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354B1 -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354B1
KR101718354B1 KR1020150008552A KR20150008552A KR101718354B1 KR 101718354 B1 KR101718354 B1 KR 101718354B1 KR 1020150008552 A KR1020150008552 A KR 1020150008552A KR 20150008552 A KR20150008552 A KR 20150008552A KR 101718354 B1 KR101718354 B1 KR 10171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identification code
message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945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15000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3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2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distribution or 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Abstract

상품과 함께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를 안전하게 배달할 수 있는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발송인이 상품 판매자에게 상품 배달을 의뢰하는 경우, 서버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서버;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수취인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상기 발송인의 제1 단말기;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 및 상기 식별 코드가 부착된 상품을 수취하는 경우,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제공받는 상기 수취인의 제3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dentification code}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품과 함께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를 안전하게 배달할 수 있는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품 배달 서비스는 고객이 요청한 상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배달 가능한 상품으로는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꽃, 도서, 음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상품의 배달을 의뢰할 때, 고객은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 등을 업체에 제공한다.
종래의 상품 배달 서비스에 의하면,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는 대부분 간단한 문구나 사진 정도로만 전달되고 있어,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는 상품과 동봉되는 카드에 기재되거나 상품의 운송장에 표시되는데, 이 경우, 상품 배달 중에 메시지가 타인에게 노출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029870 (발명의 명칭: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판매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공개일: 2009년 3월 24일)
상품과 함께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를 안전하게 배달할 수 있는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방법은 발송인이 상품 판매자에게 상품 배달을 의뢰하는 경우, 서버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발송인의 제1 단말기 및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로 전송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수취인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등록받는 단계; 및 상기 수취인의 제3 단말기가 상기 상품에 부착된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제3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의 형식은 음성,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서버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접속 인증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3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별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 등의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를 상품과 함께 배달할 수 있으므로, 상품 배달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발송인이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등록한 메시지는 인증 처리에 성공한 수취인의 제3 단말기로만 제공되므로, 상품 배달 과정에서 메시지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은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제3 단말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00)는 발송인이 사용하는 장치이다. 제1 단말기(100)는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로 상품 배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상품 배달 요청 신호는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및 배달 의뢰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송인 정보는 발송인의 이름, 연락처(예를 들어, 제1 단말기의 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취인 정보는 수취인의 이름, 연락처(예를 들어, 제2 단말기의 정보) 및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할 상품 정보는 상품 고유의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는 상품 배달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식별 코드는 제2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서버(400)에서 생성된다. 식별 코드로는 1차원 바코드 및 2차원 바코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2차원 바코드로는 QR코드를 예로 들 수 있다. 서버(400)에서 생성된 식별 코드는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란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 또는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가 추후 유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400)에서 생성된 접속 인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제1 단말기(100)는 식별 코드를 인식한다. 식별 코드가 인식되면, 제1 단말기(100)는 식별 코드로부터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되면, 발송인은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는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는 음성,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중 하나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제1 단말기(100)가 서버(400)에 접속되기 전, 또는 제1 단말기(100)가 서버(400)에 접속된 후에 제1 단말기(100)에서 제작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상품 판매자가 사용하는 장치이다. 상품 판매자는 오프라인 판매자 및 온라인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들이 취급하는 상품으로는 꽃, 도서, 음반, 의류, 귀금속, 및 음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품 판매자들이 취급하는 상품이 예시된 것들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배달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품 배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에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는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및 상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서버(400)에서 생성된 식별 코드가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로 수신되면,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코드를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식별 코드에는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단말기(100)는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식별 코드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 다음, 상품 판매자는 식별 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나 태그를 상품에 부착하여, 택배사 등의 배달 대행 업체에 상품 배달을 의뢰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판매자는 배달 대행 업체에 상품 배달을 의뢰하는 대신 자체적으로 배달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품 판매자가 자체적으로 배달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40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즉, 서버(400)는 식별 코드 생성을 요청한 제2 단말기(200)가 기존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상품 판매자의 단말기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서버(400)는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로부터 획득한 발신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및 상품 판매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1 단말기(100)의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400)에 저장되는 메시지는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지의 형식은 음성,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중 하나일 수 있다.
서버(400)에 저장된 메시지는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로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의 제공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저장된 메시지를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에 저장된 메시지가 음성, 사진, 또는 텍스트 등과 같이 저장 용량이 작은 형식의 메시지인 경우, 서버(400)는 해당 메시지를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400)는 저장된 메시지를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로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400)에 저장된 메시지가 동영상과 같이 저장 용량이 큰 형식의 메시지인 경우, 서버(400)는 해당 메시지를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로 스트리밍할 수 있다.
한편, 메시지는 제3 단말기(300)로 제공된 후, 일정 기간 후에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시지의 보존 기간은 서버(400)의 관리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의 보존 기간은 발송인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발송인은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서버(400)에 등록할 때, 메시지 보존 기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400)는 발송인이 등록한 보존 기간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제3 단말기(300)는 수취인이 사용하는 장치이다. 제3 단말기(300)는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 코드를 인식한다. 식별 코드가 인식되면, 제3 단말기(300)는 식별 코드로부터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400)에 접속된 제3 단말기(300)는 발송인이 등록한 메시지를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3 단말기(300)는 서버(400)로부터 메시지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 및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로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및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식별 코드 인식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발송인으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식별 코드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 받는다. 입력부(110)는 예를 들어, 마우스, 조그휠, 조이스틱 및 키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명령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코드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예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표시부(120)는 표시 기능만을 가질 수도 있고, 표시 기능 및 입력 기능을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120)는 표시 기능 및 입력 기능을 모두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1 단말기(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30)는 식별 코드 인식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코드,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코드 인식부(140)는 제2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정보는 후술될 제어부(150)로 제공된다.
