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60B1 -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60B1
KR101715560B1 KR1020160058167A KR20160058167A KR101715560B1 KR 101715560 B1 KR101715560 B1 KR 101715560B1 KR 1020160058167 A KR1020160058167 A KR 1020160058167A KR 20160058167 A KR20160058167 A KR 20160058167A KR 101715560 B1 KR101715560 B1 KR 101715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bacillus
cjbv
antibacteri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474A (ko
Inventor
유형석
전은정
강대익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6005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64Cyclic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A01N63/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Bacillus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R1/0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CM11528P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Bacillus velezensis CJBV)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 및 이를 이용한 항균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1종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진균류 및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특이적 항균 효과가 있으므로 식물 작물용 항균제, 항균 활성을 갖는 발효 식품을 포함한 식품, 및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사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Novel Bacillus velezensis CJBV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Bacillus velezensis CJBV) 균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이용한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통방식으로 대두발효식품을 제조할 경우, 미생물을 이용한 식품이기 때문에 미생물에 포함된 유해균에 의한 식중독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병원성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 등의 유해균은 일반적인 살균방법으로는 완전히 사멸되지 않으며, 독성물질을 생성하여 식중독을 유발한다.
따라서, 변패나 부패를 방지하고 상기 식품 등의 품질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화학적 보존제 또는 방부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화학물 자체가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하거나 피부알러지를 일으킬 위험성이 있어, 화학적 보존제 또는 방부제에 대한 소비자의 거부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미생물 또는 그 대사산물로서 변패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는 천연 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보존제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 항균 물질 중의 일 예로 박테리오신(Bacteriocin) 또는 박테리오신 유사물질(Bacteriocin-like substances)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박테리오신은 천연의 무독성 방부제로 많은 그람양성세균과 그람음성세균에 의해 생산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항균성 단백질이다. 특히, 박테리오신 중 니신(nisin)이 1998년 미국 FDA로부터 가공치즈 스프레드 식품에 사용되는 것이 승인된 이후로, 박테리오신은 식품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균제재로서 인식되고 있다.
바실러스 속이나 유산균이 생성하는 상기 항균 물질에 대해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그람 양성균의 생육저해를 할 수 있는 유산균 박테리오신과 달리, 바실러스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그 항균 활성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속은 다양한 항균 물질을 생산한다고 알려져 있는데(Sholberg et al., 1995 Can. J. Microbio. 41, 247-252), 보고된 항진균성 물질로는 마이코섭틸린(mycosubtilin), 유마이신(eumycin), 바실로마이신(bacillomycin), 서팩틴(surfactin), 이튜린(iturin) 계열, 아미노폴리올(aminopolyol) 물질, 리포프로테인(lipoprotein) 등이 있으며, 항세균과 항진균 활성을 동시에 지니는 물질에 관한 보고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바실리신(bacilysin)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3-0008673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Bacillus amyloliquefaciens GYL4)가 생성하는 항균 물질인 바실로마이신 D1이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활성이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3-0025453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생성하는 항균 물질로서, 바실로마이신을 포함하는 이튜린 물질과는 완전히 다른 신규한 항균물질인 UV254-B가 식중독 유발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만 특이적으로 항세균 활성을 보여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보고된 박테리오신은 특정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만이 보고되고 있을 뿐, 각종 작물의 병해 또는 식중독을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질환을 유발하는 다양한 병원성균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박테리오신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나아가,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는 발효 음식에서 유용한 장류 발효 세균이므로, 상기 박테리오신을 대두발효식품에 적용할 경우 식중독 유발 진균류 및 세균류에만 특정한 활성을 보인다고 보기 어려워서 발효 식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다양한 진균류 및 세균류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재래식 메주로부터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병원성 곰팡이, 효모 등 1종 이상의 다양한 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류 발효 세균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고 식중독 세균 등 식품의 주요 위해 미생물만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 및 상기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작물용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제를 식물체 또는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수탁번호 KCCM11528P의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Bacillus velezensis CJBV)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실러스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의 그람 양성 간균 속으로, 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바실러스 균으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를 하기와 같이 규명하였다.
