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449B1 - 자궁경부 봉축기 - Google Patents

자궁경부 봉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449B1
KR101716449B1 KR1020150184784A KR20150184784A KR101716449B1 KR 101716449 B1 KR101716449 B1 KR 101716449B1 KR 1020150184784 A KR1020150184784 A KR 1020150184784A KR 20150184784 A KR20150184784 A KR 20150184784A KR 101716449 B1 KR101716449 B1 KR 10171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band
elastic band
bend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원 filed Critical 서정원
Priority to KR1020150184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61B2017/4225Cervix uter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궁경부 봉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궁경부를 탄성적으로 조이는 봉축용 탄성밴드; 및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장착시켜 상기 자궁경부의 봉축위치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슈팅하는 밴드 슈팅용 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궁경부 봉축기{Cervix tight device}
본 발명은, 자궁경부 봉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자궁경부 봉축기에 관한 것이다.
자궁경부 봉축술(Cervical cerclage)은 자궁경관무력증(IIOC ;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의 과거력이 있는 산모의 자궁 입구를 묶어 태아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수술로서 자궁 경부를 동여매듯이 봉합하여 위로부터 힘을 받아도 자궁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중, 간단한 방법인 맥도날드(McDonald) 방법(도 1 참조)과, 자궁 경부의 내구 쪽에 더 가깝게 수술을 할 수 있는 쉬로드카(Shirodkar) 방법이 대부분 환자에서 쓰는 방법이다.
이 두 가지 방법에서 임신 유지 기간이나 성공률에 차이가 없으므로 특별한 문내가 없다면 간단한 방법이 더 좋다. 참고로, 쉬로드카 방법은 수술이 더 복잡하고 나중에 실을 빼기 어렵다.
한편, 위의 수술은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술 후 몇 가지 아래와 같은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첫째, 자궁경부에 자극을 줌으로 인한 조기진통(premature labor)의 위험성이 있다.
둘째, 침습적인 시술로 인하여 바늘 혹은 기타 기구에 의한 조기 양막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의 위험성이 있다.
셋째,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자궁경부의 감염(infection of the cervix)의 위험성이 있다.
넷째,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양수 내 감염{infection of the amniotic sac (chorioamnionitis)}의 위험성이 있다.
다섯째,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자궁경부 혹은 앞쪽 방광 손상(injury to the cervix or bladder)의 위험성이 있다.
여섯째,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출혈(bleeding)의 위험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약 9% 가량의 여성이 수술 후 조기진통이 걸리며, 7%에서 융모양막염이 보고 됐지만 만일 자궁경관이 3cm 이상 개대 된 상태에서 수술을 할 경우 30%까지 그 위험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대한 참고(reference)은 아래와 같다.
- 참고(reference)
Enkin, Murray, et al. A Guide to Effective Care in Pregnancy and Childbirth, 3r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Goldenberg, Robert L. "The Management of Preterm Labor." Obstetrics & Gynecology 100, no. 5 (November 2002): 1020??37.
MacDonald, Hugh. "Perinatal Care at the Threshold of Viability."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0, no. 5 (November 2002): 1024??7.
Matijevic, Ratko, Branka Olujic, Jasua Tumbri, and Asim Kurjak. "Cervical Incompetence: The Use of Selective and Emergency Cerclage."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29 (2001): 31??5.
Weismiller, David G. "Preterm Labor." American Family Physician February 1, 1999: 593??604.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8880 Ward Parkway, Kansas City, MO 64114. (816) 333-9700. http://www.aafp.org.
American Board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915 Vine Street, Dallas, TX 75204. (214) 871-1619. http://www.abog.org.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409 12th St., SW, PO Box 96920, Washington, DC 20090-6920. http://www.acog.org.
Bernstein, Peter S. "Controversies in Obstetrics: Cervical Cerclage." Third World Congress on Controversies in Obstetrics, Gynecology, and Infertility. 2002 [cited March 1, 2003]. http://www.medscape.com/viewprogram/1964.
Pincock, Stephen. "Cervical Cerclage Associated with Good Pregnancy Outcome." Reuters Health. February 13, 2003 [cited March 1, 2003].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449414.
