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40B1 - 비콘 시가잭 장치 - Google Patents

비콘 시가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40B1
KR101719240B1 KR1020150042964A KR20150042964A KR101719240B1 KR 101719240 B1 KR101719240 B1 KR 101719240B1 KR 1020150042964 A KR1020150042964 A KR 1020150042964A KR 20150042964 A KR20150042964 A KR 20150042964A KR 101719240 B1 KR101719240 B1 KR 10171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power
unit
vehicle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202A (ko
Inventor
신성철
정도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5004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40B1/ko
Priority to PCT/KR2016/002840 priority patent/WO2016159550A1/ko
Publication of KR2016011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electrically-heated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2016/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시가잭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거나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비콘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와,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콘 시가잭 장치{a Cigar Jack Device by Beacon}
본 발명은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거나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비콘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와,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비콘 시가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에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모듈을 내장하여 지정된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에서 신분 식별/인증이나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콘 서비스가 개시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는 차량 내 구비되는 각종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나 단말(예컨대,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전원공급장치로 이용되고 있다(특허공개공보 제2002-0013957호(2002.02.21)).
한편 상기 시가잭 장치를 전원공급장치로 이용하는 각종 장치나 단말은 차량의 전면 유리 근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은 고출력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 차량 내에서 외부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데 별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가잭 장치의 내부에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할 경우, 비콘모듈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차량 외부까지 송출되기에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기어 조작부 근처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 위치는 차량 내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 심한 위치이며, 특히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재질에 의해 비콘 신호가 차량의 외부로 송출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블루투스 비콘은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BLE 모드에서 시가잭 장치 장치에 내장된 비콘모듈이 차량 외부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란 더더욱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거나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비콘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와,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비콘 시가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시가잭 장치는,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거나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비콘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와,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와,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와,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와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차량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최대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충전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저전원(Low Energy)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동작 시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동작 시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하는 USB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에 비콘모듈을 내장하고 차량 외부로 비콘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출하여 지정된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에서 신분 식별/인증이나 멤버쉽 서비스 등의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가잭 장치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시가잭 장치를 전원공급장치로 사용하되, 시가잭 장치가 시가잭 삽입구에서 탈거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콘모듈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비콘 서비스에 실시간 적용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 시가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콘모듈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 시가잭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100)에 비콘모듈(115)을 구비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되,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는 차량 외부로 송출 가능한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전원을 통해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저전원 모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시가잭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 시가잭 장치(1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비콘 시가잭 장치(100)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102)와, 상기 몸통 삽입부(102)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106)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 내에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115)을 구비한다.
상기 몸통 삽입부(102)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발전기를 통해 생성된(또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차량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가잭 장치(100)의 몸통 구조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어 단자(104)를 통해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또는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특정한 구조(또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6)는 상기 몸통 삽입부(102)에 구비된 단자(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 전원을 인가받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시가잭 장치(100)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 시 상기 몸통 삽입부(102)의 단자(104)는 시가잭 삽입구(200)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 시가잭 장치(100)는,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108)와, 상기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110)와, 상기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112)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블루투스 기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115)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공급되는 차량 전원의 전기적 특성(예컨대, 전압, 전류 등)은 USB 전원 및/또는 비콘모듈(115)의 동작 전원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 전원은 DC 12V인데 USB 전원은 DC 5V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08)는 상기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의 전기적 특성을 USB 전원 및/또는 비콘모듈(115)의 동작에 부합하는 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USB 커넥터부(110)는 상기 몸통 삽입부(102)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 시 외부에 노출되는(또는 소정의 덮개를 열어 외부로 노출 가능) USB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변환된 USB 전원을 외부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 충전부(112)는 상기 몸통 삽입부(102)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충전부(112)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저전원(Low Energy) 모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한다. 예를들어, 상기 전원 충전부(112)는 배터리 또는 슈퍼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모듈(115)은 블루투스 기반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모듈(또는 구성부의 조합)의 총칭으로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블루투스 기반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몸통 삽입부(102)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차량 전원이 공급(또는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차량 전원이 변환)되는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예컨대, 전원 공급부(106)를 통해 공급된 차량 전원, 또는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변환된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통 삽입부(102)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에서 탈거하거나 또는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5)와,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130)와, 상기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USB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1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비콘모듈(115)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비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어부(140), 메모리부(125) 및 RF 처리부(130) 등은 비콘 기능을 구비한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콘모듈(115)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비콘모듈(115)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비콘모듈(115)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14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25)는 상기 비콘모듈(115)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25)는 기본적으로 상기 비콘모듈(115)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25)에 저장된다.
