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563B1 -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563B1
KR101716563B1 KR1020150043593A KR20150043593A KR101716563B1 KR 101716563 B1 KR101716563 B1 KR 101716563B1 KR 1020150043593 A KR1020150043593 A KR 1020150043593A KR 20150043593 A KR20150043593 A KR 20150043593A KR 101716563 B1 KR101716563 B1 KR 10171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ethyl
ethyl ketone
isobutyl aldehyde
reactor
azeot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273A (ko
Inventor
김우영
신우균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563B1/ko
Priority to PCT/KR2016/003095 priority patent/WO2016159598A1/ko
Publication of KR2016011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4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oxidation with ozone; by ozon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5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pyrolysis, rearrangement or de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04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10Methyl-ethyl ket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THE SEPERATION METHOD OF METHYL ETHYL KETONE FROM AZEOTROPE COMPRISING THE METHYL ETHYL KETONE AND ISOBUTYL ALDEHYDE}
본 발명은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는 2,3-부탄디올의 탈수반응의 부산물로 함께 생성된다. 이 중 메틸에틸케톤은 산업적 부가가치가 높은 화합물로서, 이소부틸알데하이드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이용하는 경우 경제성이 높다.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서 이들의 혼합물에서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증류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메틸에틸케톤은 끓는점이 79℃, 이소부틸알데하이드는 끓는점이 63℃로 끓는점의 차이가 거의 없고,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의 혼합물은 공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증류를 행할 경우, 과도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일반적인 증류법과 대비하여 경제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메틸에틸케톤으로부터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체적으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a) 산화성 기체를 장입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또는
b) 산화제를 접촉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할 경우, 일반적인 증류법과 대비하여 경제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메틸에틸케톤으로부터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액 반응에 의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기상 반응에 의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체적으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a) 산화성 기체를 장입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또는
b) 산화제를 접촉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통해 a) 단계(기액 반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기액 반응, 즉 a) 단계에 의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Isobutyraldehyde, IBA)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산화성 기체를 장입하면서 열처리하면,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산화되어 이소부티르산(Isobutyric Acid, IBAC)으로 전환되고, 이소부티르산은 끓는점이 155℃이므로 메틸에틸케톤과의 증류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a) 단계의 산화성 기체는 산소, 오존 및 공기(air)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질소, 헬륨, 네온 및 아르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 기체와 함께 장입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a) 단계의 산화성 기체는 0~2 bar 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부분압으로 장입될 수 있다.
산화성 기체의 장입 압력이 2 ba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비 혼합물의 유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a) 단계의 열처리는 30~7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유도하는 산화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열처리 온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기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a) 단계에서 사용되는 반응기 내에는 비드(bead)가 충진될 수 있는데,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비드는 유리 비드 또는 산화알루미늄 비드일 수 있다.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소부틸알데하이드의 산화반응이 원활히 일어나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공비 혼합물과 상기 산화성 기체의 접촉 면적을 넓힐 필요가 있는바, 이는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비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때, 반응기 내에서 상기 혼합물의 주입 방향과 상기 산화성 기체의 장입 방향은 서로 동일 또는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비 혼합물은 상기 반응기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주입됨으로써 중력 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기 내에서 하강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성 기체는 상기 반응기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장입됨으로써 상기 기체의 확산 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기 내에서 상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비드는 상기 공비 혼합물과 상기 산화성 기체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확산 방향을 넓힘으로써 상기 혼합물과 상기 산화성 기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를 통해 b) 단계(기상 반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기상 반응, 즉 b) 단계에 의한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을 산화제가 장입된 반응기 내 주입하고 열처리하면, 기화된 공비 혼합물이 산화제와 접촉하면서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산화되어 이소부티르산으로 전환되고, 이소부티르산은 끓는점이 155℃이므로 공비 혼합물은 기상의 메틸에틸케톤과 액상의 이소부티르산으로 분리됨으로써 메틸에틸케톤의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b) 단계의 산화제는 산화알루미늄, 실리카겔,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b) 단계의 열처리는 70~12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70℃ 미만일 경우에는 메틸에틸케톤과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기화되지 않아 산화제와 만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열처리 온도가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비 혼합물이 급속한 기화에 의해 산화제와 충분한 접촉 시간을 가지지 못한 채 외부로 끓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반응기 내에는 비드(bead)가 충진될 수 있는데,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비드는 상기한 산화제 비드일 수 있다.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메틸에틸케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소부틸알데하이드의 산화반응이 원활히 일어나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공비 혼합물과 상기 산화제의 접촉 면적을 넓힐 필요가 있는바, 이는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산화제 비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응기 내 충진된 산화제 비드는 기화된 상기 공비 혼합물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확산 방향을 넓힘으로써 상기 공비 혼합물과 상기 산화제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기액반응기를 이용한 분리
도 1에서와 같이 2개의 주입구(inlet)와 2개의 출구(outlet)로 구성된 반응기에서 공비혼합물(메틸에틸케톤+이소부틸알데하이드)은 상부 주입구로 공급하고 기체 산화제인 산소를 하부 주입구로 공급하였다. 이 때 공비혼합물의 조성은 메틸에틸케톤 90 mol%, 이소부틸알데하이드 10 mol% 로 구성되었다. 공비혼합물은 중력에 의해 반응기 내에서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반면, 기체 산화제는 밀도차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공비혼합물과 기체 산화제의 접촉면적이 커진다. 이 때 기체 산화제의 이동을 분산시켜주기 위해 반응기 내에는 불활성이거나 약산성을 띄고 있는 실리카겔과 알루미나 비드를 채워주었다. 반응기 내 온도는 30~70℃로 유지하면서 상기 공비혼합물과 기체 산화제를 공급하여 주었다.
