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2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21B1
KR101719121B1 KR1020140131336A KR20140131336A KR101719121B1 KR 101719121 B1 KR101719121 B1 KR 101719121B1 KR 1020140131336 A KR1020140131336 A KR 1020140131336A KR 20140131336 A KR20140131336 A KR 20140131336A KR 101719121 B1 KR101719121 B1 KR 10171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very
delete delete
sib
notification
et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221A (ko
Inventor
리차드 리-치 구오
위-쉬엔 구오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4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UE로의 측정 갭들을 구성하기 위한 라디오 리소스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상기 UE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측정을 수행하며 그리고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그 측정 갭 동안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3년 10월 4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일련 번호 61/886,850 출원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련된 것이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evice-To-Device)) 디스커버리 (discovery)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이동통신 장비로부터 대량 데이터 통신의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종래의 이동 음성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한 IP 데이터 패킷 통신은 이동 통신 장비의 사용자에게 IP상 음성,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온디맨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조가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E-UTRAN 시스템은 전술한 IP상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제공할 수 있다. E-UTRAN 시스템의 표준화 작업은 현재 3GPP 표준 기구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3GPP 표준의 진화 및 최종화를 위해 기존 3GPP 본문에 대한 변경들이 현재 제안 및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려고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Device-To-Device)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UE로의 측정 갭 (gap)들을 구성하기 위한 라디오 리소스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상기 UE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UE가 측정을 수행하며 그리고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그 측정 갭 동안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로 또한 알려짐) 그리고 수신기 시스템 (사용자 장비 또는 UE로 또한 알려짐)의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패턴들을 기술하는 3GPP TS36.304 의 섹션 7.2 내의 테이블을 전재한 것이다.
도 6은 TDD (Time Division Duplex) 내 모든 UL (Uplink)/DL (Downlink) 구성들을 위한 서브프레임 패턴들을 기술하는 3GPP TS36.304 의 섹션 7.2 내의 테이블을 전재한 것이다.
도 7은 UE에 의해서 지원된 두 개의 측정 갭 패턴 구성들을 기술하는 3GPP TS36.133 의 테이블 8.1.2.1-1을 전재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기간 (Paging Occasion)들과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사이에서의 충돌들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갭들과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사이에서의 충돌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고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서비스를 지원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등의 다양한 유형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무선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A,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WiMax 또는 기타 변조 방식 등에 기초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기기들은 여기에서는 3GPP로 언급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이름의 협회에 의해서 제안된 표준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표준들은 다음의 문서들을 포함한다: 문서 번호 TS36.331 V11.4.0, "E-UTRA RRC protocol specification"; SP-110638, "WID on Proposal for a study on Proximity-based Services"; TR22.803-c20, "Feasibility Study for Proximity Services (ProSe)"; R1-132503, "Techniques for D2D Discovery"; R2-132526, "Resource Configuration & Selection for D2D Direct Discovery"; R2-133215, "UE state for D2D Direct Discovery"; R2-133382, "Discussion on idle mode UE Discovery"; R2-133482, "D2D Discovery"; TS36.304 V11.3.0, "E-UTRA UE procedures in idle mode"; and TS36.133 V11.4.0, "E-UTRA Requirements for support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이에서 목록으로 된 상기 표준들 그리고 문서들은 이에 의해서 그 전체가 본원에 명백하게 참조로서 편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100; AN)는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데, 104 및 106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 108 및 110을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그룹, 그리고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그룹이 그것들이다. 도 1에서, 각 안테나 그룹에서 2개의 안테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각 안테나 그룹을 위해 이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6; AT)은 안테나 112 및 114와 통신하는데, 안테나(112 및 114)들은 포워드 링크(120) 상에서 액세스 단말(122; AT)로 정보를 전송하고 리버스 링크(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 AT)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118, 120, 124, 126)는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워드 링크(120)는 리버스 링크(118)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과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라고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 각 안테나 그룹은 액세스 네트워크(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의 터미널들을 액세스하기 위해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포워드 링크들(120 및 126) 상의 통신에서,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전송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116 및 122)에 대한 포워드 링크들의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개선하기 위해 빔형성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영역 내에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액세스 단말들로 전송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하나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비하여 인접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들에 대하여 적은 간섭을 발생시킨다.
액세스 네트워크(AN)는 고정국이거나 터미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일 수 있는데, 이는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증강 기지국, eNB (evolved Node B) 등의 용어로 지칭되기도 한다. 액세스 포인트 (AT)는 사용자 장비 (UE), 무선 통신 기기, 단말, 액세스 단말 등으로 또한 지칭되기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200)의 송신기 시스템(210; 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함) 및 수신기 시스템(250; 액세스 단말(AT)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도 함)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214)로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은 각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는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코딩 시스템에 기초하여 포맷,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드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코드화된 데이터는 OFDM 기법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 알려진 방식으로 처리되는 알려진 데이터 패턴으로서, 채널 응답을 예측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드화 데이터는 그 데이터 시스템을 위해 선택된 특정 변조 스킴(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된다 (즉, 심볼 매핑된다). 각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률,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면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개 변조 심볼 스트림을 NT개 전송기(TMTR; 222a 내지 222t)에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의 심볼과 그 심볼이 전송되는 안테나에 대하여 빔형성 가중치를 적용한다.
각 전송기(222)는 각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하고, 그 아날로그 신호에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젼 등의 조정 처리를 하여 MIMO 채널 상에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전송기(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T개 변조 신호들은 각각 NT개 안테나(224a 내지 224t)를 통해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개 안테나(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해당 수신기(RCVR; 254a 내지 254r)에 제공된다. 각 수신기(254)는 해당 수신 신호에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젼 등의 조정 처리를 하고 이를 디지털화 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NR개 수신기(254)로부터의 NR개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특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처리하여 NT개 "검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각 검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복호하여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의 처리는 전송 시스템(210)의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대하여 상보적이다.
