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418B1 -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418B1
KR101713418B1 KR1020150080058A KR20150080058A KR101713418B1 KR 101713418 B1 KR101713418 B1 KR 101713418B1 KR 1020150080058 A KR1020150080058 A KR 1020150080058A KR 20150080058 A KR20150080058 A KR 20150080058A KR 101713418 B1 KR101713418 B1 KR 10171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edia
media cassette
cassett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400A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418B1/ko
Priority to CN201620535535.3U priority patent/CN205899703U/zh
Publication of KR2016014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07D11/0006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Power Sour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는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카세트;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카세트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2 커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경우 상기 신호 핀보다 전원 핀이 먼저 연결된다.

Description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MEDIA CASSET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카세트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매체 카세트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 카세트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된 매체를 보관하거나, 보관된 매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입금된 또는 출금될 매체가 보관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매체 카세트는 트레이 상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트레이에 상기 매체 카세트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원 커넥터가 접촉하면서 인러쉬가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매체 카세트 내부의 칩(IC)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갖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 카세트를 안전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는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카세트;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카세트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경우 상기 신호 핀보다 전원 핀이 먼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방법은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될 경우 전원 핀이 신호 핀보다 먼저 연결되면서 상기 트레이에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된 것이 감지되면 제1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신호 핀이 연결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매체 카세트 상기 매체 카세트 장착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트레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트레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제2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입출금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매체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트레이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트레이 감지부와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카세트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경우 상기 신호 핀보다 전원 핀이 먼저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갖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 카세트를 안전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전원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제1 신호 핀과 제2 신호 핀이 접속함에 따라 장착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신호전원을 인가하는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장착감지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신호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장착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신호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는 트레이의 각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연결된 트레이 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를 입출금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매체가 수용되는 매체 카세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 매체를 출입금하기 위한 매체출입부(12),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출입부(13),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출입부(14) 및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출입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의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기본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상기 매체출입부(12) 또는 수표출입부(15)와 연결되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내부에 형성된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매체출입부(12) 또는 수표출입부(15)를 통해 입금된 매체는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인입되어 보관된다.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보관된 매체는 매체출입부(12) 또는 수표출입부(15)를 통해 인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출입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출입부(12)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에 의해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출입부(12)는,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픽업수단과, 고객이 매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이송된 매체를 함께 집적하기 위한 집적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의 크기나 색상, 이미지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임시집적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집적부(30)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출입부(12)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임시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부(4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 카세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하나 이상의 매체 보관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하나 이상의 회수보관함(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반송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매체 카세트(100)는 매체가 저장되거나 이동되는 카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매체 카세트(100)는 트레이(70)에 설치되어 탈착되는 카세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부(40)는 상기 감별부(20)에서 비정상 매체로 구분되지 않은 정상 매체를 수납하고, 매체 인출 명령이 입력되면 집적된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 보관부(40)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상기 매체 보관부(40)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출구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매체 보관부(4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체 보관부(4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 집적수단과, 집적된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 픽업수단이 함께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매체 보관부(40)는 중력 방향으로 매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내부에서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복수의 매체 카세트(10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매체 카세트(10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1)의 매체 카세트(100)는 불량 매체 등을 보관하기 위한 회수보관함(60)과, 상기 회수보관함(60)으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반송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보관함(6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회수부(61, 62, 63)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는 제1회수부(61), 제2회수부(62) 및 제3회수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수부(61)에는 매체의 입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별부(20)에 의해서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들이 집적된다. 상기 제2회수부(62)에는 상기 매체 보관부(40)에 집적된 매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별부(20)에 의해서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들이 집적된다. 상기 제3회수부(63)에는 매체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가 매체 인출 명령을 입력한 후, 상기 매체출입부(12)로 인출된 매체를 일정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매체출입부(12)로 인출되었던 매체가 수거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는 상기 회수보관함(60) 내부의 공간이거나, 상기 회수보관함(60)에 별도로 수용되는 개별적인 보관함일 수 있다.