제어부(150)는 제1 단말기(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150)는 식별 코드 인식부(140)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40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 후, 서버(400)에서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수행된다. 인증 처리에 성공하면, 제어부(150)는 발송인이 선택한 메시지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선택된 메시지는 수취인에게 전해질 메시지로서, 음성,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통신부(160)는 제2 단말기(200) 및 서버(400)와 통신한다. 일 예로, 통신부(160)는 제2 단말기(200)로 상품 배달을 의뢰하고,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를 수신한다. 다른 예로, 통신부(160)는 접속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60)는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6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유에스비(Wireless USB),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RF), 및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버(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400)는 통신부(410), 인증 처리부(420), 식별 코드 생성부(430) 및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제2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 코드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 통신부(410)는 제1 단말기(1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 결과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인증 처리에 성공한 제1 단말기(100)로부터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410)는 제3 단말기(3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제3 단말기(3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처리 결과를 제3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제1 단말기(100)에 의해 등록된 메시지를 제3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1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 유에스비(Wireless USB),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RF), 및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을 예로 들 수 있다.
인증 처리부(42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성공되면 인증 처리부(420)는 제1 단말기(100)의 서버(400) 접속을 허용한다. 그러면 제1 단말기(100)는 제3 단말기(300)로 보낼 메시지를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성공되면, 인증 처리부(420)는 인증 처리 결과는 후술될 식별 코드 생성부(430)로 제공한다. 그러면, 식별 코드 생성부(430)에서는 식별 코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식별 코드는 제2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성공되면, 인증 처리부(420)는 제3 단말기(300)의 서버(400) 접속을 허용한다. 그러면 제3 단말기(300)는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제3 단말기(300)는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받을 수 있다.
식별 코드 생성부(430)는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인증 처리부(420)의 인증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식별 코드는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및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코드는 통신부(410)를 통해 제1 단말기(100)로 전송된다.
데이터베이스(440)는 제1 단말기(100), 제2 단말기(200) 및 제3 단말기(300)로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440)는 상품 판매자 정보,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발송인이 등록한 메시지, 및 메시지의 URL 등을 저장한다. 상품 판매자 정보로는 상품 판매자의 이름, 연락처, 업체명 및 업체주소를 예로 들 수 있다. 발송인 정보 및 수신인 정보는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3 단말기(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단말기(300)는 입력부(310), 표시부(320), 저장부(330), 식별 코드 인식부(340), 제어부(350), 통신부(360) 및 영상 획득부(37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입력부(310), 표시부(320), 저장부(330), 식별 코드 인식부(340), 제어부(350) 및 통신부(360)는 도 2에 도시된 입력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식별 코드 인식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60)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획득부(370)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 식별 코드 영상을 획득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 획득부(37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370)에서 획득된 식별 코드 영상은 식별 코드 인식부(340)로 제공된다.
식별 코드 인식부(340)는 식별 코드 영상에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정보는 제어부(350)로 제공된다.
제어부(350)는 제3 단말기(3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350)는 식별 코드 인식부(340)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400)로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360)는 제1 단말기(100) 및 서버(400)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360)는 접속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처리 결과를 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36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상품 판매자는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회원으로 가입된 상태임을 가정한다. 또한 상품 판매자가 취급하는 상품은 상품 판매자의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상태임을 가정한다.
발송인은 제1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상품 배달을 의뢰한다(S610). 발송인이 상품 배달을 의뢰하면,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는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200)로 상품 배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상품 배달 요청 신호는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및 배달 의뢰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로부터 상품 배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200)는 서버(400)로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15).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는 발송인 정보, 수신인 정보 및 상품 판매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400)는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620).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440)를 조회하여,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한 제2 단말기(200)가 기 등록된 상품 판매자의 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
제2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에 성공한 경우, 서버(400)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S625). 이 때, 식별 코드는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란 발송인의 제1 단말기(100) 또는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가 유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접속 인증 번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접속 인증 번호는 서버(400)에서 생성되며, 발송인이 상품 배달을 의뢰할 때마다 생성된다.
식별 코드가 생성되면, 서버(400)는 생성된 식별 코드를 제2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30).
서버(400)로부터 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제2 단말기(200)는 제1 단말기(100)로 식별 코드를 전송한다(S635).
제2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제1 단말기(100)는 수신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S640),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접속 인증 번호를 획득한다.
이 후, 제1 단말기(10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한다(S645). 접속 요청 신호는 제1 단말기(1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650).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 단말기(1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를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단말기(1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 처리에 성공한 경우, 서버(400)는 인증 처리 결과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55). 즉 서버(400)는 제1 단말기(100)의 접속을 허가한다.
서버(400)로부터 인증 처리 결과가 수신되면, 제1 단말기(100)는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서버(400)로 전송한다(S660). 이 때, 메시지의 형식은 음성, 사진, 동영상, 또는 텍스트 중 하나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말기(1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400)는 수신된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S665).
한편, S635 단계 이후, 상품 판매자는 식별 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나 태그를 상품에 부착하여 수취인에게 배달한다.
수취인의 제3 단말기(300)는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스티커나 태그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 영상을 획득한다(S670).
식별 코드 영상이 획득되면, 제3 단말기(300)는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S675), 서버(400)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접속 인증 번호를 획득한다.
이 후, 제3 단말기(30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서버(400)로 전송한다(S680). 접속 요청 신호는 제3 단말기(3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말기(30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서버(400)는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685).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접속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3 단말기(3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를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되어 있는 제3 단말기(300)의 정보 및 접속 인증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제3 단말기(300)에 대한 인증 처리에 성공한 경우,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즉, 발송인이 등록한 메시지를 제3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690). 이 때, 메시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메시지는 제3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는 제3 단말기(300)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이 후, 서버(400)는 수취인에게 메시지가 제공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695). 이처럼 제1 단말기(100)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면, 발송인은 상품 배달 및 메시지 전달 여부를 확인한 상태에서 수취인과 연락을 취할 수 있으므로, 상품 배달 서비스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100: 제1 단말기
200: 제2 단말기
300: 제3 단말기
400: 서버

