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746B1 -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746B1
KR101718746B1 KR1020157010510A KR20157010510A KR101718746B1 KR 101718746 B1 KR101718746 B1 KR 101718746B1 KR 1020157010510 A KR1020157010510 A KR 1020157010510A KR 20157010510 A KR20157010510 A KR 20157010510A KR 101718746 B1 KR101718746 B1 KR 10171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pressure
double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092A (ko
Inventor
가호루 니이미
마코토 이네나가
다카히사 우치다
료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09J2201/13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이고, 또한, 하기 (1) 및 (2)의 물성을 충족시키는,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 (1)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어 압착하고,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5.0N/cm 이상이다. (2)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어 압착한 후, 온도 60℃,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15시간 보관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4.0N/cm 이하이다.

Description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PEEL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REPEELING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컴퓨터, 모바일 단말(PDA), 게임기, 텔레비전(TV), 카 내비게이션, 터치 패널, 펜 타블렛 등과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를 첩합(貼合)하는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첩착(貼着)한 후에 박리할 수 있는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당해 양면 점착 시트의 재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기 위해, LCD, PDP 또는 EL 등의 화상 표시 패널과, 이의 전면측(시인측)에 배치하는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 사이의 공극을, 점착 시트나 접착제 등으로 충전하여, 입사광이나 표시 화상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공기층 계면에서의 난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점착 시트로 첩합하여 일체화하는 경우, 첩합 작업시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거나, 기포나 이물 등을 끌어들이는 등의 작업 실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실수를 수정하기 위해, 첩착한 후에 박리할 필요가 생기거나, 화상 표시 장치를 파기할 때에 일부의 부재(예를 들면, 화상 표시 패널 등)를 재이용하기 위해 박리할 필요가 생기거나 하는 등, 이러한 종류의 목적에 사용되는 점착재에는 첩착한 후에 박리할 수 있는 재박리성(「리워크성」이라고도 불린다)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투명 기재의 한쪽 면에 터치 패널측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다른쪽 면에 표시 장치측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또한 터치 패널과 함께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재박리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측 투명 점착제층의 180°필 점착력을, 표시 장치측 투명 점착제층의 그것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터치 패널과 함께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재박리 가능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의 표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대해 재박리 가능해지도록 구성되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로서, 표시 장치측 점착제층의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대한 점착력을, 터치 패널측 점착제층의 터치 패널의 첩착면에 대한 점착력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발휘되는 재박리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재박리성과, 박리나 발포의 발생 등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양립할 수 있는 새로운 양면 점착 시트로서, 표면측 점착제층 및 이면측 점착제층 외에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갖는 다층 양면 점착 시트로서,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당해 변형에 의해 당해 중간층과 다른 층이 박리 가능해지는 변형 박리층인 구성을 구비한 다층 양면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389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17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02369호
종래 개시되어 있던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는, 재박리성을 갖게 하기 위해, 적어도 한쪽 점착면의 박리력을 저하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당해 첩착면의 계면에서 발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로서, 게다가, 첩착 계면에서의 발포를 발생시키지 않는 내발포 신뢰성을 구비한, 새로운 재박리성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양면 점착 시트가, 내발포성을 구비하면서 재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피착체로의 첩합시에는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고, 피착체로부터의 재박리가 필요할 때에 점착력이 저하되는 성질을 구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생각에 기초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충분한 피착체로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 가습·흡습에 의해 접착력 제어되는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이나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재 첩합후의 내발포성과 재박리성을 겸비하는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 가능하고, 또한, 하기 (1) 및 (2)의 물성을 충족시키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를 제안하는 것이다.
(1)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一面)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兩者)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5.0N/cm 이상이다.
