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734B1 -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734B1
KR101718734B1 KR1020160047440A KR20160047440A KR101718734B1 KR 101718734 B1 KR101718734 B1 KR 101718734B1 KR 1020160047440 A KR1020160047440 A KR 1020160047440A KR 20160047440 A KR20160047440 A KR 20160047440A KR 101718734 B1 KR101718734 B1 KR 10171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roadcast
vehicle
transmission frequ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내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A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 vehicle with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인간, 동물, 식물 또는 각종 무생물과 같은 대상을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대상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또는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편의를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는 외부의 방송을 수신한 후 수신한 방송을 영상 및/또는 음향의 형태로 출력하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는, 차량 내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용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수신 및 수신된 방송의 출력을 위해 별도로 구현된 장치일 수도 있고, 또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과는 별도로 제조된 후 차량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apparat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셀룰러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동일한 방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송출되는 지역에 차량이 진입한 경우, 자동적으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방송, 지역 및 송출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상기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에 설정 주파수가 입력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제1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제1 방송에 대한 제1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출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설정 주파수가 변경되는 단계 및 변경된 설정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1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가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프리셋 주파수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주파수 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 검색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표지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고,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고,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에 저장된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제1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제1 방송에 대한 제1 송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제1 송출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고, 변경된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변경된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부는, 주파수 검색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주파수 검색 명령 입력에 응하여 상기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
차량은, 방송, 지역 및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는,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기초로 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동일한 방송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송출되는 지역에 차량이 진입한 경우에도, 주파수를 변경하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지속적으로 동일한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지역에 따라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지역의 변경 시마다 사용자가 방송 수신 장치의 주파수를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추가적 부품 없이 기존에 차량에 설치된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지역 및 방송에 따라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방송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역에 따라 송출 주파수가 상이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표지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표지판 추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특정 지역의 특정 방송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특정 방송에 대한 주파수 변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방송용 수신 장치 및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차량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량(10)이 전진하는 경우에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전방의 반대 방향은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선분과 직교하거나 또는 이에 근사한 방향을 측방을 정의하되, 전방이 12시 방향인 경우, 3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우측 방향으로 정의하고, 9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좌측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10)은, 차량(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11)을 포함하며, 외부 프레임(11)의 전방에는 차량(10)의 내부 공간(19)으로의 바람의 유입을 차단하는 윈드 실드(16)가 마련되고, 외부 프레임(11)의 하단에는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량(10)을 전방, 후방 및/또는 측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륜(17a, 17b)이 마련된다.
윈드 실드(16)의 내측에는, 운전자나 동승자가 탑승하는 차량 내부 공간(19)이 형성되고, 차량 내부 공간(19)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전방의 엔진 룸(12)과 차량 내부 공간(19)을 서로 구획하기 위한 대시 보드(15)가 마련된다. 대시 보드(15)에는, 센터페시아(15b),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나, 운전대(320)나, 계기판(330)이나, 운전석(331)이나 및/또는 보조석(33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대시 보드(15)는, 운전석(331) 및 보조석(332)의 전면 방향에 마련되며, 대시 보드(15)는 상부 패널(15a), 센터페시아(15b) 및 기어 박스(15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의 상부 패널(15a)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차량(10)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지도, 날씨, 뉴스,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차량(10)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 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AVN, Audio, Video and Navigation) 장치와 같이 차량(10)과 별도로 제작된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후술하는 방송 수신 장치(300)와 동일하게,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송신탑이나 인공 위성에서 송출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재생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대시 보드(15)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센터페시아(15b)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윈드 실드(3)의 내측면이나 대시 보드(15)의 상부면에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19)의 다양한 위치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5b)는, 대시 보드(19)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페시아(15b)에는, 차량용 방송 수신 장치(3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방송 또는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300)는 라디오 방송을 위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음성 및/또는 음향을 생성 및 출력하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가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인 경우,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의 외부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300)에 대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306) 및 방송 수신 장치(30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9)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306)는, 예를 들어, 주파수 입력부(306a), 음량 조절 명령 입력부(306b),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 진폭변조/주파수변조 전환 명령 입력부(306d) 및 정보 표시 명령 입력부(306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306)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입력부(306a 내지 306e) 중 일부는 생략 가능하다. 