)의 내수측과 외수측 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관(10, 20); 상기 한 쌍의 베이스관(10, 20)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30, 40); 상기 하나의 가이드부재(30)에 연결되고, 상기 내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10)의 내측 연통홀(12)로 내수의 물을 토출시키는 펌프게이트(50); 상기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40)에 연결되고, 상기 외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20)의 외측 연통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플랩게이트(60); 및 상기 펌프게이트(50) 및 상기 플랩게이트(60)가 각각 가이드부재(30, 40)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플랩게이트가 고장이 나 플랩이 개방되지 않거나 폐쇄되지 않을 때 또는 펌프게이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플랩게이트 또는 펌프게이트를 상승시킨 뒤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무리하게 플랩게이트 또는 펌프게이트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APPARATUS OF DRAINING PUMP POSSIBLE TO LINK AND REMOVE, AND STRUCTURE OF DRAINING PLAC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동작됨으로써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상류측 내수위에서 하류측 외수위로 흐른다. 그러나 집중호우나 태풍 등으로 외수위에 물이 급격하게 많아질 경우, 수위가 높아진 외수위로부터 내수위로 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류와 하류 사이에는 수문이나 역류방지밸브 등을 설치하여 외수위가 높아졌을 경우 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특히 역류방지밸브는 배수펌프장 등에 주로 사용되어 배수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펌프장용 플랩밸브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배수펌프장용 플랩밸브는 외수와 내수를 구분하는 구조물에 설치되고, 도어가 힌지핀을 통해 바디에 연결되어 바디에 대해 개폐 가능하다. 이때 개폐되는 방향은 외수쪽에서 개폐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펌프장용 플랩밸브는 고장이 났을 경우 즉시 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가령,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수의 수위가 높아져 도어가 닫힐 때 바디와의 사이에 이물질 등이 껴서 플랩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못할 경우나, 반대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수의 수위가 높아져 도어가 열려야 할 때 힌지에 고장이 발생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는 경우 등이 그 예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물이 지속적으로 역류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내수의 물이 배수되지 못한다.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작업자가 내려가서 작업하는데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더욱 수리가 어렵다.
KR 20-0243409 Y1 (2001. 10. 1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랩밸브가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는 내수에서 외수로 배수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구조물에 설치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의 외수측과 내수측 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관; 상기 한 쌍의 베이스관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하나의 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내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의 연통홀로 내수의 물을 토출시키는 펌프게이트; 상기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외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의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플랩게이트; 및 상기 펌프게이트 및 상기 플랩게이트가 각각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은, 내수에서 외수로 배수되는 다수 개의 배수홀이 형성된 구조물; 및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하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은 플랩게이트가 고장이 나 플랩이 개방되지 않거나 폐쇄되지 않을 때 또는 펌프게이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플랩게이트 또는 펌프게이트를 상승시킨 뒤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무리하게 플랩게이트 또는 펌프게이트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이면사시도
도 4는 플랩게이트의 상승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펌프게이트의 상승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의 이면사시도, 도 4는 플랩게이트의 상승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는 펌프게이트의 상승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는 배수홀(H)과 연통되는 내측 연통홀(12)이 형성되고, 구조물(S)의 외수측과 내수측 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관(10, 20); 한 쌍의 베이스관(10, 20)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30, 40); 하나의 가이드부재(30)에 연결되고, 내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10)의 내측 연통홀(12)로 내수의 물을 토출시키는 펌프게이트(50);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40)에 연결되고, 외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20)의 연통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플랩게이트(60); 및 펌프게이트(50)와 플랩게이트(60)가 각각 가이드부재(30, 40)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구조물(S)은 내수와 외수의 사이에 경계를 구분하는 구성이다. 구조물(S)에는 배수홀(H)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구조물(S)에 배수홀(H)이 형성된 파이프(P)가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나, 구조물(S)에 직접 뚫어도 무방하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관(10, 20), 가이드부재(30, 40)는 구조물(S)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도 1을 기준으로 구조물의 전면에는 외수가 위치하고, 후면에는 내수가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내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10)과 가이드부재(30)를 각각 내측 베이스관(10)과 내측 가이드부재(30)라 하고, 외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20)과 가이드부재(40)를 각각 외측 베이스관(20)과 외측 가이드부재(40)라 한다.
