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797B1 -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797B1
KR101716797B1 KR1020150098318A KR20150098318A KR101716797B1 KR 101716797 B1 KR101716797 B1 KR 101716797B1 KR 1020150098318 A KR1020150098318 A KR 1020150098318A KR 20150098318 A KR20150098318 A KR 20150098318A KR 101716797 B1 KR101716797 B1 KR 10171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material
cushioning
file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916A (ko
Inventor
안대수
Original Assignee
안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수 filed Critical 안대수
Priority to KR102015009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7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재를 고정하거나 파일의 두부면을 안전하게 덮는 안전캡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범용성이 우수한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P) 상에 얹혀져 쿠션재(2)를 받치거나 또는 해머캡(3)에 수용되어 쿠션재(2)를 지지하는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파일의 두부를 감싸거나 또는 내측으로 쿠션재(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판(10)과 함께 수용공간(R)을 만드는 띠판(20)과; 상기 띠판(20)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며 해머캡(3)의 내면에 맞대어져 걸리도록 된 플런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항타작업시 쿠션재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 이용하다가 사용수명을 다하면 폐기하지 않고 이를 지상으로 노출된 파일을 덮어 안전캡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 및 재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Cushioning materia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쿠션재를 고정하거나 파일의 두부면을 안전하게 덮는 안전캡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범용성이 우수한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이나 해저 면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하는 경우,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이나 강판 파일을 박고, 그 위에 기초공사를 시공한다.
예를 들어, 파일을 지하 또는 해저 면에 삽입하는 경우, 파일을 수직으로 세우고 항타기의 해머를 이용해 파일의 상단을 타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일 시공방법은 항타기의 해머를 이용해 파일의 상단을 타격하는 방식이므로, 파일의 상단에 수직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파일의 항타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파일의 상단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파일의 상단으로 전달되는 타격력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고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파일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일 시공방식은 항타기의 해머가 파일의 항타부를 가격할 때에 충격에 의한 소음공해도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의 상면에 쿠션재를 얹혀 놓고 쿠션재를 타격하면서 파일을 지중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타격 후 쿠션재가 위치를 이동해 작업자가 긴 막대를 이용하여 재 자리를 잡아주는 작업을 진행해야 했으며, 이와 같은 작업과정은 건설현장 시공시 상당히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잠깐의 부주의가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쿠션재는 지상으로 노출된 파일에 임시로 사용되는데, 그로 인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공사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6112호(기초파일 항타부 보호캡/2014.01.21)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499호(파일안전덮개/2011.07.01)
본 발명은 쿠션재를 고정하거나 파일의 두부면을 안전하게 덮는 안전캡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일 상에 얹혀져 쿠션재를 받치거나 또는 해머캡에 수용되어 쿠션재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파일의 두부를 감싸거나 또는 내측으로 쿠션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판과 함께 수용공간을 만드는 띠판과;
상기 띠판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며 해머캡의 내면에 맞대어져 걸리도록 된 플런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에는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받침판에 얹혀지는 쿠션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스토퍼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에는 쿠션재가 끼워지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된 권취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에는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받침판에 얹혀지는 쿠션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스토퍼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항타작업시 쿠션재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 이용하다가 사용수명을 다하면 폐기하지 않고 이를 지상으로 노출된 파일을 덮어 안전캡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 및 재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도 1은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다른 설치 예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에서 도 3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에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에서 권취식 쿠션재가 적용되었을 때에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4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5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다른 