먼저, 재래식 메주로부터 바실러스 균주들을 분리하여 병원성 곰팡이, 효모 등 진균류 및 식중독 세균류에 대해 검정하여 항균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선별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16S rDNA 및 gyr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기 선별된 균주의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로 기재하였으며, 이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와 99%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상기 선별된 균주의 gyrA 유전자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로 기재하였으며, 이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와 100% 상동성을 보였다(실시예 1). 따라서, 상기 균주를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로 동정하고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로 명명하였으며,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14년 4월 17일자로 기탁하고 수탁번호 KCCM11528P를 부여받았다(실시예 1).
따라서,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식물병원성 곰팡이 및 효모 등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식중독 유발 세균을 억제하여, 다양한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는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실시예 3, 도 3 및 도 4).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진균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Colletotrichum orbiculare),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Zygosaccharomyces baili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병원성 진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는 오이, 참외, 수박 등의 박과 채소작물에 대하여 탄저병(Anthracnose)을 일으키는 진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푸자리움 옥시스포룸은 오이, 참외, 수박 등의 박과 채소작물에 대하여 덩굴쪼김병(Fusarium wilt)을 발생시키는 병원성 진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및 푸자리움 옥시스포룸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오이, 참외, 수박 등의 박과 채소작물에 대한 탄저병 및 덩굴쪼김병 등 식물 감염병을 억제하여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를 친환경적인 무공해 생물농약으로 사용할 경우, 유기합성 농약에 의한 생태계 파괴 및 독성 문제 해소에 유용할 수 있으며, 각 농가의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특성상 지속가능하여 향후 장기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생물 농약이란 농작물의 식물 병원균을 방제하기 위해 자연환경에서 분리 채집된 미생물을 제품화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칸디다 알비칸스는 불완전균류에 속하는 진균의 속명으로,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구강, 장 질환, 질염(Candida vaginitis) 등을 일으킨다. 특히 칸디다성 질염은 약 75%의 여성이 살아가는 동안 한 번 이상 질과 외음부의 칸디다성 질염을 겪으며 45%의 여성이 1년에 2회 이상의 재발을 겪는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칸디다 알비칸스에 의해 발생하며, 건강한 사람의 구강, 장, 질 등에 정상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칸디다 알비칸스가 여성 호르몬의 상태가 비정상적이거나 면역성이 극도로 쇠약할 때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질염, 미생물 감염성 구강,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는 사카로마이세스속의 효모이다. 변패성 효모로서 음료 제품, 전분가공제품에서 알콜 발효와 함께 다량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생성시켜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음료 제품, 전분가공제품 등 식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 등의 미생물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식중독 유발 세균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또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그람양성균으로 내열성 포자를 형성하는데, 감염 시 설사 및 구토를 일으킨다. 호기성 세균으로 토양, 곡류 등의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 균주의 포자는 다른 균주의 포자에 비해 표면 부착능이 우수하여 세척과 소독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조리 후, 수 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된 고기, 야채, 밥, 면 등에서 포자의 발아로 증식될 수 있고, 저온살균 후의 우유, 치즈 등에서도 발아할 수 있으며, 내열성 독소를 생산하여 열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므로 그 억제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감염에 따른 식중독, 설사 또는 구토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인수공통전염병원균으로 우유나 치즈 등과 같은 축산식품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어서, 최근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병원성 식중독균 중 하나이다. 상기 균에 감염되어 리스테리아증이 발생하면 사망율이 약 30% 정도로 매우 높다. 특히 사람 감염의 경우 영유아, 장기이식환자, 림프종, AIDS 환자 등 면역력이 약하거나 면역부전인 사람이 감염되기 쉽고 패혈증, 뇌염 및 수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병원균은 다른 병원성 균과는 달리 저온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37℃에서 성장한 균보다 4℃에서 성장한 균의 병원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균의 특성으로 인해 가정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냉장보관 중인 음식이나 냉장 식품과 저장 식품에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식중독, 리스테리아증 등의 미생물 감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상기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 음식에서 유용한 장류 발효 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도 4).
