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400B1 -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400B1
KR101718400B1 KR1020150167955A KR20150167955A KR101718400B1 KR 101718400 B1 KR101718400 B1 KR 101718400B1 KR 1020150167955 A KR1020150167955 A KR 1020150167955A KR 20150167955 A KR20150167955 A KR 20150167955A KR 101718400 B1 KR101718400 B1 KR 101718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ear
lower roller
shaf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정밀
Priority to KR1020150167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7/00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 B21F37/04Manufacture of rings from wire of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3/00Spli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00Coiling wire into particula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는, 와이어가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고 말려있는 코일을 절단하여 스프링 와셔를 제작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면서,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투입하고 후퇴시키는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는, 프레임 위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전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랙기어, 투입바디의 일측 외측에 형성되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메인샤프트의 외측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랙기어와 외접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배치되는 전달기어, 상기 투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외접하는 하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상부측에서 상기 투입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러기어와 외접하는 상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와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코일이 앞뒤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SPRING WASHER FABR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코일을 안정적으로 투입하는 투입유닛과 상기 투입유닛에 의해서 투입된 코일을 절단하여 스프링 와셔를 제조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셔는 그 사용 용도가 볼트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모두 사용되고 그 기능은 서로 다른 물체를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 조임할 때에 그 볼트의 머리나 너트의 내측에 끼워 볼트의 조임력과 체결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볼트와 물체의 체결 부위를 보호해 준다.
이와 같은 용도와 기능을 갖는 종래의 와셔 제조방법은 평판상의 소재를 스텐드에 위치시키고 그후 상기 스텐드의 상부에 마련된 1차펀칭기를 작동시켜 와셔의 내경을 펀칭한다.
이와 같이하여 와셔의 내경이 펀칭되면 그 와셔의 내경이 펀칭된 소재를 이동시켜 2차펀칭기가 마련된 스텐드에 위치시킨 다음 그를 상기 2차펀칭기를 작동시켜 와셔의 외경을 펀칭하게 되면 모따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와셔가 제조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와이어를 코일형태로 말아서 가공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스프링 타입의 와셔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스프링 와셔는 스프링 작용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나사부에 진동하중이 작용하여도 축방향 작용력이 잔류하여 볼트 너트 사이의 접촉응력이 없어지지 않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너트 밑면에 파고들어 회전을 방지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보다 안정적으로 코일을 투입하고, 절단하는 투입유닛과 절단유닛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코일형태로 말려있는 코일을 안정적으로 투입하고,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절단하여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는, 와이어가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고 말려있는 코일을 절단하여 스프링 와셔를 제작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면서,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투입하고 후퇴시키는 투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는, 프레임 위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전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랙기어, 투입바디의 일측 외측에 형성되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메인샤프트의 외측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랙기어와 외접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배치되는 전달기어, 상기 투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외접하는 하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상부측에서 상기 투입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러기어와 외접하는 상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와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코일이 앞뒤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롤러와 상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롤러 또는 상기 상부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롤러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가 상기 코일에 밀착되는 힘을 조절하는 밀착력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고정부재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마찰력형성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력형성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마찰탄성부재 및 상기 마찰탄성부재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마찰력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에서 상기 메인기어가 회전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는 원웨이클러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후퇴하여,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고정랙기어와 외접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전달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원웨이클러치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후퇴할 때, 후퇴하는 상기 투입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메인기어에 의해서 회전하여, 상기 코일을 앞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완전히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선단면은 상기 절단장치에서 설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완전히 후퇴하고, 1차로 전진할 때,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원웨이클러치 및 상기 마찰력형성부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코일을 앞쪽으로 밀어서 선단부가 상기 절단장치의 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차로 전진한 후에,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에 밀착된 상기 코일이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투입바디를 기준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반원형의 롤러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코일의 선단면이 밀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코일의 