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077B1 -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077B1
KR101714077B1 KR1020110095359A KR20110095359A KR101714077B1 KR 101714077 B1 KR101714077 B1 KR 101714077B1 KR 1020110095359 A KR1020110095359 A KR 1020110095359A KR 20110095359 A KR20110095359 A KR 20110095359A KR 101714077 B1 KR101714077 B1 KR 10171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touch screen
viewing angl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653A (ko
Inventor
이현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0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100)과;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210)와; 상기 내비게이션(100) 및 모터구동부(210)와 연동되어 터치스크린 감응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200)의 위치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구성되어, 후방감지 카메라(200)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여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200)의 시야각 조절을 내비게이션(100)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Viewing angle control system of rear perception camera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운전자에게 충분한 후방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운전자는 진행방향인 전방의 상황은 쉽게 식별, 판단 할 수 있으나, 차량의 좌, 우 양측 및 후면부는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로서, 식별자체가 불가능한 것인바, 이에 모든 차량에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실, 내외측면에 통상, 룸미러, 사이드미러, 후사경 등을 기본 구성으로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상적 구성의 시야확보 수단(룸미러, 사이드미러, 후사경등)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사물을 식별되게 하는 일반적 형태의 거울로 이루어지고, 그 위치 또한 차량의 실내외 측에 각각 분산,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시야 확보 수단은 확인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운전자가 적극적으로 고개를 돌리거나 눈을 돌려 각 위치별 상황을 원거리에서 판단해야 하는 불편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기능 또한 단순한 빛의 반사작용에 의해 사물을 판단되게 하는 거울구조로서, 피사체의 선명도 내지 반사범위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으며, 더욱이 이러한 통상적 구성의 시야 확보 수단만으로는 차량의 후미 및 측면 사각 지대는 전혀 확인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시야 확보 수단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한 기술로 전용모니터 내지 통상의 내비게이션(위성을 이용한 차량 항법장치) 모니터와 호환 가능한 구조로서, 차량의 후방상황을 하나의 영상정보로 촬영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토록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가 널리 개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는 차량 후방의 고정된 영상만을 보여주게 되며, 카메라의 시야각을 넓힌다고 하더라도 차량 후방의 모든 영상을 보여주기 힘들며, 특허 차량의 좌우 코너부에 대한 시야 확보를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차량 운행 중 후진 시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차량 후면에서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의 시야각을 조절하여 운전자에게 충분한 후방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과;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내비게이션 및 모터구동부와 연동되어 터치스크린 감응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의 터치스크린 터치 드래그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구동부의 각도 조절량을 변화시켜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의 터치스크린은 멀티 터치 작동 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줌인 및 줌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여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작동이 가능한 내비게이션(100)과,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후진 시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와 연결되어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210)와, 상기 내비게이션(100) 및 모터구동부(210)와 연동되어 운전자의 내비게이션(100) 터치스크린 감응 시 모터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200)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져, 후방감지 카메라(200)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장착된 내비게이션(100)과, 차량 외부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와 연동되어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210)와, 상기 모터구동부(210)에 의한 카메라(200)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내비게이션(100)은 주행 시 운전자에게 길 안내 및 차량 정보 제공이 가능하기도 하며 주차 시에는 이하 기술하게 될 카메라(200)와 연동되어 후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0)은 전면부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 인해 작동되는 터치스크린이 포함되도록 한다.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후진 시 운전자가 차량 후방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카메라(200)는 차량 후방의 범퍼 또는 트렁크 리드, 또는 번호판 측에 장착되어 후방을 감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터구동부(210)는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200)와 연동된 상태로 차량 후방에 장착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내비게이션(100) 및 모터구동부(21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스크린 감응에 따라 모터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구동부(210)와 연동된 카메라(200)의 각도 조절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100)을 통해 차량 후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 작동을 통해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2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드래그 속도에 따라 제어부(300)는 모터구동부(210)의 각도 조절량을 변화시켜 카메라(200)의 시야각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은 멀티 터치 작동 시 제어부(300)에 의한 줌인 및 줌아웃이 가능하여 고정된 각도에서 후방의 부분 확대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작동이 가능하며 길 안내, 차량 정보 제공 및 주차 시 후방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내비게이션(100)과, 차량 후방에 장착되어 후진 시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상기 카메라(200)와 연결되어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210)와, 상기 내비게이션(100) 및 모터구동부(210)와 연동되어 운전자의 내비게이션(100) 터치스크린 감응 시 모터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200)의 각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후진 변속 시 카메라(200) 및 내비게이션(100)이 작동을 시작하며, 상기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 상,하,좌,우를 터치하여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각도의 차량 후방 영상을 상기 내비게이션(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변속기어가 후진 변속단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300)가 모터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카메라(200)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되며, 촬영된 후방 영상은 내비게이션(100)으로 전송되어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차량 후방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운전자가 차량 후방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300)가 상기 내비게이션(100)에서 터치된 방향을 감지하여 모터구동부(210)로 송출함으로써 운전자가 터치한 방향으로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카메라(200)의 전방향(全方向) 위치 조절 후 최초 위치로 영상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내비게이션(100) 디스플레이 중앙을 터치하여 상기 카메라(200)가 초기 원점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드래그 속도에 따라 모터구동부(210)의 각도 조절량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멀티 터치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즉, 내비게이션(1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 후 빠른 속도로 드래그하는 경우 넓은 각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느린 속도로 드래그하는 경우 미세 각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넓은 각도에 대한 조절 후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하면서도 세밀한 후방 감지가 가능하게 하고, 또한 내비게이션(100)의 멀티 터치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줌인 및 줌아웃에 의한 후방의 일정 부분 확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진 시 후방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과;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내비게이션 및 모터구동부와 연동되어 터치스크린 감응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여 안전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내비게이션 200 : 카메라
210 : 모터구동부 300 : 제어부