설치 예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파일(P)은 다양한 기초공사용 파일로서 그 중에서도 중공형상의 콘크리트파일을 의미하고, 상기 쿠션재(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합판, 로프, 패드, 펄프 등을 의미하며, 상기 해머캡(3)은 공지의 항타기에 사용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는, 받침판(10)과 띠판(20) 및 플런지(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파일(P)에 결합되어 쿠션재(2)를 받치거나 또는 해머캡(3)에 수용되어 쿠션재(2)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 및 파일(P)의 개구부(P-1)를 막아 작업자가 개구부(P-1)에 빠지지 않도록 폐쇄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10)은 파일(P)의 상면에 얹혀져 쿠션재(2)를 받치거나 또는 해머캡(3)에 수용되어 쿠션재(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띠판(20)은 받침판(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또는 상향)연장되어 파일(P)의 두부를 감싸거나 또는 내측에 쿠션재(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판(10)과 함께 수용공간(R)을 만드는(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플런지(30)는 띠판(30)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연장)되어 해머캡(3)의 내면에 맞대어지면서 걸리게 됨으로써 받침판(10)과 띠판(20)을 해머캡(3)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두께, 제조의 용이성, 제조단가, 운반, 복원력 등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플런지(30)의 둘레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보조플런지(31)가 더 보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플런지(30)가 없는 경우 플런지(30)의 지름이 적어도 해머캡(3)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크다면 항타캡(2)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사용되는 해머캡(3)의 내경이 플런지(3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보호구(1)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해머캡(3)의 내경에 맞는 별도의 보호구(1)를 적용해야하므로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플런지(30)에 복수의 보조플런지(31)를 더 보강해 줌으로서 플런지(30)의 지름보다 해머캡(3)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더라도 보조플런지(31)를 매개로 해머캡(3)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보호구(1)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범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1)는 제조비용의 절감, 운반의 용이성, 성형성, 무게, 설치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해 제조하는데, 얇은 두께로 인해 해머캡(3)에 내설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받침판(10)이 휘거나 또는 받침판(10)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받침판(10)에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11)를 더 보강해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브(11)는 받침판(10)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받침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해 주었으며, 리브(11)는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받침판(10)에 리브(11)를 더 보강해 줌에 따라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제조하더라도 별도의 보조기구 없이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머캡(3)에 내설시 받침판(10)이 휘거나 또는 받침판(10)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받침판(10)에만 리브(11)를 보강해 준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띠판(20)과 플런지(30)에도 리브(11)를 보강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의 설치 예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파일(P)의 상면과 둘레면에 받침판(10)과 띠판(20)이 배치되도록 장착시켜 준 다음, 받침판(10)의 상면에 쿠션재(2)를 얹혀주면 항타를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준비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항타해머(4)를 이용해 쿠션재(2)를 타격하게 되면, 이에 의해 파일(P)이 지중에 서서히 박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항타해머(4)에 의한 타격 후 쿠션재(2)는 반동으로 인해 받침판(10)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긴 막대 등을 이용하여 쿠션재(2)의 위치를 잡아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의 다른 설치 예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받침판(10)과 띠판(2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R)에 쿠션재(2)를 안착시켜 준 다음, 해머캡(3)의 하단을 통해 내부로 밀어넣어 주면 플런지(30)가 휘어지면서 인입되고, 해머캡(3)의 내부 상단에 쿠션재(2)가 맞대어지면 밀어 넣는 작업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플런지(30)는 휘어진 부분이 복원되면서 해머캡(3)의 내면에 맞대어져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재(2)가 수용된 보호구(1)는 해머캡(3)의 내부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구(1)가 수용된 해머캡(3)의 내측으로 파일(P)의 상단부가 인입되게 결합시켜 줌으로서 항타를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준비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항타해머(4)를 이용해 쿠션재(2)를 타격하게 되면, 이에 의해 파일(P)이 지중에 서서히 박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항타해머(4)에 의한 타격 시 쿠션재(2)는 압축되면서 변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압축변형을 플런지(30)가 휘어지면서 수용하므로 쿠션재(2)의 확장으로 인한 띠판(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구(1)는 항타작업에 수 회에 걸쳐 이용되다 보면 