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867A - 적응형 시가잭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형 시가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867A
KR20170134867A KR1020160065424A KR20160065424A KR20170134867A KR 20170134867 A KR20170134867 A KR 20170134867A KR 1020160065424 A KR1020160065424 A KR 1020160065424A KR 20160065424 A KR20160065424 A KR 20160065424A KR 20170134867 A KR20170134867 A KR 2017013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radio signal
asynchronous radio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06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867A/ko
Publication of KR2017013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시가잭 삽입구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상기 몸통 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적응형 시가잭 장치{Adaptive Cigar Jack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에 신호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공간에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되,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는 차량 전원을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되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저전원 모드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 외에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용도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방송하게 제어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에 와이파이 기반의 신호모듈을 내장하여 지정된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에서 신분 식별/인증이나 멤버쉽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는 차량 내 구비되는 각종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나 단말(예컨대, 사용자의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전원공급장치로 이용되고 있다(특허공개공보 제2002-0013957호(2002.02.21)).
한편 상기 시가잭 장치를 전원공급장치로 이용하는 각종 장치나 단말은 차량의 전면 유리 근처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은 고출력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 차량 내에서 외부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데 별다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가잭 장치의 내부에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할 경우, 신호모듈에서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차량 외부까지 송출되기에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기어 조작부 근처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 위치는 차량 내 구비된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 심한 위치이며, 특히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재질에 의해 비동기 무선신호가 차량의 외부로 송출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시가잭 장치에 신호모듈을 내장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미리 지정된 공간에 구비된 신호수신기를 통해서만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미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 공간(예컨대, 신호모듈의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신호수신기를 구비한 공간)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지정 공간에 구비된 신호수신기를 수정하거나 또는 비지정 공간에 구비된 신호수신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원격으로 제어하여 문제를 해소하는데, 이와 같은 형태로 문제를 해소할 경우 인프라 구축/수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시가잭 삽입구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상기 몸통 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는,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시가잭 삽입구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상기 몸통 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USB 커넥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하는 단말기 등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 및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된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PIN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를 저장하는 PIN저장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 및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IN인증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PIN저장영역에 저장하는 PIN 등록부 및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PIN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PIN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는 PIN 인증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기본설정메모리영역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용도 정의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용도정의메모리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의 고유정보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 및 상기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고,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미리 계산된 출력 또는 가용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증폭하여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저전원(Low Energy) 출력으로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 및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정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프로토콜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USB 커넥터부와 사용자 단말기 간 USB 연결이 연결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 불가한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되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처리부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중 어느 하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송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는 USB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 장치에 신호모듈을 내장하고 차량 외부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안정적으로 방송하여 지정된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에서 신분 식별/인증이나 멤버쉽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가잭 장치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시가잭 장치를 전원공급장치로 사용하되, 시가잭 장치가 시가잭 삽입구에서 탈거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호모듈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에 실시간 적용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시가잭 장치의 신호모듈을 제어하여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 외에 특정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함으로써, 상기 신호모듈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기로 하여금 상기 신호모듈에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도록 수정하거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적응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와 프로그램(32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기 식별정보와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 인증 내지 신호모듈(200)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신호모듈(200)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적응형 시가잭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가잭장치(100)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105)와,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 시 상기 시가잭 삽입구(375)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115)를 구비하며, 상기 몸통 내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식별하여 양방향 통신하거나 미리 지정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200)을 구비하며,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지정된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측과 이를 수신하는 수신 측이 사전에 페어링하거나 사전에 상대방을 식별/인증하지 않고도, 송신 측에서 불특정한 수신 측으로 전달할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방송)하면, 불특정 수신 측에서 상기 송출(=방송)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조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송신 측은 수신 측을 미리 특정하거나 식별하지 않고 다만 불특정 수신 측에서 수신 가능한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시켜 송출(=방송)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에서만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WiFi) 규격에 기반하는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동기 무신신호가 와이파이 규격에 기반한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규격 등)의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몸통 삽입부(105)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발전기를 통해 생성된(또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된)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몸통 구조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되어 단자(110)를 통해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또는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특정한 구조(또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5)는 상기 몸통 삽입부(105)에 구비된 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시가잭장치(100)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된 경우 상기 몸통 삽입부(105)의 단자(110)는 시가잭 삽입구(375)의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시가잭장치(100)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120)와,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부(125)와,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130)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과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충전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200)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적 특성(예컨대, 전압, 전류 등)은 USB 전원 및/또는 신호모듈(200)의 동작 전원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량 전원은 DC 12V인데 USB 전원은 DC 5V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적 특성을 USB 전원 및/또는 신호모듈(200)의 동작에 부합하는 전원으로 변환한다.
