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178B1 -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178B1
KR101715178B1 KR1020150181622A KR20150181622A KR101715178B1 KR 101715178 B1 KR101715178 B1 KR 101715178B1 KR 1020150181622 A KR1020150181622 A KR 1020150181622A KR 20150181622 A KR20150181622 A KR 20150181622A KR 101715178 B1 KR101715178 B1 KR 10171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ocessing
rotation
machi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김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식 filed Critical 김원식
Priority to KR102015018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02Milling elongated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ocksmith's goods, e.g. handles
    • B21D53/4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ocksmith's goods, e.g. handles hinges, e.g. door hing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2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 B23C3/04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while revolv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C2215/40Spec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프론트부와, 프론트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한 쌍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제조장치로서,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파지하는 한 쌍의 고정척, 고정척을 회전시켜 가공소재를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가공소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통하여 회전하는 가공소재를 원통가공 또는 가공소재의 외측면을 형상가공 또는 원통가공 및 형상가공을 하여, 가공소재를 템플부로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 제조장치는, 템플부의 라운드형상과 힌지 형상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두꺼운 가공소재를 사용하던 기존과는 달리, 요구되는 템플부의 두께에 가공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프레스공정으로 인한 스크랩발생을 방지하여 소재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이에 따른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es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es fr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은 물론 소재의 낭비를 줄여 경제적인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경렌즈(4)와 결합되는 프론트부(2)와, 상기 프론트부(2)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는 템플부(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템플부(1)는 가공소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전체 형상을 가공하는 공정과, 프론트부(2)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부(3)를 프레스 가공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템플부(1)의 라운드 형상구현과 힌지부(3)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두꺼운 소재를 사용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프레스가공하기 때문에, 스크랩이 생기면서 소재의 손실(Loss)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반복적인 프레스 작업으로 인하여 금형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프레스 공정이 많기 때문에 공정 인터벌이 길고 가공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인건비, 감가비로 인한 원가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품질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89418호
본 발명은, 손실되는 소재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프레스가공 공정을 줄임으로써 공정절감 및 금형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공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 인터벌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을 도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한 쌍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제조장치로서,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파지하는 한 쌍의 고정척,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켜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통하여 회전하는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 또는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면을 형상가공 또는 상기 원통가공 및 상기 형상가공을 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템플부로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고정척은, 상기 가공소재의 일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1고정척과, 상기 제1고정척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소재의 타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2고정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고정척과 축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모터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전축의 속도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간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상기 회전축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종동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공구를 축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가공부는, CNC 가공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는, 상기 가공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템플부의 일측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프론트부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를 가공하는 힌지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한 쌍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제조방법으로서,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척들에 상기 가공소재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단계, 상기 고정척을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축회전하는 단계,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통하여 상기 가공소재가 상기 템플부가 되도록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템플부의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프론트부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하거나,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면을 형상가공하거나,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 및 형상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CNC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회전구동부는, 설정된 가공데이터에 따라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고정척의 회전속도와, 상기 가공소재의 회전시간과, 상기 가공소재의 회전방향과, 상기 가공소재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힌지부가 가공되면 상기 템플부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템플부의 라운드형상과 힌지 형상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두꺼운 가공소재를 사용하던 기존과는 달리, 요구되는 템플부의 두께에 가공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프레스공정으로 인한 스크랩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소재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이에 따른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가공부를 통한 회전가공과 힌지부의 단일 프레스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공정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가공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셋째, 가공이 용이하고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품질을 향상을 도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티타늄 부품의 고품질(High quality)가공을 통하여 