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633B1 - 코일적치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적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633B1
KR101714633B1 KR1020150129902A KR20150129902A KR101714633B1 KR 101714633 B1 KR101714633 B1 KR 101714633B1 KR 1020150129902 A KR1020150129902 A KR 1020150129902A KR 20150129902 A KR20150129902 A KR 20150129902A KR 101714633 B1 KR101714633 B1 KR 10171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 plate
pad frame
magnetic for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2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스키드유닛; 및 자기력을 형성 가능한 자기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적치위치로 전환 가능한 패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적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적치장치{Apparatus for filling up coils}
본 발명은 코일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코일을 효과적으로 적치할 수 있는 코일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강판은 코일로 권취되어 보관되며,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코일이 적치되는 코일 야드에는 공간 효율 확보를 위해 코일을 다단으로 쌓아서 적치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248호 (2000.09.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코일을 적치할 수 있는 코일적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나.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스키드유닛; 및 자기력을 형성 가능한 자기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적치위치로 전환 가능한 패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적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치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 일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타단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패드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부재에 상기 패드프레임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패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기력수단들;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자기력수단들을 외부로부터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드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바; 및 상기 패드프레임에 관통형성된 가이드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패드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치유닛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재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패드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는 상기 패드프레임을 기준으로 코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바 및 제1 고정바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2 고정바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고정부에 의해 각각 상기 패드프레임 일면 및 타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바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기력수단들은 복수의 전자석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전자석이 배치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보조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보조지지플레이트의 일면은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전자석의 일면보다 상기 코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전자석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구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결합구가 체결 가능한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치유닛은, 상기 적치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치유닛에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치유닛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상기 상승위치 및 상기 하강위치는 상기 대기위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키드유닛은,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코일의 안착 여부를 센싱하는 안착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적치장치는, 상기 안착센서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안착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 및 상기 자기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다단으로 코일을 적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코일 상에 코일패드를 안착하거나 코일로부터 코일패드를 탈착하는 작업부하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하부 코일 상에 자동으로 패드프레임을 제공하며, 상부 코일은 패드프레임 상에 안착되는바, 코일 간의 마찰 및 접촉에 의한 코일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코일 손상 및 인명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코일 적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치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적치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플레이트 및 자기력수단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장치를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코일적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코일 적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코일 야드에는 공간적 제약에 의해 코일이 다단으로 적치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철소의 코일 야드에는 스키드유닛(10)이 배치되며, 스키드유닛(10) 상에 하부 코일(1)이 적치된다. 코일밴드(3)는 이송 중에 코일(1)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1)에 감겨져 있다. 하부 코일(1) 상에 바로 상부 코일(1')을 안착하는 경우, 코일(1, 1') 간의 접촉 및 마찰, 코일밴드(3)에 의한 눌림 등에 의해 코일(1, 1')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 1')의 다단 적치를 위해서는 하부 코일(1)의 상부에 코일패드(5)를 안착시킨 후, 코일패드(5) 상에 상부 코일(1')을 적치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코일패드(5)가 코일(1)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하부 코일(1)로부터 탈착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부하가 상당하며,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따라 코일패드(5)의 미안착 및 미탈착이 발생할 수 있다. 하부 코일(1)의 상부에 코일패드(5)가 미안착된 경우, 코일(1. 1') 간의 접촉 및 마찰에 따라 코일(1, 1') 표면에 마찰흠, 눌림 또는 찍힘 마크 등의 손상이 발생하여 코일(1, 1')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7)에 의해 하부 코일(1) 이송시, 코일패드(5)가 미탈착 된 경우, 코일패드(5)가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된 코일패드(5)에 의해 작업자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코일패드(5) 와의 충돌에 따라 코일(1, 1')이 파손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 부하를 경감시키고,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경량화된 코일패드(5)가 개발되었으나, 경량화된 코일패드(5)는 코일패드(5)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기술적 난점이 존재한다. 경량화된 코일패드(5)는 고하중의 코일(1, 1')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성 및 인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단의 코일(1, 1')을 적치함에 있어서, 인명 피해 및 코일(1)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코일패드(5)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 가능한 코일적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적치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적치유닛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하부측 코일(1)이 안착되는 스키드유닛(10) 및 하부측 코일(1)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적치유닛(20)을 포함한다. 