또한 하나의 구체예로서,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항생물질인 바실로마이신 D (Bacillomycin D), 및 화학식 1으로 나타낸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analogue), 즉 C14-바실로마이신 D, C15-바실로마이신 D, 및 C16-바실로마이신 D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생성, 분비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5403096-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R은, C14-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3, C15-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2-CH3, C16-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2-CH2-CH3 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바실로마이신 D 는 싸이클릭 펩티드(cyclic peptide) 그룹의 하나인 이투린 계열에 속하는 물질로서 7개의 α-아미노산(2 Asn, Glu, Tyr, Pro, Ser, Thr)과 한 개의 β-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리 구조이며, 항생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이 생산, 분비하는 항균물질을 분리하여 UV 스펙트럼과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물질이 상기 바실로마이신 D의 유사체 3종임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도 1 및 도 2).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제공한다.
상기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5403096-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R은 CH3, CH2-CH3 또는 CH2-CH2-CH3이며, CH3인 경우는 C14-바실로마이신 D, CH2-CH3인 경우는 C15-바실로마이신 D, CH2-CH2-CH3인 경우는 C16-바실로마이신 D라 명명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이 생산, 분비하는 항균물질을 분리하여 UV 스펙트럼과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물질이 상기 바실로마이신 D의 유사체 3종임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도 1 및 도 2).
상기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탄저병의 원인이 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덩굴쪼김병의 원인이 되는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등을 포함한 식물 병원균, 감염 시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질염, 장염, 구강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칸디다 알비칸스, 변패성 효모인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 식중독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처리한 결과, 상기 진균 및 세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 및 도 4). 따라서 상기 신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항균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사료,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조성물, 항균 활성을 갖는 식품, 식물 작물용 항균제,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상기 균주의 배양물, 그의 농축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균주의 상태는 액상상태 또는 건조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포자"는 세균 등의 번식 세포를 말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포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의 번식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의 포자는 진균 및 식중독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항균 활성이 있는 식품, 사료, 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물"은 상기 균주를 배양한 다음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며, 균체를 포함한 배양 원액일 수 있으며, 또한 배양 균주, 배양 상등액을 제거하거나 농축한 균체일 수 있다. 상기 배양물의 조성은 통상의 바실러스 배양에 필요한 성분뿐 아니라, 바실러스의 생장에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성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농축물"은 상기 배양물을 농축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 배양물 또는 그의 농축물로부터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특이적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조물"은 상기 배양물, 그의 농축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건조한 것을 의미한다. 건조방법은 통풍건조, 자연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가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통상적인 바실러스 균주의 배양방법을 통해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지로는 천연배지 또는 합성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배지의 탄소원으로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덱스트린, 글리세롤, 녹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질소원으로는 펩톤,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건조된 효모, 대두, 암모늄염, 나이트레이트 및 기타 유기 또는 무기 질소 함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지에 포함되는 무기염으로는 마그네슘, 망간, 칼슘, 철, 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의 성분 이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핵산 및 그와 관련된 화합물들이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타 부산물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변패성 효모인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 식중독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효 음식에서 유용한 장류 발효 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는바(실시예 3, 도 4), 상기 항균 조성물을 발효식품을 포함한 모든 식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생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변패성 효모인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 식중독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이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가축의 식중독을 포함한 미생물 감염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 작물용 항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탄저병의 원인이 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덩굴쪼김병의 원인이 되는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등을 포함한 식물 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바(도 3), 본 발명의 항균조성물은 친환경적인 무공해 생물농약으로 사용되어, 유기합성 농약에 의한 생태계 파괴 및 독성 문제 해소에 유용할 수 있으며, 각 농가의 금전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특성상 지속가능하여 향후 장기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식물 작물용 항균제를 식물체 또는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탄저병의 원인이 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덩굴쪼김병의 원인이 되는 푸자리움 옥시스포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미생물제제는 작물을 정식하기 전 토양을 개간할 때, 정식한 후 15일부터 또는 장마철과 발병직전 시기에 식물체 지상부에 경엽처리 방법과 식물체 뿌리부분에 관주를 이용해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 되지 않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미생물 감염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미생물 감염 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미생물 감염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미생물 감염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미생물 감염 질환은 미생물에 의하여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람직하게는 진균류 또는 식중독 유발 세균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진균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f.sp. 라이코펄시사이 JCM12575, 칸디다 알비칸스, 및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서, 상기 식중독 유발 세균은 바실러스 세레우스 또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서, 상기 미생물 감염 질환은 식중독, 피부진균증, 질염, 설사, 구토, 장염, 위장관염, 변비, 복통, 복부팽만, 콜레라, 리스테리아증, 봉와직염, 요로감염증, 수막염, 복막염, 방광염, 림프관염, 표저, 중이염, 호흡기 질환, 폐렴, 화농성 염증, 또는 패혈증일 수 있다.