주파수 입력부(306a), 음량 조절 명령 입력부(306b),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 진폭 변조/주파수 변조 전환 명령 입력부(306d) 및 정보 표시 명령 입력부(306e) 각각은, 동일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는 동일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상이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 수단은, 예를 들어, 각종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조이스틱 및/또는 트랙볼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각종 가상 버튼이나 탭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파수 입력부(306a)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조작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가 동조화하고자 하는 주파수(이하 설정 주파수라 함)를 설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는 주파수 입력부(306a)를 조작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에 원하는 주파수를 입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주파수 입력부(306a)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횟수나 조작의 정도에 대응하여 주파수 변경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주파수 변경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300)는 설정 주파수를 이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가 원하는 주파수가 방송 수신 장치(300)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주파수 입력부(306a)는 주파수 입력부(306a)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형태에 따라서,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의 검색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300)는, 주파수의 검색 명령에 따라서 자동으로 주파수를 이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경하면서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하고 검색된 주파수를 설정 주파수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음량 조절 명령 입력부(306b)는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다.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고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이하 프리셋 주파수라 한다)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다.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등의 사용자는 선행하여 특정한 주파수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입력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 주파수를 방송 수신 장치(30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선택되면, 방송 수신 장치(300)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추출된 방송 신호를 복원하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진폭 변조/주파수 변조 전환 명령 입력부(306d)는 변조 방식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진폭 변조/주파수 변조 전환 명령 입력부(306d)의 조작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는 진폭 변조(AM,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전송되는 라디오 방송 또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거나, 또는 주파수 변조(FM, Frequency Modulation) 방식의 라디오 방송 또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정보 표시 명령 입력부(306e)는 방송 수신 장치(300)와 관련된 각종 정보의 표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09)는, 현재 재생 중인 방송의 종류나, 방송에 대응하는 주파수나, 변조 방식의 종류나, 선택된 프리셋 주파수에 대한 정보나, 방송 수신 장치(3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09)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300)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은 상술한 입력부(306) 및 디스플레이부(309)의 양자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자세한 동작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센터페시아(15b)에는, 방송 수신 장치 이외에도 차량(10)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차량(10)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기어 박스(15c)는 센터페시아(15b)의 하단에 운전석(310) 및 보조석(302)의 사이에 마련되고, 기어(316) 등이 설치된다.
대시 보드(15)의 운전석 방향에는 운전대(320)와 계기판(instrument panel, 330)이 마련된다.
운전대(3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대(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0)의 앞 바퀴 또는 뒤 바퀴가 회전함으로써 차량(10)이 조향될 수 있다. 운전대(320)에는 회전 축과 연결되는 스포크(321)와 스포크(321)와 결합된 손잡이 휠(322)이 마련된다. 스포크(321)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323, 324)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323, 324)을 조작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또는 방송 수신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입력 수단(323, 324)를 조작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가 수신하는 전파의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방송 중 특정 방송을 선택할 수 있다.
계기판(330)은 차량(10)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나, 연료 잔량이나, 엔진 오일의 온도나, 방향 지시등의 점멸 여부나, 차량 이동 거리 등 차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10)에는 차량용 제어 장치(1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차량의 각종 동작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차량(10) 내부의 각종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10) 내부의 각종 부품의 전자적 제어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차량(10)에 마련된 공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차량(10) 외부에 설치된 각종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연결된 각종 도선이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0)에 내장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0)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제어 장치(19)는, 엔진룸(12)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대시 보드(15)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엔진 룸(12) 및 대시 보드(15)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10)에는 차량(10)의 전방, 측방 및/또는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9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촬영부(90)는, 예를 들어, 차량(10)의 전방이나 그 주변을 촬영하여, 차량(10)의 전방이나 그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90)는, 차량(10) 전방이나 그 주변에 대한 영상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차량(10)의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차량(10)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부(90)는 윈드 실드(203)의 내측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촬영부(90)는 라디에이터 그릴의 내측에 마련된 프레임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10)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촬영부(9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촬영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90)는 일정한 시간 동안 계속해서 차량(10)의 전방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미리 정의된 주기에 따라 반복해서 촬영을 수행하여 복수의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촬영부(90)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방송 수신 장치(300)가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전달되는 전파 중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며, 만약 설정 주파수가 특정 방송의 송출 주파수와 동일하면, 방송 수신 장치(300)는 특정 방송을 음향 및/또는 영상의 형태로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300)는,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전파의 형태로 송출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영상 및/또는 음향의 형태로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음향만으로 이루어진 라디오 방송을 위한 방송 신호, 또는 영상 및 음향으로 이루어진 텔레비전 방송을 위한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소 또는 중계소는 방송 신호를 변조한 후, 변조된 방송 신호를 미리 정의된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할 수 있다. 