상기 회수보관함(60)은, 각각의 회수부(61, 62, 63) 내부로 매체를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매체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각 회수부(61, 62, 63)에는 매체의 가지런한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회수부(61, 62, 63)가 상기 회수보관함(60)에 수용되는 별도의 보관함인 경우에는 상기 각 회수부(61, 62, 63)에도 매체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보관함(60)으로 이송되기 위한 매체는 상기 반송장치(50)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 중 하나로 분배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회수보관함의 매체입구는 상기 회수보관함(60) 또는 상기 회수부(61, 62, 63)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반송장치(50)에는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하나의 매체입구와, 매체가 반출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매체출구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매체 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 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트레이(7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70)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하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가 이송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로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이송로는, 크게 상기 감별부(20)를 중심으로 상기 감별부(2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이송로(81)와, 상기 감별부(20)를 통과하는 제2이송로(82)와, 상기 감별부(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이송로(83)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송로(83)는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3이송로(83)를 따라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함(40) 또는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100)로서 매체 보관함(40)이 예시된다. 매체 보관함(4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자 모양의 하우징(2)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 내부에는 매체를 보관하는 수납공간(3)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2)의 위쪽에 설치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매체보관함 도어(4), 그리고 매체 보관함(4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트레이(70)에 장착되면 전원 커넥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어 운용중인 평상시 상태에서는 전원 이상으로 인한 오류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매체 카세트(10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경우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이때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매체 카세트(100)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서, 전원 커넥터의 접점 사이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압 이상요인이 상기 매체 카세트(100) 내에 구비된 제어보드 내부의 회로 부품에 심각한 손상을 주기 때문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매체 카세트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는 트레이(70)를 연다(S401). 상기 트레이(70)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상기 트레이(70)는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 트레이(70)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매체 카세트(100)를 장착한다(S402).
상기 트레이(70)에는 매체 카세트(10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는 매체 카세트 장착 감지부가 구비된다. 즉, 상기 트레이(70)에 형성된 제1 전원 커넥터와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형성된 제2 전원 커넥터가 접속하면서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장착을 감지한다(S403).
상기 트레이(70)를 통해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제1 전원을 인가(On)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원은 신호전원으로 예시되며, 다른 종류의 전원이 될 수도 있다.(S404). 상기 신호전원은 5V의 전원으로서 통신 및 센서 등을 구동하는 전원이다.
이를 통해 금융자동화기기(1)의 제어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 슬롯을 알 수 있고(S405),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제2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할 수 있는 대기모드 상태가 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전원은 구동전원으로 예시되며, 다른 종류의 전원이 될 수도 있다.(S406).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 트레이(70)가 닫히면(S407)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구동전원을 인가(ON)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상기 트레이(70)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감지할 수 있는 트레이 감지부가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70)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트레이(70)가 닫힌 상태이고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 상태일 때 비로소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24V 전원으로 매체 카세트(100)에 포함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매체 카세트에 신호전원과 구동전원이 각각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전원이 인가되기 전이라도 상기 신호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가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상태 또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유지 보수 과정에서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슬롯들은 각각의 슬롯마다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매체의 종류가 지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자신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매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슬롯에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기 이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매체의 종류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복수개의 슬롯 중 하나에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해당 슬롯에 카세트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매체 카세트(100)는 출력된 카세트 전압을 기초로 복수개의 슬롯 중 자신이 장착된 슬롯을 감지한 후 상기 감지된 슬롯에 지정된 매체의 종류를 상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매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하거나,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저장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매체의 종류와 상기 슬롯에 지정된 매체의 종류가 서로 상이할 경우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저장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매체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감지된 슬롯에 지정된 매체의 종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매체 카세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 트레이(70)를 연다(S501). 상기 트레이(70)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상기 트레이(70)는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고 트레이(70)가 닫힌 상태에서는 구동전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트레이(70)를 열면 상기 구동전원은 차단(OFF)된다(S502).
상기 트레이(70)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분리되어 장착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 즉 분리된 것을 감지한 경우(S503)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신호전원은 차단(OFF)된다.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분리되고, 상기 트레인(70)가 닫힌다(S505)(S50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전원 커넥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트레이(70)의 각각의 슬롯에 형성된 제1 전원 커넥터는 제1 전원 핀(71) 및 제1 신호 핀(72)을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100)에 형성된 제2 전원 커넥터는 제2 전원 핀(101) 및 제2 신호 핀(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 핀(71)은 상기 제2 전원 핀(101)과 접속하고, 상기 제1 신호 핀(72)은 상기 제2 신호 핀(102)과 접속한다.
