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548B1 - Crop harvesting machine - Google Patents

Crop harves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548B1
KR101714548B1 KR1020140158233A KR20140158233A KR101714548B1 KR 101714548 B1 KR101714548 B1 KR 101714548B1 KR 1020140158233 A KR1020140158233 A KR 1020140158233A KR 20140158233 A KR20140158233 A KR 20140158233A KR 101714548 B1 KR101714548 B1 KR 10171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llecting
crop
guid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7570A (en
Inventor
전현종
강태경
최일수
최덕규
최용
김성기
현창식
이충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58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548B1/en
Publication of KR2016005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0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cutters at the fro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2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작물 취득률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작물 수확기는,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물을 모으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에 대응하여 가이드유닛에 의해 모아진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하는 예취부,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회전판이 상기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차체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판이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배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물 수확기는 작물 취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 crop harvester for improving the crop obtaining rate includes a pair of guide unit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collect the crops and cutting the stem of the crop collected by the guide units corresponding to the guide units A pair of rotary plates arrang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eliminary work including a cutting blade and gripped by a pair of rotary plates so as to prevent the cut crops from collapsing and guiding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rop to the rear of the car body, and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transferred crop,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r body. Therefore, the crop harvester can improve the crop acquisition rate.

Description

작물 수확기{CROP HARVESTING MACHINE} Crop Harvesting Machine {CROP 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물의 일정양을 모아주어 작물 취득률을 향상시켜주는 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p harvester for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a crop to improve a crop obtaining rate.

일반적으로, 참깨와 같은 작물은 재배 후 예취하는 예취 단계, 예취된 작물들을 일정한 양으로 묶는 단묶기 단계, 묶여진 작물들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 및 건조된 작물들을 탈곡하는 탈곡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수확한다. 국내 참깨의 수확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재배하기는 쉬우나 수확하기는 매우 힘들다.Generally, crops such as sesame seeds are finally harvested through post-harvest cutting, pre-harvesting, harvesting, harvesting, and drying of the harvested crops. Since the harvest of domestic sesame is mostly dependent on manpower, it requires a lot of labor and takes a lot of time. It is easy to grow, but it is very difficult to harvest.

또한, 참깨는 수확시기에 탈립이 쉽게 발생하여 손실이 일어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계수확의 적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내탈립성 참깨품종의 개발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계 수확에 적합한 기계화 재배양식에 맞게 재배하여 대량 수확작업체계로 수확하고 있다.In addition, sesame seeds are easy to lose at harvest time and tend to cause los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of machine harvesting, the development of myoglofenac sesame varieties has been carried out recently, and they are cul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mechanized cultivation style suitable for machine harvesting and harvested as a mass harvesting work system.

이러한 참깨의 수확기계화를 위하여 농촌진흥청에서는 1993년에 벼 바인더를 이용한 참깨 예취결속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참깨 예취결속기는 참깨 수확작업의 기계화를 위한 벼 예취에 이용되는 보행용 2조 벼 바인더를 이용하였고, 참깨의 쓰러짐방지 이송안내가이드의 부착과 수확된 참깨의 배출방식을 2단회전문으로 하여 참깨의 수확 작업을 일관작업으로 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In order to mechanize the harvesting of sesame seeds, RDA has developed a sesame wrapping binder using rice binder in 1993. The developed sesame wrapping binder used a two - row rice binder used for cutting rice for the mechanization of sesame harvesting work, and the attachment of the guide for preventing the fall - The sesame harvesting work was made to be able to work consistently.