방송 신호의 송출을 위해 이용되는 전파는 단파, 중파 또는 초단파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안테나 장치와 같이 내장된 통신부(도 5의 301)를 이용하여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파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신호를 대응하는 영상, 음성 및 음향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라디오 방송이나 텔레비전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송신소 또는 중계소는 서로 상이한 송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연속적인 흐름 또는 정보 체계의 형태로 제공되는 방송의 단위를 말한다.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각각은 서로 상이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송출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장치(300)는 송출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특정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만을 미리 정의된 설정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300)는,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여 특정한 송출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특정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주파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입력부(306a)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나, 또는 별도로 차량(10) 이나 방송 수신 장치(300) 내의 제어부(도 5의 100, 도 5의 302)에 프로그래밍된 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차량(10)의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는 복수의 방송 중 특정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할 수도 있고, 또한 시청 또는 청취하고 있는 방송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는 지역에 따라 송출 주파수가 상이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동일한 채널의 방송이라고 하더라도 방송 신호는 지역 별로 서로 상이한 송출 주파수를 이용하여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401)에서는 제1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가 송출되고, 제2 구역(402)에서는 제1 송출 주파수와 상이한 제2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가 송출되며, 제3 구역(403)에서는 제1 송출 주파수 및 제2 송출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한 제3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만약 차량(10a, 10b, 10c)의 방송 수신 장치(300)의 설정 주파수가 제1 송출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차량(10a)이 제1 구역(401)에 위치한 경우, 제1 송출 주파수의 전파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적절하게 획득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제2 구역(402)이나 제3 구역(403)에 위치한 차량(10b, 10c)의 방송 수신 장치(300)는, 제2 송출 주파수 또는 제3 송출 주파수와 방송 수신 장치(300)의 설정 주파수가 상이하여, 제1 송출 주파수의 전파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획득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특정 채널의 방송이 제공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각 지역(401 내지 403)의 송출 주파수에 맞춰 방송 수신 장치(300)의 설정 주파수가 변경되어야 한다.
이하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가 각 지역(401 내지 403)에 따라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차량(10)은 촬영부(90), 차량 제어부(100) 및 방송 수신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90)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렌즈(91)와, 렌즈(91)에 의해 집속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9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91)는 차량(10)의 전방, 측방 및/또는 후방에서 전달되는 가시 광선을 수광하여 집속한다. 집속된 가시 광은 촬상 소자(92)로 전달된다.
촬상 소자(92)는, 렌즈(91)로부터 전달되는 가시 광선을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촬상 소자(92)는, 예를 들어,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Coupled Device)나,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나, 또는 포베온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촬상 소자(92)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는 차량 제어부(100)의 영상 획득부(110)로 전달된다.
촬영부(90)는 렌즈(91)와 촬상 소자(92) 이외에도 촬영부(90)는 저장 장치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9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내에 별도로 설치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촬영부(90)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내장되어 차량(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90)는 방송 수신 장치(300)에 설치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촬영부(90)는,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의 일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촬영부(90)에서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을 판단하거나, 현재 방송 수신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는 특정 채널의 방송과 동일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의 송출 주파수를 판단하거나, 설정 주파수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차량(10) 내에 설치된 차량용 제어 장치(19)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용 제어 장치(19)와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정보 추출부(112), 판단부(120) 및 신호 생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정보 추출부(112), 판단부(120) 및 신호 생성부(113)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정보 추출부(112), 판단부(120) 및 신호 생성부(113)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정보 추출부(112), 판단부(120) 및 신호 생성부(113)는 각각 별도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표지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획득부(110)는 촬상 소자(92)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조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93)을 복원한다. 이 경우 복원되는 영상(93)은, 촬상 소자(92)의 성질이나 영상 획득부(110)의 설정에 따라서 흑백 영상일 수도 있고, 컬러 영상일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93)은, 표지판 추출부(111)로 전달될 수 있다.
표지판 추출부(111)는,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 표지판(94)이 존재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94)을 영상(93)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표지판 추출부(111)는, 경계선 등과 같은 특징점을 영상(93)으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조합하여 표지판(94)에 대응하는 형상이 영상(93)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표지판(94)에 대응하는 형상이 영상(93)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표지판(94)에 대응하는 형상을 추출함으로써 표지판(94)을 영상(93)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표지판 추출부(11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 인지 기능(SLIF, Speed Limit Information Function) 등과 같이 도로 상의 표지판을 인지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을 추출할 수도 있다.