상기 USB 커넥터부(125)는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 시 외부에 노출되는(또는 소정의 덮개를 열어 외부로 노출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USB 전원을 외부로 인가한다.
상기 전원 충전부(130)는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상기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한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충전부(130)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저전원(Low Energy) 모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충전한다. 예를들어, 상기 전원 충전부(130)는 배터리 또는 슈퍼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모듈(또는 구성부의 조합)의 총칭으로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하거나 또는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하고,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한다.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신호모듈(200)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되는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전원 공급부(115) 또는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서 상기 몸통 삽입부(105)를 탈거하거나, 또는 상기 시가잭 삽입구(375)에 상기 몸통 삽입부(105)가 삽입되어 있더라도 차량의 시동이 꺼져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차량을 통해 진입하는 지정 공간(예컨대, 백화점, 아파트, 건물, 지정 주차장)에서 상기 차량이나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 신분을 식별/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멤버쉽 서비스를 식별/인증하기 위해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페어링하여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의 용도를 정의하는 유효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유효한 설정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 대신에 상기 설정정보에 의해 용도 정의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단말기(300)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인지 판단하여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의 용도를 정의하는 유효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통해 유효한 설정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된 비동기 무선신호 대신에 상기 설정정보에 의해 용도 정의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가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설정정보가 확인되더라도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0)와,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8)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212)와,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216)를 구비하며, 상기 USB 커넥터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20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신호모듈(2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어부(220), 메모리부(208) 및 RF 처리부(212)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호모듈(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신호모듈(20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22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08)는 상기 신호모듈(2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2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08)는 기본적으로 상기 신호모듈(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08)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08)는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08)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설정정보에 의해 용도 정의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용도정의메모리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08)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PIN인증정보를 저장하는 PIN저장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08)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위해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08)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하여금 상기 신호모듈(200)을 고유 식별하여 인증하게 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212)는 안테나부(216)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 가능한 와이파이 규격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거나,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USB 통신부(204)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에 구비된 커넥터(예컨대, D+ 및/또는 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단말기 중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은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USB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외부의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신호모듈(200)을 검출하고 USB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USB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통신부(204)는 상기 USB 커넥터부(125)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단말기(300)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사용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더라도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와이파이 페어링 절차 및/또는 단말기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단말기 등록부(224)와,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식별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228)와,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PIN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PIN저장영역에 저장하는 PIN 등록부(232)와,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상기 PIN저장영역에 등록된 PIN인증정보를 이용하여 PIN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PIN 인증부(2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시가잭장치(100)를 구매하여 사용자 본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300)와 신호모듈(200) 간 와이파이 페어링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은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NULL값이나 임시정보를 저장하여 제작되며, 사용자가 시가잭장치(100)를 구매하여 최초 페어링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와이파이 페어링 절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본인 소유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통신하는 특정 프로그램(325)을 설치한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 인증 가능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프로그램(325)까지 고유 식별 인증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단말 식별 값,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되어 신호모듈(200)과 통신하는 프로그램(325)을 고유 식별하는 앱 식별 값,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신호모듈(200) 사이에 교환된 키 값, 상기 값들 중 하나 이상의 이용하여 생성된 인증 값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시가잭장치(100)를 구매하여 사용자 본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를 케이블 연결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상기 케이블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특정 프로그램(325)과 통신을 시도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기 신호모듈(200)과 통신하는 특정 프로그램(325)이 설치된 경우,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 인증 가능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단말기 등록부(224)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기 인증부(228)는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식별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PIN 등록부(232)는 상기 PIN저장영역에 유효한 PIN인증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PIN저장영역에 유효한 PIN인증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PIN 등록부(232)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을 통해 PIN인증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PIN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PIN저장영역에 유효한 PIN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PIN 인증부(236)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PIN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PIN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는 PIN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PIN 인증부(236)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추가/갱신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중요한 설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신호모듈(200)의 설정을 초기화하는 경우에 상기 PIN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상기 신호모듈(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인증 처리부(244)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인증 처리부(244)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신호모듈(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제조 시점에 부여된 고유한 모듈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모듈인증 처리부(244)는 상기 PIN 인증부(236)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신호모듈(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메모리부(208)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지정된 키 교환 절차를 수행하여 획득된 키 값을 포함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8)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는 상기 신호모듈(200)에 부여된 모듈ID, 단말기와 교환된 키 값, 상기 모듈ID와 상기 키 값 중 하나 이상의 이용하여 생성된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모듈인증 처리부(244)는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 하여금 상기 신호모듈(200)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0)에 상기 모듈인증 처리부(244)가 구비된 경우, 상기 단말기 인증부(228)를 통해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을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양방향 상호 인증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양방향 