"Shortened Cervix in Second Trimester Possible Warning Sign for Premature Birth."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September 18, 2001 [cited March 1, 2003]. http://www.nichd.nih.gov/new/releases/cervix.cfm.
Starzyk, Kathryn A. and Carolyn M. Salafia. "A Perinatal Pathology View of Preterm Labor." Medscape Women's Health eJournal. 2000 [cited March 1, 2003].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408936_1.
Weiss, Robin Elise. "The Incompetent Cervix." [cited March 1, 2003.] http://pregnancy.about.com/library/weekly/aa011298.htm.
결과적으로, 자궁경부 봉축술은 자체로 매우 유용한 수술이지만 자궁경부를 바늘(needle)로 꿰매야 하는 점에 있어 위에 기술한 것처럼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8-00335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701022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1868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70342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자궁경부 봉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궁경부를 탄성적으로 조이는 봉축용 탄성밴드; 및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장착시켜 상기 자궁경부의 봉축위치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슈팅하는 밴드 슈팅용 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내면에는 상기 자궁경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접촉면적 감소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두께는 적어도 3mm이고,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지름은 1.5cm 내지 2.5cm이며, 상기 접촉면적 감소홈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처리되며,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는 상기 밴드 슈팅용 건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슈팅용 건은, 일측에 네크가 형성되는 건 바디; 상기 건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방아쇠를 구비하는 건 손잡이; 상기 건 바디의 네크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상기 방아쇠의 동작에 의해 슈팅되도록 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및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은, 노출 단부의 외측에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 시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을 전진시켜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장착되는 봉축용 탄성밴드를 가압하여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슈팅되도록 하는 제1 구동 모듈; 상기 네크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는 지점을 형성하는 스토퍼; 및 상기 네크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 모듈의 동작이 정지된 때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모듈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플랜지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판; 및 상기 접촉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가압판을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 쪽으로 가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은, 노출 단부의 외측에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 및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 시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을 후진시켜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단부에 가압되어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슈팅되도록 하는 제2 구동 모듈; 및 상기 제1 유닛 하우징과 상기 제2 유닛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모듈의 동작이 정지된 때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제, 자궁경부 봉축술은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한 성공도가 좌우되는 시술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를 사용하는 시술의 경우에는 시술자에 성공여부가 좌우되지 않고 비교적 안정된 성공률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반신 마취가 필요 없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후 분만 시 기존 수술과 마찬가지로 가위를 이용하여 봉축용 탄성밴드를 잘라 제거할 수 있어서 시술의 마무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맥도날드(McDonald) 방법의 예시 이미지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봉축용 탄성밴드의 구조도이다.
도 7은 자궁경부 봉축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8은 자궁 및 자궁경부 모식도이다.
도 9는 자궁경부 무력증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자궁경부 봉축기를 이용한 시술과정을 보인 이미지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 도 5는 도 3에 대응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 도 6은 봉축용 탄성밴드의 구조도, 도 7은 자궁경부 봉축기의 제어블록도, 도 8은 자궁 및 자궁경부 모식도, 도 9는 자궁경부 무력증에 대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자궁경부 봉축기를 이용한 시술과정을 보인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100)는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도 10처럼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자궁경부를 탄성적으로 조이는 봉축용 탄성밴드(110)와,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장착시켜 자궁경부의 봉축위치로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슈팅(발사)하는 밴드 슈팅용 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 슈팅용 건(120)에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장착한 후, 밴드 슈팅용 건(120)을 자궁경부 쪽으로 삽입하여 방아쇠(124)를 당김으로써, 도 10처럼 자궁경부의 봉축위치에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자궁경부 봉축기(100)를 사용할 경우,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의 시술 시처럼 하반신 마취가 필요 없기 때문에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후 분만 시 기존 수술과 마찬가지로 가위를 이용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잘라 제거할 수 있어서 시술의 마무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선, 봉축용 탄성밴드(110)는 자궁경부를 탄성적으로 조이는 일종의 고무밴드이다. 인체에 사용해도 무해한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봉축용 탄성밴드(110)는 통상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도 6와 같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봉축용 탄성밴드(110)의 내면에는 자궁경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접촉면적 감소홈(111)이 형성된다.