도 7b는 표지판 추출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판 추출부(111)는, 표지판(94)을 보다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 인지부(111a) 및 표지판 획득부(11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지판 인지부(111a)는,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한 영상(93)으로부터 표지판(94)을 적절하게 인지함으로써 표지판(94)이 보다 정확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표지판 인지부(111a)는, 별도의 저장 매체에 마련된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를 이용하여 표지판(94)을 보다 적절하게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는, 국가별, 지역별 및/또는 용도별로 상이한 각종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즉,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는, 각 국가마다 서로 상이한 다양한 표지판의 형상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포함하여 마련된다.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영상 정보, 또는 외형에 대한 텍스트나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표지판은, 각 개별 국가의 각각의 지역별 송출 주파수가 기재된 표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지판 인지부(111a)는 영상(93)과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의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비교 및 매칭하여, 영상(93) 내에서 확률적으로 표지판(94)일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표지판 인지부(111a)는 영상(93) 내의 각 부분과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에 저장된 복수의 영상 정보를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비교하여, 복수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한 부분을 검출함으로써 표지판(94)을 영상(93) 내에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표지판 인지부(111a)는 영상(93) 내의 각 부분의 특징점과 영상 정보의 특징점을 서로 비교 및 매칭하여 영상(93) 내의 각 부분과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복수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한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표지판 인지부(111a)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확률적 영상 매칭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표지판(94)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통 신호 인식 방법(TSR, Traffic Sign Recognition)을 이용하여 표지판(94)을 영상(93) 내에서 인식할 수도 있다.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을 인식하면, 표지판 인지부(111a)는 인식된 부분에 대한 정보, 즉 표지판(94)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표지판 획득부(111b)로 전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표지판 인지부(111a)는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의 복수의 영상 정보 중 표지판(94)에 대응하는 부분과 매칭되는 영상 정보도 함께 표지판 획득부(111b)로 전송할 수도 있다.
표지판 획득부(111b)는 인식된 표지판(94)을 영상(93)으로부터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표지판 획득부(111b)는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에 대응하는 부분을 가공하여, 정보 추출부(112)가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절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지판 획득부(111b)는 표지판(94)에 대응하는 부분을 영상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영상과 분리하여 별도의 영상 파일의 형태로 변환한 후, 정보 추출부(11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94)이 인지된 영상의 일 부분을 회전하거나 비틀어 표지판(94)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추출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환할 수도 있다. 표지판 획득부(111b)는 생략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표지판 추출부(111)가 표지판(94)을 추출하는 경우, 표지판(94)을 잘못 인지하는 것이나, 또는 날씨나 기후에 따라 열등하게 인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지판(94)의 인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정보 추출부(112)는 표지판(94)으로부터 보다 적절하게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추출부(112)는, 추출된 표지판(94)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지역에 대한 정보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추출부(112)는 추출된 표지판(94)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경계선 등과 같은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조합하여 표지판(94)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문자, 기호, 숫자 및 도형과 같은 각종 정보(94a)를 추출하여 차량 제어부(100)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정보 추출부(112)는, 예를 들어,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문자 인식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표지판(94)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각종 정보(94a)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문자, 기호, 숫자 및 도형과 같은 각종 정보(94a)는 판단부(120)로 전달된다.
이상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및 정보 추출부(112)가 차량(10)의 차량 제어부(100)에 마련되어 있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나, 상술한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및 정보 추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차량 제어부(100)에 마련될 필요는 없다. 영상 획득부(110), 표지판 추출부(111) 및 정보 추출부(112)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촬영부(92)에 설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판단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판단부(121), 주파수 판단부(122) 및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역 판단부(121)는, 문자, 기호, 숫자 및/또는 도형과 같은 각종 정보(94a)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된 표지판(94)에서 획득된 문자(94a)를 판독한 결과, 강원도 춘천이라는 단어가 획득되면, 지역 판단부(121)는 차량이 강원도 춘천에 해당하는 구역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지역 판단부(121)에 의한 지역 판단 결과는 주파수 판단부(122)로 전달된다.
도 8은 특정 지역의 특정 방송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동일한 행은 동일한 방송을 의미하고, 동일한 열은 동일한 구역을 의미한다. 각 행 및 열의 데이터는 주파수를 의미하며, 그 단위는 메가 헤르츠(MHz)이다.