Claims (3)

  1.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과;
    차량 후방에 장착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내비게이션 및 모터구동부와 연동되어 터치스크린 감응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비게이션의 터치스크린 터치 드래그 속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구동부의 각도 조절량을 변화시키되, 상기 터치스크린을 터치 후 빠른 속도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넓은 각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느린 속도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미세 각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넓은 각도에 대한 조절 후 미세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카메라의 시야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의 터치스크린은 멀티 터치 작동 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줌인 및 줌아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KR1020110095359A 2011-09-21 2011-09-21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KR101714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59A KR101714077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59A KR101714077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53A KR20130031653A (ko) 2013-03-29
KR101714077B1 true KR101714077B1 (ko) 2017-03-08

Family

ID=4818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359A KR101714077B1 (ko) 2011-09-21 2011-09-21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5290B2 (en) 2015-06-11 2020-04-28 Karma Automotive Llc Virtual joy stick controls for adjustable components in vehicles
CN106775426A (zh) * 2017-01-16 2017-05-31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触摸式两轴操纵杆模拟系统、装置及方法
CN107782319A (zh) * 2017-11-28 2018-03-09 天派电子(深圳)有限公司 电控前后角度可调的升降车载导航系统
KR102409835B1 (ko) * 2018-03-13 2022-06-17 에스엘 주식회사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014A (ja) 2001-09-14 2003-03-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9083744A (ja) 2007-10-02 2009-04-23 Alpine Electronics Inc 合成画像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883A (ja) * 1998-03-19 1999-09-28 Denso Corp ロボットのマニュアル操作装置
KR20050000276A (ko) * 2003-06-24 2005-01-03 주식회사 성진씨앤씨 감시 카메라 제어용 가상 조이스틱 시스템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014A (ja) 2001-09-14 2003-03-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周辺監視装置
JP2009083744A (ja) 2007-10-02 2009-04-23 Alpine Electronics Inc 合成画像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53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177B2 (en) Vehicl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arview monitoring system
JP6413207B2 (ja) 車両用表示装置
EP2068189B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6877311B2 (ja) 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US8421863B2 (en)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JP5277272B2 (ja) 車両後方監視装置
JP5310602B2 (ja) 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
US8134594B2 (en) Surrounding recognition assisting device for vehicle
EP3176035A1 (en) A rear vis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EP344561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vehicle
KR20110080985A (ko) 차량용 다시점 룸미러
JP6674793B2 (ja) 運転支援情報表示装置
KR101714077B1 (ko) 차량용 후방감지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 시스템
JP2018142885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00984A (ja) 自動車用のカメラ監視システム
JP2019116229A (ja) 表示システム
JP608527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556281B (zh) 车用安全系统及其操作方法
EP3166307B1 (en) Captu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s well as motor vehicle
JP2017056909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JP6573218B2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及び設定方法
KR101798054B1 (ko) 레이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EP3658420B1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JP2023017641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