(2)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60℃,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15시간 보관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4.0N/cm 이하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면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이,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 가능하고, 또한, 상기 (1) 및 (2)의 물성을 충족시킴으로써, 피착체로의 첩합시에는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고, 피착체로부터의 재박리가 필요할 때에는, 가습·흡습시킴으로써 접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재 첩합후의 내발포성과 재박리성을 겸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여지가 남아 있기 때문에, 피착체와의 첩합후에,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당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 첩합후의 경화에 의해 우수한 내발포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즉, 첩합후에 2차 경화시킴으로써,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 높아져, 피착 계면으로의 투묘(投錨) 효과도 수득되기 때문에, 2개의 피착체를 보다 단단하게 붙일 수 있어, 우수한 내발포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때, 점착제층의 베이스 중합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2질량% 이하로 한 것에 의해, 점착제층은 재박리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즉, 아크릴산과 같은 고극성, 고친수성의 단량체 성분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함유시키지 않음으로써, 베이스 중합체 자신이 소수성이 되어, 가습 환경하에서 내재시킨 과포화 수증기를 방출하고자 하는 작용이 발휘되어, 피착 계면에 수분을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습 환경하에서 흡습시킴으로써, 접착력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박리성 양면 점착 시트>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양면 점착 시트(이하, 「본 점착 시트」라고 칭한다.)는,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이고,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하는 것이 가능한 B 스테이지 상태의 점착제층 A를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이다.
여기서, B 스테이지 상태란, 접착성 내지 점착성을 갖는 수지의 경화 중간 상태를 의미하고, 그 상태에서 필름상 내지 시트상을 유지할 수 있고, 가열 또는 광조사하면 더욱 경화(가교)시킬 수 있어, 접착성이 높은 상태로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점착제층 A>
점착제층 A는,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경화성 또는 가교성 재료, 가교 개시제, 반응 촉매 등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가교)시켜 형성되는 B 스테이지 상태의 점착층이다.
베이스 중합체란, 점착제층 A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중에서 주(主)가 되는 수지 성분을 의미한다. 베이스 중합체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층 A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의 50질량% 이상, 특히 70질량% 이상, 이 중에서도 90질량% 이상(100% 함유한다)을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베이스 중합체가 2종류인 경우에는, 각 베이스 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25질량% 이상, 특히 35질량% 이상, 이 중에서도 45질량% 이상(50질량% 함유한다)을 차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베이스 중합체)
점착제층 A에 있어서의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즉,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성분으로서, 알킬기가 n-옥틸, 이소옥틸, 2-에틸헥실, n-부틸, 이소부틸,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중 어느 하나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의 1종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타 성분으로서, 카복실기, 수산기, 글리시딜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불소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거나, 또는,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과, 아세트산비닐을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을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실온에서 중합체에 점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바람직할 뿐 아니라, 비교적 Tg가 높기 때문에,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유연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아크릴산 등을 제거해도 응집력이 부족해서 지나치게 유연하여 흐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아세트산비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호모 단량체의 Tg가 20℃ 이상인 단량체 성분이기 때문에, 상온 영역에서의 겉보기 응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단량체를 사용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이 채용 가능하고, 그 때에 중합 방법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단, 점착제층 A의 베이스 중합체인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는,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2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층은 가습 환경하에서 흡습하여, 재박리성을 발현할 수 있다. 즉, 아크릴산과 같은 고극성, 고친수성의 단량체 성분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중합체 자신이 소수성이 되어, 가습 환경하에서 내재시킨 과포화 수증기를 방출하고자 하는 작용이 발휘되기 쉬워, 피착 계면에 수분이 집중되기 때문에, 접착력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은 2질량% 이하, 즉 0질량% 이상 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중에서도 0.05질량% 이상 또는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질량% 이상 또는 1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 정의되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30℃ 이상 10℃ 이하이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70만이고, 또한,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호모 단량체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20℃ 이상인 단량체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소량 함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사용량을 저감시키면, 응집력이 떨어져 점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Tg 및 분자량과, 단량체 성분의 Tg가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응집력을 높여 점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 정의되는 Tg가 -30 내지 10℃의 범위에 있으면, 점착 시트로서 적당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 정의되는 Tg는 -3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28℃ 이상 또는 5℃ 이하, 그 중에서도 -25℃ 이상 또는 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Tg가 20℃ 이상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더욱 적당한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 성분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Tg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 200℃ 이하, 그 중에서도 1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Tg가 20℃ 이상인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메트)아크릴레이트, 4-에톡시화쿠밀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올(메트)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아크릴레이트, 세틸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톨루일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2-나프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카보닐페닐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노닐페놀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4-tert-부틸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 정의되는 유리 전이 온도(Tg)는, 이것을 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크릴 단량체나 메타크릴 단량체의 종류, 조성 비율, 또한 중합 조건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 정의되는 유리 전이 온도(Tg)는, 점탄성 측정 장치, 예를 들면, 레오메트릭스사 제조의 점탄성 측정 장치「다이나믹애널라이저-RDAII」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 때, Tg는 패러렐 플레이트 25mmφ, 변형 0.5%, 주파수 1Hz로 측정했을 때의 Tanδ의 극대값을 나타내는 온도를 읽어내면 된다.