주파수 판단부(122)는, 지역 판단부(121)에 의한 지역 판단 결과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하는 지역(401 내지 403)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파수 판단부(122)는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를 열람하고, 열람 결과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하는 지역(401 내지 403)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역 및 특정 방송에 따른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는, 특정 방송이 특정한 구역에서 어떠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되는지에 대한 정보로 구축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는 K1 방송은 제1 구역에서는 97.3 M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되고, 제2 구역에서는 95.5 M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되고, 제3 구역에서는 99.5 M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되고, 제4 구역에서는 98.9 M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되고, 제5 구역에서는 93.7 MHz의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송출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판단부(122)는, 지역 판단부(121)에 의한 차량(10)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판단 결과, 일례로 제2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판단 결과와, 방송에 대한 정보, 일례로 K1 방송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를 검색함으로써 제2 지역 및 K1 방송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 일례로 95.5 MHz를 검출함으로써, 특정 지역에서의 특정 방송의 송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주파수 판단부(122)는, 현재 차량(10)이 위치하는 지역(401 내지 403)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더 이용하여 송출 주파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주파수 판단부(122)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300)의 방송 정보 저장부(304)로부터 전달받고,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를 열람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현재 차량(10)이 위치하는 지역(401 내지 403)에서의 송출 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판단부(122)는 현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에 대한 특정 지역(401 내지 403)에서의 송출 주파수만을 판단하고, 다른 방송에 대한 특정 지역(401 내지 403)에서의 송출 주파수는 판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특정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와, 현재 설정되어 있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를 비교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주파수 입력부(306a) 조작에 따라 직접 입력되어 설정된 주파수일 수도 있고,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프리셋 주파수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특정 방송은 현재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와,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다면,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신호 생성부(113)로 전달한다. 만약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와,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가 서로 동일하다면,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현재의 설정 주파수를 유지할 것을 결정한다. 현재의 설정 주파수를 유지할 것을 결정한 경우,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신호 생성부(113)로 현재의 설정 주파수 유지에 대한 결정 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특정 방송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이라면,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와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를 비교하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와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다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생성부(113)는,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 주파수의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로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어떠한 제어 신호도 전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와,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다면, 신호 생성부(113)는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를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와 동일하게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특정 방송이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방송이고,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와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가 서로 상이하다면, 신호 생성부(113)는 차량(10)이 위치하고 있는 구역(401 내지 403)의 송출 주파수에 동조될 수 있도록 현재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300)는, 통신부(301), 제어부(302), 저장부(303), 입력부(306) 및 출력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외부의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01)는,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송출된 전파 중 특정한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만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부(301)는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송출된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소 또는 중계소에서 송출된 전파 중 특정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와 동조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는, 예를 들어, 코일과 가변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용량을 변경하여 특정한 송출 주파수에 동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어부(302)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2)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입력부(306) 조작에 따라 복수의 프리셋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프리셋 주파수가 선택되거나 또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주파수 입력부(306a) 조작에 따른 특정 주파수가 입력된 경우, 선택된 프리셋 주파수 또는 입력된 특정 주파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01)의 공진 회로는 제어부(302)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용량을 변경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가 프리셋 주파수의 설정 주파수 또는 입력된 특정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된 방송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2)는, 신호 생성부(113)에서 전달된 설정 주파수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에 응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301)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301)의 공진 회로는 제어부(302)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용량을 변경하여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는 변경된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방송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302)는, 저장부(304)가 현재 방송 수신 장치(300)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2)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조작에 따라 프리셋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제어부(100)에 의해 차량(10)이 위치하는 구역(401 내지 403)의 변경에 따라 특정 방송의 송출 주파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된다면, 제어부(302)는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방송에 대응하는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차량(10)의 이동에 따른 구역(401 내지 403)의 변경에 따라 차량 제어부(110)에서 각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302)는 통신부(301)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저장부(303)가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하여 저장할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2)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주파수 입력부(306a)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주파수를 이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경하면서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02)는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송출 주파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하는 경우, 제어부(302)는 주파수 판단부(122)애 판단된 특정 지역의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주파수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02)는, 출력부(307)가 통신부(301)에 의해 수신된 방송을 영상 및/또는 음향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저장부(303)는, 방송 수신 장치(300)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03)는 방송 정보 저장부(304) 및 프리셋 주파수 저장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정보 저장부(304)는, 방송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은 현재 방송 수신 장치(300)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방송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현재 방송 수신 장치(300)에 의해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되고 있지는 않으나 방송 수신 장치(300)에 의해 제공 가능한 방송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송과 관련된 각종 정보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는,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로 전달될 수 있으며,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주파수 판단부(122)에서 판단된 특정한 방송에 대한 특정 지역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를 비교하여 설정 주파수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방송과 관련된 각종 정보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이 K1 방송인지, K2 방송인지 또는 다른 방송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주파수 