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486B1 -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486B1
KR101712486B1 KR1020150030526A KR20150030526A KR101712486B1 KR 101712486 B1 KR101712486 B1 KR 101712486B1 KR 1020150030526 A KR1020150030526 A KR 1020150030526A KR 20150030526 A KR20150030526 A KR 20150030526A KR 101712486 B1 KR101712486 B1 KR 10171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effector
tissue
jaw
tissue pad
surgic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93A (ko
Inventor
김송이
김사임
김수정
김응국
Original Assignee
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4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18/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ultrasonic, e.g. for destroying tissue or enhanc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61B2017/2825Inserts of different material in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61B2017/320093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additional movable means performing cutt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68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 A61B17/32009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 A61B2017/320095Surgical cutt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with additional movable means for clamping or cutting tissue, e.g. with a pivoting jaw with sealing or cauteriz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는,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생체조직을 응고 및 절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엔드이펙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드이펙터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죠 및 상기 엔드이펙터에 대향되도록 상기 죠에 구비되어 상기 죠의 가변에 따라 상기 엔드이펙터와 함께 생체조직을 파지하고, 일측면이 외부에 노출된 티슈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죠는 상기 티슈패드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제1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되는 제2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엔드이펙터의 타측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 영역에서만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Ultrasonic Wave Surgery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High Frequency Coagulation}
본 발명은 생체조직을 응고 및 절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응고 기능을 통해 수술을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술 시 초음파를 이용하여 생체 조직을 절단하거나, 응고(Coagulation) 등의 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초음파 수술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초음파 수술장치는 생체 조직을 파지할 수 있도록 엔드이펙터(End-Effector) 및 죠(Jaw)가 구비되며, 특히 상기 엔드이펙터는 로드를 통해 본체 측에 구비된 트랜스듀서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죠에는 생체조직과 직접 접촉되는 티슈패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티슈패드는 초음파의 진동을 흡수해야 하므로 금속보다는 부드러운 폴리머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초음파 수술장치는 바이폴라(Bipolar) 방식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죠와 상기 엔드이펙터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종래 초음파 수술장치의 경우, 죠의 양측과 엔드이펙터 전체 면적에 걸쳐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면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영역에만 국소적으로 응고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생체조직에 불필요한 손상을 주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시술자는 일측 방향에서 육안으로 수술 부위를 바라보며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죠와 엔드이펙터에 의해 반대 측 방향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죠와 엔드이펙터의 반대 측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응고 및 절단 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시술자의 시야를 벗어난 부위에서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초음파 수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응고 및 절단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초음파 수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는,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생체조직을 응고 및 절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엔드이펙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드이펙터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죠 및 상기 엔드이펙터에 대향되도록 상기 죠에 구비되어 상기 죠의 가변에 따라 상기 엔드이펙터와 함께 생체조직을 파지하고, 일측면이 외부에 노출된 티슈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죠는 상기 티슈패드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제1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되는 제2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엔드이펙터의 타측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 영역에서만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티슈패드 타측면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슈패드는 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엔드이펙터에 대해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티슈패드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죠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이펙터는, 일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대만부 및 소만부를 형성하며, 상기 죠의 가변에 따른 상기 파지면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파지면의 경사를 따라 소만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면에는 슬립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방지홈은 복수 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면은, 폭의 일부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술자의 시야를 벗어난 부위에서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면을 최소화하여 응고 및 절단 부위 형상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교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초음파 수술장치를 이용하여 응고시킨 생체조직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를 이용하여 응고시킨 생체조직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엔드이펙터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엔드이펙터가 티슈패드의 파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교합 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교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는 혈관 등 생체 조직에 대해 절단, 응고 등의 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 수술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생체 조직에 접근시킬 수 있는 트리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그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그립부와 조작부가 구비되며, 또한 본체 내에는 배터리, 전력공급라인 등과 연결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트리팅유닛은 상기 트랜스듀서와 연결되어 진동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교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의 트리팅유닛은 엔드이펙터(110)와, 죠(120)와, 티슈패드(130)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이펙터(110)는 로드(140)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죠(120)는 전술한 조작부 등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드이펙터(110)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티슈패드(130)는 상기 죠(120)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엔드이펙터(110)와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죠(120)가 상기 엔드이펙터(110) 측으로 가변될 경우, 상기 티슈패드(130)는 상기 엔드이펙터(110)와 함께 생체조직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생체조직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진동이 상기 엔드이펙터(110)로 전달될 경우, 상기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이폴라(Bipolar) 방식의 고주파를 이용하였다. 상기 바이폴라는 2개의 전극이 인접하도록 구비되어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각 전극 사이에 위치된 생체조직의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국소 범위의 응고 및 절단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엔드이펙터(110)와 상기 죠(120)가 각각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죠(120)가 상기 엔드이펙터(110)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죠(120)와 상기 엔드이펙터(110)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엔드이펙터(110)에 초음파 진동이 인가될 수 있다.