한편,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법으로 구해지는 Tg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예를 들면, 파킨엘머 제조 Pyris1DSC)를 사용하여, 시료를 질소 분위기하 승온 속도 10℃/min으로 승온시키고, 수득된 DSC 곡선의 베이스 라인과 변곡점에서의 접선이 교차하는 온도를 읽어내면 된다.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70만이면, 박리시의 점성 파괴나 점착(tack) 부족을 없앨 수 있어, 접착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내지 7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수산기 및/또는 알킬렌옥사이드기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및/또는 알킬렌옥사이드기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함으로써, 본 점착 시트는 우수한 재박리성을 발현할 수 있다. 즉, 수산기 및/또는 알킬렌옥사이드기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친수성 단량체이기 때문에, 소수성 중합체인 베이스 중합체와의 조성물 중에 있어서 표면으로 배향하기 쉽고, 친수성기가 피착 표면측에 경사 구조를 취함으로써, 가습 환경하에서 과습시킨 수분이 보다 피착 계면에 집중되기 쉬워져, 재박리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단량체를 첨가함으로써 조성물 전체의 투습성을 부여하여, 습열 백화 억제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수산기 및/또는 알킬렌옥사이드기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노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친수성기가 피착 표면측에 경사 구조를 취할 때에, 표면(계면)에 극박(極薄)으로도 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소량 들어가 있으면 좋고, 지나치게 많으면, 단량체의 영향으로 점착 물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러한 관점에서, 점착제층 A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의 함유량은,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0.05 내지 3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0.1질량부 이상 또는 20.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1.0질량부 이상 또는 1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성 또는 가교성 재료 등)
점착제층 A는, 필요에 따라, 경화성 또는 가교성 재료로서, 유리기 중합,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개환 중합,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음이온 중합, 또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 가교 가능한,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또는 기타 유기 관능성 폴리실록산 수지의 1개 이상을 배합해도 좋다.
열경화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유기 과산화물이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이나 아민 화합물 등의 열경화제 등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경화시키기 위해서는, 광개시제로서, 개열형 광개시제 및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좋고, 양자를 병용해도 좋다.
개열형 광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아세트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2-에틸안트라퀴논, 티옥산톤이나 이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단, 광개시제로서 상기에 열거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을 B 스테이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베이스 중합체에 대해, 상기 열경화제와 광개시제를 병용하고, 열경화에 의해 점착층을 1차 가교하여 점착층에 광경화성을 남김으로써 B 스테이지 상태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반응성을 남기도록, 점착층의 구성 성분인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점착 조성물을 자외선으로 1차 가교시켜, B 스테이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분자간 수소 인발형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면, 1차 가교시의 UV 조사에 의해 여기된 개시제 중 가교 반응에 기여하지 않은 것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개시제로서 이용 가능해지기 때문에, 분자내 개열형의 광중합 개시제와 비교하여 자외선에 의해 조성물을 1차 경화한 후에도 계 중에 활성종으로서 잔존하기 쉽고, 또한 가교(2차 경화)시킬 때의 반응 개시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소 인발형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혼합량은, 중합 반응성이나 수득되는 점착재층의 점착 물성 및 투명성을 고려하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질량부, 특히 0.5질량부 이상 또는 5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0.8질량부 이상 또는 3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제층의 적합한 일례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0.05 내지 30.0질량부 함유하고, 또한, 분자간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를 0.1 내지 10질량부 함유하는 구성예를 들 수 있다.
