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629B1 -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629B1
KR101719629B1 KR1020160128218A KR20160128218A KR101719629B1 KR 101719629 B1 KR101719629 B1 KR 101719629B1 KR 1020160128218 A KR1020160128218 A KR 1020160128218A KR 20160128218 A KR20160128218 A KR 20160128218A KR 101719629 B1 KR101719629 B1 KR 10171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roll shaft
support portion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엔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엠티 filed Critical (주)엔엠티
Priority to KR102016012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장치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 처리된 원단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롤러부; 상기 제1 롤러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을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롤러부;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롤러부를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3 롤러부; 상기 제3 롤러부를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미세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미네이팅 장치{La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장치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 처리된 원단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능성 필름은 특정 용도에 맞게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름 원단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원단에는 이형 필름을 부착한다. 이때, 필름 원단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종 필름을 합지시키기 위한 라미네이팅 장치가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성 필름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이종 필름을 합지시키기 위한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합지된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여 필름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구조가 단순하고 코팅 필름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이종 필름을 합지시키기 위한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코팅 처리된 필름 원단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롤러부; 상기 제1 롤러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을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롤러부;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롤러부를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3 롤러부; 상기 제3 롤러부를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미세조절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샤프트와, 상기 제1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메인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제1 롤샤프트를 향해 이동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샤프트와, 상기 제2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제1 롤샤프트와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경사블록과,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접촉하는 제2 경사블록과, 상기 제1 경사블록을 상기 제2 경사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이 통과하는 상기 메인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상기 제2 롤러부와 제3 롤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롤샤프트와, 상기 제3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보조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 사이의 최소간격을 제한하고,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경사블록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하나의 구동부로 가압롤러와 보조롤러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이 통과하는 메인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한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합지된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절부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블록 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제1 롤러부(200), 제2 롤러부(300), 제3 롤러부(400), 구동부(500), 미세조절부(600) 및 조절블록(7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부(200), 제2 롤러부(300), 제3 롤러부(400)가 차례로 장착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인프레임(100)에는 제2 롤러부(3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레일부와 제3 롤러부(4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 레일부가 장착되고, 제2 롤러부(3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장착된다.
제1 롤러부(200)는 제1 지지부(210), 제1 롤샤프트(220) 및 메인롤러(230)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0)는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되고, 제1 롤샤프트(220)는 양단이 두 개의 제1 지지부(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메인롤러(230)는 제1 롤샤프트(220)에 결합된다. 한편, 제1 롤샤프트(220)는 메인프레임(100)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부(300)는 제1 롤러부(200)의 하부에서 제1 롤러부(2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을 제1 롤러부(2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제2 롤러부(300)는 제2 지지부(310), 제2 롤샤프트(320) 및 가압롤러(330)로 이루어진다. 제2 지지부(310)는 제1 레일부를 따라 제1 롤샤프트(220)가 위치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310)는 제2 지지부(310)의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하방향이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는 제2 지지부(310)는 스토퍼에 의해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상승하기 전 초기위치를 유지한다. 제2 롤샤프트(320)는 양단이 두 개의 제2 지지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가압롤러(330)는 제2 롤샤프트(320)에 결합되어 제2 지지부(310)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가압롤러(330)는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로 통과하는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을 메인롤러(23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서로 부착시킨다.
제3 롤러부(400)는 제2 롤러부(300)의 하부에서 제2 롤러부(300)를 향해 이동하여 제2 롤러부(300)를 제1 롤러부(200)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러한 제3 롤러부(400)는 제3 지지부(410), 제3 롤샤프트(420) 및 보조롤러(430)로 이루어진다. 제3 지지부(410)는 구동부(500)에 의해 제2 레일부를 따라 제2 지지부(310)가 위치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롤샤프트(420)는 양단이 두 개의 제3 지지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롤러(430)는 제3 롤샤프트(420)에 결합되어 제3 지지부(410)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보조롤러(430)는 조절블록(700)의 두께에 따라 가압롤러(330)와 접촉하여 가압롤러(330)를 메인롤러(230) 방향으로 밀어내거나 가압롤러(33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설명은 조절블록(700)과 함께 후술한다.