통상적인 일반 둥근 고무밴드가 자궁경부를 조이면서 자궁경부 괴사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궁경부 접촉 부분을 일부 제한하기 위해 다수의 접촉면적 감소홈(111)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접촉면적 감소홈(111)은 4개 내지 8개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면적 감소홈(111)의 모서리 부분(111a)은 둥글게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 봉축용 탄성밴드(110)의 두께는 적어도 3mm이고, 봉축용 탄성밴드(110)의 지름은 1.5cm 내지 2.5cm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를 3mm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자궁경부 사이즈가 대부분 2.5~3.5cm 사이인 것을 감안할 때 이보다 작지만 괴사되지 않을 정도의 지름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밴드 슈팅용 건(120)은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장착시켜 자궁경부의 봉축위치로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슈팅(발사)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밴드 슈팅용 건(120)에 하나의 봉축용 탄성밴드(110)이 장착되어 슈팅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 슈팅용 건(120)은 일측에 네크(121)가 형성되는 건 바디(123)와, 건 바디(123)의 일측에 형성되며, 방아쇠(124)를 구비하는 건 손잡이(125)와, 건 바디(123)의 네크(121) 영역에 마련되며,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된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방아쇠(124)의 동작에 의해 슈팅되도록 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네크(121)가 단순히 막대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네크(121)는 그 직경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네크(121)의 직경이 조절 가능할 경우, 자궁경부 크기에 맞추어 안쪽으로 석션닝(suctioning)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은 제1 유닛 하우징(140), 제2 유닛 하우징(150)과, 제1 구동 모듈(160), 스토퍼(171), 그리고 제1 탄성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은 제1 구동 모듈(160)에 의해 제2 유닛 하우징(150)이 전진되어 제1 유닛 하우징(140)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발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유닛 하우징(140)은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그 노출 단부의 외측에는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141)이 형성된다.
제2 유닛 하우징(150)은 제1 유닛 하우징(14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제1 구동 모듈(160)에 의해 전진 동작될 수 있다.
제1 구동 모듈(160)은 제2 유닛 하우징(150)에 연결되며, 방아쇠(124)의 작동 시 제2 유닛 하우징(150)을 전진시켜 제2 유닛 하우징(150)의 단부가 제1 유닛 하우징(140)에 장착되는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가압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동 모듈(160)은 제2 유닛 하우징(150)의 플랜지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판(161)과, 접촉가압판(161)에 연결되며, 접촉가압판(161)을 봉축용 탄성밴드(110) 쪽으로 가압하는 액추에이터(1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71)는 네크(121)의 내벽에 마련되며, 제2 유닛 하우징(150)이 원위치 복귀되는 지점을 형성하는 돌출 구조물이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173)는 네크(121)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122)와 제2 유닛 하우징(150)의 플랜지(151)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구동 모듈(160)의 동작이 정지된 때 제2 유닛 하우징(150)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173)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밴드 슈팅용 건(120)에는 컨트롤러(180)가 더 탑재될 수 있다. 컨트롤러(180)는 방아쇠(124)의 작동에 기초하여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함으로써,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되어 자궁경부의 봉축위치에 도 10처럼 봉축되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방아쇠(124)의 작동에 기초하여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110)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110)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방아쇠(124)의 작동에 기초하여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80)가 방아쇠(124)의 작동에 기초하여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110)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자궁경부 봉축기(100)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될 위치를 확인하여 제1 유닛 하우징(140) 상에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끼운 후, 제1 유닛 하우징(140)의 단부를 자궁경부의 봉축위치에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방아쇠(124)를 작동시키면 이의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180)가 제1 구동 모듈(160)의 동작을 컨트롤함으로써, 제1 구동 모듈(160)에 의해 제2 유닛 하우징(150)이 전진되어 제1 유닛 하우징(140)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발사)됨으로써, 도 10처럼 해당위치에 봉축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도 10처럼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자궁경부 봉축술을 시술할 경우에는 통증으로 인하여 하반신 마취를 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예처럼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경우에는 하반신 마취가 필요 없기 때문에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후 분만 시 기존 수술과 마찬가지로 가위를 이용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잘라 제거할 수 있어서 시술의 마무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자궁경부 봉축술은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한 성공도가 좌우되는 시술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100)를 사용하는 시술의 경우에는 시술자에 성공여부가 좌우되지 않고 비교적 안정된 성공률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230)의 구조와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개시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230)은 노출 단부의 외측에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241)이 형성되는 제1 유닛 하우징(240)과, 제1 유닛 하우징(24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250)과, 제1 유닛 하우징(240)에 연결되며, 방아쇠(124, 도 3 참조)의 작동 시 제1 유닛 하우징(240)을 후진시켜 제1 유닛 