상호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48)와,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248)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제작 시점에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248)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고유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하며,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252)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256)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씨드 저장부(252)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제작 시점에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씨드 저장부(252)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제공받아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씨드 결정부(256)는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예컨대, 시각 값, 또는 난수 등)을 확인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씨드 결정부(256)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동적 씨드 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상기 씨드 결정부(256)를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코드 생성부(2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48)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60)와,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하며,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252)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256)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208)의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상기 씨드 결정부(256)를 통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 생성부(2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268)와, 상기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고,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272)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까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가 도달하도록 비동기 무선신호의 신호 출력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276)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 확인부(268)는 소정의 센서(예컨대, 전류 센서, 전압 센서 등, 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이 상기 전원 공급부(115)로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268)는 소정의 센서(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전원 변환부(120)를 통해 차량 전원이 변환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268)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전원이 접지된 상태인지 판별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예컨대,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원의 그라운드는 차체(또는 지면)으로 접지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확인부(268)는 소정의 센서(예컨대, 압력 센서, 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몸통 삽입부(105)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된 상태인지 판별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예컨대, 몸통 삽입구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가 아니라면 차량의 전원이 공급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 확인부(268)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원 확인부(268)를 통해 상기 차량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모드 설정부(272)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차량 전원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확인부(268)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드 설정부(272)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충전 전원 모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드 설정부(272)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에 구비된 별도의 조작부를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량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를 설정 또는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276)는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예컨대, 차량 외부의 30m)까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가 도달하도록 비동기 무선신호의 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는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의 기어 조작부 근처에 구비되는데, 이 위치는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 심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를 이루는 금속재질이나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된 각종 차단필름 등에 의해 신호모듈(200)의 안테나부(216)를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까지 전 방위적으로 도달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이 별도의 차단필름을 부착하지 않은 차량의 전면 유리 근처에 위치한다면 비교적 용이하게 유리를 투과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까지 도달시킬 수 있지만, 대부분의 차량에 구비된 시가잭 삽입구(375)의 위치는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과 차량의 프레임 내지 차체의 금속재질이나 차량 유리에 부착된 차단필름 등에 위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 방위적으로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까지 도달시키기 난해하다. 이에 상기 신호 제어부(276)는 상기 시가잭장치(1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삽입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송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신호모듈(200)에서 방송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차량 내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 간섭이나 금속재질 내지 차단필름 등의 방해를 극복하고 차량 외부의 지정된 범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가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제어부(276)는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저전원 모드 상태로 방송하게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제어부(276)는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BLE 모드의 출력으로 방송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방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240)와,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284)를 구비한다.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 인증하여 통신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정보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정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예컨대,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키기 위해 생성된 일회용코드, 지정된 용도에 맞게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프로토콜 구조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돌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240)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위해 수신된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48)와,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240)를 통해 수신되는 고유정보는 용도 정의를 위해 고정된 값이거나, 또는 용도 정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 측(또는 지정된 서버(370))에서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248)는 상기 통신 처리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며,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64)를 통해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를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240)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60)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하며,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위해 수신된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252)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256)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씨드 값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예를들어,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고정 씨드 값을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동적 씨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씨드 저장부(252)는 상기 통신 처리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씨드 값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고정 씨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 측에서 결정한 동적 씨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씨드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며,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64)를 통해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를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씨드 결정부(256)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씨드 값(예컨대, 고정 씨드 값 및/또는 동적 씨드 값)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다.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으로부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및/또는 별도로 결정된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코드 생성부(2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240)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48)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60)와,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264)를 구비하며,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위해 수신된 씨드 값을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252)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256) 중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248)는 상기 통신 처리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씨드 저장부(252)는 상기 통신 처리부(2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씨드 값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고정 씨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 측에서 결정한 동적 씨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씨드 값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며,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신호 송출부(264)를 통해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송출 제어부(284)를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씨드 결정부(256)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씨드 값(예컨대, 고정 씨드 값 및/또는 동적 씨드 값)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다.