(기타 성분)
점착제층 A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근적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안료나 염료 등의 색소,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흡습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유리 섬유나 유리 비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점착제층 A의 물성)
점착제층 A는, 하기 (1) 및 (2)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5.0N/cm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물성 (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점착제층 A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충분한 피착체로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60℃,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15시간 보관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4.0N/cm 이하인 것이 중요하고, 이 중에서도 3.0N/cm 이하, 그 중에서도 2.0N/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성 (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점착제층 A가 가습·흡습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점착 시트가, 상기 물성 (1) 및 (2)를 만족시키는 점착제층 A를 구비하고 있으면, 피착체로의 첩합시에는 충분한 점착력을 가지며, 피착체로부터의 재박리가 필요할 때에는, 가습·흡습에 의해 점착력을 저하시켜 재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나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재 첩합후의 내발포성과 재박리성을 겸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성>
본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 A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점착 시트라도 좋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 A와 다른 점착제층 B를 구비한 다층 구성의 점착 시트라도 좋다.
상기 점착제층 A와 다른 점착제층 B를 구비한 다층 구성의 점착 시트의 경우,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점착제층 B는, 임의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가교)시켜 형성되는 B 스테이지 상태의 점착층이면 좋다.
점착제층 A와 같은 조성 및 물성이라도 좋고, 점착제층 A와는 상이한 조성 및 물성이라도 좋다.
(제조 방법)
본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베이스 중합체로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선택하고, 가교제 및 반응 개시제 또는 반응 촉매 등을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이형 필름 위에 목적의 두께가 되도록 막을 제조하고, 직접 또는 이형 필름을 개재하여, 가열 건조 또는 자외선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점착층 A, 또는 점착제층 B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자외선의 조사시에, 단량체 및 광개시제의 양에 따라 조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탄성율을 수득할 수 있다.
<용도>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를, 본 점착 시트로 충전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점착 내지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판상 부재끼리를 첩착할 때, 첩합 계면에 기포가 물려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본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판상 부재끼리를 첩합할 때에는,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하여 잔류 기포를 점착 시트에 일단 용해시키도록 하여 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박리 방법)
그리고 이 때, 상기의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즉,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를 본 점착 시트로 충전하고, 예를 들면,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를 경화시킨 후, 가습 환경하에서 당해 양면 점착 시트를 흡습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부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재박리라고 한다)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를 재박리시키기 위한 가습 환경으로서는, 온도는 40 내지 90℃, 이 중에서도 50℃ 이상 또는 85℃ 이하이고, 습도는 70 내지 100%RH, 이 중에서도 80%RH 이상 또는 95%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점착 시트를 상기의 가습 환경하에 보존하는 시간은 1 내지 100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2시간 이상 또는 80시간 이하, 그 중에서도 3시간 이상 또는 50시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어구의 설명 등)
일반적으로「시트」란, JIS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이의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하고, 일반적으로「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은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한다(일본공업규격 JISK6900).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라도「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라도「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보호 패널 등과 같이「패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 판체,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X 내지 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라는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또는「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라는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X 이상」(X는 임의의 숫자)이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는 뜻을 포함하고,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는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부틸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 30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40만,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부터 구해지는 Tg -20℃) 1kg에 대해, 4-메틸벤조페논을 30g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로 이형 PET(다이아호일 MRA 100)에 두께 150㎛가 되도록 도포한 후, 이형 PET(다이아호일 MRF75)를 피복하였다.
이형 PET를 개재한 양 표면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100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점착 시트 1을 제작하였다. 이 때, 자외선 반응성을 남기도록, 자외선 적산 광량을 조정하였다.