중심부 빈 공간으로 설정거리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돌출부가 중심부로 삽입된 상기 코일의 외측면을 눌러서, 상기 코일을 절단하는 커팅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커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날이 상기 커팅홈에 진입하여 상기 코일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투입장치는 연속적으로 코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절단장치가 반복적으로 코일을 절단하도록 하여, 스프링 와셔를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절단장치가 코일을 절단 한 후에는, 코일을 후퇴시키고, 다시 전진시켜 절단장치가 코일의 선단부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및 상기 코일이 절단되어 만들어진 스프링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절단하는 부분에 대한 일부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측면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가 수행하는 제조단계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커팅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후퇴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1차 전진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이미 공개된 공지기술에 대한 내용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공지기술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및 상기 코일이 절단되어 만들어진 스프링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설정된 곡률 반경을 가지고 하나의 와이어가 코일(120) 형태로 말려있으며, 이러한 코일(120)은 파이프 형태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를 잘라서 고리 형태의 스프링 와셔(55)가 제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는 코일(120), 투입장치(100), 가이드파이프(105), 커팅날(110), 지지부재(130), 바디(140), 당김탄성부재(350), 및 구동암(102)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날(110)은 상기 지지부재(130)에 지지된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를 하부로 눌러서, 상기 코일(120)의 일측을 절단하여 상기 스프링 와셔(55)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암(102)은 상기 투입장치를 후퇴 또는 전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당김탄성부재(350)는 상기 투입장치(100)를 탄성적으로 당기는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암(102)과 상기 당김탄성부재(350)는 상기 투입장치(100)를 후퇴 또는 전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코일(120)이 절단된 후에 상기 투입장치(100)가 후퇴하고, 상기 코일(120)도 후퇴하며, 상기 커팅날(110)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날(110)에 의해서 절단된 상기 스프링 와셔(55)가 하부로 낙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을 절단하는 부분에 대한 일부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을 절단하는 부분은 커팅날(110), 바디(140), 지지부재(130), 돌출부(215), 커팅홈(220), 및 코일(1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40)는 프레임(도면부호 미표시) 상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디(140)의 측면에 지지부재(130)가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130)의 앞면 중심부에는 상기 코일(120)의 중심부로 삽입가능한 돌출부(21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5)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커팅날(110)이 진입가능한 커팅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 중심부로 상기 돌출부(215)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팅날(110)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 상부를 누르고, 그 하단부가 상기 커팅홈(220)에 들어가 상기 코일(120)이 절단되어 스프링 와셔(55)가 만들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측면도를 포함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투입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투입장치는 고정랙기어(300), 메인기어(305), 전달기어(307), 하부롤러기어(310), 상부롤러기어(320), 상부롤러샤프트(312), 하부롤러샤프트(322), 상부롤러(440), 하부롤러(430), 상부롤러홈(442), 하부롤러홈(432), 롤러탄성부재(330), 밀착력조절볼트(334), 마찰탄성부재(500), 마찰력조절볼트(420), 및 원웨이클러치(4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랙기어(300)는 프레임(도면부호 미표시) 상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투입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투입바디(101)는 하부의 슬라이드 가이드(도면부호 미표시)를 따라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바디(101)에는 상기 메인기어(305), 상기 전달기어(307), 상기 하부롤러기어(310), 및 상기 상부롤러기어(32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기어(305)는 상기 고정랙기어(300)와 외접하고, 상기 메인기어(305)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상기 전달기어(307)는 상기 메인기어(305)와 선택적으로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전달기어(307)는 상기 하부롤러기어(310)와 외접하고, 상기 하부롤러기어(310)는 상기 상부롤러기어(320)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투입바디(101)가 후퇴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기어(305), 상기 전달기어(307), 상기 하부롤러기어(310), 및 상기 상부롤러기어(32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바디(101)와 상기 샤프트고정부재(450)는 서로 고정되고, 상가 샤프트고정부재(450)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09)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메인샤프트(309)의 외측단에는 상기 메인기어(305)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샤프트(309)와 상기 메인기어(305) 사이에는 원웨이클러치(410)가 배치된다.
상기 원웨이클러치(410)는 상기 투입바디(101)와 상기 샤프트고정부재(450)가 후퇴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기어(305)와 상기 메인샤프트(309)가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투입바디(101)와 상기 샤프트고정부재(450)가 전진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기어(305)와 상기 메인샤프트(309)가 분리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마찰력조절볼트(420)는 상기 샤프트고정부재(450)에 배치되고, 상기 마찰탄성부재(500)를 통해서 상기 메인샤프트(309)의 회전동작에 브레이크력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롤러기어(310)와 상기 상부롤러기어(320)는 상기 투입바디(10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롤러샤프트(322)상부롤러샤프트(312)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하부롤러기어(310)와 상기 상부롤러기어(320)는 상기 하부롤러샤프트(322)와 상기 상부롤러샤프트(312)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롤러샤프트(312)와 상기 하부롤러샤프트(322)의 길이방향 중심부에는 상부롤러(440)하부롤러(430)가 고정되고,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20)은 상기 하부롤러(430)와 상기 상부롤러(440)에 형성된 하부롤러홈(432)상부롤러홈(442)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밀착력조절볼트(334)는 상기 롤러탄성부재(330)를 통해서 상기 상부롤러샤프트(312)를 하측 방향으로 설정된 힘으로 누르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롤러(430)와 상기 상부롤러(440)는 상기 코일(120)을 일정한 힘으로 누르는 구조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가 수행하는 제조단계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10은 커팅단계로써, 상기 커팅날(110)이 하강하여,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를 절단하는 프로세스이다.