프로세서(270)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이점에 대해 후술함)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과 순위 값 부분을 포함하는 리버스 링크 메시지를 생성한다.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리버스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254a 내지 254r)에 의해 조정되어 전송기 시스템(210)으로 되돌려 전송된다.
전송기 시스템(210)에서,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가 안테나(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2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되는 리저브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러면 프로세서(230)는 빔형성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결정하고,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대안적인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300)는 도 1의 116 및 122와 같은 UE(또는 AT)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LTE 시스템이다. 이 통신 시스템(300)은 입력 장치(302), 출력 장치(304), 제어 회로(306), 중앙처리유닛(CPU; 308), 메모리(310), 프로그램 코드(312) 및 트랜시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6)는 메모리(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312)를 CPU9308)을 통해 실행하여, 통신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모니터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미지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트랜시버(314)는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어 회로(306)로 전달하고, 제어 회로(306)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코드(312)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코드(312)는 어플리케이션 층(400), 레이어3 부분, 레이어2 부분을 포함하고, 레이어1 부분에 커플링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3 부분은 일반적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레이어2 부분은 일반적으로 링크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레이어1 부분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접속을 실행한다.
LTE 또는 LTE-A 시스템들을 위해서, 레이어 2 부분은 라디오 링크 제어 (Radio Link Control (RLC)) 레이어 그리고 매체 액세스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MAC))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레이어 3 부분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3GPP SP-110638은 근접-기반의 서비스들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제안한다. 3GPP SP-110638은 그 새로운 아이템을 위한 다음의 정당성 및 목적을 제공한다:
3. 정당성
근접-기반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은 최근의 수많은 사회-기술적 (socio-technological) 경향을 기술한다. 이런 애플리케이션들의 원칙은 서로에게 근접하게 위치한 디바이스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인스턴스들을 발견하고 (discover),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관련된 데이터를 또한 교환하는 것이다. 병행하여, 공중의 안전 커뮤니티에서의 근접-기반 디스커버리 및 통신들에서의 관심이 존재한다.
현재의 3GPP 규격은 그런 니즈들을 위해 부분적으로만 적합하며, 이는 모든 그런 트래픽 및 시그날링이 상기 네트워크 내로 경로 설정이 되어야만 할 것이며, 그래서 성능에 영향을 주며 그리고 네트워크 내에 불필요한 부담을 더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재의 제한들은 심지어는 진보된 근접-기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또한 장애이다.
이런 환경에서, 3GPP 기술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 및 근접-기반의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미래의 그리고 더욱 진보된 근접-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의 광대한 어레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선택의 플랫폼이 되어가기 위한 기회를 가진다.
4. 목적
사용 사례들을 연구하고 그리고 계속적인 네트워크 제어 하에 근접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통신들 및 오퍼레이터 네트워크 제어된 디스커버리를 위한 잠재적인 요구사항들을 식별하려는 것이 목적이며, 다음을 위한 것이다:
1. 상업적/사회적인 이용
2. 네트워크 오프로딩 (offloading)
3. 공중의 안전
4. 도달가능성 및 이동성 모습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현재의 하부구조 서비스들의 통합.
추가로, 연구 항목들은 사용 사례들을 연구하고 잠재적인 요구사항들을 식별할 것이며, 이는 다음을 위한 것이다.
5. (지역적인 규정 및 오퍼레이터 정책을 조건으로 하는 것이며, 그리고 특정의 공중-안전 지시된 주파수 대역들 및 단말들로 제한된) EUTRAN 커버리지가 부재인 경우의 공중 안전.
사용 사례들 및 서비스 요구사항들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제어, 인증, 위임, 어카운팅 및 조절 모습들을 포함하여 연구될 것이다.
상기 연구는 GERAN 또는 UTRAN에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3GPP TR22.803-c20 은 ProSe를 정의하며, 이는 개방 [ProSe] 디스커버리 그리고 제한된 [ProSe] 디스커버리를 포함하며, 이는 다음과 같다:
3.1 정의들
ProSe 디스커버리: UE가 다른 것에 근접하여 위치한다는 것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로, E-UTRA를 이용한다.
개방 [ProSe] 디스커버리는 디스커버 (discover)되고 있는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가가 없는 ProSe 디스커버리이다.
제한된 [ProSe] 디스커버리는 디스커버되고 있는 UE로부터의 명시적인 허가가 있을 때에만 발생하는 ProSe 디스커버리이다.
RAN1#73 미팅에서, 다음의 포인트들이 소용이 되는 가정들로서 포함되었다:
- 커버리지를 주는 셀의 UL 스펙트럼 (FDD의 경우임) 또는 UL 서브프레임들에서 D2D가 동작한다고 가정된다.
o TDD의 경우에 DL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는 것은 추가로 연구될 수 있다
- D2D 전송/수신은 주어진 캐리어 상에서 풀 듀플렉스 (full duplex)를 사용하지 않는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및 ProSe 디스커버리를 위한 D2D 정책이 D2D 디스커버리로 또한 불린다는 것에 주목한다. 추가로, 3GPP R1-132503 은 D2D 디스커버리를위한 라디오 리소스들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및 광역 네트워크 (WAN) 통신들 사이의 상호작용들 (interactions)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3.1 디스커버리를 위해 리소스들을 유보함
우리는 네트워크가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주기적인 리소스들을 유보할 것을 제안한다 (설계 원칙들 2, 3 & 4).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유보된 리소스들을 구비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은 대개는 연속해야만 한다. 이 연속한 배치는 디스커버리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64개의 연속적인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매 10초마다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유보된 리소스들을 가지는 아래에의 도 3에서의 예에서 예시된다.