하우징(240)에 장착되는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제2 유닛 하우징(250)의 단부에 가압되어 봉축용 탄성밴드(210)가 슈팅되도록 하는 제2 구동 모듈(260)과, 제1 유닛 하우징(240)과 제2 유닛 하우징(25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구동 모듈(260)의 동작이 정지된 때 제1 유닛 하우징(240)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27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경우, 방아쇠(124, 도 3 참조)를 당기면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된 제1 유닛 하우징(240)이 후진되다가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제2 유닛 하우징(250)의 단부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유닛 하우징(240)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제2 유닛 하우징(250)의 단부에 밀려 슈팅(발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요부 확대도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처럼 봉축용 탄성밴드(110)는 하나씩 걸려 슈팅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여러 개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어 방아쇠(124, 도 3 참조)를 당길 때 마다 하나씩 슈팅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13 및 도 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330)은 제1 유닛 하우징(340), 제2 유닛 하우징(150)과, 제1 구동 모듈(160), 스토퍼(171), 그리고 제1 탄성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330)은 제1 실시예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130)에 제1 유닛 하우징(340)의 구조만을 변경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유닛 하우징(340)에는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는 다수의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341,342,343)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341,342,343)은 단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진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유닛 하우징(340)의 단부 영역은 외면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34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341,342,343)에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장착하여 방아쇠(124, 도 3 참조)를 당기면 뒤쪽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앞쪽의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가압하는 방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부터 하나씩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3개의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341,342,343)이 형성되나 이의 개수는 2개 혹은 4개 이상일 수 있ㄷ.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430) 역시, 제1 유닛 하우징(440), 제2 유닛 하우징(450), 제2 구동 모듈(460), 그리고 제2 탄성부재(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430)은 제2 실시예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230)에 제1 유닛 하우징(440)의 구조만을 변경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유닛 하우징(440)에는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장착되는 다수의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441,442,443)이 형성되는데, 이때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441,442,443)은 단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진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유닛 하우징(440)의 단부 영역은 외면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면(44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1 내지 제3 밴드 장착홈(441,442,443)에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장착하여 방아쇠(124, 도 3 참조)를 당기면 뒤쪽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앞쪽의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가압하는 방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부터 하나씩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530)은 다수의 제1 내지 제3 이동식 내부 하우징(541,542,543), 고정식 외부 하우징(550), 그리고 제1 내지 제3 이동식 내부 하우징(541,542,543)을 개별 구동시키는 하우징 개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하우징 개별 구동부에 의해 제1 이동식 내부 하우징(541)을 후진시키면 제1 이동식 내부 하우징(541)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제2 이동식 내부 하우징(542)의 단부에 가압되어 슈팅될 수 있고, 제2 이동식 내부 하우징(542)을 후진시키면 제2 이동식 내부 하우징(542)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제3 이동식 내부 하우징(543)의 단부에 가압되어 슈팅될 수 있으며, 제3 이동식 내부 하우징(543)을 후진시키면 제3 이동식 내부 하우징(543) 상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고정식 외부 하우징(550)의 단부에 가압되어 슈팅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구조로서 앞에서부터 하나씩의 봉축용 탄성밴드(110)가 슈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봉축기에서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영역의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630,730) 역시, 봉축용 탄성밴드(110a)가 걸려 슈팅되는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1 유닛 하우징(640,740)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 모두는 분할된 다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지되 직경의 사이즈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 모두 3조각으로 분할되어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물론, 이들이 반드시 3조각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2조각이나 4조각 이상으로 분할되어도 무방하며, 단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본 실시예처럼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을 이루는 조각들이 상호간 벌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전체적인 사이즈가 조절될 경우, 사람마다 상이한 자궁경부 사이즈(size)에 맞는 봉축용 탄성밴드(110a)를 적용할 수 있어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7 및 도 18처럼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의 사이즈를 벌려 직경을 넓힌 다음 그에 맞는 봉축용 탄성밴드(110a)를 장착하여 자궁경부로 슈팅할 수 있다.
