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377B1 -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 Google Patents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377B1
KR101716377B1 KR1020160056467A KR20160056467A KR101716377B1 KR 101716377 B1 KR101716377 B1 KR 101716377B1 KR 1020160056467 A KR1020160056467 A KR 1020160056467A KR 20160056467 A KR20160056467 A KR 20160056467A KR 101716377 B1 KR101716377 B1 KR 10171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am
caster
motion
ortho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주호
Original Assignee
최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호 filed Critical 최주호
Priority to KR102016005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07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of cells comprising at least a movable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스크랩의 탈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으로부터 귀금속, 특히 금 회수를 위한 초음파 발진 반자동 전처리 탈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는, 전자스크랩과 박리제가 혼합된 용액이 담기며, 캐스터와 연동되어 좌우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탈금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직교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교축을 연결하는 기어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상기 캠의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부재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PRETREATMENT METALS RECOVERY APPARATUS OF PLATED ELECTRONIC SCRAP}
본 발명은 전자스크랩의 탈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으로부터 귀금속, 특히 금 회수를 위한 초음파 발진 반자동 전처리 탈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자 장치의 수요 및 전선의 수요는 전기, 통신, 전자산업과 같은 다양한 방면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장치 및 전선은 많이 사용됨에 따라 전자 스크랩 및 폐 전선(폐 스크랩)의 발생량도 동시에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부품에는 도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금으로 도금된다.
PCB, 전자부품, 전자제품 또는 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도금 공정에서 발생되는 도금 처리된 PCB, FPCB, 웨이퍼, 타겟 등의 다양한 전자스크랩 부산물에서 금속을 회수하여 재활용을 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9097에는 '스크랩으로부터의 금속의 회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9097에는 공정수를 삭감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스크랩으로부터의 금속의 회수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그 회수 방법으로서, 스크랩을 전해액에 혼입하여 전기 분해를 행하고, 이러한 전기 분해에 의해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금속 성분을 전착시키고, 전해 침전물을 발생시키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전해액에 의한 전기분해 방법 등은 장시간이 걸리며, 불순물이 많고, 또 금속 성분의 전착과 전해 침전물의 발생의 효율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909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초음파 발생에 의해 도금된 금이 박리제와 반응을 통하여 이온화를 촉진하게 하는 탈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탈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용액의 파고에 의한 에너지가 다시 전자스크랩의 마찰과 자유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탈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전자스크랩에 고주파의 초음파 발진과 직선 좌우 왕복운동을 통한 반자동 전처리 탈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는, 전자스크랩과 박리제가 혼합된 용액이 담기며, 캐스터와 연동되어 좌우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탈금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직교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교축을 연결하는 기어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상기 캠의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부재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탈금조의 하단면에는 초음파 발진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교축은 상기 기어부 각각의 좌우측에 연결되어 4곳의 위치에서 좌우 진동을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캠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고, 외측으로 사인파 곡선형의 캠홈이 형성되는 원통캠과, 상기 캠홈을 따라 움직이는 구형의 종동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동체는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종동체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체 지지부의 상측으로는 상기 탈금조가 연결되고, 상기 종동체 지지부의 하측으로는 상기 캐스터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금조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반응조가 삽입되며, 상기 반응조는 삽입 및 인출이 자유롭도록 고정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에 담긴 화학용액 내에 전자스크랩의 투입 및 전자스크랩의 잔류 찌거기의 인출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 축, 상기 직교축 및 상기 기어부의 구성은 평면도 상에서 '土' 문자 형태가 되도록 하여 4륜 구동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탈금조에는 내부의 용액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보일러 배관이 장착되고, 보일러 배관에는 보일러가 연결되도록 하여 도금된 금속과 박리제와의 이온화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초음파 발생에 의해 도금된 금이 박리제와 반응을 통하여 이온화를 촉진하게 하고, 이온화 촉진을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 용액의 파고에 의한 에너지가 다시 전자스크랩의 마찰과 자유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탈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회전방향 전환을 위한 기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회전방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캠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동력전달과 동력에 따른 자유운동의 메커니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탈금 장치는 폐기되는 전자스크랩으로부터 귀금속, 특히 금 회수를 위한 초음파 발진 및 도금처리된 금속을 박리제에 의한 이온화 촉진을 위해 좌우 진동 장치를 부가한 반자동 전처리 탈금 장치이다.