[섹션 3.1에서의 도 3 생략됨]
우리는 리소스들이 유보된 이 주기를 "디스커버리 주기"로 그리고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유보된 리소스들을 구비한 서브-프레임들을 "디스커비리 서브-프레임들"로 부른다.
디스커버리에 참여한 UE는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유보된 리소스들을 구비한 서브-프레임들 중에서 디스커버리 리소스를 선택할 것이다. 디스커버리 리소스 (discovery resource)의 정확한 정의는 나중에 설명된다. 상기 UE는 자신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자신의 선택된 디스커버리 리소스 상으로 매 디스커버리 주기마다 전송할 것이다. 상기 UE는 다른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다른 UE들의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위해 또한 리슨 (listen)할 것이다 (설계 원칙 2 & 4).
네트워크는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을 SIB 브로드캐스트를 경유하여 UE들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런 할당은 동기식 배치에서 넓게 배치하는 방식 (deployment wide manner)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전력 효율적인 방식에서 인터-셀 (inter-cell)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한다. 비동기식 배치에서, 상기 할당은 매 셀 기반 (per cell basis)으로 수행될 수 있다. 셀의 eNodeB는 SIB에서 자신의 이웃 셀들 할당과 함께 자신의 할당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UE들은 상이한 셀들에서 캠프된 UE들의 신호들의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위해서 리슨할 필요가 있다.
제안 1: 네트워크는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사용될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유보한다.
3.5 WAN 통신과의 공존성
WAN과 디스커버리 사이의 조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eNodeB는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어떤 새로운 PUSCH 전송을 스케줄하지 않아야 한다. 어떤 계속 진행 중인 HARQ 전송들은 eNodeB 에 의해서 연기될 수 있으며 그리고 비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재활성화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작은 부분이기 때문에 (설계 원칙 8) (도 2에서 0.64%), WAN 상에서의 디스커버리의 영향은 최소일 것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더욱 조화로운 공존을 더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 할당은 비-연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된다.
[섹션 3.5에서의 도 6은 생략됨]
여기에서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매 5개 서브-프레임들마다 WAN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의해서 산재된다. 서브-프레임들을 그렇게 산재시키는 것은 반-영구적인 방식으로 스케줄되는 (보이스와 같은) 낮은 지연 트래픽으로의 붕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로 디스커비리 서브-프레임들을 산재시키는 것은 디스커버리에 참여하는 UE들에 대한 더 높은 전력 소비로 이끌 수 있다. 그래서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작은 개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의해서만 산재되어야 한다.
제안 9: 작은 개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한다.
일반적으로, R2-132526 은 3GPP R1-132503과 유사한 이슈들을 논의하며, 그리고 다음의 제안들을 제기한다:
- 제안 1: 이 섹션 2.3.1에서 언급된 요구사항들/관찰들은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성을 위해서 고려되어야만 한다
- 제안 2: 공통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즉, 디스커버리 서브 프레임들)의 주기적인 할당
- 제안 3: SI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성 (즉, 디스커버리 리소스 사이클 및 디스커버리 리소스 간격)을 브로드캐스트 (broadcast)한다
- 제안 4: 디스커버리 서브 프레임들은 레이턴시 민감 트래픽 및 레거시 UE들의 UL HARQ 동작으로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디스커버리 리소스 간격에서 번갈아 (stagger) 있어야 한다
- 제안 5: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간에서 디스커버리 및 비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의 패턴이 논의되어야 한다
- 제안 6: 업데이트된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성을 시그날링하기 위해서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성 및 방법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필요성이 논의되어야 한다
- 제안 7: 회선 쟁탈 기반 리소스 선택 및 전용의 리소스 할당 둘 모두는 디스커버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제안 8: 디스커버리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D2D-가능한 UE는 디스커버리 정보를 위해서 구성된 모든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모니터해야 한다.
추가로, 3GPP R2-133215, R2-133382, 그리고 R2-133482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UE (사용자 장비)의 현재 RRC (Radio Resource Control) 상태에 무관하게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할 것이 제안된다.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RRC 접속된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서 RRC 아이들 (idle) 모드에서 UE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암시된다.
3GPP TS36.331 는 페이징 절차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5.3.2 페이징
5.3.2.1 일반론
이 절차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페이징 정보를 RRC_IDLE 에서 UE로 전송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 RRC_IDLE 에서 UE들에게 그리고 RRC_CONNECTED에서 UE에게 시스템 정보 변경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 ETWS 프라이머리 (primary) 통지 및/또는 ETWS 세컨더리 (secondary) 통지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그리고/또는;
- CMAS 통지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페이징 정보는 상위 레이어들로 제공되며, 이 상위 레이어들은 응답으로, 예를 들면, 인입하는 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RRC 접속 설립을 개시할 수 있을 것이다.
3GPP TS36.331은 UE가 지진 및 쓰나미 경보 시스템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ETWS)) 통지 및 상업적인 모바일 경보 서비스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CMAS)) 통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해서 다음의 방식들을 또한 규정한다:
5.2.1.4 ETWS 통지 표시
ETWS 프라이머리 통지 및/또는 ETWS 세컨더리 통지는 시간 상 어떤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Paging 메시지는 RRC_IDLE 에서의 ETWS 가능 UE들 그리고 RRC_CONNECTED 에서의 UE들에게 ETWS 프라이머리 통지 및/또는 ETWS 세컨더리 통지의 존재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UE가 etw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그것은 SystemInformationBlockType1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에 따라서 ETWS 프라이머리 통지 및/또는 ETWS 세컨더리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상기 UE가 ETWS 통지(들)를 획득하고 있으면서 etw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상기 UE는 이전에 획득된 schedulingInfoList 를 기반으로 하여 ETWS 통지(들)를 획득하는 것을 자신이 SystemInformationBlockType1schedulingInfoList를 다시-획득할 때까지 계속할 것이다.