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60)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으로부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및/또는 별도로 결정된 동적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메모리부(208)의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 생성부(26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RF 처리부(212)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송출부(264)는 상기 지정된 횟수 이상(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USB 커넥터부(125)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 USB 연결이 연결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지정된 주차장의 주차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인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USB 커넥터부(125)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 USB 연결이 연결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주차위치 확인을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반면,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중에 상기 USB 커넥터부(125)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 USB 연결이 분리되면 사용자가 주차를 마치고 차량에서 내린 것으로 간주하여 주차위치 확인을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지 않게 제어하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 불가한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지정된 주차장의 주차요금 결제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인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되,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특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지 않게 제어하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통해 방송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지정된 주차장의 주차요금 결제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인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상기 설정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주차요금에 대한 결제완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주차요금 결제를 위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지 않게 제어하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4)는 상기 제1 내지 제4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신호 송출부(264)를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또는 상기 송출 제어부(284)의 제어에 따라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확인하며,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중 어느 하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태를 식별하는 신호송출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방송 중인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신호모듈(2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고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하는 USB 제어부(280)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 처리부(240)는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USB 통신부(204)를 통해 상기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함으로써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 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USB 제어부(280)는 상기 USB 통신부(204)를 통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375)에 시가잭장치(100)를 삽입한 후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에 어떤 외부 장치(예컨대, 네비게이션장치 내지 사용자 단말기(300) 등)를 케이블 연결하였다면, 이는 사용자가 상기 시가잭장치(100)를 전원공급장치로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된 외부 장치에 차량 전원을 공급하려는 의도일 확률이 높다. 그런데 이 때 외부 장치가 USB 커넥터부(125)에 연결할 때마다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활성화한다면, 사용자는 해당 외부 장치와 신호모듈(200) 간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의도하지 않았는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활성화되어 이를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상기 USB 제어부(280)는 상기 신호모듈(200)이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어 별도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USB 통신부(204)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시가잭장치(100)가 USB 커넥터부(125)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이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USB 제어부(280)는 상기 USB 통신부(204)를 통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차량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이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확인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에 케이블 연결하였다면, 이는 사용자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USB 통신부(204)를 통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와 프로그램(32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제어부(302)메모리부(320)화면 출력부(304)사용자 입력부(306)사운드 처리부(308)케이블 통신부(310)와이파이모듈(312)근거리망 통신부(314) 무선망 통신부(316) USIM 리더부 (318)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사용자 단말기(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308)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USB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와이파이모듈(312)은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 따라 10m 내외(최대 100m 내외)의 근거리에서 와이파이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파이모듈(312)은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에서 송출하는 와이파이 통신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가 와이파이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패킷 통신 기반의 데이터망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와이파이모듈(312)과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통합되거나 동일한 모듈일 수 있으며, 본 도면x는 편의상 와이파이모듈(312)과 근거리망 통신부(314)을 각기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와이파이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6)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4)는 무선AP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3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3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프로그램(3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100)에 구비된 USB 커넥터부(125)와의 케이블 연결에 의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과 상기 신호모듈(200)의 와이파이 통신 기능을 이용한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연결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연결부(330)는 상기 와이파이모듈(312)을 통해 페어링된 신호모듈(200)을 확인하고, 상기 와이파이모듈(312)을 통해 상기 페어링된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신호모듈(200)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통신 연결부(330)는 상기 케이블을 이용한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을 검출하고,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연결부(330)는 상기 와이파이모듈(312)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페어링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우선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불가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 PIN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 및/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PIN인증정보를 이용하는 PIN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PIN인증 절차부(335)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연결부(330)를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신호모듈(200)의 PIN저장영역에 유효한 PIN인증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PIN인증 절차부(335)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에 PIN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에 PIN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PIN인증 절차부(335)는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를 추가/갱신하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의 중요한 설정을 변경하거나, 상기 신호모듈(200)의 설정을 초기화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PIN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모듈(200)의 PIN인증정보를 이용하는 PIN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에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에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인증 절차부(34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연결부(330)를 통해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PIN인증의 결과로서 상기 신호모듈(200)에 단말기 식별정보를 추가/갱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인증 절차부(3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제공한다. 