S120은 상기 투입장치(100)가 후퇴하는 단계로서, 상기 투입장치(100)가 후퇴하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코일(120)은 상기 투입장치(100)를 기준으로 앞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가 상기 메인기어(305)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투입장치(100)를 기준으로 상기 코일(120)을 앞쪽으로 밀어낸다.
S130은 상기 투입장치(100)가 전진하는 단계로서, 상기 코일(120)을 앞쪽으로 밀어내고, 선단을 상기 지지부재(130)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30)에 밀착된 후에 상기 투입장치(100)가 더 전진하는데, 이때, 상기 코일(12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상부롤러(440), 및 상기 하부롤러(430)가 회전되거나, 상기 코일(120)과 상기 롤러들 사이에 슬립이 일어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입장치(100)가 전진할 때에는 상기 메인기어(305)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메인샤프트(309)가 상기 원웨이클러치(410)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는 회전하지 않아서,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가 상기 코일(120)을 잡고 전진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30)에 밀착되고, 상기 투입장치(100)가 더 전진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120)에 의해서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가 회전되거나,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커팅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장치(100)가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120)이 상기 지지부재(130)에 밀착되고, 상기 커팅날(110)이 하강하여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 상부를 절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후퇴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암(102)에 의해서 상기 투입장치(100)가 후퇴하는 동안에, 상기 고정랙기어(300)와 외접한 상기 메인기어(305)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은 상기 메인샤프트(309), 상기 전달기어(307), 상기 하부롤러기어(310), 상기 상부롤러기어(320), 상기 하부롤러샤프트(322), 상기 상부롤러샤프트(312), 상기 상부롤러(440), 및 상기 하부롤러(430)로 전달되고, 상기 투입바디 상기 코일(120)을 는 후퇴하고, 상기 코일(120)은 상기 투입바디(101)를 기준으로 전진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120)이 후퇴하면서, 절단된 스프링 와셔(55)는 낙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1차 전진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장치(100)가 설정거리 전진하고,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30)의 앞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5)는 상기 코일(120)의 중심부로 삽입된다. 상기 투입장치(100)가 후퇴한 상태에서 설정거리 전진할 때까지는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코일(120)을 앞으로 전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는 상기 마찰력조절볼트(420)와 상기 마찰탄성부재(500)의 마찰력에 의해서 그 회전이 방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에서 2차 전진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120)의 선단부가 상기 지지부재(130)에 밀착된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투입장치(100)가 더 전진하면, 상기 코일(120)에 의해서 상기 투입장치(100)의 상기 상부롤러(440)와 상기 하부롤러(430)는 회전되거나, 상기 코일(120)과 상기 롤러들 사이에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55: 스프링 와셔 100: 투입장치
101: 투입바디 140: 바디
102: 구동암 105: 가이드파이프
110: 커팅날 120: 코일
130: 지지부재 215: 돌출부
220: 커팅홈 300: 고정랙기어
307: 전달기어 305: 메인기어
309: 메인샤프트 310: 하부롤러기어
312: 상부롤러샤프트 322: 하부롤러샤프트
320: 상부롤러기어 350: 당김탄성부재
330: 롤러탄성부재 334: 밀착력조절볼트
410: 원웨이클러치 420: 마찰력조절볼트
430: 하부롤러 440: 상부롤러
442: 상부롤러홈 432: 하부롤러홈
450: 샤프트고정부재 500: 마찰탄성부재

Claims (14)

  1. 와이어가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고 말려있는 코일을 절단하여 스프링 와셔를 제작하는 절단장치; 및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면서, 상기 코일을 상기 절단장치 측으로 투입하고 후퇴시키는 투입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는,
    프레임 위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전후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랙기어;
    투입바디의 일측 외측에 형성되는 샤프트고정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메인샤프트의 외측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랙기어와 외접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샤프트에 배치되는 전달기어;
    상기 투입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달기어의 일측과 외접하는 하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상부측에서 상기 투입바디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부롤러샤프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러기어와 외접하는 상부롤러기어;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와 상기 하부롤러샤프트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코일이 앞뒤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롤러와 상부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가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롤러 또는 상기 상부롤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롤러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롤러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가 상기 코일에 밀착되는 힘을 조절하는 밀착력조절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샤프트고정부재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마찰력형성부; 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마찰력형성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부가하는 마찰탄성부재 및 상기 마찰탄성부재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마찰력조절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기어 사이에는 상기 메인샤프트에서 상기 메인기어가 회전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는 원웨이클러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후퇴하여,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고정랙기어와 외접하여 회전할 때,