다만, 죠(120)와 엔드이펙터(110) 전체 면적에 걸쳐 통전이 이루어질 경우,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면이 과도하게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죠(120)에 돌출부(121)를 형성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티슈패드(130)의 타측면(134)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제1전극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티슈패드(130)는 타측면(134)이 상기 돌출부(121)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가지며, 일측면(132)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엔드이펙터(110)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되는 제2전극을 형성하므로, 본 발명의 경우 티슈패드(130)가 노출된 방향 측에서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엔드이펙터(110)의 타측 및 상기 돌출부(110)와의 사이 영역에서만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시술자는 돌출부(110)가 형성된 측에서 수술 부위를 지켜보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는 상기 엔드이펙터(110)와 죠(120)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반대 측에서 생체조직(T)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지 않으므로, 시술자는 반대 측에 대한 우려 없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측면만을 모니터링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5는 각각 종래의 초음파 수술장치를 이용하여 응고시킨 생체조직의 모습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를 이용하여 응고시킨 생체조직의 모습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초음파 수술장치를 사용한 경우, 도 4와 같이 응고면(R1)의 폭이 과도하게 넓으며, 또한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타측 부분에 조직이 연소된 연소면(R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를 사용한 경우, 도 5와 같이 응고면(R1)의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되며,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타측 부분에는 생체조직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엔드이펙터(11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에서만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영역에만 응고면(R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21)는 상기 티슈패드(130) 타측면(134)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엔드이펙터(110)와의 이격 거리를 보다 가깝게 하고, 상기 티슈패드(130) 타측면(134)의 노출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티슈패드(130)는 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엔드이펙터(110)에 대해 상기 돌출부(121)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면(13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티슈패드(130)의 일측면(132)은 타측면(134)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티슈패드(130)는 일측면(132)으로부터 타측면(134)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이펙터(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즉 만곡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는 대만부(112)가 형성되며, 만곡된 방향으로는 소만부(114)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티슈패드(130)의 파지면(136)은 상기 엔드이펙터(11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죠(120)가 가변되어 상기 티슈패드(130)가 상기 엔드이펙터(11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엔드이펙터(110)는 상기 파지면(136)의 경사를 따라 미끄러지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엔드이펙터(110)는 일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티슈패드(130)의 가압 시 상기 파지면(136)의 경사면에 의해 소만부 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즉 상기 티슈패드(130)는 상기 엔드이펙터(110)를 상하 방향뿐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 생체조직 등을 비비면서 응고 및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수술이 가능함은 물론, 티슈패드(130)의 전체 길이가 균일하게 엔드이펙터(110)의 대만부를 비벼 누를 수 있어 티슈패드(130)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에너지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드이펙터(1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기타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이때 단면 상 가장 높은 부위를 티슈패드(130)가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티슈패드(130)의 파지면(136)은 운동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 시 원위부(R1)와 근위부(R2)의 접촉 시간과 강도가 다르다고 하더라도 상기 엔드이펙터(110)가 상기 파지면(136)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게 된다.
따라서 티슈패드(130)는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엔드이펙터(110)에 접촉되며, 또한 균일한 강도로 상기 엔드이펙터(110)를 가압할 수 있어 종래 티슈패드(130)에 발생하던 침식(Eros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초음파 수술장치 제조 시 다소의 오차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어 허용오차를 보다 넓힐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230)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티슈패드(230)가 죠(220)에 구비되며, 또한 상기 티슈패드(230)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티슈패드(230)의 파지면(236)에 슬립방지홈(237)이 형성된다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슬립방지홈(237)은 상기 티슈패드(230)의 파지면(236)에서 소정 패턴으로 함몰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방지홈(237)은 복수 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티슈패드(230)와 엔드이펙터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엔드이펙터가 상기 파지면(236)을 따라 미끄러질 경우 생체조직이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슬립방지홈(237)은 대각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교차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슬립방지홈(237)의 개수 및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330)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티슈패드(330) 및 죠(32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슈패드(330)는 일측면(332)으로부터 타측면(334)까지에 걸쳐 단면 높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반대로 죠(320)가 일측면(322)으로부터 타측면(324)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죠(320)의 하면(326)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죠(320)의 하면(326)에 상기 티슈패드(330)가 부착될 경우 파지면(336)이 경사지게 형성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죠(320)의 하면(326)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티슈패드(330)의 경사를 구현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티슈패드(330)의 단면 높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티슈패드(33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티슈패드(330)의 교체를 통해 상기 죠(320)의 하면(326) 경사와 상기 티슈패드(330)의 파지면(336) 경사를 조합하여 원하는 각도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교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죠(420)의 형상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티슈패드(43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티슈패드(430)는, 파지면(436)의 일부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평탄면(436a)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파지면(436)은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는 평탄하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티슈패드(430)의 가압에 의해 엔드이펙터(410)가 파지면(436)의 경사를 따라 이동할 경우, 엔드이펙터(410)는 평탄면(436a)에 도달하게 되고, 이동이 중지된다.