주목: 상기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내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필요는 없지만, etw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0 그리고 SystemInformationBlockType11 을 위한 스케줄링 변화들을 위해서 SystemInformationBlockType1 내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를 다시-획득하도록 상기 UE를 트리거한다. 상기 UE는 ETWS가 더 이상 스케줄되지 않을 때에 etws-Indication 및/또는 systemInfoModif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ETWS 프라이머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0 내에 포함되며 그리고 ETWS 세컨더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1 내에 포함된다. 세컨더리 통지의 배송을 위해서 세크먼트화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세그먼트화는 셀 내에서 주어진 세컨더리 통지의 전송을 위해서 고정된다 (즉, 동일한 messageIdentifier, serialNumber 그리고 warningMessageSegmentNumber를 구비한 주어진 세그먼트에 대해 동일한 세그먼트 크기). ETWS 세컨더리 통지는 TS 23.041 [37]에 따라서 정의된 단일의 CB data IE에 대응한다.
5.2.1.5 CMAS 통지 표시
CMAS 프라이머리 통지는 시간 상 어떤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Paging 메시지는 RRC_IDLE 에서의 CMAS 가능 UE들 그리고 RRC_CONNECTED 에서의 UE들에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MAS 통지들의 존재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UE가 ema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그것은 SystemInformationBlockType1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에 따라서 CMAS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상기 UE가 CMAS 통지(들)를 획득하고 있으면서 cma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상기 UE는 이전에 획득된 schedulingInfoList 를 기반으로 하여 CMAS 통지(들)를 획득하는 것을 자신이 SystemInformationBlockType1schedulingInfoList를 다시-획득할 때까지 계속할 것이다.
주목: 상기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내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필요는 없지만, cmas-Ind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2 를 위한 스케줄링 변화들을 위해서 SystemInformationBlockType1 내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를 다시-획득하도록 상기 UE를 트리거한다. 상기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2가 더 이상 스케줄되지 않을 때에 cmas-Indication 및/또는 systemInfoModification을 포함하는 Paging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CMAS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2 내에 포함된다. CMAS 통지의 배송을 위해서 세크먼트화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세그먼트화는 셀 내에서 주어진 CMAS 통지의 전송을 위해서 고정된다 (즉, 동일한 messageIdentifier, serialNumber 그리고 warningMessageSegmentNumber를 구비한 주어진 세그먼트에 대해 동일한 세그먼트 크기). E-UTRAN은 CMAS 통지의 전송을 인터리브하지 않으며, 즉, 주어진 CMAS 통지 전송의 모든 세그먼트들은 다른 CMAS 통지의 모든 세그먼트들 이전에 전송된다. CMAS 통지는 TS 23.041 [37]에 따라서 정의된 단일의 CB data IE에 대응한다.
3GPP TS36.304 는 페이징의 불연속적인 수신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7 페이징
7.1 페이징을 위한 비연속적인 수신
UE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아이들 모드에서 비연속적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페이징 기간 (Paging Occasion (PO)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주소 지정하는 PDCCH 상에서 전송된 P-RNTI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이다. 하나의 페이징 프레임 (Paging Frame (PF))은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으로, 그것은 하나 또는 다중의 페이징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DRX가 사용될 때에 상기 UE는 DRX 사이클 당 하나의 PO 만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다.
PF 및 PO는 시스템 정보에서 제공된 DRX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다음의 공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PF는 다음의 식에 의해서 주어진다:
SFN mod T= (T div N)*(UE_ID mod N)
7..2에서 정의된 서브프레임 패턴으로부터 PO로 향하는 인덱스 i_s 는 다음의 계산으로부터 유도될 것이다:
i_s = floor(UE_ID/N) mod Ns
상기 UE 내에 저장된 시스템 정보 DRX 파라미터들은, 상기 DRX 파라미터 값들이 SI에서 변경될 때마다 상기 UE 내에서 국부적으로 업데이트될 것이다. US가 어떤 IMSI도 가지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USIM 없이 비상 호출을 만들 때에, 상기 UE는 상기 PF에서 그리고 i_s 공식들에서 디폴트 신원 (identity)으로서 UE_ID = 0 을 사용할 것이다.
다음의 파라미터들은 PF 및 i_s의 계산을 위해서 사용된다:
- T: UE의 DRX 사이클. T는 상위 레이어들에 의해서 할당된다면 상기 UE 특정 DRX 값 중 가장 짧은 것에 의해서, 그리고 시스템 정보 내 디폴트 DRX 값 브로드캐스트에 의해서 결정된다. UE 특정 DRX가 상위 레이어들에 의해서 구성되지 않는다면, 디폴트 값이 적용된다.
- nB: 4T, 2T, T, T/2, T/4, T/8, T/16, T/32.
- N: min(T,nB)
- Ns: max(1,nB/T)
- UE_ID: IMSI mod 1024.
IMSI 는 정수 유형 (0..9)의 숫자들의 시퀀스로서 주어진다. IMSI는 상기 식 내에서 십진의 정수로서 해석될 것이며, 이 경우에 그 시퀀스 내에서 주어진 첫 번째 자리수는 가장 높은 차수의 숫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IMSI = 12 (digit1=1, digit2=2).
계산들에 있어서, 이것은 "1x16+2 = 18"로가 아니라 십진 정수 "12"로 해석될 것이다.