전자스크랩이라 함은 PCB. 전자부품, 전자제품 또는 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도금 공정에서 발생되는 도금처리된 PCB, FPC, 웨이퍼, 타겟 등의 다양한 스크랩 부산물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금장치(100)는 외함(101), 탈금조(103), 반응조(105), 모터(107), 초음파 발진기(109), 보일러(111),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 직교축(303a 내지 303d), 캐스터(207) 및 레일(20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함(101)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부가 비어있는 함체이다. 외함(101)의 양측단에는 가스 배출구(113)가 연결되며, 하단 일측에는 반응용액의 배출구(115)가 형성된다.
탈금조(103)는 외함(101)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단에는 탈금조(103)의 좌우 직선 왕복 운동(좌우 자유 진동운동)을 위한 장치들이 연결된다.
반응조(105)는 탈금조(103)의 내측으로 고정되지 않은 채로 안착되며, 탈금조(103)의 좌우 직선 왕복 운동에 연동되어 좌우로 자유 운동이 발생된다.
반응조(105)는 내부에 전자스크랩을 담는 함체이며, 탈금이 완료된 전자스크랩을 배출하기 위해 탈금장치(100) 외부로 인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응조(105) 측벽에는 물이 들어오거나 빠져나갈 수 있는 홀들이 다수개 형성된다.
모터(107)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며, 동력은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 및 직교축(303a, 303d)으로 전달되어 탈금조(103)를 좌우 왕복 운동을 유발케 한다.
초음파 발진기(109)는 반응조(105) 내에 잠겨있는 전자스크랩에 초음파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발생시켜, 초음파 세척 원리에 의해 박리제 용액에 의하여 전자스크랩의 도금된 금이 서로 반응하여 이온화를 촉진하게 한다.
초음파 발진기(109)는 타려식 피에조 초음파 발진기일 수 있으며, 초음파 발진기(10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초음파 진동자(201)들이 탈금조(103)의 하부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고, 초음파 진동자(201)는 1개 내지 4개 정도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보일러(111)는 탈금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박리제가 포함된 용액을 섭씨 50도까지 가열되도록 한다.
탈금조(103) 외벽에 부착된 스테인레스 관(보일러 배관(111a))을 통하여 섭씨 80~100도까지 가열된 고온의 가열수를 제공토록 하고, 전도현상을 통하여 탈금조(103) 내부의 박리제가 포함된 용액을 50도까지 가열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 및 직교축(303a 내지 303d)은 탈금조(103)의 좌우 진동을 유발시켜 전자스크랩의 도금된 금이 박리제와 반응을 통하여 이온화를 촉진토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은 모터(10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하게 되며(도 3의 ⓐ 회전방향),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와 연결된 직교축(303a 내지 303d)들이 각각 ⓐ 회전방향과 직각 방향에서 ⓑ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301a 내지 301d)에 의해 탈금조(103)가 좌우 진동, 좌우 자유운동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 진동 또는 좌우 자유운동은 탈금조(103)를 좌우로 흔들어서 전자스크랩이 탈금조(103) 내부에서 수평이동에 따른 물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좌우 운동을 하도록 한다.
탈금조(103)를 수평으로 반복 왕복 운동을 위하여 30~60rpm의 저속 고용량 모터(107)의 일정한 감속회전을 통해, 감속회전에서 전달되는 모터(107)의 진행방향 회전운동을 기어부(209a 내지 209d)를 통하여 90도의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좌우측의 회전운동을 캠(301a 내지 301d)을 이용하여 30rpm의 진행방행의 좌우 반복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반복운동은 레일(117)과 캐스터(207)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캐스터(207)에 연결된 탈금조(103)는 좌우로 반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캐스터(207)의 중심은 수직으로 캐스터축(205)이 연결되며, 캐스터축(205)의 상단에는 탈금조(103)가 연결된다. 캐스터축(205)과 탈금조(103) 사이에는 탈금조 지지체(211)가 부가될 수 있다.
탈금조(103) 내에 전자스크랩 원료와 함께 투입되어 있는 물과 박리제가 좌우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전자스크랩과 전자스크랩 원료간, 전자스크랩 원료와 박리제가 포함된 용액과의 마찰운동, 전자스크랩 원료의 개별 자유운동, 좌우운동을 통한 용액의 파고에 의한 에너지 등이 다시 전자스크랩의 마찰과 자유운동을 촉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회전방향 전환을 위한 기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는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209a, 209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및 제2 기어부(209a, 209b)는 전방측(모터 방향을 기준으로)으로 각각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이 연결되고, 좌우 측면으로는 제1 내지 제4 직교축(303a 내지 303d)이 연결된다.