Claims (5)

  1. 상품 판매자에게 상품의 배달을 의뢰한 발송인의 제1 단말기가 상기 상품 판매자의 제2 단말기로 상품 배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배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기가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서버 접속에 필요한 정보인 접속 인증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획득된 접속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코드가 인쇄된 스티커나 태그가 부착된 상기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자로부터 배달 받으면, 상기 수취인의 제3 단말기가 상기 스티커나 상기 태그를 촬영하여 식별 코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식별 코드 영상으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접속 인증 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단말기가 상기 획득된 접속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3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가 상기 수취인에게 제공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와 별도로 생성되어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되며,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제2 단말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3 단말기로 바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에 저장된 메시지는 상기 제3 단말기로 제공된 후, 일정 기간 후에 삭제되되, 상기 메시지의 보존 기간은, 상기 발송인이 수취인에게 보낼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등록할 때에 상기 메시지 보존 기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등록하고, 상기 서버는 발송인이 등록한 보존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보존 기간을 관리하며,
    상기 메시지의 형식은 음성, 사진, 동영상 및 텍스트 중 하나이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메시지의 형식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스트리밍하도록 선택하되, 상기 메시지의 형식이 음성, 사진 및 텍스트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의 형식이 동영상일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3 단말기로 스트리밍하는,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8552A 2015-01-19 2015-01-19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1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552A KR101718354B1 (ko) 2015-01-19 2015-01-19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552A KR101718354B1 (ko) 2015-01-19 2015-01-19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45A KR20150022945A (ko) 2015-03-04
KR101718354B1 true KR101718354B1 (ko) 2017-04-04

Family

ID=5302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552A KR101718354B1 (ko) 2015-01-19 2015-01-19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587B1 (ko) * 2019-08-01 2021-05-27 윤성구 택배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9016A (ja) 2010-01-29 2011-08-18 Kobayashi Create Co Ltd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870A (ko) 2007-09-19 2009-03-24 양진호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판매 및 배송 정보 제공 방법
KR20120094210A (ko) * 2011-02-16 2012-08-24 나선영 2차원 코드를 이용하는 꽃배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62092A (ko) * 2011-12-02 2013-06-12 박진우 큐알코드를 이용한 전자도장 서비스장치
KR20130119600A (ko) * 2012-04-24 2013-11-01 강대영 택배/우편 서비스에 qr코드를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9016A (ja) 2010-01-29 2011-08-18 Kobayashi Create Co Ltd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945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1293B2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JP6703918B2 (ja) 生成プログラム、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US101151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shopping
JP6191461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US8833652B2 (en) Produc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ag and mobile device
US201200540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a referral credit to an entity account based on a geographic location of a computing device
US20110055013A1 (en) Secure alert system and method
JP2013069074A (ja) 識別データ管理装置、識別データ管理方法、及び識別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6389343B1 (ja) 注文情報提示方法、注文システム
KR101718354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한 상품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21162988A (ja) 情報処理方法
JP20201875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46274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8134909A (ja) 保証システム
JP2012008704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呼出システム
JP7216159B2 (ja) 報酬管理システム、報酬付与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1861550B2 (en) Fraud prevention using audio pairing of devices
JP699459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9345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389789B2 (ja) 情報閲覧システム、情報閲覧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04677A (ja) 印刷物付加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14484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商品購入支援装置、加盟店装置、及び商品購入支援方法
JP2022031542A (ja) 情報処理方法
JP2015018449A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
JP20220556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