판단부(122)로 전달될 수 있으며, 주파수 판단부(122)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출력되고 있는 방송이 특정 지역에서 어떠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로 전송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리셋 주파수 저장부(305)는, 프리셋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셋 주파수에 대한 정보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등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주파수일 수도 있고, 또는 차량 제어부(100)에서 전달된 설정 주파수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된 주파수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저장부(305)는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a)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5)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a)는 차량 제어부(100)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저장부(305)에 저장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a)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가 지역(301 내지 302)의 판단 결과에 따른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306)는,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입력부(306a), 음량 조절 명령 입력부(306b), 프리셋 주파수 선택 명령 입력부(306c), 진폭변조/주파수변조 전환 명령 입력부(306d) 및 정보 표시 명령 입력부(306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07)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등에 의해 선택된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을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등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차량 제어부(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변경된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출력부(307)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운드 출력부(308) 및 디스플레이부(30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운드 출력부(308)는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309)는 소정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사운드 출력부(308) 및 디스플레이부(309) 중 적어도 하나는, 필요에 따라 방송뿐만 아니라 방송 수신 장치(300)나 차량(10)의 전반적인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특정 방송에 대한 주파수 변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a)이 제1 구역(401)에 위치하고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조작이나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300)의 설정 주파수가 제1 주파수(411)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방송 수신 장치(300)는 제1 주파수(411)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송되는 K1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499)를 따라 제2 구역(40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차량(10b)의 촬영부(90)는 차량(10b)의 전방, 후방 및/또는 측방을 촬영한다. 차량 제어부(100)는 촬영부(90)에 의해 촬영된 영상(93)으로부터 도로(499) 주변에 설치된 표지판(94)을 추출하고, 추출된 표지판(94)으로부터 차량(10b)이 제2 구역(402)에 위치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제2 구역(402)에서 K1 방송의 송출 주파수를 판단하고, 제2 구역(402)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제1 구역(401)에서의 송출 주파수를 비교한다.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401)에서의 K1 방송의 송출 주파수가 97.3 MHz이고, 제2 구역(402)에서의 K1 방송의 송출 주파수가 95.5 MHz라면,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제2 구역(402)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제1 구역(401)에서의 송출 주파수가 상이하다 판단하고, 방송 수신 장치(300)의 설정 주파수를 제2 구역(402)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동일하게 변경할 것을 결정한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차량 제어부(1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 주파수를 제2 구역(402)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동일한 제2 주파수(412)로 변경하며,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는, 송출 주파수의 변경에도 불구하고 K1 방송을 적절하게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10c)이 제3 구역(403)으로 이동한 경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차량 제어부(100)는 제2 구역(402)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제3 구역(403)에서의 송출 주파수의 상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이들이 서로 상이하다 판단된 경우에는, 방송 수신 장치(300)는, 설정 주파수를 제3 구역(403)에서의 송출 주파수와 동일한 제3 주파수(41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방송의 송출 주파수가 지역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에도 방송 수신 장치(300)는 적절하게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에게 특정 방송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는 지역이 변경될 때마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주파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표지판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촬영부(90)에 의해 촬영된 영상(93)으로부터 추출된 표지판(95)은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95a)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의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95a) 및 특정 지역의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b)는 문자, 기호, 숫자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로 표지판(95)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정보 추출부(112)는, 추출된 표지판(94)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95a)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b)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112)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표지판(94)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광학 문자 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문자 인식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표지판(95)에 대한 영상 정보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95a)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b)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
판단부(120)의 지역 판단부(121)는, 정보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95a)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을 판단하고, 판단부(120)의 주파수 판단부(122)는 정보 추출부(112)에 의해 추출된 특정 지역의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b)를 기초로 현재 차량(10)이 위치하는 지역(401 내지 403)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판단부(122)는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29)를 열람하지 않고, 정보 추출부(112)에서 전달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송출 주파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지역 판단부(121)의 판단 결과 및 주파수 판단부(122)의 판단 결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로 전달될 수 있으며,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는 전달된 판단 결과를 기초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방송에 대한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신호 생성부(113)는, 주파수 변경 판단부(12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설정 주파수의 변경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차량(10) 내부에 설치된 차량 제어부(10)를 이용하여 구현된 일례를 들어 방송용 수신 장치(300) 및/또는 차량(1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방송용 수신 장치(300) 및/또는 차량(10)은 반드시 차량(10)에 마련된 차량 제어부(10)를 이용하여 구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방송용 수신 장치(300)는 방송 수신 장치(300) 내에 마련된 제어부(302)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 내에 마련된 제어부(302)를 이용하는 경우, 촬영부(90)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로 전달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는, 촬영부(90)에서 획득된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을 추출하고, 표지판(94)으로부터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을 결정하고, 방송용 수신 장치(300)의 저장부(304) 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9a)를 열람하여 현재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 및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411 내지 413)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는 송출 주파수(411 내지 413)에 의해 방사되는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방송 수신 장치(300)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현재의 설정 주파수와 결정된 송출 주파수(411)가 동일한 경우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반대로 현재의 설정 주파수와 결정된 송출 주파수(412 또는 413)가 서로 상이한 경우, 현재 설정 주파수를 결정된 송출 주파수(412 또는 413)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300)의 제어부(302)는, 획득한 영상(93) 내에서 표지판(94)을 추출하고, 표지판(94)으로부터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 및/또는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를 획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300)는 획득한 차량(10)이 위치한 지역(401 내지 403) 및/또는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95)를 이용하여 송출 주파수(411 내지 413)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300)는 방송 수신 장치(300)의 현재 설정 주파수를 결정된 송출 주파수(411 내지 413)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방송용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방송 수신 장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방송 수신 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카메라 장치와 같은 촬영 장치가 영상을 획득한다(s500).