봉와직염(cellulitis)이란 진피와 피하 조직에 나타나는 급성 화농성 염증을 의미하며, 화농성염이 조직내에 일어나고 강한 호중구 침윤이 조직 간극에 만성으로 광범위하게 확장된 상태로서 충혈이나 수종을 수반한다.
표저(felon)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급성화농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구강, 장, 질에 존재하여 감염 시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질염, 장염, 구강염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칸디다 알비칸스, 변패성 효모로서 감염 시 식중독, 구토, 설사, 발열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 감염 시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감염 시 식중독, 리스테리아증, 패혈증, 뇌염, 수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한 본 발명 균주의 뛰어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는바(도 3 및 도 4),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사료 첨가제 및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물질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미생물 감염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미생물 감염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물질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 때, 미생물 감염 질환, 예방, 및 개선의 의미는 상기한 바와 같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상기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한 항균 조성물은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질염을 포함한 미생물 감염 질환의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외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병원성 곰팡이, 효모 등 1종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진균류 및 세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있으므로 식물 작물용 항균제, 항균 활성을 갖는 식품, 및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사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는 식중독 세균 등 식품의 주요 위해 미생물만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항균 활성이 있어 발효 식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에서 항균 유효 성분인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균주에서 생산된 항균물질의 ESI-MS와 UV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4종의 진균류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칸디다 알비칸스,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식중독 유발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와 장류 발효 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리 및 선별
항균 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재래식 메주로부터 분리 된 바실러스 균주들을 이용하였다. 균주들은 대두 발효 액체 배지에 37℃에서 36시간 동안 전배양을 하였다. 병원성 곰팡이 및 식중독 유발 세균이 론 셀(lawn cell)로 되어있는 한천 고체 배지에 직경이 8mm 종이 디스크를 올려놓은 후, 전배양된 균주를 접종하였다. 12시간 배양한 후, 배지 상에서 접종된 균주 주위로 진균류 및 세균에 대하여 동시에 투명한 환을 생성시키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2) 균주의 동정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선별된 균주의 16S rDNA 와 gyr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은 NCBI의 BLAST를 이용하여 GenBank 데이터베이스와, 선별된 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 및 gyrA의 염기서열(서열 번호 2)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은 바실러스 벨레젠시스와 99% 상동성을 보였으며, gyrA 염기서열은 바실러스 벨레젠시스와 100% 상동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수득된 균주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로 동정하고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로 명명하였으며, 상기 균주를 2014년 4월 17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기탁하고 수탁번호 KCCM11528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항균 물질의 분리 및 정제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균주를 400㎕의 대두 발효 액체 배지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48시간 동안 200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8000 x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획득한 다음,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분리한 추출액은 감압 농축한 후 YMC HPLC 컬럼(column)과 C18 sep-pak 카트리지(cartridge)를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다. 각 분획은 80%v/v 메탄올을 일정비율 섞어 전개시키고, 항균 활성이 있는 분획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된 활성물질의 UV 스펙트럼과 분자량 (Mass)을 알기 위해 정제된 시료를 용매 메탄올에 녹여 ESI-M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는 분리된 항균물질의 ESI-MS와 UV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분석을 통하여 본 발명에서 분리된 물질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실로마이신 D 아날로그 3종임을 확인 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45403096-pat00003
상기 R은, C14-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3, C15-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2-CH3, C16-바실로마이신 D의 경우 CH2-CH2-CH3이다.