물론, 자궁경부 사이즈가 작은 경우라면 도 17 및 도 18처럼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의 사이즈를 벌리지 않고 좁혀서 그에 맞는 봉축용 탄성밴드(미도시)를 사용하면 된다.
이때,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의 사이즈 조절은 별도의 방아쇠나 버튼을 두어 방아쇠나 버튼을 가압할 때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드릴 공구에서 드릴날을 교체할 때 적용되는 방식이 도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630,730)에는 별도의 포셉(forcep, 680,78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포셉(680,780)은 봉축용 탄성밴드(110a)를 슈팅하기 전에 자궁경부를 미리 잡는 역할을 한다. 포셉(680,780)은 2개로 12시 방향과 6시 방향의 자궁경부를 잡아 모으는 역할을 한다. 도 18의 경우에도 2개의 포셉(78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의 포셉(680)은 링 포셉으로서, 시술 시 먼저 나와 자궁경부를 잡을 수 있으며, 이후에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의 사이즈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 그에 맞는 봉축용 탄성밴드를 슈팅하도록 한다.
이에 반해, 도 18의 포셉(780)은 음압이 걸리는 것으로서, 시술 시 먼저 나와 자궁경부를 음압으로 잡을 수 있으며, 이후에 제1 유닛 하우징(640,740)과 제2 유닛 하우징(650,750)의 사이즈 조절이 이루어진 다음, 그에 맞는 봉축용 탄성밴드를 슈팅하도록 한다.
도 17 및 도 18의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630,730)에 적용 가능한 포셉(680,780)은 건에 마련되는 별도의 손잡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물론, 포셉(680,780)이 건에 마련되지 않고, 별도의 장비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더라도 기존의 자궁경부 봉축술처럼 바늘(needle)로 꿰매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봉축용 탄성밴드(110)를 사용하여 시술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타이트하게 시술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합병증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자궁경부 봉축기 110 : 봉축용 탄성밴드
111 : 접촉면적 감소홈 120 : 밴드 슈팅용 건
121 : 네크 122 : 플랜지
123 : 건 바디 124 : 방아쇠
125 : 건 손잡이 130 :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140 : 제1 유닛 하우징 141 : 밴드 장착홈
150 : 제2 유닛 하우징 151 : 플랜지
160 : 제1 구동 모듈 161 : 접촉가압판
162 : 액추에이터 171 : 스토퍼
173 : 제1 탄성부재 180 : 컨트롤러

Claims (7)

  1. 삭제
  2. 자궁경부를 탄성적으로 조이는 봉축용 탄성밴드; 및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장착시켜 상기 자궁경부의 봉축위치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를 슈팅하는 밴드 슈팅용 건을 포함하고,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내면에는 상기 자궁경부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접촉면적 감소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두께는 적어도 3mm이고,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의 지름은 1.5cm 내지 2.5cm이며,
    상기 접촉면적 감소홈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딩처리되며,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는 상기 밴드 슈팅용 건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슈팅용 건은,
    일측에 네크가 형성되는 건 바디;
    상기 건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며, 방아쇠를 구비하는 건 손잡이;
    상기 건 바디의 네크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된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상기 방아쇠의 동작에 의해 슈팅되도록 하는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 및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은,
    노출 단부의 외측에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 시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을 전진시켜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장착되는 봉축용 탄성밴드를 가압하여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슈팅되도록 하는 제1 구동 모듈;
    상기 네크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는 지점을 형성하는 스토퍼; 및
    상기 네크의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구동 모듈의 동작이 정지된 때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듈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플랜지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판; 및
    상기 접촉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접촉가압판을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 쪽으로 가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장착 및 슈팅 유닛은,
    노출 단부의 외측에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홈이 형성되는 제1 유닛 하우징;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유닛 하우징; 및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방아쇠의 작동 시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을 후진시켜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에 장착되는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상기 제2 유닛 하우징의 단부에 가압되어 상기 봉축용 탄성밴드가 슈팅되도록 하는 제2 구동 모듈; 및
    상기 제1 유닛 하우징과 상기 제2 유닛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모듈의 동작이 정지된 때 상기 제1 유닛 하우징이 원위치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궁경부 봉축기.