그러나 전술된 종래 참깨 수확기는 참깨의 취득률이 인력으로 수확할 때보다 떨어지며, 수확된 참깨를 연속적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참깨를 취득시의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예취에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작물 수확기의 개발이 요청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same harvesting machine described above, the acquisition rate of sesame is lower than that when it is harvested by manpower, and since the harvested sesame seeds are continuously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efficiency in obtaining sesame seeds is lowered, The development of a crop harvester that can be improved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하고 적재하여, 참깨 수확률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op harvester capable of effectively transporting and stacking crops,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sesame seeding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ork.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수확기는,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작물을 모으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모아진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작물을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절단된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grip)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체들을 포함한다.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includes a pair of guide units installed in front of a vehicle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collect crop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rop cut by the pre-loading unit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a transfer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r body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transferred crop And a pair of rotator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ting blade and gripping the cut crop to prevent the crop from falling down and guiding the crop to the rear of the car body.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체들에 의하여 안내된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체들에 대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이송벨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들을 각각 순환시키는 한 쌍의 롤러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conveyance belt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otors for conveying the crop guided by the rotors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a pair of conveyance belts And a pair of roller modules for circulating the belts, respectively.

한편, 상기 각 회전체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세 개의 이송가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rotating bodies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and at least three transporting guides extending from the rotating plate.

또한, 상기 회전판은 톱니모양의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plate may include a serrated sprocket.

한편, 상기 각 롤러모듈은, 상기 차체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롤러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 상기 주행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가이드롤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Each of the roller modules includes a traveling roller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onveyance belt and a guide roller provided vertically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raveling roller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rotating body can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guide roller.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회전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롤러 및 상기 회전판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후방가이드롤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e guide roller includes a front guide roller formed in front of the rotation plate and a rear guide roller formed behind the rotation plate, and the rotation body can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rear guide roller.

일 실시예로, 상기 수집배출부는, 이송된 상기 작물을 독립적으로 수집하여 배출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배출부는 상기 수집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portion includes a collecting unit detachably installed to independently collect and discharge the transferred crop, and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ollecting unit.

한편, 상기 고정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막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막대는 상기 수집유닛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device includes at least two spaced-apart fixing rods, and each of the fixing rods can fix the end of the collecting unit.

또한, 상기 고정막대는 상기 수집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rod may be formed with a ring for fixing the collecting unit.

또한, 복수의 상기 수집유닛들을 적층 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고정막대에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f the rings may be formed in one of the anchoring bars so that a plurality of the collecting units may be stacked.

한편, 상기 한 쌍의 회전체들은 상기 가이드유닛들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air of rotor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guide units.

본 발명에 의한 작물 수확기는, 작물 수확기 이송부에 작물을 안내해주는 회전판을 설치하여 예취되어 절단된 작물의 이송을 도와 작물의 취득률이 향상될 수 있다.The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quisition rate of the crops by providing a rotary plate for guiding the crops to the crop harvester feeder to facilitate the transportation of crops cut and cut.

또한, 작물 수확기 배출부에 수집유닛을 설치하여 이송된 작물을 일정량 모아 배출함으로써 수확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l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rop harvester, and the yield of the harvesting can be improved by collecting and transferring the transferred crops to a certain amou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의 수집배출부를 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작물 수확기의 수집유닛 및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front part thereof.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enlarged view A of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llection unit and the fixing device of the crop harvester shown in Fig. 3;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를 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front part thereof,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물 수확기는, 차체(110)를 구비하며, 예취부(120), 이송부(130) 및 수집배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body 110, and includes a pre-loading unit 120, a transfer unit 130, and a collecting / discharging unit 140 can do.

상기 차체(110)는 상기 작물 수확기의 외형을 형성하며, 각종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1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crop harvester and may include various frames.

상기 예취부(120)는 작물을 모아 상기 작물의 줄기를 절단한다. 상기 작물은, 예를 들면, 참깨와 같이 주로 2열로 재배되는 작물일 수 있다. The preloading unit 120 collects the crops and cuts the stem of the crop. The crops may be, for example, crops grown mainly in two rows, such as sesame seeds.

상기 예취부(120)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조작 등에 의한 상기 주행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심어진 작물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작물 수확기가 이동하면, 대지에 심어진 작물이 자연스럽게 상기 예취부(120)에 제공되며, 상기 예취부(120)는 제공된 작물을 절단한다.The preload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the planted crop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unit, for example, by an operator's operation. That is, when the crop harvester is moved, the crop planted on the ground is naturally supplied to the pre-loading unit 120, and the pre-loading unit 120 cuts the provided crop.