방송 수신 장치는 획득한 영상 내에 표지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1). 만약 영상 내 표지판이 존재하지 않으면(s501의 아니오), 방송 수신 장치는 후술하는 단계 s502 내지 s506은 수행하지 않고, 촬영 장치는 계속해서 영상을 획득한다(s500).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표지판을 인식하여 표지판이 영상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판 데이터베이스(114)는, 국가별, 지역별 및/또는 용도별로 상이한 각종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으며,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영상 정보, 또는 외형에 대한 텍스트나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는 획득한 영상과 표지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비교 및 매칭하여, 확률적으로 표지판일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영상으로부터 인지할 수 있다.
만약 영상 내에 표지판이 존재한다면(s501의 예),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고(s502),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3). 만약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s503의 아니오), 방송 수신 장치는 후술하는 단계 s504 내지 s506를 수행하지 않으며, 촬영 장치는 계속해서 영상을 획득한다(s500).
만약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가 존재한다면(s503의 예), 방송 수신 장치는 표지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s504), 추출된 지역 정보를 기초로 추출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를 획득한다(s505).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추출된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송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가 획득되면 방송 수신 장치는 획득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된다(s506).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는 획득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송출 주파수에 따라 별도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방송 수신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호출 가능하도록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주파수에 따라 변경하여 다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때 획득된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게 차량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500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단계 s501 내지 s505는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제어 수단은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6은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도 12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방송 수신 장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방송 수신 장치와 별도로 마련된 카메라 장치와 같은 촬영 장치가 영상을 획득한다(s510).
이어서, 방송 수신 장치는 획득한 영상 내에 표지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1), 만약 영상 내 표지판이 존재하지 않으면(s511의 아니오), 방송 수신 장치는 후술하는 단계 s512 내지 s515는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촬영 장치는 계속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10).
만약 영상 내에 표지판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s511의 예), 방송 수신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고(s512),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3). 만약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 모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s513의 아니오) 방송 수신 장치는 후술하는 단계 s514 및 s515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촬영 장치는 계속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10). 실시예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지역 정부 및 송출 주파수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단계 s514 및 s515를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표지판 내에 지역 정보 및 송출 주파수가 존재한다면(s513의 예), 방송 수신 장치는 표지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s514).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역 정보도 함께 추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는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가 특정 지역에 대응하는 적절한 송출 주파수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출 주파수가 추출되면, 방송 수신 장치는 추출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된다(s515).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는 추출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별도로 저장된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때 추출된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일하게 차량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510는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단계 s511 내지 s514는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에 설치된 제어 수단은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5은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방송 수신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와 같은 전력 공급 수단에서 제공된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을 개시한다(520).
방송 수신 장치는, 사용자, 일례로 운전자나 동승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거나,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정의되거나, 또는 기존에 방송 수신 장치나 차량에 내장된 저장 장치에 저장된 제1 설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송출 주파수의 전파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21).
차량은, 단계 s520 및 s521 중 적어도 하나에 선행하거나 또는 단계 s520 및 s521에 후행하여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차량이 이동하는 도중, 차량에 설치된 촬영 장치는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522).
차량에 직접 설치된 제어부 및/또는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설치된 제어부는, 획득한 영상에 표지판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표지판이 존재하는 경우 표지판으로부터 지역 정보 및/또는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방송의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s523, s524). 이 경우, 차량의 제어부는 획득한 영상과 표지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지판의 정보를 매칭하여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직접 설치된 제어부 및/또는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설치된 제어부는, 표지판으로부터 지역 정보를 획득하고(s523), 획득한 지역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위치한 지역의 특정 방송의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차량이 위치한 지역 및 특정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있다(s524).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직접 설치된 제어부 및/또는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설치된 제어부는,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표기되어 있는 경우, 표기된 송출 주파수를 직접 표지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송출 주파수를 획득할 수도 있다.