내측 베이스관(10)은 후술할 펌프게이트(50)가 설치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구성이다. 내측 베이스관(10)은 내부에 내측 연통홀(12)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S)의 배수홀(H)이 형성된 부분의 내수측 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S)의 배수홀(H)과 내측 베이스관(10)의 내측 연통홀(12)은 연통된다.
제1 내측밀착돌기(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베이스관(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할 펌프게이트(50)의 제2 내측밀착돌기(54)와 맞닿는다. 제1 내측밀착돌기(14)의 구조물(S)을 바라보는 면에는 제1 내측경사면(14a)이 형성된다.
한편, 내측 베이스관(10)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인(16)이 설치되어 후술할 펌프게이트(50)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배출을 돕는다.
외측 베이스관(20)은 후술할 플랩게이트(60)가 설치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구성이다. 외측 베이스관(20)은 내부에 외측 연통홀(22)이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S)의 배수홀(H)이 형성된 부분의 외수측 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S)의 배수홀(H)과 외측 베이스관(20)의 외측 연통홀(22)은 연통된다.
제1 외측밀착돌기(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베이스관(2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할 플랩게이트(60)의 제2 외측밀착돌기(64)와 맞닿는다. 제1 외측밀착돌기(24)의 구조물(S)을 바라보는 면에는 제1 외측경사면(24a)이 형성된다.
내측 가이드부재(30)는 후술할 펌프게이트(50)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구조물(S)의 내수측 면에 설치되되, 내측 베이스관(10)의 상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가이드부재(30)는 내측 베이스관(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서포트프레임(32); 및 서포트프레임(32)과 내측 베이스관(10)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포트프레임(32)은 가이드레일(34)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서포트프레임(32)은 구조물(S)의 내수측 면에 설치되되, 내측 베이스관(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포트프레임(32)은 두 개가 분리되어 ㄱ자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이드레일(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내측 베이스관(10)과 서포트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레일(34) 하단은 내측 베이스관(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은 서포트프레임(32)의 하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바(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34) 사이에 설치되며, 상단은 서포트프레임(32)에 고정되고, 하단은 내측 베이스관(10) 상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바(36)는 가이드레일(34)과 같이 후술할 펌프게이트(5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한다.
외측 가이드부재(40)는 후술할 플랩게이트(60)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구조물(S)의 외수측 면에 설치되되, 외측 베이스관(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외측 가이드부재(40)는 내측 가이드부재(30)와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설치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가이드부재(40)는 외측 베이스관(2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서포트프레임(42); 및 서포트프레임(42)과 외측 베이스관(20)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 가이드부재(40)의 서포트프레임(42)과 가이드레일(44)은 그 위치만 구조물(S)의 외측에 설치되고, 내측 가이드부재(30)의 것과 동일한 형상 및 기능을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외측 가이드부재(40)는 플랩게이트(60) 및 서포트프레임(4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바(46)가 더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탈방지바(46)는 후술할 플랩게이트(60)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탈방지바(46)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서포트프레임(42)에 고정되고, 하단은 후술할 플랩게이트(6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탈방지바(46)는 플랩게이트(60)가 상승될 시에는 제거된다.
펌프게이트(50)는 외수의 수위가 내수의 수위보다 높아 물이 내수에서 외수로 흐르지 않을 경우, 강제로 펌핑함으로써 내수를 외수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펌프게이트(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베이스관(10)에 대응되어 내측 연통홀(12)과 연통되는 펌프게이트 본체(51); 펌프게이트 본체(51) 상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가이드홈(52a)이 형성되어 내부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4)이 위치되는 가이드브래킷(52); 및 펌프게이트 본체(51) 후면에 결합되어 내수를 외수로 펌핑시키는 펌프(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펌프게이트 본체(5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베이스관(10)의 전면에 위치된다.