적치유닛(20)은 하우징부재(220), 하우징부재(22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패드프레임(210), 하우징부재(220)에 패드프레임(2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0) 및 하우징부재(220)에 연결되어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2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220)에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222)이 형성되며, 패드프레임(210)은 일단이 내부공간(222)에 위치하여 상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스키드유닛(10)은 스키드유닛(10) 상의 코일(1) 안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안착센서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센서부재(100)는 하부 코일(1)의 무게 또는 부피를 측정하여 하부 코일(1)의 안착 여부를 센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하부 코일(1)의 안착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프레임(210)은 패드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지지플레이트(212), 하부측 코일(1)과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212)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력수단(214), 지지플레이트(212) 및 자기력수단(214)을 외부로부터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피(216)를 포함한다. 외피(216)는 자기력수단(214)이 직접적으로 코일(1, 1')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자기력수단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패드프레임(210)의 일단은 하우징부재(220)의 내부공간(222)에 위치하며, 고정부재(230)에 의해 패드프레임(210)이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230)는 고정바(232)와 가이드바(234)를 포함한다. 고정바(232)는 패드프레임(210)을 기준으로 하부 코일(1)측에 배치되는 제2 고정바(232b) 및 제2 고정바(232b)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고정바(232a)를 포함한다. 제1 고정바(232a) 및 제2 고정바(232b)의 일단에는 패드프레임(210)의 표면을 가압 가능한 제1 고정부(233a) 및 제2 고정부(233b)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233a) 및 제2 고정부(233b)가 패드프레임(210)을 가압함으로서 패드프레임(210)이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볼트에 의해 제1 고정바(232a) 및 제2 고정바(232b)가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모든 고정수단을 통해 제1 고정바(232a) 및 제2 고정바(232b)가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220) 내에 배치되는 패드프레임(210)의 일단부측에는 패드프레임(210)을 관통하는 관통홀(217)이 형성된다. 관통홀(217)은 가이드바(23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바(234)는 관통홀(217)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관통홀(217) 형상은 가이드바(234)가 통과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하나, 관통홀(217)은 가이드바(23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234)는 고정바(232)에 의해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며, 가이드바(234)는 패드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홀(217)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바, 패드프레임(210)은 하우징부재(220) 상에서 메트로놈(metronome) 추와 유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볼트에 의해 가이드바(234)가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모든 고정수단을 통해 가이드바(234)가 하우징부재(220)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234)에는 일단이 하우징프레임(220)을 지지하며, 타단은 패드프레임(21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2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패드프레임(210)을 기준으로 하부 코일(1)측 및 이와 마주보는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고정바(232)를 기준으로 고정바(232)의 상부에 가이드바(234)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고정바(232)가 가이드바(234)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패드프레임(210)이 메트로놈 추와 유사하게 이동하는바, 고정바(232)의 상부에 가이드바(234)가 배치되는 경우가 패드프레임(210)의 균형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플레이트 및 자기력수단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16)는 패드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가이드바(23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홀이(217)이 관통형성된다. 하부 코일(1)과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216)의 일면에는 자기력수단(214)이 배치된다. 자기력수단(214)은 선택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자석일 수 있으나, 영구자석 또는 고무자석도 무방하다. 복수의 자기력수단(214)이 지지플레이트(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패드프레임(210)의 유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패드프레임(210)이 구부러지는 경우에 있어서 자기력수단(214)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자기력수단(214)의 단위 크기는 코일(1)에 밀착되는 경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정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력수단(214)은 결합구(218)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216)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218)는 자기력수단(214)으로부터 지지플레이트(216)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플레이트(216)에 형성된 결합홀(219)은 결합구(218)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구(218)의 단면이 자기력수단(214)로부터 지지플레이트(216)를 향해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드프레임(210) 상에 상부 코일(1')이 안착되었을 경우 하중을 적절히 분배하여 지지플레이트(216) 및 자기력수단(21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기력수단(214)이 지지플레이트(216)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는 결합구(218)가 나사결합에 의해 자기력수단(214)에 체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것은 아니다.
도 6에는 도 5의 지지플레이트(216) 및 자기력수단(214)에 보조지지플레이트(216')가 더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보조지지플레이트(216') 역시 지지플레이트(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지지플레이트(216)에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보조지지플레이트(216')에도 가이드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코일(1)과 마주보는 보조지지플레이트(216')의 일면은, 하부 코일(1)과 마주보는 자기력수단(214)의 일면보다 하부 코일(1)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패드프레임(210)에 안착되는 코일(1)의 하중을 지지플레이트(216) 및 보조지지플레이트(216')에 분산되도록 하여, 자기력수단(214)의 하중 집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조지지플레이트(216')를 더 포함하는 도 6의 경우에 있어서, 결합구(218)에 의한 지지플레이트(216) 및 자기력수단(214)의 결합방식은 도 5의 결합방식과 유사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드유닛(10)의 일측에는 각각 적치유닛(20)이 배치된다. 하중분배 및 적치 안정성을 위하여 스키드유닛(10)의 일측에 적치유닛(20)은 복수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일적치장치는 상부 코일(1')의 안착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하는 상부측센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측센서부재는 적치되는 코일의 단수에 따라 적절한 수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적치장치는 안착센서부재(100), 적치유닛(20) 및 상부측센서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적치유닛(20)의 실린더부재(240) 및 자기력수단(214)에 연결되어, 코일(1, 1')의 적치 상황에 따라 실린더부재(240)의 승강 및 자기력수단(214)의 자력 발생을 적절히 제어한다.