고부가가치를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선재, 판재 등 소재형상에 관계없이 동시 사면 가공할 수 있으며, 회전축가공을 통한 원통가공, 평면가공, 조각 가공 등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디테일한 가공에 효과적이며, 템플부의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경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경테 제조장치에서 회전구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경테 제조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템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제조장치(400)는 가공소재(10)를 파지하는 고정척(100)과, 회전구동부(200)와, 가공부(300)와, 힌지가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소재(10)는 티타늄 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척(100)은, 작업베드(20)에 설치되어 가공소재(10)를 상기 작업베드(20) 상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공소재(10)의 축방향을 따라 양측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가공소재(10)의 휨 등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척(100)은 제1고정척(110)과, 제2고정척(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척(110)은, 상기 가공소재(10)의 일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200)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가공소재(10)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척(120)은, 상기 제1고정척(110)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소재(10)의 타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200)에 의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고정척(110)과 함께 상기 가공소재(10)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상기 고정척(100)을 회전시켜 상기 가공소재(10)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역할을 하며, 회전축(111)과, 구동모터(210)와, 동력전달부(220)와, 구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고정척(100)과 축 결합하여 회전에 의하여 상기 고정척(100)을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회전축(11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모터축(211)이 축결합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220)는, 상기 구동모터축(211)과 상기 회전축(111)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1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동력전달부(220)는, 상기 회전축(111)과 축결합되는 종동기어부(222)와, 상기 종동기어부(222)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210)와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부(222)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2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부(221)는,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기어부(22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원하는 고정척(100)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부(221)와 상기 종동기어부(222)의 직경비는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면에서 상기 동력전달부(220)는 회전력 전달이 확실한 편이고 회전속도, 회전방향 등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기어부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벨트 등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엔코더 등 다양한 동력전달 구성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210)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구동모터(210)를 구동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21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축(111)의 속도와,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시간과,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방향과, 상기 회전축(111)의 작동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조하고자 하는 안경테의 재질, 형상 등 작업셋팅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상기 가공부(300)는, 상기 가공소재(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소재(10)를 제조하고자하는 템플부(30)로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가공부(300)는 상기 가공소재(10)를 가공하는 회전공구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공구를 축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10)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이동부는 공지의 모터와 공작기계에서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가공부(300)는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10)의 축 방향과 평행한 X축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가공소재(10)를 원통가공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가공소재(10)의 외측면에 홈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상 가공도 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300)는 작업자가 직접 가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수동 가공 및 설정된 가공데이터를 입력하여 이를 통해 자동으로 가공하는 자동 가공 모두를 작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자동 가공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가공부(3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가공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공제어부를 통해 상기 가공데이터를 입력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300)는, 엔드밀 가공을 위한 CNC가공기를 이용하여 셋팅된 가공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10)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가공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가공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공부(3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이저 가공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공소재(10)의 디테일 조각가공 및 각인 가공을 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가공기는 가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디테일 조각가공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에 설치하여 연동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가공기는 상기 이동부의 Z축 방향 구성에 설치하여 연동시킬 수 있으며, 공지의 레이저 가공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힌지가공부는, 상기 프론트부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40)를 가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힌지부(4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템플부(30)의 일측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힌지가공부는 상기 힌지부(40)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몰드(Mold)와, 상기 금형 몰드와 결합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다이(die)를 포함하며, 이러한 금형몰드와 다이는 공지의 프레스 가공장치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 제조장치(400)는, 선재 또는 판재 등 상기 가공소재(10)의 형상에 관계없이 동시 사면 가공되며, 상기 가공소재(10)를 회전축가공을 통한 원통가공, 평면가공, 조각 가공 등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디테일한 가공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안경테 제조장치(400)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하며, 상기 안경테 제조장치(400)에 대한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경테 제조방법은, 가공소재(10)를 고정척(100)에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단계(S10)와, 상기 가공소재(10)를 회전시키는 단계(S20)와, 상기 가공소재(10)를 가공하는 단계(S30)와, 상기 가공소재(10)의 힌지부(40)를 가공하는 단계(S40)와, 상기 가공소재(10)를 표면처리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가공소재(10)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청척들에 준비된 가공소재(10)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하여 상기 가공소재(10)를 고정한다(S10).