송출 주파수가 획득되면 차량에 직접 설치된 제어부 및/또는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에 설치된 제어부는 획득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525).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방송 수신 장치가 제1 설정 주파수로 동작하고 있다면, 방송 수신 장치는 추출된 송출 주파수에 따라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방송의 설정 주파수를 추출된 송출 주파수와 동일한 제2 설정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방송 수신 장치는 송출 주파수를 기초로 별도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 주파수를 변경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주파수 검색 명령 입력에 따라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색할 때 추출된 송출 주파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이나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소정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10: 차량 90: 촬영부
91: 렌즈 92: 촬상 소자
100: 차량 제어부 110: 영상 획득부
111: 표지판 추출부 112: 정보 추출부
113: 신호 생성부 120: 판단부
121: 지역 판단부 122: 주파수 판단부
123: 주파수 변경 판단부 129: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300: 방송 수신 장치 301: 통신부
302: 제어부 303: 저장부
306: 입력부 307: 출력부
308: 사운드 출력부 309: 디스플레이부

Claims (23)

  1. 차량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되, 상기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는 국가별, 지역별 및 용도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되고,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이 추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송출 주파수의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검출된 지역 정보 및 방송, 지역 및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설치된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모든 주파수로부터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에 설정 주파수가 입력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제1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제1 방송에 대한 제1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제1 송출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설정 주파수가 변경되는 단계; 및
    변경된 설정 주파수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제1 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수신 장치가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상기 프리셋 주파수가 변경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표지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되, 상기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는 국가별, 지역별 및 용도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되고,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이 추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으로부터 송출 주파수의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지역 정보 및 방송, 지역 및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단계는,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모든 주파수로부터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3. 방송, 지역 및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차량의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제어되는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되, 상기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는 국가별, 지역별 및 용도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되고,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양자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이 추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송출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 지역 정보 및 상기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모든 주파수로부터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차량.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방송 수신부에 저장된 설정 주파수와 동일한 송출 주파수의 전파에 의해 전달되는 제1 방송을 제공하는 차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제1 방송에 대한 제1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제1 송출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고, 변경된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1 방송을 제공하는 차량.
  19. 제13항에 있어서,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따라 변경된 프리셋 주파수를 저장하는 차량.
  21. 삭제
  22. 삭제
  23. 방송, 지역 및 주파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차량 외부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기초로 방송 신호를 획득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을 추출하되, 상기 표지판 데이터베이스는 국가별, 지역별 및 용도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표지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되고, 표지판에 대한 정보는 표지판의 외형에 대한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양자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표지판이 추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송출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송출 주파수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표지판에 송출 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지역 정보 및 상기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에 대한 송출 주파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모든 주파수로부터 방송 신호의 추출이 가능한 전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160047440A 2016-04-19 2016-04-19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71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40A KR101718734B1 (ko) 2016-04-19 2016-04-19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440A KR101718734B1 (ko) 2016-04-19 2016-04-19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734B1 true KR101718734B1 (ko) 2017-03-22

Family

ID=5849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440A KR101718734B1 (ko) 2016-04-19 2016-04-19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33762A (zh) * 2021-12-02 2023-06-0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车辆间的通信方法、设备、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06A (ja) * 1995-06-22 1997-01-10 Nippon Columbia Co Ltd 車載用rds受信機
KR2005005656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지역별 라디오 방송채널 주파수 자동 전환기능을 가지는차량 오디오 장치 및 방법
JP2007259053A (ja) * 2006-03-23 2007-10-04 Sanyo Electric Co Ltd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140064424A (ko) * 2012-11-20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85988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만도 전방 카메라를 이용한 속도제한 표지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06A (ja) * 1995-06-22 1997-01-10 Nippon Columbia Co Ltd 車載用rds受信機
KR2005005656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지역별 라디오 방송채널 주파수 자동 전환기능을 가지는차량 오디오 장치 및 방법
JP2007259053A (ja) * 2006-03-23 2007-10-04 Sanyo Electric Co Ltd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20140064424A (ko) * 2012-11-20 201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85988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만도 전방 카메라를 이용한 속도제한 표지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33762A (zh) * 2021-12-02 2023-06-0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车辆间的通信方法、设备、车辆及存储介质
CN116233762B (zh) * 2021-12-02 2024-03-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车辆间的通信方法、设备、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4760A1 (en) User interface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ues
EP3072710B1 (e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7764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768101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302736A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amera systems and methods
JPWO2015174526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627417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4555401A (zh) 显示系统、显示设备、显示方法和移动装置
KR10202399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18734B1 (ko) 방송 수신 장치,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설치된 차량,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677641B1 (ko) 사용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4134A (ko) 차량용 풋레스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484328A (zh) 车辆的用户接口装置
KR2017004141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807788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US20230304822A1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CN114662018A (zh) 基于车载终端的出行打卡推荐和分享系统及方法
KR102600203B1 (ko) 영상 처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995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KR20160082060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통신 시스템
US20230079801A1 (en) Portable device for vehicle-information integration and w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