상기 신호모듈(200)은 지정된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 연결부(330)를 통해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단말인증 절차부(340)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모듈(200)은 지정된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공받은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고 그 결과를 응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서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의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해진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모리부(320)에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메모리부(32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모리부(320)에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의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신호모듈(200)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모듈인증 절차부(345)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듈인증 절차부(345)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로부터 상기 신호모듈(200)에 대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신호모듈(200)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모듈(200)로 제공한 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모듈인증 절차부(345)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부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인증 절차부(345)가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의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해진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특정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350)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절차부(355)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상기 단말인증 절차부(340) 및/또는 모듈인증 절차부(345)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가 인증한 경우에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통신 연결부(330)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통신 연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와 지정된 서버(37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특정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정보 생성부(350)를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특정한 용도로 정의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부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중 어느 하나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을 식별하는 신호송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절차부(355)와, 상기 신호송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360)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 또는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36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부터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 중인지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 중인지 판별하기 위한 신호송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수신된 신호송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신호송출정보의 판독 결과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이라면,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신호송출정보의 판독 결과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이라면,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후에도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다면,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와이파이모듈(312)과 연동하여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송출되어 상기 와이파이모듈(312)로 수신된(예컨대, 비동기 무선신호는 페어링 없이 송출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모듈(312)로도 수신됨) 비동기 무선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신호모듈(200)에서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의 판독 결과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이라면,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신호모듈(200)에서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의 판독 결과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이라면,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후에도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다면,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에서 케이블이 탈거되어 케이블 연결이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에서 상기 케이블이 탈거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은 상기 케이블 연결 해제 시 자동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연결 해제 시,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의 변형 예로서,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신호모듈(200)이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불가 시 자동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을 중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여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불가 시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이 중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은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불가 시 자동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불가 시,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출력부(365)는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판별부(36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인지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통신 절차부(355)는 사용자 조작(또는 지정된 서버(370)로부터의 정보 수신)에 따라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방송 중인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을 중단을 요청하는 송출중단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신호모듈(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송출중단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을 중단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차량 전원 공급 또는 충전 전원 공급에 따라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를 차량 전원 공급 모드 또는 충전 전원 공급 모드로 자동 설정/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모드 설정/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400), 상기 신호모듈(200)은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태인지 확인한다(405). 만약 차량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상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동작모드를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확인한다(410).
한편 상기 동작 전원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것이 아니라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이 공급된 상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동작모드를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하거나 또는 확인한다(41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기 식별정보와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의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은 차량의 전원과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중에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한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 연결을 확인하며(500),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도 상기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중 어느 한 통신을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통신 연결을 확인한다(500).
상기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지정된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05). 만약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단말기 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에 대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15). 만약 상기 프로그램(325)이 최초 실행되거나 또는 이전에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한 이력이 없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모듈(200)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가 요청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에서 상기 신호모듈(200)에 자신의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에 대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구성하여(520),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52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한다(53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신호모듈(200)의 식별정보저장영역에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고,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갱신하거나 또는 추가하는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의 식별정보저장영역에 기 등록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의 PIN저장영역에 등록된 PIN인증정보를 통한 PIN인증 절차 후에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상기 신호모듈(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모듈(200)에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거나, 또는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에 대한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모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35). 만약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에 기 등록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54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기 등록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54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에 설정할 소정의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54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540).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메모리부(320)에 상기 신호모듈(200)에 등록/설정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저장한다(54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 인증 내지 신호모듈(200)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기 신호모듈(200)에 대한 유효한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각각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과 신호모듈(200)이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인증 내지 신호모듈(200)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에 대한 유효한 단말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신호모듈(200)로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25))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하고(60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605).