사용수명을 다해 더 이상 항타작업에 사용할 없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호구(1)를 지상으로 노출된 파일(P)에 덮어 줌으로서 작업자가 파일(P)의 개구부(P-1)에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구(1)를 파일(P)에 덮어 줌으로서 시공이 완료된 파일(P)의 개구부(P-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구(1)는 항타작업시 쿠션재(2)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 이용하다가 사용수명을 다하면 폐기하지 않고 이를 지상으로 노출된 파일(P)을 덮어 안전캡의 용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 및 재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한편, 도 6은 도 2의“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플런지(30)는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해머캡(3)에 삽입시 플런지(30)가 휘어지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이후에는 복원력에 의해 플런지(30)의 단부와 해머캡(30)의 내면이 맞대어지면서 걸리게 되므로 고정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에서 도 3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타해머(4)에 의한 타격 후 쿠션재(2)는 반동으로 인해 받침판(10) 상에서 움직이거나 혹은 이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긴 막대 등을 이용하여 쿠션재(2)의 위치를 잡아주게 되는데, 이 과정이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자칫 작업자의 인사사고로 연결될 개연성이 상당하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쿠션재(2)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스토퍼(40)를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을 주목해 주기 바란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40)는 받침판(1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받침판(10)에 얹혀진 쿠션재(2)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토퍼(40)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받침판(10)에 얹혀진 쿠션재(2;본 실시 예에서는 8각형 합판)를 복수의 스토퍼(40)가 잡아주기 때문에 항타해머(4)에 의한 타격 후에도 쿠션재(2)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긴 막대를 이용해 쿠션재(2)의 위치를 잡아주는 작업을 전혀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안정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3실시 예에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건축용 파일(P)은 내부가 관통된 중공관을 대부분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중실 타입의 쿠션재(2)를 사용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감아서 사용하는 쿠션재(2;로프)의 경우 보호구(1)의 수용공간(R)에 설치할 경우 많은 양에 쿠션재(2)를 요하므로 제조비용의 상승 및 판매단가의 상승으로 직결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받침판(10)에 권취부(12)를 더 보강하여 중공형의 쿠션재(2)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부(12)는 받침대(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쿠션재(2)가 끼워지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R)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1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함몰된 도넛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부(12)의 둘레를 따라 쿠션재(2)를 팽팽하게 감게 되면 강도가 약한 권취부(12)는 쉽게 찌그러질 수 있으므로 권취부(12)의 둘레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11)를 형성해 줌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2)에는 중공형의 쿠션재(2;합판, 패드)가 끼워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2)에는 쿠션재(2;로프)가 권취된다.
상기 제3실시 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선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로 대신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1)의 제3실시 예에서 권취식 쿠션재(2;로프)가 적용되었을 때에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4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4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12)에 쿠션재(2;로프)를 감게 되면,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이 사이가 이격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권취시킨 쿠션재(2;로프)가 들뜨게 되는 문제, 권취부(12)가 찌그러지게 되는 문제 및 작업자가 권취시 한 손은 쿠션재(2;로프)의 선단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권취부(12)에 감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쿠션재(2;로프)가 본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권취부(12)에 쿠션재(2;로프)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이홈(13)을 더 보강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는 점을 주목해 주기 바란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홈(13)은 권취부(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와 같이 사선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쿠션재(2;로프)에서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해 좀 더 팽팽하게 쿠션재(2;로프)를 권취부(12)에 권취시키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권취부(12)에 걸이홈(13)을 일체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작업자가 쿠션재(2;로프)를 권취부(12)에 권취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팽팽하게 쿠션재(2;로프)를 권취부(12)에 감아 줄 수 있어 쿠션재(2;로프)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1회성에 그치지 않고 여러 번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선 제4실시 예에서는 쿠션재(2;로프)에서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분명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이격 공간이 상존하고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권취부(12)를 평면에서 본 형상을“