구동부(500)는 제3 롤러부(400)를 제2 롤러부(300)를 향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부(500)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제3 지지부(4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미세조절부(600)는 제1 롤러부(200)와 제2 롤러부(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미세조절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블록(610), 제2 경사블록(620) 및 위치조절부(63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블록(610)은 제1 롤샤프트(220)와 제2 지지부(310)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에 제2 지지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경사면(6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경사블록(620)은 상부에 제1 경사면(6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경사면(621)이 형성되고, 제2 지지부(3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2 지지부(31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제1 경사면(611)과 제2 경사면(621)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위치조절부(630)는 메인프레임(100)에 장착되고, 제1 경사블록(610)을 제2 경사블록(620)이 이동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이 통과하는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제1 경사블록(610)과 제2 경사블록(620)에는 각각 서로 접촉하는 제1 경사면(611)과 제2 경사면(621)이 형성되어, 제1 경사블록(610)의 위치에 따라 제2 지지부(310)의 상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절블록(700)은 제2 롤러부(300)와 제3 롤러부(4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조절블록(700)은 제2 지지부(3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지지부(310)와 함께 이동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에 의해 상승하는 제3 지지부(410)와 접촉하여 제2 지지부(310)와 제3 지지부(410) 사이의 최소간격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조절블록(700)의 두께가 가압롤러(330)와 보조롤러(430)가 서로 접촉할 때의 제2 지지부(310)와 제3 지지부(410) 사이의 거리보다 두꺼우면 가압롤러(330)와 보조롤러(430)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유지되고, 조절블록(700)의 두께가 가압롤러(330)와 보조롤러(430)가 서로 접촉할 때의 제2 지지부(310)와 제3 지지부(410) 사이의 거리보다 얇으면 가압롤러(330)와 보조롤러(430)는 서로 접촉하여 보조롤러(430)가 가압롤러(330)를 메인롤러(23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압롤러(330)는 메인롤러(230) 하부에 위치하고,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로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이 통과한다. 그리고 보조롤러(430)는 가압롤러(330) 하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구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제3 지지부(410)가 제2 레일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3 지지부(410)가 조절블록(700)과 접촉하면 제2 지지부(310)를 상부로 밀어올린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310)가 제1 레일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제2 지지부(3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2 경사블록(620)의 제2 경사면(621)이 제1 경사블록(610)의 제1 경사면(611)과 접촉함에 따라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위치조절부(630)를 이용하여 제1 경사블록(610)을 이동시켜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이 통과하는 메인롤러(230)와 가압롤러(330)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블록(700)은 두께가 상이한 다른 조절블록(700)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더 얇은 조절블록(700)으로 교체함에 따라 제3 지지부(410)와 조절블록(700)이 접촉하기 전에 가압롤러(330)와 보조롤러(430)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보조롤러(430)는 가압롤러(330)를 메인롤러(230) 방향으로 가압하여 필름 원단(A)과 이형 필름(B)을 메인롤러(23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330)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330)의 양단부에 가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압롤러(33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조롤러(430)가 가압롤러(330)와 접촉하여 가압롤러(3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도 가압롤러(33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제3 지지부(410)와 조절블록(700)이 접촉할 수 있다. 즉 보조롤러(430)가 가압롤러(330)와 접촉하여 가압롤러(3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제3 지지부(410)가 조절블록(700)과 접촉하여 제2 지지부(3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500)에 의해 제3 지지부(410)가 하강하는 경우, 제2 지지부(310)는 일정 거리 하강한 후 스토퍼에 의해 초기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제1 롤러부,
210 : 제1 지지부, 220 : 제1 롤샤프트, 230 : 메인롤러,
300 : 제2 롤러부,
310 : 제2 지지부, 320 : 제2 롤샤프트, 330 : 가압롤러,
400 : 제3 롤러부,
410 : 제3 지지부, 420 : 제3 롤샤프트, 430 : 보조롤러,
500 : 구동부,
600 : 미세조절부,
610 : 제1 경사블록, 611 : 제1 경사면,
620 : 제2 경사블록, 621 : 제2 경사면,
630 : 위치조절부,
700 : 조절블록,

Claims (3)

  1. 삭제
  2. 코팅 처리된 필름 원단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롤러부;
    상기 제1 롤러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을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롤러부;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롤러부를 상기 제1 롤러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3 롤러부;