7.2 서브프레임 패턴들
도 5 참조
도 6 참조
도 5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서브프레임 패턴들을 기술한 3GPP TS36.304의 섹션 7.2 내의 테이블을 전재한 것이다. 도 6은 TDD (Time Division Duplex) 환경에서 모든 UL (Uplink)/DL (Downlink) 구성들을 위한 서브프레임 패턴들을 기술하는 3GPP TS36.304 의 섹션 7.2 내의 테이블을 전재한 것이다. 도 7은 UE에 의해서 지원된 두 개의 측정 갭 패턴 구성들을 기술하는 3GPP TS36.133 의 테이블 8.1.2.1-1을 전재한 것이다.
추가로, 3GPP TS36.331 은 UE용의 특정의 측정 갭 (measurement gap ) 구성을 규정한다:
[0047] In addition, 3GPP TS36.331 specifies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for a UE:
- MeasGapConfig
IE MeasGapConfig 는 측정 갭 구성을 규정하고 그리고 측정 갭들의 셋업 (setup)/릴리즈 (release)를 제어한다.
MeasGapConfig 정보 요소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MeasGap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gapOffset CHOICE {
gp0 INTEGER (0..39),
gp1 INTEGER (0..79),
...
}
}
}
-- ASN1STOP
MeasGapConfig 필드 설명들
gapOffset
gp0 의 값 gapOffset은 MGRP = 40ms인 캡 패턴 Id "0" 의 갭 오프셋 (gap offset)에 대응하며, gp1gapOffset은 MGRP = 80ms인 캡 패턴 Id "1" 의 갭 오프셋에 대응한다. 또한 TS 36.133 [16]에서 정의된 것처럼, 적용될 측정 갭 패턴을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RAN1은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의 D2D 동작들을 위해 UL 스펙트럼을 사용할 것을 동의했다. 3GPP R1-132503 은 네트워크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유보할 것을 제안한다. 3GPP R1-132503 은 (보이스 서비스와 같은) 낮은 레이턴시 트래픽에 대한 나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작은 개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을 인터리브할 것으로 또한 제안한다. 또한, WAN (Wide Area Network) 및 D2D 디스커버리 사이의 조화로운 공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3GPP R1-132503는 eNodeB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 및 PUSCH 전송들 사이의 간섭들을 아마도 피하기 위해서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어떤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도 스케줄해서는 안된다고 단언한다.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을 위한 유사한 제안들이 R2-132526 에서도 또한 제기되었으며, R2-132526 은 셀의 시스템 정보 내에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 구성을 브로드캐스트할 것을 더 제안한다.
상기 두 논문들 (R1-132503 및 R2-132526)은 WAN 업링크 전송들에 대한 D2D 영향들을 주로 논의한다. WAN 다운링크 전송들에 대한 D2D 영향들이 분석되며 그리고 잠재적인 솔루션들은 아래에서 제안된다.
3GPP TS36.304에 따라서, 셀 내의 UE들의 페이징 기간들 (paging occasions)은 UE ID (즉,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내에 저장된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기반으로 하여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비연속 반복) 사이클 (페이징 사이클로도 불린다) 내에 분포된다. 디폴트 페이징 사이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32, 64, 128, 그리고 256 라디오 프레임들. 3GPP R1-132503 은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이 64개의 서브프레임들의 길이 그리고 10초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발생할 것을 제안한다. 이 상황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페이징 사이클 (64개 라디오 프레임들 또는 640 ms) 내에서 부분적인 페이징 기간들과 충돌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서 도시된 예에서, 상기 UE들이 단일의 전송만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어떤 추가의 RF 프론트 엔드도 가지지 않는다면, 셀 내의 UE들의 일부는 페이징 메시지들과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동시에 모니터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UE 행동들은 상술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3GPP R1-132503에서 제안된 것처럼,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64개 서브프레임들의 길이 그리고 10초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반면에 측정 갭들은 6개의 서브프레임들의 갭 길이 그리고 40 또는 80 ms의 갭 주기로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추가로, 갭 주기 내에 UE들을 분배하기 위해서 갭 오프셋은 각 UE에게로 설정된다. UE의 측정 갭들은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과 충돌할 수 있을 것이다.
UE에게 충돌이 발생한다면, 그 UE는 측정들을 수행하고 그리고 D2D 디스커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UE 행동들은 상술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3GPP TS36.331에 따라서, ETWS 통지 및 CMAS 통지는 시간 상 어떤 포인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페이징 메시지는 RRC 아이들 모드 그리고 접속된 모드 내 UE들에게 ETWS 통지 또는 CMAS 통지의 존재에 관해서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UE가 etws-Indication/cmas-Indication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상기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SIB1) 내에 포함된 schedulingInfoList 에 따라 ETWS/CMAS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ETWS 프라이머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0 (SIB10) 내에 포함되며 그리고 ETWS 세컨더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1(SIB11) 내에 포함되며, 반면에 CMAS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2 (SIB12) 내에 포함된다.