상기 신호모듈(200)은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610). 만약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를 제공한다(615). 한편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를 제공한다(615).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판독한다(620). 만약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625). 한편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신호모듈(200)에 대한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30). 만약 상기 신호모듈(200)에 대한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설정/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신호모듈(200)에 대한 신호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모듈(200)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요청하며(635), 상기 신호모듈(200)은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확인하여(640),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 제공한다(645).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신호모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650). 만약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인증 오류를 출력한다(625).
한편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로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인증 결과를 제공한다(65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상기 신호모듈 식별정보의 인증 결과를 수신하며(660),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신호모듈(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송하되,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700),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705).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710).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71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설정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720). 만약 상기 설정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며(725), 상기 설정정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730).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735).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74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중에서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 여부를 판단한다(745). 만약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신호모듈(2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송하되,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확인하고(800),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 후(805),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810).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815).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820).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82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설정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830). 만약 상기 설정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며(835), 상기 설정정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840).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845).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85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중에서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 여부를 판단한다(855). 만약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신호모듈(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방송하되, 도면6의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시가잭장치(100)에 내장된 신호모듈(20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확인한다(900). 상기 신호모듈(200)은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확인하고(905),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한 후(910),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915). 만약 상기 일회용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920).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925).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930).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설정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935). 만약 상기 설정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으로부터 설정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며(940), 상기 설정정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생성한다(945).
만약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증폭(예컨대, 가용 범위 내 최대 신호강도로 증폭하거나 또는 차량 외부의 계산된 일정 거리까지 무선신호를 도달시키기 위해 계산된 신호강도로 증폭)하여 방송한다(950).
한편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전원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저전원 모드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한다(95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중에서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 여부를 판단한다(960). 만약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상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이 결정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이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신호모듈(200)로 하여금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에 도시된 과정과 같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설정정보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생성한다(1000).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되기 전에 상기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된 후에 상기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정보 및/또는 지정된 서버(37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또는 돌 이상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통신 연결된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하며(1005),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로 상기 설정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되는지 확인한다(1010).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로부터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 중인지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 중인지 판별하기 위한 신호송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송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모듈(312)과 연동하여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송출되어 상기 와이파이모듈(312)로 수신된(예컨대, 비동기 무선신호는 페어링 없이 방송 가능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모듈(312)로도 수신됨) 비동기 무선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송출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과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에서 케이블이 탈거되어 케이블 연결이 해제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에서 상기 케이블이 탈거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연결 해제 시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신호모듈(200)과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불가 시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단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제1 내지 제4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하여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또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인지 또는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제1 내지 제5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1015).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 비동기 무선신호 판별 실시예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100)의 신호모듈(200)을 통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가 방송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25)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 중단(또는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의 방송)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1020).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신호모듈(200)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신호모듈(200)의 전원 공급 상태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모듈(200)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신호모듈(200)의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의 활성/비활성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와 충전 전원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우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100). 만약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가 확인되면,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1105).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중 또는 후에 상기 신호모듈(200)의 동작모드가 차량 전원 모드인 경우, 즉 차량 전원 모드에서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한다(1110).
한편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가 확인되지 않거나(예컨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 범위를 벗어났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와이파이 기능을 비활성화) 또는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더라도 차량 전원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1115), 시가잭장치(100)의 USB 커넥터부(12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케이블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1120).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 상기 신호모듈(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1125).