가이드브래킷(52)은 펌프게이트(50)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펌프게이트 본체(51)의 상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브래킷(52)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홈(52a)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4)이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브래킷(52)이 가이드레일(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내측밀착돌기(5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브래킷(52)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2 내측밀착돌기(54)의 내측면에는 제2 내측경사면(5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펌프게이트(50)가 베이스관(10)을 향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2 내측밀착돌기(54)가 제1 내측밀착돌기(14)와 만나고, 이 과정에서 제2 내측경사면(54a)과 제1 내측경사면(14a)에 의해 제2 내측밀착돌기(54)가 제1 내측밀착돌기(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펌프게이트 본체(51)와 내측 베이스관(10)이 긴밀하게 맞닿는다.
롤러브래킷(5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브래킷(52)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롤러(55a)가 설치된다. 롤러(55a)는 내측 가이드부재(30)의 가이드바(36)와 맞닿음으로써 펌프게이트(50)가 승강동작될 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펌프게이트(50)는 내측 가이드부재(30)와 3점 지지{한 쌍의 가이드레일(34)과 가이드브래킷(52)의 연결점(2점) 및 가이드바(36)와 롤러(55a)의 연결점(1점)}를 통해 견고하면서 후술할 펌프(57)가 작동할 시에도 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펌프(57)는 외수의 수위가 내수의 수위보다 높아져 후술할 플랩게이트(60)가 차단될 경우, 내수의 물을 외수로 강제로 펌핑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펌프(57)는 수중 횡축 펌프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수중 횡축 펌프는 임펠러축이 수평으로 위치한다. 이는 수직형 수중 펌프가 가진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수직형 수중 펌프는 저류조의 깊이가 깊어 공사가 어렵고, 펌프에 설치된 밸브의 유지 관리를 위한 밸브실이 필요한데 반해 수중 횡축 펌프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또한, 수직형 수중 펌프는 양정(Level) 차에 따라 물을 끌어올 때 소요되는 동력이 높은데 반해, 본 발명은 양정 차가 없어 소요되는 동력이 낮다.
플랩게이트(60)는 외측 베이스관(20)의 외측 연통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플랩게이트(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베이스관(20)에 대응되어 외측 연통홀(22)과 연통되는 플랩게이트 본체(61); 플랩게이트 본체(61) 상부에 위치되고, 양측에 가이드홈(62a)이 형성되어 내부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44)이 위치되는 가이드브래킷(62); 및 플랩게이트 본체(61) 전면에 결합되어 플랩게이트 본체(61)를 개폐시키는 플랩(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랩게이트 본체(6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베이스관(20)의 전면에 위치된다.
가이드브래킷(62)은 플랩게이트(60)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랩게이트 본체(61)의 상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브래킷(62)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홈(62a)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44)이 삽입됨으로써 가이드브래킷(62)이 가이드레일(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외측밀착돌기(6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브래킷(62)의 저면에 형성된다. 제2 외측밀착돌기(64)의 내측면에는 제2 외측경사면(6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랩게이트(60)가 외측 베이스관(20)을 향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2 외측밀착돌기(64)가 제1 외측밀착돌기(24)와 만나고, 이 과정에서 제2 외측경사면(64a)과 제1 외측경사면(24a)에 의해 제2 외측밀착돌기(64)가 제1 외측밀착돌기(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플랩게이트 본체(61)와 외측 베이스관(20)이 긴밀하게 맞닿는다.
이탈방지돌기(6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브래킷(62)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이탈방지바(46)의 평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이탈방지바(46)가 설치될 시 하단에 이탈방지돌기(65)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플랩(68)은 플랩게이트(6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플랩게이트 본체(61) 전면에 설치된다. 플랩(68)은 플랩게이트 본체(61) 전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67)가 플랩게이트 본체(61) 전면에 볼트(V)를 통해 결합되고, 플랩(68)이 베이스플레이트(67)에 힌지(69)를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비상 시 베이스플레이트(67)와 플랩게이트 본체(61)를 연결하는 볼트(V)만을 푼 뒤 준비된 다른 베이스플레이트(67) 및 플랩(68)을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게 교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구조물(S)을 기준으로 내수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 플랩(68)이 개방되고, 외수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 플랩(68)이 폐쇄된다.