    상기 메인기어가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전달기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원웨이클러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후퇴할 때,
    후퇴하는 상기 투입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는 상기 메인기어에 의해서 회전하여, 상기 코일을 앞쪽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완전히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선단면은 상기 절단장치에서 설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10. 제5항에서,
    상기 메인샤프트에서 상기 메인기어가 회전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제한하는 원웨이클러치가 배치되고,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완전히 후퇴하고, 1차로 전진할 때,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는 상기 원웨이클러치 및 상기 마찰력형성부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고, 상기 코일을 앞쪽으로 밀어서 선단부가 상기 절단장치의 지지부재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1차로 전진한 후에, 상기 투입바디, 상기 메인샤프트, 및 상기 메인기어가 전진하면,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에 밀착된 상기 코일이 상기 상부롤러 및 상기 하부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투입바디를 기준으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반원형의 롤러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코일의 선단면이 밀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코일의 중심부 빈 공간으로 설정거리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돌출부가 중심부로 삽입된 상기 코일의 외측면을 눌러서, 상기 코일을 절단하는 커팅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중심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커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팅날이 상기 커팅홈에 진입하여 상기 코일의 일측을 절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KR1020150167955A 2015-11-27 2015-11-27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KR101718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955A KR101718400B1 (ko) 2015-11-27 2015-11-27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955A KR101718400B1 (ko) 2015-11-27 2015-11-27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400B1 true KR101718400B1 (ko) 2017-03-22

Family

ID=5849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955A KR101718400B1 (ko) 2015-11-27 2015-11-27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111A (zh) * 2020-06-09 2020-09-25 杭州弹簧垫圈有限公司 一种防涨圈弹簧垫圈冲切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702110A (zh) * 2020-06-09 2020-09-25 杭州弹簧垫圈有限公司 一种弹簧垫圈卷切联合一体成型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640U (ko) * 1988-06-28 1990-01-24
JPH0613121B2 (ja) * 1986-08-06 1994-02-23 繁 小瀬 硬鋼線材の塑性加工法
KR100706068B1 (ko) * 2006-02-02 2007-04-12 (주) 신형엔지니어링 스파이어럴 스프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736881B1 (ko) * 2006-03-07 2007-07-06 김찬희 자바라스프링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121B2 (ja) * 1986-08-06 1994-02-23 繁 小瀬 硬鋼線材の塑性加工法
JPH0211640U (ko) * 1988-06-28 1990-01-24
KR100706068B1 (ko) * 2006-02-02 2007-04-12 (주) 신형엔지니어링 스파이어럴 스프링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736881B1 (ko) * 2006-03-07 2007-07-06 김찬희 자바라스프링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111A (zh) * 2020-06-09 2020-09-25 杭州弹簧垫圈有限公司 一种防涨圈弹簧垫圈冲切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702110A (zh) * 2020-06-09 2020-09-25 杭州弹簧垫圈有限公司 一种弹簧垫圈卷切联合一体成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1702110B (zh) * 2020-06-09 2022-06-17 杭州弹簧垫圈有限公司 一种弹簧垫圈卷切联合一体成型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653B1 (ko) 파이프 홈 가공 장치
US9150381B2 (en) Expansion device for holding and securing rolled material
KR101718400B1 (ko) 스프링 와셔 제조장치
JP5734354B2 (ja) 工具クランプ装置
JP2014018828A (ja) 管材矯正装置
US9956601B2 (en) Pilot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stripper that may be coaxial with a pilot
US20120180287A1 (en) Guided punch for fastener removal
JP2017087223A5 (ko)
JP5713278B2 (ja) 巻取カラー
KR20140083406A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US8561275B2 (en) Setting device with a variable setting stroke adjustment
US2680623A (en) Feed collet
JP2008221324A (ja) パイプ材把持装置
JP2011046477A (ja) ロール状シート等の繰り出し装置に使用する緩み止め具及び該緩み止め具を備えたロール状シート等の保持構造
JP5807797B1 (ja) 巻芯アダプター及びフリクション巻軸
WO2017221131A1 (en) Flaring tool
US3534581A (en) Mandrel type rivet setting device
JP2014168784A (ja) カシメ装置
US3221528A (en) Tube expansion tool
US2430563A (en) Tool for upsetting hollow rivets
JP4471450B2 (ja) 棒材把持装置及び自動旋盤
US20170050396A1 (en) Bleeder cord affixing device and method
JP4853830B2 (ja) 押しコップ
JP2006341967A (ja) 巻芯支持軸
CN211644195U (zh) 收放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