일 실시예로, 상기 예취부(120)는 차체(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과 각각의 상기 가이드유닛(122)에 대응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122) 후방에 설치되는 예취날(124)들을 포함한다. 1, the preload unit 120 includes a pair of guide units 122 provid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10 and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guide units 122, And guiding blades 124 disposed behind the guide unit 122.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은 상기 심어진 작물을 상기 예취날(124)로 가이드(guide)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유닛(122)들은, 무성하게 자란 작물들 사이를 상기 작물 수확기가 용이하게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무성하게 자란 상기 작물들을 상기 예취날(124)들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방이 뾰족한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을 가지며, 그 형상에 있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 사이로 상기 작물들이 들어오면, 상기 원뿔 또는 다각뿔 형상의 경사면을 다라 자연스럽게 상기 절단유닛들 사이로 작물들이 순차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해 절단된다.The pair of guide units 122 guide the planted crop to the cutting edge 124. For example, the guide units 122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crops, which have grown as they grow forward, to the cut-offs 124 as the crop harvester easily advances forward A cone having a sharp front or a polygonal pyramid shap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its shape widens from the front toward the rear. Accordingly, when the crops come in between the pair of guide units 122, the crops are successively provided between the cutting units naturally along the slopes of the cone or polygonal horn, Is cut.

상기 예취날(124)들은, 일 예로 톱니 형상을 가지고 서로 날이 마주보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이 상기 예취날(124)들 사이에 제공될 때, 상기 예취날(124)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작물의 줄기를 절단할 수 있다. The cutting edges 124 may have a saw tooth shape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crop is provided between the cutting edges 124, the cutting edges 124 can be cut while cutting the stem of the crop.

한편, 상기 예취부(120)는 상기 가이드유닛(122)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된 보조 가이드유닛(12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각 보조 가이드유닛(122a)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122)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유닛을 향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가이드유닛(122a)은 상기 가이드유닛(122)의 전단에 부착되어 상기 예취날(124)들을 향하여 연장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전단을 기준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은 상기 보조 가이드유닛(122a)을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예취날(124)들로 진입할 수 있다.The preload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guide unit 122a dispose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guide units 122.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auxiliary guide units 122a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unit 122 and extends toward the cutting unit,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auxiliary guide unit 122a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guide unit 122 and is formed as a long bar extending toward the cutting edges 124, Lt; / RTI > Accordingly, the crop can enter the cutting blades 124 more effectively along the auxiliary guide unit 122a.

상기 예취부(120)에 의해 절단된 작물은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차체(110)의 전방에서 차체(110)의 후방으로 이송된다. The crop cut by the preloading unit 120 is transport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10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10 by the transporting unit 130. [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하여 절단된 작물의 윗부분을 잡고 상기 절단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The transporting unit 130 can transport the cut crop by holding the upper part of the crop cut by the cutting edges 124.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할 수 있다. The transporting unit 130 may transport the crop having an upright shape in front of the car body 110 so as to have a form lying on the rear side of the car body 110.

일 실시예로, 이송부(130)는 한 쌍의 회전체(132)들, 한 쌍의 이송벨트(134)들 및 한 쌍의 롤러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section 130 may include a pair of rotators 132, a pair of conveyance belts 134, and a pair of roller modules.

상기 한 쌍의 회전체(132)들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pair of rotating bodies 132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facing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회전체(132)들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이송벨트(134)로 가이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체(132)들은, 상기 작물 수확기가 전방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절단된 상기 작물들을 상기 이송벨트(134)로 안전하고 효율적이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유닛(122)들에 대응하여 상기 예취날(124)들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해 절단된 상기 작물들의 상부를 그립(grip)하여 상기 이송벨트(134)로 가이드한다.The pair of rotating bodies 132 guides the cut crop to the conveyor belt 13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rotating bodies 132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rop harvester advances forward and the cut crops can be safely and efficiently guided to the conveyance belt 134 And gripping the upper part of the crops cut by the cutting edges 124 so as to form the upper part of the feed belts 134 ).