이렇게 상기 가공소재(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척(100)을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200)를 통하여 상기 가공소재(10)를 축회전시킨다(S20).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구동제어부에서 설정된 가공데이터에 따라 구동모터(210)로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셋팅되면 상기 고정척(100)의 회전속도와, 상기 가공소재(10)의 회전시간과, 상기 가공소재(10)의 회전방향과, 상기 가공소재(10)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200)는 원통가공인 경우에는 상기 고정척(100)을 회전시키지만, 형상가공을 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척(1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가공소재(10)가 축회전하면, 상기 가공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10)가 상기 템플부(30)가 되도록 가공한다(S30).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10)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통가공 및 형상가공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가공 작업은 템플부(30)의 전체적인 몸체부의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공소재(10)를 축 방향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공구를 이동시켜 수행하며, 상기 형상가공 작업은 홈가공을 비롯한 템플부(30)의 디테일한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공구를 이동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기 형상가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소재(10)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회전구동부(200)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10)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안경테의 형상 등에 따라 작업자의 선택 가능하다.
상기한 가공소재(10)를 템플부(30)로 가공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가공작업을 실시하거나, CNC가공기를 등을 이용하여 셋팅 된 가공데이터를 통하여 자동으로 가공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가공소재(10)를 템플부(30)로 가공하는 작업은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가공소재(10)를 디테일 조각가공하거나 각인 가공하는 작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템플부(30)의 몸체 가공이 완료되면, 가공된 상기 템플부(30)의 단부에 힌지부(40)를 가공한다. 상기 힌지부(40)의 가공은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금형을 통하여 상기 템플부(30)의 일측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실시한다. 이후 제조하고자 하는 안경테에 대응하여 힌지부(40)의 힌지홀 등과 같은 세부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40)가 가공되어 상기 템플부(30)의 가공이 완료되면 후처리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후처리작업은 상기 템플부(30)의 재질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표면연마작업과 표면처리작업을 포함한다. 이 중 상기 표면처리는 템플부(30)의 내구성 및 광택 등을 위한 공정으로 공지의 도금처리 또는 코팅처리 등 제조하고자 하는 안경테에 따라 다양한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 제조방법은, 상기 템플부(30)의 몸체부분은 상기 가공부(300)에 의하여 회전 가공하고, 힌지부(40)는 상기 힌지가공부를 통하여 단일 프레스 가공만 하기 때문에, 여러 번의 프레스 작업을 반복하여 가공하던 기존과는 달리 전체공정수를 줄여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함은 물론 공정 인터벌이 짧아져 경제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가공소재 20... 작업베드
30... 템플부 40... 힌지부
100... 고정척 110... 제1고정척
111... 회전축 120... 제2고정척
200.. 회전구동부 210... 구동모터
211... 구동모터축 220... 동력전달부
221... 구동기어부 222... 종동기어부
300... 가공부 400... 안경테 제조장치

Claims (13)

  1.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한 쌍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파지하는 한 쌍의 고정척;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켜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통하여 회전하는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 또는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면을 형상가공 또는 상기 원통가공 및 상기 형상가공을 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상기 템플부로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에 의하여 가공된 상기 템플부의 일측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프론트부와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를 가공하는 힌지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은,
    상기 가공소재의 일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1고정척과,
    상기 제1고정척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가공소재의 타측 단부를 파지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2고정척을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고정척과 축결합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모터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회전축의 속도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간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상기 회전축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종동기어부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구동기어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회전공구를 축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CNC 가공기를 이용하는 안경테 제조장치.
  7. 삭제
  8. 안경렌즈가 결합되는 프론트부와, 상기 프론트부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하는 한 쌍의 템플부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공소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고정척들에 상기 가공소재의 양측 단부를 각각 파지하는 단계;
    상기 고정척을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회전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통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축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가공소재가 상기 템플부가 되도록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상기 템플부의 단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프론트부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부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축회전하는 회전공구를 상기 가공소재에 대하여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하거나, 상기 가공소재의 외측면을 형상가공하거나, 상기 가공소재를 원통가공 및 형상가공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CNC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소재를 가공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설정된 가공데이터에 따라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고정척의 회전속도와, 상기 가공소재의 회전시간과, 상기 가공소재의 회전방향과, 상기 가공소재의 작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가공되면 상기 템플부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제조방법.