ETWS 통지 및 CMAS 통지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과 동시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UE가 단일의 전송을 수신할 수만 있건나 또는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어떤 추가의 RF 프론트 엔드도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 UE는 ETWS/CMAS 통지 및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상황에서, UE 행동들은 상술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충돌이 발생할 때에 셀 내의 부분적인 UE들의 단 하나의 페이징 사이클이 영향을 받을 것이지만, 페이징 메시지가 ETWS/CMAS 통지를 포함할 것이기 때문에 UE가 가능한 빨리 페이징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ETWS/CMAS가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보다 더 중요해야만 하기 때문에, UE의 페이징 기간 (PO)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UE가 페이징 수신을 D2D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보다 더 높게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유리해야만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UE는 페이징 메시지(들)를 모니터하며 그리고 상기 UE의 PO가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상기 UE의 상기 PO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대안으로, 상기 UE는 상기 충돌된 서브프레임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고 그리고 그 UE를 위해서 규정되지 않은 PO로의 페이징 메시지(들) 모니터링은 연기시킨다. 이 옵션을 이용하여, 아이들 (idle) 모드 내의 UE는 시스템 정보 변경 그리고 ETWS/CMAS 통지를 여전히 수신할 수 있을 것이지만, 반면에 상기 UE는 종결 셀을 위한 페이징 정보는 놓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 내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000)이다. 일반적으로, ETWS/CMAS 통지를 운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치명적일 수 있을 활성화된 D2D 디스커버리 기능을 갖춘 D2D-가능 UE가 페이징 메시지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단계 1005에서, 상기 UE는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며, 이 경우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내에 할당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1010에서 보이는 것처럼,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단계 1015에서, UE는 페이징 메시지(들)를 모니터하며 그리고 상기 UE의 페이징 기간 (paging occasion (PO))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상기 UE의 상기 PO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PO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며, 페이징 메시지의 주소를 지정하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의 전송된 P-RNTI (Pagin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그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RRC (Radio Resource Control) 아이들 모드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0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UE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기기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PU (308)는 상기 UE가 페이징 메시지(들)를 모니터하며 그리고 상기 UE의 페이징 기간 (paging occasion (PO))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상기 UE의 상기 PO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CPU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PU는 상기 UE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들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CPU (308)는 상기-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정 갭들은 인터-주파수 및/또는 인터-RAT 측정들을 위해 UE로 설정되며 그리고 이 측정들의 결과들은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서 사용된다. UE가 UE-관심대상 파티들을 찾기 위해서 다음의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 주기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여전히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UE가 D2D 디스커버리를 능가하는 우선순위를 측정들에게 부여하는 것이 이동성 강건함 (mobility robustness)의 면에서 유리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UE는 측정을 수행하며 그리고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그 측정 갭 동안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100)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D2D 디스커버리 기능을 구비한 UE의 이동성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또는 그 이동성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단계 1105에서, 상기 UE는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며, 이 경우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내에 할당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110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단계 1115에서, 상기 UE는 UE로의 측정 갭들을 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대안으로 단계 1115는 단계 1110 이전에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120에서, 상기 UE는 측정을 수행하며 그리고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그 측정 갭 동안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RC 메시지는 갭 오프셋 그리고 갭 패턴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단계 112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켜 상기 UE가 (i) 상기 UE로의 측정 갭들을 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ii) 측정을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측정 갭이 어떤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그 측정 갭 동안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CPU는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PU는 상기 UE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CPU (308)는 상기-설명된 행동들 모두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된 단계들 또는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ETWS/CMAS 통지가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보다 더욱 중요해야 하기 때문에, ETWS/CMAS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ETWS/CMAS 통지 수신에게 부여하는 것이 유리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UE는 ETWS/CMAS 통지를 수신하며 그리고 ETWS/CMAS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ETWS 프라이머리 통지 그리고 ETWS 세컨더리 통지를 포함하는 두 개 카테고리의 ETWS 통지들이 존재한다. ETWS 프라이머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0 (SIB10) 내에 포함되며 그리고 ETWS 세컨더리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1(SIB11) 내에 포함되며, 반면에 CMAS 통지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2 (SIB12) 내에 포함된다. 또한, UE가 etws-Indication 또는 cmas-Indication을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면, 상기 UE는 SystemInformationBlockType1 (SIB1) 내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 목록에 따라서 상기 ETWS 통지 또는 CMAS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시작한다.
게다가, UE가 시스템 정보 수정 (Info Modification)을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의 수신으로 인한 D2D 디스커버리 신호 수신보다 다른 SIB 유형들을 수신하는 것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1200)이다.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D2D 디스커비리 기능을 갖춘 D2D-가능 UE가 상기 ETWS/CMAS 통지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상기 UE는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 내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며, 이 경우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내에 할당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1210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단계 1215에서, 상기 UE는 시스템 정보 블록 (SIB)을 수신하며 그리고 그 SIB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SIB는 ETWS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통지 또는 CMAS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통지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단계 11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UE는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한다.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PU (308)는 상기 UE가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SIB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CPU (308)는 상기 UE에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에 상기 UE가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PU (308)는 상기 UE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CPU (308)는 상기에서 설명된 행동들과 단계들 모두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할 수 있다.