상기 RF 처리부(130)는 안테나부(135)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 형태의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블루투스 스마트 규격의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RF 처리부(130)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또는 페어링 하지 않고 비콘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확장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외에,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비콘모듈(115)은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하는 지정된 블루투스 지원 단말(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과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 처리부(130)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SB 통신부(120)는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구비된 USB 커넥터(예컨대, D+ 및/또는 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된 외부의 단말기(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과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은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USB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된 외부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비콘모듈(115)을 검출하고 USB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USB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통신부(120)는 상기 USB 커넥터부(110)의 USB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단말기가 연결되더라도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5)와,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45)는 상기 USB 통신부(120)와 연동하여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유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1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165)를 구비하며,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150)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155)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씨드 저장부(150)는 상기 USB 통신부(120)와 연동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제공받거나, 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제공받고,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정 씨드 값은 상기 비콘모듈(115)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씨드 결정부(155)는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예컨대, 시각 값, 또는 난수 등)을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씨드 결정부(155)는 상기 USB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동적 씨드 값을 제공받거나, 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동적 씨드 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1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160)는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상기 씨드 결정부(155)를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코드 생성부(1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45)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160)와,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165)를 구비하며,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150)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155)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코드 생성부(1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상기 씨드 결정부(155)를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 생성부(1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가 송출되게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콘 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170)와,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와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175)를 구비하며, 차량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최대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충전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저전원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1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확인부(170)는 소정의 센서(예컨대, 전류 센서, 전압 센서 등, 도시생략)를 통해 차량의 전원이 전원 공급부(106)로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170)는 소정의 센서(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전원 변환부(108)를 통해 차량의 전원이 변환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170)는 상기 시가잭 장치(100)의 전원이 접지된 상태인지 판별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예컨대, 차량 전원이 공급된 경우 전원의 그라운드는 차체(또는 지면)으로 접지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170)는 소정의 센서(예컨대, 압력 센서, 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몸통 삽입부(102)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된 상태인지 판별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예컨대, 몸통 삽입구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가 아니라면 차량의 전원이 공급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확인부(170)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원 확인부(170)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모드 설정부(175)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차량 전원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확인부(170)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드 설정부(175)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충전 전원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드 설정부(175)는 상기 시가잭 장치(100)에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버튼이나 조작부가 없는 상태에서, 차량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를 설정 도는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확인된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180)는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가용한 범위의 최대 출력(또는 적어도 저전원 모드 이상의 출력)으로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기어 조작부 근처에 구비되는데, 이 위치는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 심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를 이루는 금속재질에 의해 비콘모듈(115)의 안테나부(135)를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차량 외부까지 전 방위적으로 송출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비콘모듈(115)이 차량의 전면 유리 근처에 위치한다면 비교적 용이하게 유리를 투과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 방위적으로 차량 외부로 송출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 삽입구(200)의 위치는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과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 재질에 위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 방위적으로 차량 외부로 송출하기 난해하다. 