상기 각 회전체(132)는 회전판(132a) 및 다수의 이송가이드(13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32a)은 그 형상에 있어 톱니모양의 스프로킷(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예취날(124)들에 의해 상기 작물들이 절단되면 상기 예취날(124)들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판(132a)들의 톱니모양 스프로킷(132c)에 상기 절단된 작물들의 상부가 그립되고,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4)들 사이로 순차적으로 가이드한다.Each of the rotating bodies 132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132a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guides 132b. The rotary plate 132a may include a serrated sprocket 132c in its shape. Accordingly, when the crops are cut by the cutting edges 124, the upper portions of the cut crops are gripped by the serrated sprockets 132c of the rotating plates 132a rotating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cutting edges 124, And guided sequentially between the pair of conveyance belts 134.

상기 이송가이드(132b)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32a)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32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판(132a)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가이드(132b)들은 상기 회전체(132)의 상단 또는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판(132a)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판(132a)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긴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132a)의 중심을 기준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물은 상기 이송가이드(132b)들을 따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상기 이송벨트(134)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1, the conveying guides 132b are installed near the rotation plate 132a and extend toward the outside of the rotation plate 132a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plate 132a. For example, the conveying guides 132b are attached to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are formed in a long blade shape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132a about the rotating axis of the rotating plate 132a, Accordingly, the rotation plate 132a can have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plate 132a. Accordingly, the crop can enter the conveying belts 134 more effectively along the conveying guides 132b.

상기 회전판(132a)의 회전 동력은 상기 이송벨트(134)들을 순환시키는 롤러모듈에서 전달될 수 있다. The rotational power of the rotation plate 132a may be transmitted from a roller module that circulates the conveyance belts 134. [

상기 각 이송벨트(134)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들은,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conveyance belts 134 and the pair of roller modules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4)들은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회전체(132)가 가이드해 주면, 상기 절단된 작물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여 상기 차체(110)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체(110)의 후방으로 이송하며,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고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서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서로 꼬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pair of conveyance belts 134 press the cut crops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and the front side of the body 110 when the cutter 130 guides the cut crops, And they may be arranged to be twist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10 in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이송벨트(134)들의 면에는 다수의 돌기(미도시)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134)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작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conveyor belts 134. Accordingly, the crop can be effectively squeezed so that the crop located between the conveyance belts 134 does not slip.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들은 상기 각 이송벨트(134)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벨트(134)의 순환동작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한다.The pair of roller modules supports each of the conveyance belts 134 and rotates to generate a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conveyance belt 134.

상기 각 롤러모듈은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 수평하게 상기 각 이송벨트(134)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롤러(136) 및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상기 주행롤러(136)에 대해 낮은 위치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134)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138)는 상기 회전체(1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134)는 꼬임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예취부(120)에 직립하여 절단된 작물이, 상기 회전판(132a)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4)들 사이로 안내되며, 상기 작물은 상기 이송벨트(134)들에 의해 상기 차체(110)의 후방에서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될 수 있다.Each of the roller modules includes a traveling roller 136 for transmitting power to each of the conveyance belts 134 horizontally i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10 and a driving roller 136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traveling roller 136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10. [ And guide rollers 138 installed vertically at lower positions relative to the conveyor belt 134 to support and guide the conveyor belt 134.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138 may transmit power to the rotating body 132. By this arrangement, the conveyance belt 134 is arranged in a twisted manner. Therefore, crops upright in the pre-loading section 120 are guided by the rotation plate 132a between the pair of conveyance belts 134, and the crop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belts 134 to the body Can be conveyed to have a lying form at the rear of the body 110.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138)들은, 전방 가이드롤러(138a) 및 후방 가이드롤러(13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38)들은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134)들을 지지하고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138a)는 상기 회전체(132)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8b)는 상기 회전체(132)의 후방에 배치된다. Meanwhile, the guide rollers 138 may include a front guide roller 138a and a rear guide roller 138b. The guide rollers 138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10 to support and guide the conveyor belts 134. 2, the front guide roller 138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otating body 132, and the rear guide roller 138b is disposed behind the rotating body 132. As shown in FIG.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롤러(138)들은, 상기 주행롤러(136)에 의해 순환하는 상기 이송벨트(13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회전체(132)는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8b)의 중심부와 상기 회전체(132)의 회전축이 동력을 전달 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체(132)은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8b)와 체인(132d)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그러나 상기 회전체(132)는 상기 예취부(120)에서 절단된 상기 작물이 제공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 절단된 상기 작물을 그립하기 어려워지고, 가이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138b)는 속도감속부(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속도감속부는 상기 가이드롤러(138)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회전체(1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2, the guide rollers 138 receive power from the conveyor belt 134 circulated by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rotating body 132 is coupled to the rear guide roller 138b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132 receive power. For example, the rotating body 132 is connected to the rear guide roller 138b by a chain 132d and receives power. However, if the rotating body 132 rotates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crops cut at the preloading unit 120 are provided, it is difficult to grip the cropped crops, and the guide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the rear guide roller 138b may further include a speed reduction unit (not shown). Accordingly, the speed reduction unit may transmit the power to the rotation body 132 by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guide roller 138.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수확기의 수집배출부를 후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작물 수확기의 수집유닛 및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part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part thereof,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lecting unit and a fixing device of the crop harvester shown in FIG.