<실시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DSC법으로 구해지는 Tg 31℃) 29질량부와, 아크릴산 1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50만, 동적 점탄성의 Tanδ 피크 온도로부터 구해지는 Tg -17℃)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 2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베이스 중합체 1kg에 대해,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니치유 제, 브렌머-AE200) 30g, 4-메틸벤조페논 20g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 3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사용한 베이스 중합체 1kg에 대해,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쿄에샤가가쿠사 제조 라이트에스테르 HOP-A(N)) 10g, 4-메틸벤조페논 20g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 3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 16질량부와,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 35만)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여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 4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부틸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와, 에틸아크릴레이트 27질량부와, 아크릴산 2질량부와,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용액(고형분 30%) 1kg에, 경화제로서 에폭시 수지(소켄가가쿠사 제조 E-5XM) 1.0g,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5g(소켄가가쿠사 제조 L-45)을 혼합 교반하여 점착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이형 PET(다이아호일 MRA100) 위에 건조후의 두께가 100㎛가 되도록 부형·건조시키고, 표면에 이형 PET(다이아호일 MRF75)를 피복하였다.
상기 적층체를, 정상적인 상태 23℃, 40%RH로 1주간 보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점착 시트 5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헥사메틸렌폴리카보네이트디올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한 프레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키고, 말단에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베이스 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kg에 대해, 폴리에스테르폴리올(아라카와가가쿠(주) 제조 아라키드 7018) 300g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DIC바이엘폴리머(주) 제조 판텍스 T5205) 400g, 광중합 개시제(BASF사 제조 달로큐어TPO) 10g을 균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이형 PET(다이아호일 MRA100)에 두께가 150㎛가 되도록 부형한 후에 이형 PET(다이아호일 MRF75)를 피복하여 열가소성 접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부틸아크릴레이트 95질량부와 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5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용액(고형분 15%) 1kg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소켄가가쿠사 제조 TD75) 0.4g을 혼합하여 수득한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같이 하여 점착 시트 6을 제작하였다.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점착 시트를,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접찹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한 점착 시트의 한쪽의 이형 PET 필름(다이아호일 MRF75)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에, 배접 필름으로서 두께 50㎛의 PET 필름(다이아호일 T100, 50㎛)을 첩합하여 적층품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한 적층품을 길이 150mm, 폭 10mm로 재단한 후, 남는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라임 유리(85mm×55mm×두께 0.5mm)에 포개고, 1kg의 핸드 롤러를 1왕복시켜 롤 압착하여 롤 첩합후 적층품을 수득하였다. 이 롤 첩합후 적층품을,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하고 양생시켜 박리력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의 접착 시트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작성한 롤 첩합후 적층품을 85℃에서 10분 가열하여 접착 수지를 용융시키고, 추가로 365nm의 적산 광량이 20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하고 양생시켜 박리력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박리력 측정 샘플을,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N/cm)을 측정하였다(표 1의「가습전의 유리 접착력」).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한 박리력 측정 샘플을, 온도 60℃, 상대 습도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15시간 보관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의 박리력(N/cm)을 측정하였다(표 1의「가습후의 유리 접착력」).
(리워크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한 점착 시트를 80mm×50mm로 재단하고, 당해 점착 시트의 한쪽의 박리 PET 필름(다이아호일 MRF75)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라임 유리(85mm×55mm×두께 0.5mm)에 포개어, 1kg의 핸드롤러를 1왕복시켜 롤 압착하고, 이어서, 남는 박리 필름(다이아호일 MRA100)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에, 상기와 같은 소다라임 유리를, 진공 첩합기를 사용하여 감압하(절대압 5kPa)에서, (프레스 압력 0.45MPa) 프레스 첩합하여 프레스 첩합후 적층품을 수득하였다. 이 프레스 첩합후 적층품에 오토클레이브 처리(60℃, 0.3MPa, 30분)를 실시하고,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의 접착 시트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이 작성한 마무리 첩착 적층체를 85℃에서 10분 가열하여 접착 수지를 용융시키고, 또한 365nm의 적산 광량이 20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시켜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측정 샘플을, 온도 60℃, 상대 습도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소다라임 유리와 점착 시트의 점착 계면에, 주연부(周緣部)로부터 폴리프로필렌제의 쐐기를 삽입하고, 주연으로부터 서서히 박리하였다. 그 때, 소다라임 유리와 점착 시트가 분리 가능한 것을「○」, 소다라임 유리와 점착 시트를 분리할 수 없거나 또는 유리가 균열된 것을「X」라고 판정하였다.