    상기 제3 롤러부를 상기 제2 롤러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미세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샤프트와, 상기 제1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메인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제1 롤샤프트를 향해 이동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롤샤프트와, 상기 제2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제1 롤샤프트와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 경사블록과,
    상기 제1 경사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접촉하는 제2 경사블록과,
    상기 제1 경사블록을 상기 제2 경사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 원단과 이형 필름이 통과하는 상기 메인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부와 제3 롤러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지지부와, 상기 제3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롤샤프트와, 상기 제3 롤샤프트에 결합되는 보조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블록은 상기 제2 지지부와 제3 지지부 사이의 최소간격을 제한하고, 제2 지지부 및 제3 지지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지지부와 함께 상기 제1 경사블록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160128218A 2016-10-05 2016-10-05 라미네이팅 장치 KR10171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18A KR101719629B1 (ko) 2016-10-05 2016-10-05 라미네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218A KR101719629B1 (ko) 2016-10-05 2016-10-05 라미네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629B1 true KR101719629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218A KR101719629B1 (ko) 2016-10-05 2016-10-05 라미네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6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37B1 (ko) * 2019-05-07 2019-11-06 최유해 다중 필름 피딩장치
KR102127277B1 (ko) * 2020-02-28 2020-06-29 이종칠 필름 접합장치
KR102333938B1 (ko) * 2021-04-20 2021-12-02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동박 제조장치
KR102386237B1 (ko) * 2021-11-29 2022-04-14 (주)지우텍 광학필름용 코팅블럭의 코팅갭 정밀조절장치
KR102442898B1 (ko) * 2022-03-21 2022-09-16 주식회사 에스이티이엔지 전자부품용 원단 압연장치
KR200495919Y1 (ko) * 2022-01-11 2022-09-2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필름 라미네이트용 가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08A (ko) * 2003-06-21 2004-12-31 주식회사지엠피 라미네이터용 히팅롤러의 간극 조절장치
KR20080103058A (ko) * 2006-03-16 2008-11-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20090070731A (ko) * 2007-12-27 2009-07-0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08A (ko) * 2003-06-21 2004-12-31 주식회사지엠피 라미네이터용 히팅롤러의 간극 조절장치
KR20080103058A (ko) * 2006-03-16 2008-11-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라미네이팅 방법 및 장치
KR20090070731A (ko) * 2007-12-27 2009-07-0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37B1 (ko) * 2019-05-07 2019-11-06 최유해 다중 필름 피딩장치
KR102127277B1 (ko) * 2020-02-28 2020-06-29 이종칠 필름 접합장치
KR102333938B1 (ko) * 2021-04-20 2021-12-02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동박 제조장치
KR102386237B1 (ko) * 2021-11-29 2022-04-14 (주)지우텍 광학필름용 코팅블럭의 코팅갭 정밀조절장치
KR200495919Y1 (ko) * 2022-01-11 2022-09-22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필름 라미네이트용 가압 장치
KR102442898B1 (ko) * 2022-03-21 2022-09-16 주식회사 에스이티이엔지 전자부품용 원단 압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62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CN102598091B (zh) 显示面板的制造方法及其制造系统
JP6491917B2 (ja) 貼付装置
KR101479036B1 (ko) 부착 장치
GB24339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clamping a substrate
CN102145574A (zh) 丝网印刷机以及印刷方法
KR101764710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US20200078823A1 (en) Paint spreading device
KR102125829B1 (ko) 정밀 인압 제어부를 갖는 롤투롤 인쇄 장치
CN204412552U (zh) 一种逗号辊涂布机构与模头涂布机构相结合的涂布装置
CN105856781B (zh) 一种板材压合机构
WO2018018460A1 (zh) 一种多辊压延装置
CN103303723A (zh) 一种卷膜纠偏装置
KR20150138093A (ko) 실린더형 스크린 인쇄기
KR20140078310A (ko) 스크린 마스크
JP2017109378A (ja) 転写装置および転写方法
CN203474003U (zh) 输纸胶辊夹紧机构
JPWO2013027279A1 (ja) 表紙貼付機および該表紙貼付機を備えた製本装置
CN104354466A (zh) 一种装有移动式预热辊的两用型镭射模压机
KR100960332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201722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1419362B1 (ko) 라미네이팅 장치
JP2009285597A (ja) フィルム固定装置
KR102272990B1 (ko) 인쇄장치의 인압을 제어하는 인압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압 제어방법
JP7386449B2 (ja) フィ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