일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130)에 의하여 이송된 작물은 상기 차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수집배출부(140)로 수집 및 배출된다. In one embodiment, the crop transferred by the transporting unit 130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140 form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이와 같이, 상기 절단된 작물을 상기 수집배출부(140)에 적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120)에서 절단된 작물을 이송하되, 직립 형태를 갖는 상기 작물을 누운 형태를 갖도록 이송하여 수집함으로써, 작물을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loading the cut crop to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140, the crops cut at the pre-loading unit 120 are transported, and the crop having the upright form is transported and collected so as to have a lying form , The crop can be loaded mechanically easily and effectively.

상기 수집배출부(140)는 수집유닛(142) 및 고정장치(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140 may include a collecting unit 142 and a fixing device 144.

상기 절단된 작물들은 상기 이송부(130)가 상기 수집배출부(140)로 이송하여, 상기 작물들이 일정량 수집되면 독립적으로 배출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집유닛(142)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수집유닛(142)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cut crops may be loaded on the collecting unit 142 detachably installed so that the feeder 130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140 and discharged independently when a certain amount of the crops are collected. The collecting unit 142 may be secured by the securing device 144 as shown in FIG.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장치(144)는, 두 개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막대(144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144a)들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유닛(142)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집유닛(142)의 단부에 구멍(142a)들을 형성하여 상기 각 고정막대(144a)에 형성된 고리(144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리(144b)는 상기 고정막대(144a)에 두 개 이상 형성 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수집유닛(142)들을 적층시키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집유닛(142)은 상기 작물들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일정량이 적재됨에 따라 분리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장치(144)를 상기 고리(144b)가 형성된 상기 고정막대(144a)들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고정장치(144)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게유닛 등 상기 수집유닛(142)의 단부를 고정 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가 형성된 적재함일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xation device 144 may include two spaced-apart fixation rods 144a. The anchor rods 144a may fix the ends of the collecting unit 142 as shown in Fig. For example, holes 142a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collecting unit 142 to be fixed to the hooks 144b formed on the respective fixing bars 144a. More than two of the rings 144b may be formed on the fixed bar 144a an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to stack a plurality of the collecting units 14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ollecting unit 142 is fixed so as to be able to load the crops. Although the fixing device 144 has been described as the fixing bars 144a on which the annulus 144b is formed, the fixing device 144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llecting unit 142 Or the like can be fixed.

한편, 상기 수집유닛(142)에 이송된 작물들이 일정량 수집되면, 사용자는 상기 수집유닛(142)을 상기 고정장치(144)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amount of the crops transferred to the collecting unit 142 is collected, the user can separate the collecting unit 142 from the fixing device 144 and discharge it.