스키드유닛(10)에 하부 코일(1)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프레임(210)은 하강위치(a)에 위치한다. 하부 코일(1)이 스키드유닛(10) 상에 안착된 직후, 안착센서부재(100)는 하부 코일(1)의 안착여부를 센싱한다. 안착센서부재(100)에 의해 하부 코일(1)인 스키드유닛(10) 상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하우징부재(220)가 상승이동하도록 실린더부재(240)를 제어한다. 하우징부재(220)의 상승이동에 따라 패드프레임(210)은 상승위치(a')로 이동한다. 제어부(300)는 패드프레임(210)이 상승위치(a')로 이동한 후 자기력수단(214)에 의해 자기력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며, 하부 코일(1)과 자기력수단(214)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패드프레임(210)은 도 9의 (c)와 같이 하부 코일(1) 측으로 이동한다. 도 9의 (d)는 패드프레임(210)이 적치위치(b)로 전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적치위치(b)로 전환된 패드프레임(210) 상에는 상부 코일(1')이 안착될 수 있다. 하부 코일(1)의 반출시에는 코일적치장치는 이와 역순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패드프레임(210)은 탄성부재(250)에 의해 대기위치(a, b)로 복귀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1': 코일 3: 코일밴드 5: 코일패드
7: 크레인 10: 스키드유닛 20: 적치유닛
100: 안착센서부재 210: 패드프레임 212: 지지플레이트
214: 자기력수단 216: 외피 217: 가이드홀
218: 결합구 219: 결합홀 220: 하우징부재
222: 내부공간 230: 고정부재 232: 고정바
234: 가이드바 240: 실린더부재 250: 탄성부재
300: 제어부

Claims (12)

  1. 코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스키드유닛; 및
    자기력을 형성 가능한 자기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코일로부터 이격되는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코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적치위치로 전환 가능한 패드프레임을 구비하는 적치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적치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재;
    일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타단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패드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부재에 상기 패드프레임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패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자기력수단들;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자기력수단들을 외부로부터 감싸도록 배치되는 외피를 포함하는, 코일적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패드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바; 및
    상기 패드프레임에 관통형성된 가이드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패드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코일적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유닛은,
    일단은 상기 하우징부재를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패드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일적치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패드프레임을 기준으로 코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바 및 제1 고정바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2 고정바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고정부에 의해 각각 상기 패드프레임 일면 및 타면을 가압하는, 코일적치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고정바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바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코일적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력수단들은 복수의 전자석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코일적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전자석이 배치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는 보조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보조지지플레이트의 일면은 상기 코일과 마주보는 상기 전자석의 일면보다 상기 코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코일적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프레임은 상기 전자석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는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향해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이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구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결합구가 체결 가능한 결합홀이 형성된, 코일적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유닛은,
    상기 적치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적치유닛에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치유닛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승위치 및 하강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상기 상승위치 및 상기 하강위치는 상기 대기위치에 포함되는, 코일적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유닛은,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코일의 안착 여부를 센싱하는 안착센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적치장치는,
    상기 안착센서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의 안착 여부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 및 상기 자기력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적치장치.
KR1020150129902A 2015-09-14 2015-09-14 코일적치장치 KR10171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02A KR101714633B1 (ko) 2015-09-14 2015-09-14 코일적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02A KR101714633B1 (ko) 2015-09-14 2015-09-14 코일적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633B1 true KR101714633B1 (ko) 2017-03-09

Family

ID=5840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02A KR101714633B1 (ko) 2015-09-14 2015-09-14 코일적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48Y1 (ko) 2000-03-23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적재용 패드 공급장치
KR20090006325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치용 패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48Y1 (ko) 2000-03-23 2000-09-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코일적재용 패드 공급장치
KR20090006325A (ko) * 2007-07-11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치용 패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75402U (zh) 一种新型减震式变压器
CN103730231A (zh) 一种变压器顶盖升降装置
CN115295361A (zh) 一种用于继电器组装加工的铁芯压装装置
KR101714633B1 (ko) 코일적치장치
KR20180063952A (ko) 코일 지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밴딩장치
CN101734552A (zh) 一种真空室维修台车
EP3868701B1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JP2016216207A (ja) エレベータ
CN112761686B (zh) 盾构施工的新型管片运输保护装置及运输方法
KR20140002060U (ko) 컨테이너선용 패드 지지 장치
CN201433030Y (zh) 无机房电梯
CN210914957U (zh) 一种管道吊装转运架
JP2015077715A (ja) トランスを有する射出成形機
CN209872125U (zh) 一种换流变现场大修铁心吊装用器具
CN105873848A (zh) 用于阻尼起重机中的承载构件振动的装置
CN112917411A (zh) 地铁车辆制动模块拆卸安装及检修一体式工装
CN219009228U (zh) 一种版辊废料转移装置
CN205367347U (zh) 一种基于紧固盘与支撑架的钢丝绳盘定位装置
KR100853804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강판 적재용 리프트 프레임
CN216971699U (zh) 一种agv修理专用起吊装置
KR101559040B1 (ko) 적재물 이송장치
CN218432746U (zh) 一种辊环运输用钢架
KR101330701B1 (ko)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CN201713219U (zh) 一种起重机及其小车和一种定滑轮装置
CN218569061U (zh) 箱式电池架以及箱式电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