KR1020150184784A 2015-12-23 2015-12-23 자궁경부 봉축기 KR10171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84A KR101716449B1 (ko) 2015-12-23 2015-12-23 자궁경부 봉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784A KR101716449B1 (ko) 2015-12-23 2015-12-23 자궁경부 봉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49B1 true KR101716449B1 (ko) 2017-03-15

Family

ID=5840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784A KR101716449B1 (ko) 2015-12-23 2015-12-23 자궁경부 봉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2131B (zh) * 2017-12-15 2019-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用於約束子宮頸的裝置、其器械及其束帶
US10918414B2 (en) 2017-12-15 2021-02-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vice, instrument and belt for tying cervix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120A (ja) * 1995-02-07 1997-03-04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入れ子式弾性バンド連続結紮装置
KR19980033549U (ko) 1996-12-09 1998-09-05 김영귀 자동차 안전 벨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090033815A (ko) * 2007-10-01 2009-04-0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결찰 시스템
JP4393994B2 (ja) * 2002-05-25 2010-01-06 ガーリーブ,エッサム,モハメド 結紮バンドのアプリケータ
KR20130112035A (ko) 2010-09-24 2013-10-11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선택적으로 관절운동가능한 단부 작동기를 구비한 외과용 기구
KR20140018681A (ko) 2012-08-03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13710A (ko) 2012-09-24 2015-02-05 자이 싱 일반적 자궁 조종기 및 시스템
KR2016013169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결찰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120A (ja) * 1995-02-07 1997-03-04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入れ子式弾性バンド連続結紮装置
KR19980033549U (ko) 1996-12-09 1998-09-05 김영귀 자동차 안전 벨트의 높이 조절장치
JP4393994B2 (ja) * 2002-05-25 2010-01-06 ガーリーブ,エッサム,モハメド 結紮バンドのアプリケータ
KR20090033815A (ko) * 2007-10-01 2009-04-06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내시경용 결찰구 및 내시경 결찰 시스템
KR20130112035A (ko) 2010-09-24 2013-10-11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선택적으로 관절운동가능한 단부 작동기를 구비한 외과용 기구
KR20140018681A (ko) 2012-08-03 201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13710A (ko) 2012-09-24 2015-02-05 자이 싱 일반적 자궁 조종기 및 시스템
KR2016013169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 결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2131B (zh) * 2017-12-15 2019-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用於約束子宮頸的裝置、其器械及其束帶
US10918414B2 (en) 2017-12-15 2021-02-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vice, instrument and belt for tying cervi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0531B2 (ja) 膣鏡
US8888795B2 (en) Suture passer
US2005027794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administration of a cerclage
KR101716449B1 (ko) 자궁경부 봉축기
US10542969B2 (en) Knotting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0664447A (zh) 一种手术缝合器
CN109843188B (zh) 子宫压迫止血用缝合针
CN202458542U (zh) 宫颈环扎器
CN211674387U (zh) 一种手术缝合器
CN206950202U (zh) 可分离式止血钳
CN210843381U (zh) 一种产科用人工破膜装置
CN215384312U (zh) 一种简易内痔套扎器及深部打结装置组件
CN215018189U (zh) 下压式腹腔穿刺勾线器
CN220025162U (zh) 一种子宫加压缝合辅助器
CN213217443U (zh) 一种腹腔镜钳手术抓钳
CN221533874U (zh) 胆囊牵拉器
CN213283123U (zh) 一种甲状腺手术自助拉钩
US20180140290A1 (en) Dynamic Retractor System for Laparotomies and Cesarean Sections
RU58893U1 (ru) Расширитель для эвакуации желчного пузыря у больных с морбидным ожирением
CN112384153B (zh) 血管闭塞和出血控制的医疗器械及其放置和取出方法
US20210177462A1 (en) Cervical cerclage applicator and method
LU500909B1 (en) Disposable calculus removal device under ureteroscope
CN211750012U (zh) 一种骨科的手术器械
CN210447340U (zh) 一种妇科用安全取环器
CN211534660U (zh) 一种肝胆外科用临床新型取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