실시예 3: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진균류 및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하여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항균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 효모 및 곰팡이(진균류)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먼저, 곰팡이인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Colletotrichum orbiculare), 푸자리움 옥시스포룸 f.sp. 라이코펄시사이 JCM12575 (Fusarium oxysporum f.sp. lycopersici JCM12575),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병원성 효모인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Zygosaccharomyces bailii)에 대하여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항균활성이 있는지 실험하였다.
상기 4종의 진균류를 각각 감자 한천(PDA; 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감압 농축한 항균 조성물인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을 에탄올에 녹인 후, 상기 4종의 균주가 도말된 각 평판배지 위에 8 mm 직경의 종이 디스크를 놓고 상기 항균 물질을 25㎕씩 일정하게 가한 후에 3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분리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물질에 의한 생육 저지환 생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2)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시험
또한,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가 발효 식품에서 식중독 유발 세균에만 특이적으로 항균활성을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중독 유발 세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와 장류 발효 세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를 각각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감압 농축한 항균 조성물인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Extraction with BuOH)을 에탄올에 녹인 후, 상기 4종의 균주가 도말된 각 평판배지 위에 8 mm 직경의 종이 디스크를 놓고 상기 항균 물질을 25㎕씩 일정하게 가한 후에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분리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 물질에 의한 생육 저지환 생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장류 발효 세균 2종에 대해서는 상기 실험군 외에, 대조군으로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배양액의 부탄올 추출물 대신 부탄올(BuOH)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생육 저지환의 생성정도에 따라 항균 활성 정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미생물 항균활성
Colletotrichum orbiculare +++
Fusarium oxysporum f.sp. lycopersici +++
Candida albicans ++
Zygosaccharmyces bailii ++
Bacillus cereus +
Listeria monocytogenes +
Bacillus subtilis -
Bacillus amyloliquefaciens -
상기 표 1의 '-'는 생육을 저지하지 못한 경우이고, '+'의 경우 생육 저지환의 직경이 3mm 내지 5 mm이하인 경우이고, '++'의 경우 생육 저지환의 직경이 6mm 내지 10mm인 경우이며, '+++'의 경우 생육 저지환의 직경이 10 mm 이상인 경우이다.
도 3의 상단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균주, 상기 균주의 포자, 상기 균주의 배양물, 그의 농축물, 그의 추출물, 및 그의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병원성 진균류인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 푸자리움 옥시스포룸에 처리한 결과, 생육 저지환이 10mm 이상 형성되어 진균류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항균 조성물은 오이, 참외, 수박 등의 박과 채소작물에 대한 탄저병 및 덩굴쪼김병 등 식물 감염병을 억제하여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방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하단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상기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 또는 항균 조성물을 병원성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에 처리한 결과, 생육 저지환이 6mm 내지 10mm 형성되어 진균류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상기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 및 항균 조성물은 피부진균증, 칸디다성 질염, 구강, 장 등에 대한 미생물 감염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위한 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사료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중독 위험이 낮은 식품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또는 항균 조성물을 식중독 유발 세균과 장류 발효 시 사용되는 유용한 세균에 동시에 처리한 결과, 식중독 유발 세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장류 발효 세균의 생육은 저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래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된 박테리오신들은 식중독 유발 세균에만 특이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고 장류 발효 세균의 생육에 까지 영향을 미쳐 발효 식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상기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조성물은 장류 발효 세균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고 식중독 세균 등 식품의 주요 위해 미생물만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항균 활성이 있으므로, 발효 