또한,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집유닛(142)의 일측 단부에는 타측 단부의 상기 구멍(142a)들에 대응하여“T"모양의 고리들을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수집유닛(142)을 분리하여 배출할 때, 상기 수집유닛에 적재된 작물이 흩어지지 않기 위하여, 타 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42a)들에 형성된 상기 "T" 모양의 고리들을 걸어 상기 수집유닛(142)으로 작물을 말아 놓아 간편하게 정리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one end of the collecting unit 142 may form " T "shaped rings corresponding to the holes 142a at the other end. Shaped collecting rings formed in the holes 142a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lecting unit 142 so as to prevent the crops loaded on the collecting unit from being scattered, It is easy to organize crops by rolling them.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an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to be regard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of the invention.

100: 작물 수확기
110: 차체 120: 예취부
122: 가이드유닛 124: 예취날
130: 이송부 132: 회전체
132a: 회전판 132b: 이송가이드
132c: 체인 134: 이송벨트
136: 주행롤러 138: 가이드롤러
138a: 전방 가이드롤러 138b: 후방 가이드롤러
140: 수집배출부 142: 수집유닛
144: 고정장치 144a: 고정막대
144b: 고리
100: Crop harvester
110: Body 120: Exemplary attachment
122: guide unit 124:
130: transfer part 132: rotating body
132a: Rotary plate 132b: Feed guide
132c: chain 134: conveying belt
136: running roller 138: guide roller
138a: front guide roller 138b: rear guide roller
140: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142: collecting unit
144: Fixing device 144a: Fixing rod
144b: the ring

Claims (11)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참깨의 줄기를 모으는 한 쌍의 가이드유닛과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에 의해 모아진 상기 참깨 줄기를 절단하는 예취날을 포함하는 예취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를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며,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를 사이에 두고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의 하부를 압착하여 상기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이송벨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들을 각각 순환시키는 한 쌍의 롤러모듈들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된 참깨 줄기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수집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들 각각은,
상기 차체의 후방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동력을 전달하는 주행롤러;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 상기 주행롤러보다 낮은 위치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예취날의 상부에 배치되고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의 하부를 압착하는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모듈들 각각의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단된 상기 참깨 줄기의 상부를 그립(grip)하여 상기 차체의 후방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회전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회전체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가이드롤러 및 상기 회전체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가이드롤러는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회전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속도감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체들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유닛들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의 후방 상부에 상기 이송벨트와 일정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A pair of guide unit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collect the stem of sesame, and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sesame stem collected by the guide unit corresponding to the guide unit;
The sesame stem cut by the pre-loader is transferr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he lower portion of the sesame stem cut with the cut sesame stem interposed therebetween is squeezed and transferr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 conveyance part including a pair of conveyance belts and a pair of roller modules for circulating the pair of conveyance belts, respectively; And
And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conveyed sesame stem,
Wherein each of the pair of roller modules includes:
A traveling roller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to transmit power to the conveyance belt; And
And a guide roller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running roller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and guides the conveyance belt,
Wherein the conveying portion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roller of each of the pair of roller modules for guiding the conveying belt for pres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ut sesame stem, And a pair of rotators for gripping an upper portion of the cut sesame stem and gui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same stem to the rear of the body,
Wherein the guide roller includes a front guide roller formed in front of the rotating body and a rear guide roller formed behind the rotating body,
Wherein the rear guide roller further includes a speed decelerator for decelerating a rotation speed of the guide roller rotated by the conveyance belt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rotation body,
Wherein the pair of rotators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ance belt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guide unit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guide uni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각 회전체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세 개의 이송가이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each rotating body,
A rotating plate; And
And at least three transport guides extending from the rotating pla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톱니모양의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plate comprises a serrated sprock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배출부는,
이송된 상기 참깨 줄기를 독립적으로 수집하여 배출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수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배출부는 상기 수집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lecting /
And a collecting unit detachably installed to independently collect and discharge the transferred sesame stem,
Wherein the collecting and discharging part further comprise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collecting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막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막대는 상기 수집유닛의 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device includes at least two spaced-apart fixing rods,
Wherein each of the fixing bars fixes an end of the collect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막대는 상기 수집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9. 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r is formed with a loop for fixing the collect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집유닛들을 적층 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고정막대에 적어도 두 개의 상기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수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said rings are formed in one said bar so that a plurality of said collecting units can be laminated.