개시의 다양한 모습들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여기에서의 교시들은 아주 다양한 형상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여기에서 개시된 어떤 특수한 구조, 기능, 또는 둘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것이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은 어떤 다른 모습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이런 모습들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여기에서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 제시된 여러 모습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방법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여기에서 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이 아닌 또는 그에 추가한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와 기능성을 이용하여 그런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그런 방법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념들 중 몇몇의 예로서,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반복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는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의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그리고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동시 발생 채널들이 설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테크놀러지들 및 기술들 중의 어떤 것을 이용하여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을 통해서 참조될 수 있을 데이터, 명령어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그리고 칩들 (chips)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 파형들, 자기장 또는 입자들, 광학 장들 (optical fields) 또는 입자들, 또는 그것들의 어떤 조합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실례의 논리적인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그리고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예를 들면, 소스 코딩 또는 몇몇의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을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두 가지의 조합), 다양한 형상의 프로그램들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이는 여기에서 편의를 위해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둘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런 교체성을 명료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그리고 단계들이 그것들의 기능성의 면에서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런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가의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 상에 부과된 설계 제한들 그리고 특정한 응용에 달려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상기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런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초래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로,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인 블록들, 모듈들, 그리고 회로들은 집적 회로 (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그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IC는 여기에서 설명된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반도체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분리된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분리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적인 컴포넌트들, 광학 컴포넌트들, 기계적인 컴포넌트들, 또는 상기 것들의 어떤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IC 내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둘 모두에 존재하는 명령어들 또는 코드들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어떤 전통적인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스테이트 머신일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기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어떤 다른 그런 구성으로 또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개시된 프로세스 내 단계들의 어떤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접근 방식의 일 예이다. 설계 선호도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들 내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본 발명 개시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재배치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예시 순서 내에서의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제시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개시된 모습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듈 (예를 들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부착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서 알려진 컴퓨터-독출가능 저장 매체의 어떤 다른 형상 내에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샘플의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컴퓨터/프로세서 (이는 편의를 위해서 여기에서는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와 같은 머신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 (예를 들면, 코드)를 읽을 수 있고 그리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쓸 수 있도록 한다. 샘플의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ASCI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ASIC은 사용자 장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에서, 상기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 내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몇몇의 모습들에서 어떤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개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습들에 관련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독출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모습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모습들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의 수정들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은 본 발명의 원칙들을 일반적으로 따르는 본 발명의 어떤 변이들, 사용들 또는 적응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내에서 알려진 그리고 관습적인 실행 내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본 발명 개시로부터의 그와 같은 이탈들을 포함한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에서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활성화되며, 상기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은:
    상기 UE가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SIB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은,
    상기 UE가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은,
    상기 UE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SIB를 포함하며,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 할당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내에 할당된,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B는 지진 및 쓰나미 경보 시스템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ETWS)) 통지 또는 상업적인 모바일 경보 서비스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CMAS)) 통지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에서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활성화되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된 프로세서;
    상기 제어 회로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UE가: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SIB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프레임이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과 충돌한다면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를 모니터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통신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상기 UE가: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상기 UE에서 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에서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시작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이후에 D2D 디스커버리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통신 디바이스.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어 상기 UE가:
    셀에 의해서 브로드캐스트된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SIB를 포함하며, 상기 D2D 디스커버리 리소스들 구성은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D2D 디스커버리를 위해서 할당된 리소스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내에 할당된, D2D 디스커버리 지원 통신 디바이스.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IB는 지진 및 쓰나미 경보 시스템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ETWS)) 통지 또는 상업적인 모바일 경보 서비스 (Commercial Mobile Alert Service (CMAS)) 통지를 포함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통신 디바이스.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2D 디스커버리 서브프레임들은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D2D 디스커버리 지원 통신 디바이스.
KR1020140131336A 2013-10-04 2014-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1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6850P 2013-10-04 2013-10-04
US61/886,850 2013-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221A KR20150040221A (ko) 2015-04-14
KR101719121B1 true KR101719121B1 (ko) 2017-03-23

Family

ID=5166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336A KR101719121B1 (ko) 2013-10-04 2014-09-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50098414A1 (ko)
EP (3) EP2887711B1 (ko)
JP (2) JP2015076886A (ko)
KR (1) KR101719121B1 (ko)
CN (2) CN107734490B (ko)
ES (1) ES2929142T3 (ko)
TW (1) TWI5666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1776B2 (ja) * 2013-08-07 2019-04-1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り当て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50089382A1 (en) * 2013-09-26 2015-03-26 Wu-chi Feng Application context migration framework and protocol
CN110536485B (zh) * 2013-09-27 2022-12-23 Sk电信有限公司 支持双连接的用户设备
JP6183148B2 (ja) * 2013-10-24 2017-08-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2163480B1 (ko) * 2013-12-12 2020-10-0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 탐색 자원 할당을 위한 단말 간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US10791476B2 (en) 2013-12-12 2020-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7073B2 (en) * 2014-01-30 2018-01-09 Intel IP Corporation Measurement gap repetition patterns for inter-frequency offloading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ES2904452T3 (es) * 2014-01-31 2022-04-05 Ericsson Telefon Ab L M Mediciones de asistencia en pequeñas celdas con un esquema de encendido/apagado