100 : 시가잭장치 105 : 몸통 삽입부
110 : 단자 115 : 전원 공급부
120 : 전원 변환부 125 : USB 커넥터부
130 : 전원 충전부 200 : 신호모듈
204 : USB 통신부 208 : 메모리부
212 : RF 처리부 216 : 안테나부
224 : 단말기 등록부 228 : 단말기 인증부
232 : PIN 등록부 236 : PIN 인증부
240 : 통신 처리부 244 : 모듈인증 처리부
248 : 정보 저장부 252 : 씨드 저장부
256 : 씨드 결정부 260 : 코드 생성부
264 : 신호 송출부 268 : 전원 확인부
272 : 모드 설정부 276 : 신호 제어부
280 : USB 제어부 284 : 송출 제어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25 : 프로그램
330 : 통신 연결부 335 : PIN인증 절차부
340 : 단말인증 절차부 345 : 모듈인증 절차부
350 : 정보 생성부 355 : 통신 절차부
360 : 신호 판별부 365 : 정보 출력부

Claims (24)

  1. 사용자 소유의 시가잭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몸통 구조로 이루어진 몸통 삽입부;
    상기 몸통 삽입부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시가잭 삽입구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USB(Universal Serial Bus)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원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및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상기 몸통 삽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전원 공급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기의 와이파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차량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외부로 방송하는 신호모듈;을 구비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USB 커넥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USB 데이터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사용자 단말기(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고유하게 식별 인증하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저장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식별정보저장영역에 등록하는 단말기 등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등록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 시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말기 인증부; 및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를 통해 인증된 단말기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PIN인증을 위한 PIN인증정보를 저장하는 PIN저장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 및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IN인증정보를 등록받아 상기 PIN저장영역에 저장하는 PIN 등록부; 및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PIN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PIN인증정보를 통해 인증하는 PIN 인증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기본설정메모리영역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용도 정의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용도정의메모리영역을 구비한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고유정보를 지정된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기본 설정된 와이파이 기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방송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을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고정 씨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동적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기본설정메모리영역의 고유정보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확인하는 전원 확인부; 및
    상기 차량 전원 공급 확인 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차량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고, 상기 차량 전원 공급 미 확인 시 상기 전원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충전 전원 모드로 설정 또는 확인하는 모드 설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미리 계산된 출력 또는 가용 범위의 최대 출력으로 증폭하여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저전원(Low Energy) 출력으로 방송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방송하게 제어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 및
    상기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고유정보,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씨드 값,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의 프로토콜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하는 씨드 저장부;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결정하는 씨드 결정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대입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저장된 고유정보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게 제어하는 신호 송출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USB 커넥터부와 사용자 단말기 간 USB 연결이 연결되는지 또는 분리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지 불가한지 여부를 기반으로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할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지정된 용도정의메모리영역에 유효한 설정정보가 저장됨과 동시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도록 제어하되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지 않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처리부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기본 설정 비동기 무선신호와 용도 정의 비동기 무선신호 중 어느 하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는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송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USB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2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모듈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통해 동작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와 양방향 와이파이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경우 USB 기반 데이터 통신을 비활성화하는 USB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시가잭 장치.
KR1020160065424A 2016-05-27 2016-05-27 적응형 시가잭 장치 KR20170134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24A KR20170134867A (ko) 2016-05-27 2016-05-27 적응형 시가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424A KR20170134867A (ko) 2016-05-27 2016-05-27 적응형 시가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67A true KR20170134867A (ko) 2017-12-07

Family

ID=6092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424A KR20170134867A (ko) 2016-05-27 2016-05-27 적응형 시가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8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6461A (ko) 적응형 블루투스 블랙박스장치
JP6473848B2 (ja) 適応型ビーコンシガーソケット装置
KR20170134861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KR20170122617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오비디장치
KR20160139136A (ko)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KR20160139135A (ko)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20180110288A (ko) 음파출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상태 판단 방법
KR20180056463A (ko) 블랙박스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20170134867A (ko) 적응형 시가잭 장치
KR20180056509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차량항법장치
KR20170134869A (ko) 시가잭 장치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제어 방법
KR20180056466A (ko) 블랙박스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70134862A (ko)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탑재용 적응형 신호장치
KR20170122618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탑재용 적응형 신호장치
KR20180056462A (ko) 적응형 블루투스 차량항법장치
KR101671203B1 (ko) 시가잭 장치의 비콘 제어 방법
KR20180056508A (ko) 단방향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적응형 블랙박스장치
KR20170134875A (ko) 시가잭 장치의 신호모듈
KR20180056464A (ko) 차량항법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20170134873A (ko) 적응형 와이파이 시가잭 장치
KR20180110279A (ko) 음파출력장치 인증 방법
KR20170134876A (ko) 시가잭 장치의 와이파이 제어 방법
KR20170134915A (ko) 직원무선단말과 적응형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발렛 주차 제공 방법
KR20180110274A (ko)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
KR20170029727A (ko) 시가잭장치를 이용한 사용자의 탑승 상태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