이는 상기 엔드이펙터(410)의 과도한 이동 및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평탄면(436a)의 비율은 상기 엔드이펙터(410)의 형상 및 재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티슈패드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티슈패드(530)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티슈패드(530)의 일측면(532)과 타측면(534)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티슈패드(530)의 파지면(536)은 경사지지 않고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티슈패드(53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각 실시예 외의 다른 초음파 수술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터 통합 로봇 수술시스템(Computer-Integrated Robotic Surgery System)과 같은 다른 의료 시스템에 포함되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10: 엔드이펙터 112: 대만부
114: 소만부 120: 죠
121: 돌출부 130: 티슈패드
136: 파지면 140: 로드

Claims (9)

  1. 트랜스듀서의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생체조직을 응고 및 절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초음파를 전달받는 엔드이펙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드이펙터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죠; 및
    상기 엔드이펙터에 대향되도록 상기 죠에 구비되어 상기 죠의 가변에 따라 상기 엔드이펙터와 함께 생체조직을 파지하고, 일측면이 외부에 노출된 티슈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죠는 상기 티슈패드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되어 제1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제1전극에 대응되는 제2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엔드이펙터의 타측 및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 영역에서만 생체조직의 응고 및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티슈패드는 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엔드이펙터에 대해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면을 포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티슈패드 타측면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패드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죠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갈수록 단면의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이펙터는,
    일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대만부 및 소만부를 형성하며,
    상기 죠의 가변에 따른 상기 파지면의 가압에 의해 상기 파지면의 경사를 따라 소만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에는 슬립방지홈이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홈은 복수 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면은,
    폭의 일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초음파 수술장치.
KR1020150030526A 2015-03-04 2015-03-04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KR10171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26A KR101712486B1 (ko) 2015-03-04 2015-03-04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26A KR101712486B1 (ko) 2015-03-04 2015-03-04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93A KR20160107593A (ko) 2016-09-19
KR101712486B1 true KR101712486B1 (ko) 2017-03-07

Family

ID=5710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26A KR101712486B1 (ko) 2015-03-04 2015-03-04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762B1 (ko) * 2019-11-26 2021-09-30 (주)나노맥 강자성 특성 구조의 수술 기기
WO2023090488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인텍메디 조직 절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226A (ja) 2006-07-11 2008-01-3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処置装置
JP2009095619A (ja) 2007-10-12 2009-05-07 River Seiko:Kk 内視鏡用鋏型高周波処置具
KR101353757B1 (ko) 2006-07-04 2014-01-21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수술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488B2 (en) * 2007-12-28 2012-04-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757B1 (ko) 2006-07-04 2014-01-21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수술 기구
JP2008018226A (ja) 2006-07-11 2008-01-3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処置装置
JP2009095619A (ja) 2007-10-12 2009-05-07 River Seiko:Kk 内視鏡用鋏型高周波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93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3018B2 (en) Sealing plate temperature control
CN107750141B (zh) 与超声外科器械一起使用的超声外科刀
US7361172B2 (en) Ultrasonic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coagulation
JP6869985B2 (ja) 超音波及び電気外科的特徴を有する器具のためのエンドエフェクタ
US9241730B2 (en) Ultrasound surgical saw
CA2906512C (en) Ultrasonic surgical drill
EP3381385B1 (en) Ultrasonic bone cutter head and ultrasonic bone cutter provided with same
KR10167625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외과 수술용 기구
JP5659322B2 (ja) 処置具
JP2015509391A5 (ko)
KR101712486B1 (ko) 고주파 응고 기능을 갖는 초음파 수술장치
KR102688313B1 (ko) 치료 초음파 장치 및 방법
WO2015178270A1 (ja) 処置具
CN205885521U (zh) 电外科钳
KR101712482B1 (ko) 경사형 티슈패드를 포함하는 초음파 수술장치
KR20150101965A (ko)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EP3730105A1 (en) Ophthalmic surgical apparatus
CN216570121U (zh) 一种超声手术器械
CN209122435U (zh) 一种端部执行器组件
JP6197131B2 (ja) 外科手術装置
CN213489158U (zh) 一种多功能穿刺刀
JP4229535B2 (ja) 外科用凝固止血具
EP3406214B1 (en) Medical apparatus, medical apparatus system
CA323193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gripping surface for an end effector and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gripping end effector
CN115153810A (zh) 一种可线状及点状消融的双极脉冲电场消融隔离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