EP3108709B1 (en) * 2014-02-20 2018-04-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figuring physical channel resources for sounding or discovery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992744B2 (en) * 2014-02-24 2018-06-05 Intel Corporation Mechanisms to optimize and alig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of device to-device capable user equipment
WO2015130005A1 (ko) * 2014-02-2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Fdd 반이중 통신에서 pdcch 모니터링 방법 및 그 단말
US9888519B2 (en) * 2014-03-24 2018-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2D transmission in connected state
US20160014794A1 (en) * 2014-07-08 2016-01-1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6321810B2 (ja) * 2014-08-08 2018-05-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方法、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KR101893313B1 (ko) * 2014-08-11 2018-08-29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D2d 및 셀룰러 동작
US20170245319A1 (en) * 2014-10-17 2017-08-24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EP3211816B1 (en) * 2014-10-21 2023-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706591B2 (en) * 2014-11-05 2017-07-11 Intel Corporation Device to-device (D2D) transmit behavior
JP6276415B2 (ja) * 2014-11-07 2018-02-07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9807713B2 (en) * 2014-11-14 2017-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in communications networks
CN107925897B (zh) * 2015-08-07 2022-02-01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测定方法以及电气电路
US10448237B2 (en) 2015-10-05 2019-10-15 Intel IP Corporation RRM requirement for D2D inter-carrier discovery gap
CN111629327B (zh) * 2015-11-12 2022-08-23 索尼公司 电信设备和方法
CN106817745B (zh) * 2015-12-01 2019-12-20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dmo用户设备寻呼与反馈方法
US11172389B2 (en) * 2016-03-31 2021-11-09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JP6733946B2 (ja) 2016-08-11 2020-08-05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通信方法、装置、及びデバイス
IL267721B2 (en) * 2016-12-30 2023-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JP6840857B2 (ja) * 2017-03-23 2021-03-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下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ユーザ機器
US20180332537A1 (en) * 2017-05-10 2018-11-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monitoring in discovery periods
US10764776B2 (en) * 2017-11-10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gap enhancements for BL/CE UEs
KR102075016B1 (ko) * 2018-02-14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위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3260024B (zh) * 2020-02-10 2022-08-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非连续接收定时器管理方法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68B1 (ko) 2007-07-10 2012-06-1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에서 피어의 페이징
US20130083779A1 (en) 2011-09-30 2013-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47642B (zh) * 2007-02-14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安全邻居发现方法、网络设备和移动台
JP2009111630A (ja) * 2007-10-29 2009-05-21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CN104618880B (zh) * 2008-06-20 2018-04-1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一种wtru、方法和基站
US9350501B2 (en) * 2009-04-28 2016-05-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554013B1 (en) * 2010-03-30 2019-07-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discovery through beaconing
US8868743B2 (en) * 2010-04-30 2014-10-21 Sharp Kabushiki Kaisha Modified access class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evices during emergencies
US8744458B2 (en) * 2010-11-19 2014-06-03 Nokia Corporation Signaling mixed resource allocations for D2D communications
EP3522579B1 (en) * 2011-02-14 2021-0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system
EP2715981B1 (en) * 2011-06-01 2018-11-28 NTT DoCoMo, Inc.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WO2013012222A2 (ko) * 2011-07-21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기기들 사이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기기
US20130029712A1 (en) * 2011-07-26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ervice discovery and channel access control for proximity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US9467930B2 (en) * 2011-08-16 2016-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9253713B2 (en) * 2011-09-26 2016-02-0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mall cell discovery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GB2496153B (en) * 2011-11-02 2014-07-02 Broadcom Corp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3074463A1 (en) * 2011-11-14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Transmission of device to device sounding reference signals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US9084180B2 (en) * 2011-12-14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and paging messages
GB2497740B (en) * 2011-12-19 2013-12-11 Renesas Mobile Corp Method,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CN104012012A (zh) * 2011-12-20 2014-08-27 Lg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邻近服务的网络发起的控制方法和装置
US9036546B2 (en) * 2012-01-04 2015-05-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discover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US9214988B2 (en) * 2012-02-06 2015-1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er communications using an active communication mode
CN102547984B (zh) * 2012-02-23 2015-03-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到设备通信中寻呼的方法及装置
US20130229931A1 (en) * 2012-03-02 201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managing terminal performed in base station and terminal
KR101932984B1 (ko) * 2012-03-02 2018-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WO2013137424A1 (ja) * 2012-03-16 2013-09-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CN103327568B (zh) * 2012-03-21 2016-12-1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资源分配消息发送方法、设备发现方法及相关设备
CN108923897A (zh) * 2012-05-25 2018-11-30 谷歌技术控股有限责任公司 减少通信设备经历的干扰的影响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US9641995B2 (en) * 2012-06-15 2017-05-02 Lg Electronics Inc. User equipment detection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028204B2 (en) * 2012-08-24 2018-07-17 Blackberry Limited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rich communication service context
CN102857901A (zh) * 2012-09-12 2013-0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的发现、发现处理方法及装置
US20140094212A1 (en) * 2012-09-28 2014-04-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device to device discovery and apparatus thereof
CN103024911A (zh) * 2012-11-30 2013-04-03 北京邮电大学 蜂窝与d2d混合网络中终端直通通信的数据传输方法
CN103229582B (zh) * 2012-12-24 2017-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竞争的方法、利用资源竞争的方法及其装置
KR101691448B1 (ko) * 2012-12-31 2016-12-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398438B2 (en) * 2013-05-10 2016-07-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DD configuration for D2D open discovery
US20150043446A1 (en) * 2013-08-12 2015-02-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device to device and lte wan communication using single communication chain
US9369961B2 (en) * 2014-06-05 2016-06-14 Sony Corporation User equipment,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n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us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68B1 (ko) 2007-07-10 2012-06-1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에서 피어의 페이징
US20130083779A1 (en) 2011-09-30 2013-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9433A1 (en) 2015-06-03
EP2887711A3 (en) 2015-11-18
EP2879458A1 (en) 2015-06-03
CN107734490A (zh) 2018-02-23
EP2887711A2 (en) 2015-06-24
US20150099503A1 (en) 2015-04-09
KR20150040221A (ko) 2015-04-14
CN104519474A (zh) 2015-04-15
JP6161746B2 (ja) 2017-07-12
TWI566636B (zh) 2017-01-11
ES2929142T3 (es) 2022-11-25
TW201515504A (zh) 2015-04-16
US20150098416A1 (en) 2015-04-09
JP2016116241A (ja) 2016-06-23
CN107734490B (zh) 2020-12-01
EP2887711B1 (en) 2022-07-27
US20150098414A1 (en) 2015-04-09
JP2015076886A (ja)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1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d2d) 디스커버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85710B2 (en) Configurations for small data transmission
US118641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paging colli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5301147B9 (en) Ran procedures for Extend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N105794262B (zh) 用于多信号在多用频率频谱中共存的系统、方法和设备
CN111373825A (zh) 针对ue功率节省的唤醒信号操作
EP3010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source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14215A1 (ja) 通信システム
TW201933817A (zh) 在nr中傳呼及l1行動裝置及系統
EP2919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iscovery resource poo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928253A1 (en) Allocation of resources for concurrent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sessions to a wireless device
WO2010150493A1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2189367B (zh) 在新无线电非授权网络中配置备用寻呼机会的方法及用户设备
KR20180104017A (ko) 시스템 메시지 처리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사용자 기기
CN114424627A (zh) 多通用用户标识模块(musim)用户设备(ue)的处理寻呼和系统信息(si)的方法和装置
CN114175816A (zh) 指示缺乏用于传输的数据的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