상기 제1 전원 핀(71)은 상기 제1 신호 핀(72)에 비하여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체결되는 방향, 즉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될 때 상기 제2 전원 커넥터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원 핀(101)은 상기 제2 신호 핀(102)에 비하여 상기 트레이(70)가 체결되는 방향, 즉 상기 트레이(70)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전원 커넥터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트레이(70)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은 상기 제1 신호 핀(72) 및 제2 신호 핀(102)에 비하여 먼저 접속된다.
반대로, 상기 매체 카세트(100)가 트레이(7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은 상기 제1 신호 핀(72) 및 제2 신호 핀(102)에 비하여 나중에 분리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트레이(70)의 제1 전원 핀(71) 및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전원 핀(101)은 각각 상기 트레이(70)의 제2 신호 핀(72) 및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신호 핀(102)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트레이(70)의 제1 전원 핀(71)만 상기 트레이(70)의 제2 신호 핀(7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전원 핀(101)은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신호 핀(10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전원 핀(101)만 상기 매체 카세트(100)의 제2 신호 핀(10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70)의 제1 전원 핀(71)은 상기 트레이(70)의 제2 신호 핀(7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원 핀 및 신호 핀의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다만 트레이(60)에 매체 카세트(100)를 삽입할 때 전원 핀이 먼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제1,2 전원 커넥터는 상기 매체 카세트(100)를 트레이(70)에 장착시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이 먼저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접속하여 전원이 인가되므로 인러쉬로 인한 매체 카세트(100) 내부의 칩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접속하면 즉시 전원이 인가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서로 분리되면 즉시 전원이 끊어지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전원이 끊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원 핀과 신호 핀의 길이 차이를 형성함으로써 접속 시간의 차이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인러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원 핀과 신호 핀의 길이 차이는 접속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2 전원 커넥터는 상기 매체 카세트(100)를 트레이(70)로부터 분리시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먼저 분리되고, 제1 신호 핀(72) 및 제2 신호 핀(102)이 분리된 후 즉시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전원이 차단된다.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이 분리되므로 인러쉬로 인한 매체 카세트(100) 내부의 칩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전원 핀(71) 및 제2 신호 핀(72)은 상기 제2 전원 핀(101) 및 제2 신호 핀(102)과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속하는데,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두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것처럼 도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제1 신호 핀과 제2 신호 핀이 접속함에 따라 장착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신호전원을 인가하는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장착감지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신호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장착감지신호가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신호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회로 구성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도 7을 참조하여 도 8과 도 9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카세트(100)를 상기 트레이(70)에 장착하면 상기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이 먼저 접속하고,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접속한다.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접속하면 매체 카세트(100)의 장착을 감지할 수 있고 CST_CHK(장착감지신호)가 Low 신호로 인에이블된다. 이때, 저항 R1과 저항 R2 사이의 접점에는 0V가 인가되고, 저항 R2와 커패시터 C1 사이의 접점에는 0V가 인가되며, 트랜지스터 T는 도통되어 CST_5V의 전원이 인가된다. 즉, 5V의 신호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5V의 신호전원은 상기 커패시터 C1으로 인하여 상기 CST_CHK(장착감지신호)가 Low 신호로 인에이블된 후 일정 시간(Delay time) 경과 후 인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핀(71) 및 제2 전원 핀(101)이 확실히 접속한 후 신호전원이 인가되므로 인러쉬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카세트(100)를 상기 트레이(7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이 먼저 분리되고 상기 제1 전원 핀(71)과 제2 전원 핀(101)이 분리된다.