KR1020150181622A 2015-12-18 2015-12-18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KR10171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22A KR101715178B1 (ko) 2015-12-18 2015-12-18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22A KR101715178B1 (ko) 2015-12-18 2015-12-18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178B1 true KR101715178B1 (ko) 2017-03-13

Family

ID=5841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622A KR101715178B1 (ko) 2015-12-18 2015-12-18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7760A (zh) * 2018-11-21 2019-02-12 温州创宇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眼镜脚盖胶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524A (ja) * 1994-03-18 1995-10-09 Think Lab Kk スリーブロールのキー溝と駆動側チャックコーンに設けられたキーとの自動嵌合方法
KR200186216Y1 (ko) * 2000-01-12 2000-06-15 박상우 안경다리용 스프링힌지의 스프링지지축 성형장치
KR100289418B1 (ko) 1998-03-28 2001-11-22 곽관순 알루미늄안경다리의제조방법및알루미늄안경다리를일반안경테에조립시키는구조
KR20110035543A (ko) * 2009-09-30 2011-04-06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KR20110119990A (ko) * 2010-04-28 2011-11-03 백승엽 다축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524A (ja) * 1994-03-18 1995-10-09 Think Lab Kk スリーブロールのキー溝と駆動側チャックコーンに設けられたキーとの自動嵌合方法
KR100289418B1 (ko) 1998-03-28 2001-11-22 곽관순 알루미늄안경다리의제조방법및알루미늄안경다리를일반안경테에조립시키는구조
KR200186216Y1 (ko) * 2000-01-12 2000-06-15 박상우 안경다리용 스프링힌지의 스프링지지축 성형장치
KR20110035543A (ko) * 2009-09-30 2011-04-06 이상탁 합성수지 안경테의 제조방법
KR20110119990A (ko) * 2010-04-28 2011-11-03 백승엽 다축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7760A (zh) * 2018-11-21 2019-02-12 温州创宇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眼镜脚盖胶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7213C (en) A surface processing system for a work piece
KR102231123B1 (ko) 양면 드레서
KR102404553B1 (ko) 디퍼렌셜 케이스의 가공기
CN103447823B (zh) 一种汽车半轴的数控加工方法
KR101312152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캘리퍼 브리드 및 피드 복합가공장치
JP2013505844A (ja) 歯車の面取りおよび(または)バリ取りをする装置
JPWO2010023764A1 (ja) 加工装置
CN103418999B (zh) 一种汽车半轴加工工艺
CN112872392A (zh) 一种用于数控机床的可重复装夹的夹具
CN105102163B (zh) 多边形加工装置以及多边形加工方法
JP2013202693A (ja) 歯車加工機械
CN104414040B (zh) 饰件加工装置
KR101715178B1 (ko) 안경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CN202639843U (zh) 精细化车磨多功能机床
CN107717462B (zh) 环形件断口滚花设备和环形件断口滚花方法
KR101023150B1 (ko) 디버링 자동머신용 가공헤드
KR20200114360A (ko) 기어이 챔퍼가공기가 포함된 호빙머신장치 및 그 호빙머신장치를 이용한 기어가공방법
JP6968068B2 (ja) ギアを作製または加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に設計された歯切り機械
CN211249173U (zh) 一种铣床加工夹持装置
CN202540415U (zh) 一种数控立体滚铣加工装置
CN106808321A (zh) 一种多功能机械加工中心
JP2014054679A (ja) Ncローレット旋盤
RU23684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конических зубчатых колес
CN110666692A (zh) 一种用于金属加工的磨削机床
JP2015199178A (ja) 工作機械における芯出し振れ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