제1 및 제2 기어부(209a, 209b)는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과 연결된 링기어(401)와, 링기어(401)와 치합되어 회전방향을 직각방향으로 변환시키는 원추형의 피니언 기어(403)로 이루어지며, 피니언 기어(403)에는 제1 내지 제4 직교축(303a 내지 303d)이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회전방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캠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01a 내지 301d)은 원통캠(501)과 종동체(503)로 이루어지고, 원통캠(501)에는 직교축(303a 내지 303d)이 연결된다.
원통캠(501)에는 사인(sine) 형태의 캠홈(511)이 형성되어 있고, 캠홈(511)의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종동체(503)는 구형태를 갖는다.
구형태의 종동체(503)는 외부에 볼 베어링(505)이 형성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캠홈(511)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는 곧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전환됨으로 의미한다.
볼 베어링(505)는 연결부(507)를 통해 탈금조(103)와 연결되고, 연결부(507)의 하단에는 캐스터축(205)이 연결되며, 캐스터축(205)에는 회전 가능한 캐스터(207)와 연결되고, 캐스터(207)는 레일(117)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의 동력전달과 동력에 따른 자유운동의 메커니즘 그리고, 초음파 발진기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구성도는 평면도의 관점에서 도시된 것이며, 상단에는 탈금조(103)가 배치되고, 탈금조(103) 하단에는 4개의 초음파 진동자(201)가 배치되며, 4개의 초음파 진동자(201) 각각은 초음파 발진기(10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터(107)가 배치되고, 모터(107)에는 제1 크랭크 축(203a)이 연결되며, 제1 크랭크 축(203a)은 제1 기어부(209a)에 연결된다.
제1 기어부(209a)의 좌우 측면으로는 제1 및 제2 직교축(303a, 303b)이 연결되고, 제1 기어부(209a)의 후면측으로는 제2 크랭크 축(203b)이 연결된다.
제2 크랭크 축(203b)은 제2 기어부(209b)와 연결되고, 제2 기어부(209b)의 좌우 측면으로는 제3 및 제4 직교축(303c, 303d)이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직교축(303a 내지 303d)의 말단에는 원통캠(501)과 종동체(503)로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 캠(301a 내지 301d)이 배치되고, 종동체(503)는 연결부(507)를 통해 위로는 탈금조(103)가 연결되며 아래로는 캐스터(207)와 연결된다.
모터(107)의 동력 발생에 따라,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은 회전(ⓐ방향)을 하고, 제1 및 제2 기어부(209a, 209b)에서 기어 치합에 의해 제1 내지 제4 직교축(303a 내지 303d)들이 각각 제1 및 제2 크랭크 축(203a, 203b)과 직각 방향의 위치에서 회전(ⓑ방향)을 한다.
이어서, 제1 내지 제4 직교축(303a 내지 303d)들의 회전과 연동되어 제1 내지 제4 캠(301a 내지 301d)에 의해 캐스터(207)가 레일(117)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방향)을 하고, 캐스터(207)와 연결된 탈금조(103)도 직선 왕복 운동(ⓒ방향)을 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탈금장치는, 탈금조(103)의 직선 좌우 왕복 운동을 통해 좌우 진동이 발생되고(모터의 회전동력에 따라 그 진동주기가 설정될 수 있음), 초음파 발진기(109)를 통해 탈금조(103)에 초음파 발진을 발생시키켜, 반응조(105) 내의 전자스크랩은 도금부분과 박리제간의 반응을 통하여 이온화가 촉진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탈금장치는 전자스크랩의 도금된 금속과 박리제간의 반응을 통하여 이온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초음파 발진을 부가하고, 좌우 진동장치를 부가한 것으로서, 전자스크랩의 탈금화를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는 것에 큰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탈금장치 101 : 외함
103 : 탈금주 105 : 반응조
107 : 모터 109 : 초음파 발진기
111 : 보일러 113 : 가스 배출구
115 : 반응용액 배출구

Claims (8)

  1. 전자스크랩과 박리제가 혼합된 용액이 담기며, 캐스터와 연동되어 좌우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탈금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직교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교축을 연결하는 기어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상기 캠의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부재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교축은 상기 기어부 각각의 좌우측에 연결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금조의 하단면에는 초음파 발진기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자가 장착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3. 삭제