식품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식품 오염원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상기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조성물은 식중독, 설사, 구토를 포함한 미생물 감염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치료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위한 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사료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분리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상기 균주에서 생산된, 바실로마이신 D 유사체는 1종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진균류 및 세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있으므로 식물 작물용 항균제, 항균 활성을 갖는 식품, 및 미생물 감염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사료,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528P 20140417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Novel Bacillus velezensis CJBV an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130> KPA140376-KR-D1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493 <212> DNA <213> Bacillus velezensis CJBV <400> 1 ttgctcagga cgaacgctgg cggcgtgcct aatacatgca agtcgagcgg acagatggga 60 gcttgctccc tgatgttagc ggcggacggg tgagtaacac gtgggtaacc tgcctgtaag 120 actgggataa ctccgggaaa ccggggctaa taccggatgg ttgtttgaac cgcatggttc 180 agacataaaa ggtggcttcg gctaccactt acagatggac ccgcggcgca ttagctagtt 240 ggtgaggtaa cggctcacca aggcaacgat gcgtagccga cctgagaggg tgatcggcca 300 cactgggact gagacacggc ccagactcct acgggaggca gcagtaggga atcttccgca 360 atggacgaaa gtctgacgga gcaacgccgc gtgagtgatg aaggttttcg gatcgtaaag 420 ctctgttgtt agggaagaac aagtgccgtt caaatagggc ggcaccttga cggtacctaa 480 ccagaaagcc acggctaact acgtgccagc agccgcggta atacgtaggt ggcaagcgtt 540 gtccggaatt attgggcgta aagggctcgc aggcggtttc ttaagtctga tgtgaaagcc 600 cccggctcaa ccggggaggg tcattggaaa ctggggaact tgagtgcaga agaggagagt 660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ag tggcgaaggc 720 gactctctgg tctgtaactg acgctgagga gcgaaagcgt ggggagcgaa caggattaga 780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gtgctaagtg ttagggggtt tccgcccctt 840 agtgctgcag ctaacgcatt aagcactccg cctggggagt acggtcgcaa gactgaaact 900 caaaggaatt gacgggggcc cgcacaagcg gtggagcatg tggtttaatt cgaagcaacg 960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tc tgacaatcct agagatagga cgtccccttc 1020 gggggcagag t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atgttgggtt 1080 aagtcccgca acgagcgcaa cccttgatct tagttgccag cattcagttg ggcactctaa 1140 ggtgactgcc ggtgacaaac cggaggaagg tggggatgac gtcaaatcat catgcccctt 1200 atgacctggg ctacacacgt gctacaatgg acagaacaaa gggcagcgaa accgcgaggt 1260 taagccaatc ccacaaatct gttctcagtt cggatcgcag tctgcaactc gactgcgtga 1320 agctggaatc gctagtaatc gcggatcagc atgccgcggt gaatacgttc ccgggccttg 1380 tacacaccgc ccgtcacacc acgagagttt gtaacacccg aagtcggtga ggtaaccttt 1440 taggagccag ccgccgaagg tgggacagat gattggggtg aagtcgtaca ggg 1493 <210> 2 <211> 966 <212> DNA <213> Bacillus velezensis CJBV <400> 2 cgtatcccgg gcgcttccgg atgtgcgtga cggtctgaag ccggttcaca gacggatttt 60 gtacgcaatg aatgatttag gcatgaccag tgacaaacca tataaaaaat ctgcccgtat 120 cgtcggtgaa gttatcggta agtaccaccc gcacggtgac tcagcggttt acgaatcaat 180 ggtcagaatg gcgcaggatt ttaactaccg ctacatgctt gttgacggac acggcaactt 240 cggttcggtt gacggcgact cagcggccgc gatgcgttac acagaagcga gaatgtcaaa 300 aatcgcaatg gaaattctgc gtgacattac gaaagacacg attgactatc aagataacta 360 tgacggttca gaaagagagc ctgccgtcat gccttcgaga tttccgaatc tgctcgtaaa 420 cggggctgcc ggtattgcgg tcggaatggc gacaaacatt cctccccatc agcttggaga 480 agtcattgaa ggcgtgcttg ccgtaagtga gaatcctgag attacaaacc aggagctgat 540 ggaatacatc ccgggcccgg attttccgac tgctggtcag attttgggcc ggagcggcat 600 ccgcaaggca tatgaatccg gacggggatc aatcacaatc cgggctaagg ctgaaatcga 660 agagacatca tcaggaaaag aaagaattat tgttacggaa cttccttatc aggtgaacaa 720 agcgagatta attgaaaaaa tcgcagatct tgtccgggac aaaaaaatcg aaggaattac 780 cgacctgcga gacgaatccg accgtaacgg aatgagaatc gtcattgaga tccgccgtga 840 cgccaatgct cacgtcattt tgaataacct gtacaaacaa acggccctgc agacgtcttt 900 cggaatcaac ctgctggcgc tcgttgacgg acagccgaag gtgctgagcc tgaagcaatg 960 cctgga 966

Claims (7)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6123309830-pat00009

    상기 R은 CH2-CH2-CH3이다.