승강부재는 펌프게이트(50)와 플랩게이트(60)가 각각 내측 가이드부재(30)와 외측 가이드부재(4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승강부재는 인양기와 같은 동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펌프게이트(50)와 플랩게이트(60)의 가이드브래킷(52)에 설치된 고정고리(56, 66)에 연결되어 펌프게이트(50)와 플랩게이트(60)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는 플랩게이트(60)가 고장이 나 플랩(68)이 개방되지 않거나 폐쇄되지 않을 때 승강부재를 작동시켜 플랩게이트(60)를 상승시킨 뒤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무리하게 플랩게이트(60)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는 게이트밸브(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시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 게이트밸브(70)는 외수위가 내수위보다 높아져 내수위로 역류할 수 있는 상황에서 플랩게이트(60)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구조물(S)의 배수홀(H)을 차단함으로써 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게이트밸브(70)는 구조물(S)의 내수측에 설치되되, 배수홀(H)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게이트밸브 본체(72); 및 게이트밸브 본체(72) 내부에 설치되어 게이트밸브 본체(72) 내부를 개폐시키는 웨지; 웨지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핸드휠(74)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100)가 구조물(S)에 설치될 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협소하고 깊이가 깊은 구조물(S)일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지그재그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100)는 펌프(57)가 수중 횡축 펌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을 빨아들일 때 아래에서 끌어올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되는 위치에 제약이 없어 지그재그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면적 활용과 더불어 효율적인 펌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내측 베이스관 12: 내측 연통홀
14: 제1 내측밀착돌기 14a: 제1 내측경사면
16: 가이드베인 20: 외측 베이스관
22: 외측 연통홀 24: 제1 외측밀착돌기
24a: 제1 외측경사면 30: 내측 가이드부재
32: 서포트프레임 34: 가이드레일
36: 가이드바 40: 외측 가이드부재
42: 서포트프레임 44: 가이드레일
46: 이탈방지바 50: 펌프게이트
51: 펌프게이트 본체 52: 가이드브래킷
52a: 가이드홈 54: 제2 내측밀착돌기
54a: 제2 내측경사면 55: 롤러브래킷
55a: 롤러 56: 고정고리
57: 펌프 60: 플랩게이트
61: 플랩게이트 본체 62: 가이드브래킷
62a: 가이드홈 64: 제2 외측밀착돌기
64a: 제2 외측경사면 65: 이탈방지돌기
66: 고정고리 67: 베이스플레이트
68: 플랩 69: 힌지
70: 게이트밸브 72: 게이트밸브본체
74: 핸드휠 100: 배수 펌프장치
S: 구조물 H: 배수홀
R: 패킹 V: 볼트

Claims (8)

  1. 내수에서 외수로 배수되는 배수홀(H)이 형성된 구조물(S)에 설치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H)과 연통되는 내측 연통홀(12) 및 외측 연통홀(22)이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S)의 외수측과 내수측 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관(10, 20);
    상기 한 쌍의 베이스관(10, 2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30, 40);
    상기 하나의 가이드부재(30)에 연결되고, 상기 내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10)의 내측 연통홀(12)로 내수의 물을 토출시키는 펌프게이트(50);
    상기 다른 하나의 가이드부재(40)에 연결되고, 상기 외수측에 위치한 베이스관(20)의 외측 연통홀(2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플랩게이트(60);
    상기 펌프게이트(50) 및 상기 플랩게이트(60)가 각각 가이드부재(30, 40)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30, 40)는 상기 베이스관(10, 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서포트프레임(32, 42); 상기 서포트프레임(32, 42) 및 상기 베이스관(10, 20)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4, 44); 상기 펌프게이트(50) 및 상기 서포트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36); 상기 플랩게이트(60) 및 상기 서포트프레임(4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랩게이트(60)의 상승 시 제거되는 이탈방지바(46)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랩게이트(60)는 상기 베이스관(20)에 대응되어 상기 외측 연통홀(22)과 연통되는 링 형상의 플랩게이트 본체(61); 상기 플랩게이트 본체(61)의 상부에 위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44)이 위치되는 가이드홈(62a)이 형성되는 