이에 상기 신호 제어부(180)는 상기 시가잭 장치(1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가용한 범위의 최대 출력(또는 적어도 저전력 모드 이상의 출력)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가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을 극복하고, 가용한 범위 내에서 차량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 재질에 의한 전파 방해를 극복하면서 차량 외부로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가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확인된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180)는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저전원 모드 상태로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제어부(180)는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BLE 모드의 출력으로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비콘모듈(115)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비콘모듈(115)이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하는 USB 제어부(185)를 구비하며,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USB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된 외부의 단말기와 상기 비콘모듈(115)에 대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비콘모듈(115)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동작함으로써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확인된 경우, 상기 USB 제어부(185)는 상기 USB 통신부(120)를 통한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가잭 장치(1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된 상태는 상기 USB 커넥터부(110)를 통해 외부의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장치 등) 내지 단말기(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시가잭 장치(1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된 상태는 상기 시가잭 장치(100)를 전원공급장치로 사용하고자 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런데 이 경우 외부의 장치 내지 단말기를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할 때마다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된다면, 해당 외부 장치 내지 단말기는 비콘모듈(115)과 통신하지도 않고 할 필요도 없는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되어 이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USB 제어부(185)는 상기 비콘모듈(115)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시가잭 장치(100)가 USB 커넥터부(110)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비콘모듈(115)이 상기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동작함으로써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확인된 경우, 상기 USB 제어부(185)는 상기 USB 통신부(120)를 통한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과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인 단말기를 시가잭 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시가잭 장치(100)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부에서 빼내거나 또는 시가잭 장치(1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인 단말기를 시가잭 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10)에 연결함으로써, 비콘모듈(115)과 단말기 사이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활성활 수 있다.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 및/또는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비콘 송출부(165)는 상기 RF 처리부(130)를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USB 통신부(120)를 통해 지정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USB 통신부(120)를 통해 지정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지정된 단말기와 제어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25)에 저장되는 고유정보 및/또는 씨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이나 용도를 설정/전환/재정의 하는 정보, 상기 비콘모듈(115)의 상태를 설정/전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지정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을 제어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25)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차량을 통해 진입하는 지정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의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는 수단 내지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콘 송출부(165)를 통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는 상기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거나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콘모듈(115)은 비지정 공간(예컨대, 공영 주차장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도 추가적/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이나 용도는 비지정 공간의 서비스에 맞게 임시로 설정/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비지정 공간의 서비스를 추가하도록 재정의될 수 있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콘모듈(115)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서 탈거되어 사용자가 소지한 채 사용자가 도보로 진입하는 지정 공간의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는 수단 내지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 추가적/선택적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비지정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도 추가적/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이나 용도는 탈거된 상태로 진입하는 지정/비지정 공간의 서비스에 맞게 임시로 설정/전환되거나 또는 상기 탈거 상태로 진입하는 지정/비지정 공간의 서비스를 추가하도록 재정의될 수 있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상태에서 특정한 상태로 설정/전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상태에서 비지정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인증하는 수단으로 임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의 상태는 단말기와 연동 중인 특정한 상태로 설정/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콘모듈(115)이 지정된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에 의해 특정한 상태로 설정/전환된 경우,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또는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이 해제되는 경우에 원래의 상태로 자동 복원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의 시가잭 장치(100)가 삽입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에 따라 상기 시가잭 삽입구(20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기어 조작부 근처에 구비되며, 차량 내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 심하고,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재질에 의해 비콘 신호가 차량의 외부로 송출되기 난해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115)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차량 전원 공급 또는 충전 전원 공급에 따라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설정/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300), 상기 비콘모듈(115)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태인지 확인한다(305). 만약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동작모드를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확인한다(310).
한편 상기 동작 전원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것이 아니라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이 공급된 상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동작모드를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확인한다(315).
도면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비콘모듈(11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400),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생성한다(405).
만약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가용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410).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저전원 모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415).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비콘모듈(115)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확인하고(500),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 후(505),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510).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생성한다(515).
만약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가용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520).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저전원 모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525).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비콘모듈(115)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모듈(115)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비콘 신호 송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시가잭 장치(100)에 내장된 비콘모듈(115)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한다(600). 상기 비콘모듈(11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확인하고(605),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 후(610),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615).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생성한다(620).