  3. 삭제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항균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123309830-pat00010

    상기 R은, CH3, CH2-CH3 또는 CH2-CH2-CH3이다.
  5. 제2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콜레토트리쿰 오비큘레어(Colletotrichum orbiculare), 푸자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Zygosaccharomyces bailii),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항균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이고사카로마이세스 바일리(Zygosaccharomyces bailii)에 대한 항균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123309830-pat00011

    상기 R은, CH3, CH2-CH3 또는 CH2-CH2-CH3이다.
  7. 삭제
KR1020160058167A 2016-05-12 2016-05-12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15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67A KR101715560B1 (ko) 2016-05-12 2016-05-12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67A KR101715560B1 (ko) 2016-05-12 2016-05-12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846A Division KR101629551B1 (ko) 2014-05-16 2014-05-16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474A KR20160059474A (ko) 2016-05-26
KR101715560B1 true KR101715560B1 (ko) 2017-03-13

Family

ID=5610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67A KR101715560B1 (ko) 2016-05-12 2016-05-12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6693B (zh) * 2017-07-04 2020-12-04 中国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贝莱斯芽孢杆菌js25r及其应用
CN107568434A (zh) * 2017-10-30 2018-01-12 安徽农业大学 贝莱斯芽孢杆菌产蛋白酶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452848B (zh) * 2019-08-20 2022-04-15 昆明理工大学 一株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213A1 (de) * 1996-09-26 1998-04-16 Fzb Biotechnik Gmbh Peptid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sowie Mikroorganismus
WO2013094055A1 (ja) 2011-12-22 2013-06-2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植物病害防除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114A (ko) * 2013-09-13 2015-03-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p04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1213A1 (de) * 1996-09-26 1998-04-16 Fzb Biotechnik Gmbh Peptid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sowie Mikroorganismus
WO2013094055A1 (ja) 2011-12-22 2013-06-2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植物病害防除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Vol.62, pp.1469-1476(2014.01.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474A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2441B2 (ja) 新規なバチルス・ベレゼンシスcjbv及びそれを含む抗菌組成物
KR102052056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47702B1 (ko) 신규한 항균성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71556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cjbv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5973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갈리나럼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KR102052047B1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7835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19892B1 (ko) 메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항균 조성물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024950B1 (ko) 메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및 이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109195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가 생산하는 천연항균물질 및 유전자의 염기서열
KR20150106191A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15879B1 (ko) 신규 리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1915304B1 (ko) 아이스플랜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중독균 저해용 항균 조성물
KR20200135145A (ko)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에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WiKim011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59062B1 (ko) 미국부저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페디오코커스 파버러스 yml 002, 상기 미생물을 함유하는 항균성 미생물제제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KR102457366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57367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390839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유래 항균물질 혼합제 및 이의 용도
KR101735341B1 (ko)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67272B1 (ko)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