(내발포 신뢰성)
실시에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를 80mm×50mm로 재단하고, 당해 점착 시트의 한쪽의 이형 PET 필름(다이아호일 MRF75)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라임 유리(85mm×55mm×두께 0.5mm)에 포개고, 1kg의 핸드롤러를 1왕복시켜 롤 압착하고, 이어서, 남는 박리 필름(다이아호일 MRA100)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면에 제오노아 필름(두께 100㎛)을 첩착하여 적층하고, 롤 첩합후 적층품을 수득하였다. 이 롤 첩합후 적층품에, 오토클레이브 처리(60℃, 0.3MPa, 3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적층품을 제작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의 접착 시트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이 제작한 마무리 첩착 적층체를 85℃에서 10분 가열하여 접착 수지를 용융시키고, 또한 365nm의 적산 광량이 2000mJ/㎠가 되도록, 유리면측으로부터 유리를 개재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마무리 적층품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마무리 적층품을,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하고 양생시켜, 평가용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이 평가용 적층체에, 85℃, 6시간의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 외관을 관찰하였다. 그 때, 변화없는 것을 「○」, 적층체에 발포 또는 박리가 나타난 것을「X」라고 판정하였다.
Figure 112015039481252-pct00001
실시예 1 내지 4는, 가습에 의해 접착력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착 부재에 일단 첩합한 후에도, 점착층을 흡습시킨 상태로 하면, 부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점착층이 필요한 접착력이나 응집력을 유지하고 있고, 환경 시험하에서 아웃 가스의 가스압에 약해서 박리나 발포하지 않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은, 고극성 성분인 아크릴산을 고농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력은 흡습후에도 높은 값을 유지하고 있어, 리워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1의 접착력은, 극성 성분 유래의 수소 결합에 의한 응집력의 기여가 크고, 고온 영역에서는 수소 결합의 기여가 상실되어 응집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고온하의 환경 시험하에서는 부재로부터 휘발 발생하는 아웃 가스의 가스압에 견디지 못하고 발포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는, 열 또는 습기로 경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응집력이 높아, 신뢰성은 수득되지만, 리워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은, 접착 수지이기 때문에 고접착 강도가 수득되는 한편, 경화시킨 후의 분리는 용이하지 않아, 리워크는 곤란하였다. 또한, 핫멜트 수지이기 때문에, 접착시키기 위한 전처리가 번잡하여 작업성,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비교예 4는, 초기의 접착력을 억제한 미점착(微粘着) 시트이기 때문에, 첩합후의 분리는 가습할 필요없이 가능하여, 리워크 작업성은 우수하지만, 밀착성이 떨어져 발포 신뢰성이 수득되지 않았다.

Claims (10)

  1.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한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을 2질량% 이하로 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접착성 내지 점착성을 갖는 수지의 경화 중간 상태이고, 가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있고, 또한, 하기 (1) 및 (2)의 물성을 충족시키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하는, 재박리 가능한 양면 점착 시트.
    (1)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一面)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兩者)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5.0N/cm 이상이다.
    (2)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포개고, 1kg의 롤러를 1왕복시켜 양자를 압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40%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온도 60℃, 9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15시간 보관하여 흡습시킨 직후에, 온도 23℃, 박리 속도 60mm/분으로 상기 소다라임 유리로부터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박리력이 4.0N/cm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0.05 내지 30.0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0.05 내지 30.0질량부 함유하고, 또한, 분자간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를 0.1 내지 10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수산기 및/또는 알킬렌옥사이드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비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6.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로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가,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를, 제1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로 충전한 후, 온도 40 내지 90℃, 70 내지 10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당해 양면 점착 시트를 흡습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부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재박리 방법.
  9.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 사이를, 제1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로 충전하고,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양면 점착 시트를 경화시킨 후, 온도 40 내지 90℃, 70 내지 100%RH의 가습 환경하에서, 당해 양면 점착 시트를 흡습시킴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부터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재박리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가,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의 재박리 방법.