삭제delete
KR1020140158233A 2014-11-13 2014-11-13 Crop harvesting machine KR101714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33A KR101714548B1 (en) 2014-11-13 2014-11-13 Crop harves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33A KR101714548B1 (en) 2014-11-13 2014-11-13 Crop harves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570A KR20160057570A (en) 2016-05-24
KR101714548B1 true KR101714548B1 (en) 2017-03-15

Family

ID=5611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233A KR101714548B1 (en) 2014-11-13 2014-11-13 Crop harves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5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86B1 (en) 2017-05-15 2018-09-20 이제홍 Apparatus for preventing trap crop of cutter is crop long stem
KR102230478B1 (en) * 2021-01-03 2021-03-22 남영숙 Vase equipped with a device for squeezing cut flower stems and method of squeezing cut flower 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95B1 (en) * 2016-11-09 2018-06-11 대한민국 Crop harvester
KR102010845B1 (en) * 2017-11-08 2019-08-14 대한민국 Crop harvesting machine
CN107960197B (en) * 2017-12-27 2023-08-22 湖南省农友农业装备股份有限公司 Blade harvester
KR102529807B1 (en) * 2022-04-19 2023-05-10 오페주식회사 Digging device for multi purpose haves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68B1 (en) * 1992-08-06 2001-01-15 코바시 이치로오 Root crop harvesters
JP2005095090A (en) * 2003-09-26 2005-04-14 Seirei Ind Co Ltd Machine for pulling out and harvesting green soybean
KR100824502B1 (en) * 2006-10-31 2008-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A self-running type onion harvester
KR101402765B1 (en) *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Crop harve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68B1 (en) * 1992-08-06 2001-01-15 코바시 이치로오 Root crop harvesters
JP2005095090A (en) * 2003-09-26 2005-04-14 Seirei Ind Co Ltd Machine for pulling out and harvesting green soybean
KR100824502B1 (en) * 2006-10-31 2008-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A self-running type onion harvester
KR101402765B1 (en) * 2012-12-03 2014-06-02 대한민국 Crop harv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386B1 (en) 2017-05-15 2018-09-20 이제홍 Apparatus for preventing trap crop of cutter is crop long stem
KR102230478B1 (en) * 2021-01-03 2021-03-22 남영숙 Vase equipped with a device for squeezing cut flower stems and method of squeezing cut flower 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570A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548B1 (en) Crop harvesting machine
EP3072380B1 (en) Harvester header
BR102016023455B1 (en) AGRICULTURAL THRESHING PLATFORM
KR20160025861A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CN213548404U (en) Five-row longitudinally-arranged ear-stalk harvesting corn harvester header
US4377062A (en) Snapper head for harvesting maize
CN112205159A (en) Five-row longitudinally-arranged ear-stalk harvesting corn harvester header
CN108353621B (en) Crop harvester
JP2020141568A (en) Root crop harvesting machine
BR102016003222B1 (en) CORN COB HARVESTER AND COMBINED HARVESTER DEVICE
KR101402765B1 (en) Crop harvester
JP6476428B2 (en) Self-propelled bulb vegetable harvester
KR101864595B1 (en) Crop harvester
BR102019015690A2 (en) CONVEYOR CHAIN WITH MULTIPLE SEGMENT TRANSPORT FLOOR
CN210928650U (en) Spike and stem harvesting device
EP3108739B1 (en) Harvesting head for corn cobs
CN204518466U (en) A kind of seedling fruit separating mechanism of carrot reaping machine
CN105960935A (en) Vertical type sugarcane leaf peeling station
CN201008271Y (en) Cluster conveying device
CN110122055B (en) Adjustable width guide feeding vertical corn harvesting table
KR102366446B1 (en) Green corn harvester
JP7281375B2 (en) bulb vegetable harvester
CN216415147U (en) Header of corn harvester and corn harvester
KR102010845B1 (en) Crop harvesting machine
WO2022201949A1 (en) Vegetable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