만약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가용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625).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비콘모듈(115)은 저전원 모드로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630).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비콘 송출이 종료될 때까지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면7a와 도면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비콘모듈(115)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a와 도면7b는 비콘모듈(115)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비콘모듈(115)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의 활성/비활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은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700), 상기 비콘모듈(115)을 내장한 시가잭 장치(100)가 USB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로 운용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시가잭 장치(100)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서 탈거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1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며(705), 만약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충전 전원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710), 상기 비콘모듈(115)이 USB 커넥터부(110)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비콘모듈(115)은 상기 시가잭 장치(100)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200)에 삽입하여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전환되는지 확인하며(715), 만약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 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700), 상기 비콘모듈(115)을 내장한 시가잭 장치(100)가 USB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로 운용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콘모듈(115)의 동작모드가 충전 전원 모드로 전환/설정되어 상기 USB 통신부(120)의 USB 기반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비콘모듈(115)은 USB 커넥터부(110)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100 : 시가잭 장치 102 : 몸통 삽입부
104 : 단자 106 : 전원 공급부
108 : 전원 변환부 110 : USB 커넥터부
112 : 전원 충전부 115 : 비콘모듈
120 : USB 통신부 125 : 메모리부
130 : RF 처리부 135 : 안테나부
145 : 정보 저장부 150 : 씨드 저장부
155 : 씨드 결정부 160 : 코드 생성부
165 : 비콘 송출부 170 : 전원 확인부
175 : 모드 설정부 180 : 신호 제어부
185 : USB 제어부 190 : 통신 처리부

Claims (12)

  1.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
    상기 차량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통해 동작하며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거나 페어링 없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비콘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와,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비콘 신호를 통해 송출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비콘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 및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와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차량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최대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충전 전원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비콘 신호를 저전원(Low Energy) 출력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모듈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통해 동작 시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통해 동작 시 상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하는 USB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시가잭 장치.
  12. 삭제
KR1020150042964A 2015-03-27 2015-03-27 비콘 시가잭 장치 KR10171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964A KR101719240B1 (ko) 2015-03-27 2015-03-27 비콘 시가잭 장치
PCT/KR2016/002840 WO2016159550A1 (ko) 2015-03-27 2016-03-22 비콘 시가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964A KR101719240B1 (ko) 2015-03-27 2015-03-27 비콘 시가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02A KR20160116202A (ko) 2016-10-07
KR101719240B1 true KR101719240B1 (ko) 2017-03-24

Family

ID=5700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964A KR101719240B1 (ko) 2015-03-27 2015-03-27 비콘 시가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9240B1 (ko)
WO (1) WO201615955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087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엔버전스 근거리 통신 시스템 구축용 휴대폰 충전기
KR100589899B1 (ko) * 2005-11-29 2006-06-14 신창에스씨아이 주식회사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차량통제 및 주차구역정보 확인시스템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278B1 (ko) * 2000-06-01 2003-08-09 주식회사 이카드솔루션스 주차관리 시스템
KR100440329B1 (ko) * 2002-05-29 2004-07-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위치 확인장치 및 확인방법
KR20050089419A (ko) * 2004-03-05 2005-09-08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무선이동 통신망과 차량에서 사용하는 휴대폰 콘텐츠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087Y1 (ko) * 2004-11-23 2005-03-11 주식회사 엔버전스 근거리 통신 시스템 구축용 휴대폰 충전기
KR100589899B1 (ko) * 2005-11-29 2006-06-14 신창에스씨아이 주식회사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차량통제 및 주차구역정보 확인시스템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50A1 (ko) 2016-10-06
KR20160116202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7955C2 (ru) Брело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чехле телефона
CN103297086B (zh) 无线功率和数据设备、系统和方法
US20190066422A1 (en) Module unit comprising an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18042446A (ja) 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の送信機および受信機のペアリング方法、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JP2014225980A (ja) 非接触充電器制御システム
KR20170134863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오비디장치
WO2015174121A1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並びに非接触充電可能な給電スタンドおよびバッテリ搭載車両
KR101719240B1 (ko) 비콘 시가잭 장치
KR101719237B1 (ko) 적응형 비콘 시가잭 장치
CN204014092U (zh) 一种车载无线数据终端应用系统
KR20170134861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KR20160139136A (ko)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KR20180056461A (ko) 적응형 블루투스 블랙박스장치
KR20170134866A (ko) 시가잭 장치
KR20170122617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KR20160139135A (ko)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20170122620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탑재용 신호장치
KR20170134865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탑재용 신호장치
KR101671203B1 (ko) 시가잭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KR20180056511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블랙박스장치
KR20180056463A (ko) 블랙박스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20180056513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항법장치
KR20180056462A (ko) 적응형 블루투스 차량항법장치
KR20170134875A (ko) 시가잭 장치의 신호모듈
KR20170134867A (ko) 적응형 시가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