Figure 112015066956406-pat00002
”형태로 제조하여 쿠션재(2;로프)의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더욱더 최소화시켰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5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의 제5실시 예에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12)는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감안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쿠션재(2;로프)의 첫 번째 로프 선단을 권취부(12)의 돌출된 면에 맞대어준 상태에서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감안하여 형성한 권취부(12)의 둘레를 따라 쿠션재(2;로프)를 감아주게 되면, 첫 번째 로프와 두 번째 로프 사이에 이격 공간이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보다 팽팽하게 쿠션재(2;로프)를 권취부(12)의 둘레에 감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보호구 10: 받침판 11: 리브
12: 권취부 13: 걸이홈 20: 띠판
30: 플런지 31: 보조플런지 40: 스토퍼
P: 파일 2: 쿠션재 3: 해머캡
4: 항타해머 R: 수용공간

Claims (7)

  1. 파일 상에 얹혀져 쿠션재를 받치거나 또는 해머캡에 수용되어 쿠션재를 지지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파일의 두부를 감싸거나 또는 내측으로 쿠션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판과 함께 수용공간을 만드는 띠판과; 상기 띠판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며 해머캡의 내면에 맞대어져 걸리도록 된 플런지로 구성된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쿠션재가 끼워지거나 또는 감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된 권취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에는 감아서 사용하는 쿠션재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이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받침판에 얹혀지는 쿠션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스토퍼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리브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98318A 2015-07-10 2015-07-10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KR10171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18A KR101716797B1 (ko) 2015-07-10 2015-07-10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18A KR101716797B1 (ko) 2015-07-10 2015-07-10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16A KR20170006916A (ko) 2017-01-18
KR101716797B1 true KR101716797B1 (ko) 2017-03-16

Family

ID=5799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318A KR101716797B1 (ko) 2015-07-10 2015-07-10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7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09Y1 (ko) * 2000-09-19 2001-02-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지반파일용 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5708U (ko) * 1976-08-12 1978-03-04
KR20020029804A (ko) * 2000-10-14 2002-04-20 이현아 항타기용 완충구
KR20020080695A (ko) * 2001-04-17 2002-10-26 이현아 항타기용 완충구
DE10259613A1 (de) 2002-12-19 2004-07-08 Wacker-Chemie Gmbh Organopolysiloxanzusammensetzungen und deren Einsatz in bei Raumtemperatur vernetzbaren niedermoduligen Massen
KR101356112B1 (ko) 2012-04-27 2014-01-29 주식회사 동호 기초파일 항타부 보호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09Y1 (ko) * 2000-09-19 2001-02-15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지반파일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1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3609B2 (en) Safety fence assembly
US20090313927A1 (en) Protective cap for reinforcing bars
US10458133B2 (en) Perimeter warning system
KR102297500B1 (ko)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1259766B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US10982454B2 (en) Safety fence assembly
KR101716797B1 (ko)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KR101830386B1 (ko) 소파블록 추락안전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A2255240C (en) Concrete reinforcing bar protective cover
CN214143824U (zh) 一种用于检查井洞口临时防护的井盖
KR101573765B1 (ko) 도로의 시선유도봉
US5826398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EA023969B1 (ru) Заглушка для концов труб
KR101654350B1 (ko) 절토 사면의 낙석방지용 보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시공방법
KR102019917B1 (ko) 강관지주 매립장치
KR200475809Y1 (ko) 인삼밭 말뚝 박음공구
KR20090126109A (ko) 콘크리트 말뚝 두부의 보호구조
KR102054491B1 (ko) 수직 철근용 안전커버
US20100325968A1 (en) Moisture barrier hold-down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70000859U (ko) 파일용 마개
KR101254891B1 (ko) 시설물 고정기둥
KR200386883Y1 (ko) 타워크레인용 체결부재 보관구
KR200452337Y1 (ko) A형 안전펜스
KR200253763Y1 (ko) 앵커볼트의 훼손방지및 안전구조
KR102618243B1 (ko) 기립 유지가 가능한 배전선로용 전신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