상기 제1 신호 핀(72)과 제2 신호 핀(102)의 접속이 해제되면 매체 카세트(100)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고 CST_CHK(장착감지신호)가 High 신호로 디스에이블된다. 이때, 저항 R1과 저항 R2 사이의 접점에는 5V가 인가되고, 저항 R2와 커패시터 C1 사이의 접점에는 5V가 인가되며, 트랜지스터 T는 차단되어 CST_5V의 전원이 차단된다. 즉, 5V의 신호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5V의 신호전원은 상기 커패시터 C1으로 인하여 상기 CST_CHK(장착감지신호)가 High 신호로 디스에이블된 후 즉시 차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전원 핀(71) 및 제2 전원 핀(101)의 접속이 해제되기 전 신호전원이 차단되므로 인러쉬로 인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서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는 트레이의 각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연결된 트레이 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70)에는 복수의 슬롯이 구비되고, 각각의 슬롯에는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70)는 트레이 보드(75)와 연결되는데, 상기 트레이 보드(75)에는 각각의 슬롯과 연결되는 슬롯 커넥터가 구비된다. 슬롯 커넥터는 각각의 슬롯과 전원라인, 통신라인, 장착감지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보드(75)는 각각의 슬롯에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1에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되면 슬롯1 커넥터는 장착감지라인을 통해 매체 카세트(100)가 장착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보드(75)는 매체 카세트(100)가 슬롯1에 장착되면, 슬롯1에 전원을 인가하고, 통신라인을 통해 슬롯1에 장착된 매체 카세트(100)에게 슬롯1에 장착되었음을 알려준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트레이 보드(75)는 매체 카세트(100)가 각각의 슬롯에 장착되면 각각의 슬롯에 전원을 인가하고 매체 카세트(100)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자동화기기 20; 감별부
30; 임시집적부 40; 매체 보관부
50; 반송장치 60; 회수보관함
70; 트레이 100: 매체 카세트

Claims (7)

  1.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카세트;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되는 트레이;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카세트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경우 상기 신호 핀보다 전원 핀이 먼저 연결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가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매체 카세트에 제1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신호핀이 연결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장착 상태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전원 핀에 전원을 인가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전원 핀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전원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 핀의 길이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신호 핀 또는 상기 제2 커넥터의 신호 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가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매체 카세트에 제1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매체 카세트의 분리 상태를 감지하면 즉시 상기 매체 카세트에 제1전원을 차단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5.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와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 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될 경우 전원 핀이 신호 핀보다 먼저 연결되면서 상기 트레이에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매체 카세트가 장착된 것이 감지되면 제1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상기 신호 핀이 연결되면,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매체 카세트 장착이 감지될 경우 상기 트레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트레이가 닫힌 상태인 경우 제2전원이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트레이가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 및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매체 카세트가 분리된 경우 상기 제1 전원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방법.
  7. 매체가 입출금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매체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트레이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트레이 감지부와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카세트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신호 핀과 전원 핀을 포함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카세트가 상기 트레이에 장착될 경우 상기 신호 핀 보다 전원 핀이 먼저 연결되고,
    상기 카세트 장착 감지부가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매체 카세트에는 제1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신호 핀이 연결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매체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장착 상태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전원 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50080058A 2015-06-05 2015-06-05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1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58A KR101713418B1 (ko) 2015-06-05 2015-06-05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N201620535535.3U CN205899703U (zh) 2015-06-05 2016-06-03 媒介物盒的电源控制装置及金融自动化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58A KR101713418B1 (ko) 2015-06-05 2015-06-05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00A KR20160143400A (ko) 2016-12-14
KR101713418B1 true KR101713418B1 (ko) 2017-03-22

Family

ID=5757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58A KR101713418B1 (ko) 2015-06-05 2015-06-05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3418B1 (ko)
CN (1) CN20589970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716A (ja) 2000-07-06 2002-01-25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542B1 (ko) * 2009-07-31 2011-10-17 엘지엔시스(주) 매체 인식장치의 카세트 장착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288695B1 (ko) * 2011-10-17 2013-07-2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카세트 감지 장치 및 매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716A (ja) 2000-07-06 2002-01-25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00A (ko) 2016-12-14
CN205899703U (zh)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900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現金取扱装置
WO2014195989A1 (ja) 紙幣取扱装置
KR101272388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729389B1 (ko) 금융기기
KR101764480B1 (ko) 금융 기기
KR101713418B1 (ko) 매체 카세트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JP6041579B2 (ja) 紙幣処理装置
KR20160001939A (ko) 매체경로전환장치 및 금융기기
KR102255886B1 (ko) 매체 저장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8060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873389B1 (ko) 금융기기, 매체처리장치, 및 매체처리방법
KR101751598B1 (ko) 금융 기기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940733B1 (ko) 매체 저장함 및 금융기기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34750B1 (ko) 금융기기에 탈부착되는 매체저장장치보관모듈 및 그의 도어열림감지장치
KR101832802B1 (ko) 금융기기, 금융기기의 외부확장모듈, 금융기기의 매체보충방법, 및 금융기기의 매체회수방법
KR102009365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187338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464868B1 (ko) 매체 픽업 및 이송 장치, 금융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KR101799200B1 (ko) 매체 가이드장치와 매체 보관장치 및 금융기기
KR10195845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금융기기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