  4. 전자스크랩과 박리제가 혼합된 용액이 담기며, 캐스터와 연동되어 좌우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탈금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직교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교축을 연결하는 기어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상기 캠의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부재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고, 외측으로 사인파 곡선형의 캠홈이 형성되는 원통캠과, 상기 캠홈을 따라 움직이는 구형의 종동체로 이루어지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체는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볼 베어링은 종동체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체 지지부의 상측으로는 상기 탈금조가 연결되고,
    상기 종동체 지지부의 하측으로는 상기 캐스터가 연결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6. 전자스크랩과 박리제가 혼합된 용액이 담기며, 캐스터와 연동되어 좌우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는 탈금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직교축;
    상기 크랭크 축과 직교축을 연결하는 기어부;
    상기 직교축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캠;
    상기 캠의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부재와 연결되는 캐스터; 및
    상기 캐스터의 좌우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탈금조 내측으로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반응조가 삽입되며,
    상기 반응조는 투입 및 인출이 자유롭도록 고정되지 않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 상기 직교축 및 상기 기어부의 구성은 평면도 상에서 '土' 문자 형태가 되는,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8. 삭제
KR1020160056467A 2016-05-09 2016-05-09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KR10171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67A KR101716377B1 (ko) 2016-05-09 2016-05-09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467A KR101716377B1 (ko) 2016-05-09 2016-05-09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377B1 true KR101716377B1 (ko) 2017-03-14

Family

ID=5845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467A KR101716377B1 (ko) 2016-05-09 2016-05-09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3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926A (ko) * 1998-04-23 1999-11-15 김쌍태 가공부품의 세척방법
KR200184090Y1 (ko) * 1999-12-31 2000-06-01 현대산기주식회사 로터리 펌프
KR20130041080A (ko) *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20140045199A (ko) * 2012-10-08 2014-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용 후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 스크랩으로부터 귀금속의 회수 방법
KR20150059097A (ko) 2013-11-21 2015-05-29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랩으로부터의 금속의 회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926A (ko) * 1998-04-23 1999-11-15 김쌍태 가공부품의 세척방법
KR200184090Y1 (ko) * 1999-12-31 2000-06-01 현대산기주식회사 로터리 펌프
KR20130041080A (ko) *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20140045199A (ko) * 2012-10-08 2014-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용 후 휴대폰의 인쇄회로기판 스크랩으로부터 귀금속의 회수 방법
KR20150059097A (ko) 2013-11-21 2015-05-29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랩으로부터의 금속의 회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0614B (zh) 一种条片清洗机
AU1180695A (en) Ultrasonic agitator
JP6407093B2 (ja) 電解処理装置
CN211462945U (zh) 一种电子化工的搅拌装置
CN101044268A (zh) 通过熔融盐电解制造金属的方法和制造装置
KR101716377B1 (ko) 도금된 전자스크랩의 전처리 탈금장치
CN108746898B (zh) 一种齿轮去毛刺工艺
CN109722704B (zh) 镀覆装置及镀覆方法
CN109652851B (zh) 镀覆装置以及镀覆方法
CN208742468U (zh) 一种生活废水处理用絮凝剂水溶液搅拌装置
CN213645166U (zh) 一种pc塑料颗粒生产加工用清洗设备
CN211338880U (zh) 一种微型污水处理装置
CN212121127U (zh) 一种化学教学用烧杯清洗装置
CN101956210A (zh) 一种电解槽电极板
JP4583811B2 (ja) めっき処理方法
CN108675580B (zh) 一种污泥处理装置以及除污设备
CN207465012U (zh) 一种具有物料回收功能的智能水切割机
CN204093437U (zh) 一种温控反应釜
CN209957904U (zh) 一种自洁式分体型次氯酸钠发生器
CN101956212A (zh) 振动式电解槽
CN216778645U (zh) 一种基于螺旋桨震动及空泡原理的搅拌装置
CN213314942U (zh) 一种化工原料反应釜
CN110184640A (zh) 搅拌装置及含其的电镀设备
KR20030070771A (ko) 폐수내 유가금속 회수처리용 배럴형 전해장치
CN103877921A (zh) 基于二维正交超声波的电化学反应装置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