그 결과, 상부 출구로는 반응 기체 산화제가 배출되고, 하부 출구로는 메틸에틸케톤 90 mol% 와 산화된 이소부틸알데하이드인 이소부티르산 10 mol%이 배출되었다.
메틸에틸케톤은 끓는점이 79℃, 이소부티르산은 끓는점이 155℃인바, 간단한 증류공정에 의하여 고순도 메틸에틸케톤을 얻어낼 수 있었다.
실시예 2 - 기상반응기를 이용한 분리
도 2에서와 같이 증류-반응기는 공비혼합물이 공급되는 하부 주입구와 반응물이 배출되는 상부 출구로 구성되고, 증류-반응기의 내부는 고체 산화제인 알루미나, 지올라이트 등으로 채워진다. 이 때 공비혼합물의 조성은 메틸에틸케톤 90 mol%, 이소부틸알데하이드 10 mol% 로 구성되었다. 하부 주입구 측에서 70~12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공비 혼합물을 공급하면 메틸에틸케톤과 이소부틸알데하이드는 증류 반응기의 상단부 방향으로 기화되어 이동한다. 이 때 반응기 내부 중단부에 위치한 고체산화물과 기체상태인 공비혼합물이 접촉하면서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이소부티르산으로 전환되는데, 끓는점이 약 150℃ 인 이소부틸릭산은 액화되어 증류-반응기 내에서 상단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단부로 떨어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부 출구로는 순도 99% 이상의 메틸에틸케톤만 배출되고 하단부에는 이소부티르산만 남게 되어 별도 분리/정제 없이 두 물질이 분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에 대하여,
    반응기의 하부 주입구 측에서 상기 혼합물을 가열한 상태에서 공급하여 반응기의 상단부 방향으로 기화시키고,
    기화된 상기 혼합물을 반응기 내부의 고체 산화제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화알루미늄, 실리카겔,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70~12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및 상기 고체 산화제와의 반응에 의하여 이소부틸알데하이드가 이소부티르산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비드(bead)로 충진되고, 상기 비드가 산화제 비드인,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KR1020150043593A 2015-03-27 2015-03-27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KR10171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93A KR101716563B1 (ko) 2015-03-27 2015-03-27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PCT/KR2016/003095 WO2016159598A1 (ko) 2015-03-27 2016-03-25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593A KR101716563B1 (ko) 2015-03-27 2015-03-27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73A KR20160116273A (ko) 2016-10-07
KR101716563B1 true KR101716563B1 (ko) 2017-03-15

Family

ID=570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593A KR101716563B1 (ko) 2015-03-27 2015-03-27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563B1 (ko)
WO (1) WO201615959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5140A (en) * 1940-12-06 1944-08-08 Celanese Corp Separation of aldehyde-ketone mixtures
US4885399A (en) 1986-11-26 1989-12-05 Catalytica, Inc. Process for obtaining substantially aldehyde-free ketone products
US6476260B1 (en) 1997-10-02 2002-11-05 Rwe-Dea Aktiengesellschraft Fur Mineraloel Und Chemie Method of producing aldehydes and carboxylic acids by oxidizing primary alcoho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5140A (en) * 1940-12-06 1944-08-08 Celanese Corp Separation of aldehyde-ketone mixtures
US4885399A (en) 1986-11-26 1989-12-05 Catalytica, Inc. Process for obtaining substantially aldehyde-free ketone products
US6476260B1 (en) 1997-10-02 2002-11-05 Rwe-Dea Aktiengesellschraft Fur Mineraloel Und Chemie Method of producing aldehydes and carboxylic acids by oxidizing primary alcoh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273A (ko) 2016-10-07
WO2016159598A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74644A (en) Recovery of polycarboxylic acid anhydrides
US20120130137A1 (en) Production process of conjugated diene
TWI477487B (zh) N-methylpyrrolidone (NMP) distillation apparatus
JP3147380B2 (ja) フッ化水素の除去方法
JP2019503956A (ja) ハイドロジェンビス(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の製造方法
CN104968426B (zh) 停止运转反应器的方法
TW201509930A (zh) 環狀碳酸酯之連續製造方法
KR20170004313A (ko) 증류 장치
JP6070695B2 (ja) 亜硝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並びにシュウ酸ジアルキル及び炭酸ジアルキルの製造方法
KR101716563B1 (ko) 메틸에틸케톤 및 이소부틸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공비 혼합물로부터 메틸에틸케톤을 분리하는 방법
JP5814269B2 (ja) アリル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KR20070083174A (ko) 방향족 화합물의 산화반응시 반응기 배출가스로부터 물을제거하는 방법
CN104704308B (zh) 从酸性气体中去除co2的方法
JP2011051852A (ja) 一酸化炭素ガ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4529692A (zh) 一种纯化六氟乙烷的方法
US8481783B2 (en) Process of separation of glyoxylic acid from an aqueous reaction medium containing glyoxyl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KR101984280B1 (ko) (메트)아크릴산의 제조 방법
KR20220030938A (ko) 황화카르보닐의 제조 방법
JP2011219331A (ja) 熱化学水素製造方法
EP2699537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nitration selectivity flexibility enabled by azeotropic distillation
US20160068498A1 (en) Process for removal of 1,2-epoxy-5-hexene from epichlorohydrin
KR20160052232A (ko) 사산화질소의 제조방법
TWI703114B (zh) 氟化甲烷之製造方法
KR102594408B1 (ko) 폐 에탄올 정제 방법
KR102039403B1 (ko) 고순도 테레프탈산 제조 시 반응기에서 배출되는 부산물로부터 초산을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