가이드브래킷(62); 상기 플랩게이트 본체(61)의 전면에 볼트(V)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67);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7)에 힌지 결합되는 플랩(6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브래킷(62)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돌기(6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바(46)는 상단이 상기 서포트프레임(42)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이탈방지돌기(65)에 삽입되어 상기 플랩게이트(60)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게이트(50)는, 상기 베이스관(10)에 대응되어 상기 내측 연통홀(12)과 연통되는 링 형상의 펌프게이트 본체(51); 상기 펌프게이트 본체(51)의 상부에 위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34)이 위치되는 가이드홈(52a)이 형성되는 가이드브래킷(52); 상기 펌프게이트 본체(51)의 전면에 설치되어, 내수위의 물을 외수위로 배출시키는 펌프(5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수측 베이스관(10)과 상기 펌프게이트(50) 사이 또는 상기 외수측 베이스관(20)과 상기 플랩게이트(60) 사이에 게이트밸브(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8. 내수에서 외수로 배수되는 다수 개의 배수홀(H)이 형성된 구조물(S) 및
    청구항 1에 따른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가 상기 구조물(S)에 상하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KR1020160115518A 2016-09-08 2016-09-08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KR10172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18A KR101720124B1 (ko) 2016-09-08 2016-09-08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18A KR101720124B1 (ko) 2016-09-08 2016-09-08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124B1 true KR101720124B1 (ko) 2017-03-27

Family

ID=5849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518A KR101720124B1 (ko) 2016-09-08 2016-09-08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1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826U (ja) * 1993-12-15 1995-07-14 前澤工業株式会社 仕切弁における弁体のガイド構造
KR200243409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 성광엔비텍 배수펌프장용 플랩밸브
JP2003155729A (ja) * 2001-11-22 2003-05-30 Kubota Corp ポンプゲート
KR101626007B1 (ko) * 2016-01-26 2016-05-31 신신이앤지(주) 탈착이 용이한 수문용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826U (ja) * 1993-12-15 1995-07-14 前澤工業株式会社 仕切弁における弁体のガイド構造
KR200243409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 성광엔비텍 배수펌프장용 플랩밸브
JP2003155729A (ja) * 2001-11-22 2003-05-30 Kubota Corp ポンプゲート
KR101626007B1 (ko) * 2016-01-26 2016-05-31 신신이앤지(주) 탈착이 용이한 수문용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101294030B1 (ko) 수중펌프 유니트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CN103939142A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KR101324671B1 (ko) 설치구조를 개선시킨 수문용 게이트 펌프
KR101626007B1 (ko) 탈착이 용이한 수문용 펌프
KR101720124B1 (ko) 탈착 가능한 구조의 배수 펌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수장 구조물
CN203835453U (zh) 水压可控式隧道排水系统及其水压控制装置
KR10118464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JP2007211451A (ja) 既設ゲート改造方法およびポンプゲート
KR101714614B1 (ko) 탈착 가능한 구조의 플랩밸브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1180455B1 (ko) 부단수 모듈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시공방법
KR100840729B1 (ko) 배수용 수문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0599992B1 (ko)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KR101199002B1 (ko) 부단수 모듈 장치
JP3887559B2 (ja) ポンプゲート
KR102017861B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0684364B1 (ko) 셔터 수문
CN209456979U (zh) 一种液压顶升闸门装置
KR102671735B1 (ko) 유압모터펌프 수문을 포함하는 유압식 수문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