KR1020157010510A 2012-10-05 2013-10-01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 KR101718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3012 2012-10-05
JP2012223012 2012-10-05
PCT/JP2013/076686 WO2014054632A1 (ja) 2012-10-05 2013-10-01 再剥離性を備えた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再剥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092A KR20150063092A (ko) 2015-06-08
KR101718746B1 true KR101718746B1 (ko) 2017-03-22

Family

ID=5043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510A KR101718746B1 (ko) 2012-10-05 2013-10-01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25625A1 (ko)
EP (1) EP2905318A4 (ko)
JP (1) JP5945000B2 (ko)
KR (1) KR101718746B1 (ko)
CN (1) CN104619798B (ko)
TW (1) TWI556972B (ko)
WO (1) WO2014054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3077B (zh) * 2014-07-01 2019-05-17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学构件的再利用方法和光学层叠体的再加工性评价方法
JP6605914B2 (ja) * 2014-11-10 2019-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光学部材
JP6320358B2 (ja) * 2015-09-29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付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7151541B (zh) * 2017-05-26 2019-04-19 吉林省沃豪斯建材科技有限公司 可防止瓷砖空鼓或脱落的粘结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718850A (zh) * 2017-11-30 2018-02-23 海盐恒祥经编有限公司 一种复合机的双面复合结构
KR102324558B1 (ko) * 2019-11-18 2021-11-10 (주)이녹스첨단소재 재박리성 점착 시트
KR102324557B1 (ko) * 2019-11-18 2021-11-10 (주)이녹스첨단소재 재박리성 점착 시트
WO2023188315A1 (ja) * 2022-03-31 2023-10-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130A (ja) 2001-04-19 2003-01-08 Lintec Corp 精密電子部材用粘着シート
JP2005187674A (ja) 2003-12-26 2005-07-14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2008115320A (ja) 2006-11-07 2008-05-22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用再剥離可能型両面粘着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5066A1 (en) * 2001-04-19 2006-09-29 Lintec Corp Adhesive sheet for precision electronic member
JP3880418B2 (ja)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4493273B2 (ja)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566527B2 (ja) * 2003-08-08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型粘着シート
US7691225B2 (en) * 2007-01-15 2010-04-06 Nitto Denko Corporation Thermal-release double-co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of processing adherend
JP5314439B2 (ja) * 2008-01-25 201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CN102361947B (zh) * 2009-03-23 2013-12-25 Dic株式会社 保护粘着膜、屏板及携带电子终端
JP5518436B2 (ja) * 2009-11-0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543176B2 (ja) 2009-11-11 2014-07-09 三菱樹脂株式会社 再剥離性を有する多層両面粘着シート
JP5557599B2 (ja) * 2010-05-21 2014-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30129223A (ko) * 2010-12-10 2013-11-2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130A (ja) 2001-04-19 2003-01-08 Lintec Corp 精密電子部材用粘着シート
JP2005187674A (ja) 2003-12-26 2005-07-14 Toyo Ink Mf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2008115320A (ja) 2006-11-07 2008-05-22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モジュール用再剥離可能型両面粘着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19798B (zh) 2016-06-29
TW201425046A (zh) 2014-07-01
EP2905318A4 (en) 2016-05-04
JPWO2014054632A1 (ja) 2016-08-25
JP5945000B2 (ja) 2016-07-05
EP2905318A1 (en) 2015-08-12
WO2014054632A1 (ja) 2014-04-10
KR20150063092A (ko) 2015-06-08
CN104619798A (zh) 2015-05-13
US20150225625A1 (en) 2015-08-13
TWI556972B (zh)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746B1 (ko) 재박리성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및 이의 재박리 방법
US9394465B2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JP388041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KR101927012B1 (ko)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JP6663628B2 (ja)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51199B (zh) 光學透明黏合劑組合物,包含其之光學透明黏合膜,及平板顯示裝置
JP4937327B2 (ja)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剤用原料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KR20150002456A (ko) 점착시트 및 적층체
TW201726849A (zh) 黏著片材、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的製造方法、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影像顯示裝置及觸控面板
KR101780457B1 (ko)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1162659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40118764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점착제, 점착 시트 및 적층체
JP7166762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TW201936819A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WO2014156641A1 (ja)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725390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141159B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JP7278967B2 (ja) 光学透明粘着シート
JP7285794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8172571A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及び光学積層体
KR20180029410A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KR102141141B1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KR20180031254A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