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627B1 -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627B1
KR101711627B1 KR1020160066695A KR20160066695A KR101711627B1 KR 101711627 B1 KR101711627 B1 KR 101711627B1 KR 1020160066695 A KR1020160066695 A KR 1020160066695A KR 20160066695 A KR20160066695 A KR 20160066695A KR 101711627 B1 KR101711627 B1 KR 101711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unting portion
screen mounting
ca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0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수여과장치 내부에 부품들 사이의 가압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볼팅결합이 되지 않아도 내부 구성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보수 시 구성들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Strainer having easy decomposing and assembling}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수여과장치 내부에 부품들 사이의 가압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볼팅결합이 되지 않아도 내부 구성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보수 시 구성들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 여과기는 각종 설비 시스템에서 유입, 발생되는 유기적 부유물 등을 걸러내는 장치로써, 농업, 공업 용수 등을 정수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오염된 냉각수 등을 여과하는 용수 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오염수를 여과하고 있으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식혀주는 데 사용하고 있다.
용수여과장치에서 오염수를 여과하기 위한 핵심 구성은 메쉬 와이어 또는 웨지 와이어 형태로 제작되는 스크린이다. 즉 이물질이 혼합된 오염수가 스크린을 통과하면 이물질은 스크린에서 걸러지고 여과수만 통과하여 배출되는 원리이다. 이 때 지속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다 보면 스크린에 이물질이 많이 끼어 여과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소정의 여과 과정 이후에는 스크린 하부에 역세암을 마주하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세 과정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용수여과장치에서는 제작단계에서 내부의 구성들을 볼팅결합 하기 때문에 용수여과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스크린과 스크린장착부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용수여과장치의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10358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수여과장치 내부에서 스크린 및 스크린장착부가 볼팅결합 되지 않더라도 가압구조로 인해 밀착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가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위쪽에 설치되며, 제1장착공이 형성된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아래쪽에 설치되고, 제2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2스크린장착부;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의 제1장착공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의 제2장착공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오염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 사이에 맞닿아 설치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오염수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원형관; 상기 원형관 내측에 위치하여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세암이 포함되며, 상기 역세암이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의 제1장착공,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의 제2장착공 및 상기 원형관의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과 마주함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하단에 연결된 역세수배출챔버로 유도하는 역세수단;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상기 모터가 장착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덮개를 폐쇄할 때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원형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순차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싱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와 맞닿아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스크린에는 상기 제2스크린장착공과 결합되는 반대편 부분에 가압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를 폐쇄할 때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원형관,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 상기 제2스크린 및 상기 가압지지캡이 순차적으로 가압되며, 가압 시 상기 가압지지캡이 상기 케이싱의 밑바닥에 위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상기 케이싱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는 내부 구성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장착부가 케이싱에 장착될 때 볼팅결합 되지 않는다. 즉, 덮개에서 상단의 제1스크린을 가압하고, 제1스크린은 제1스크린장착부를 가압한다. 또한, 제1스크린장착부는 원형관을 가압하고, 원형관은 하단의 제2스크린장착부를 가압하는데, 이 때 제2스크린장착부는 용수여과장치 내부의 지지턱이나 제2스크린에 끝단에 구비된 캡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용수여과장치 내부의 구성들은 덮개에서 제2스크린까지 가압력으로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복잡한 고정수단이나 별도의 볼팅결합을 수행하지 않아도 지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스크린장착부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의 분해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덮개를 제거하고, 스크린이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을 때 부품들이 가압되어 스크린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지지턱이 코팅되었을 때 제2스크린장착부가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못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제2스크린에 가압지지캡이 결합되었을 때 부품들이 가압되어 스크린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용수여과장치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의 내부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의 분해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덮개를 제거하고, 스크린이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관의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이하 '용수여과장치'라 함)는 케이싱(110), 스크린장착부(120, 130), 스크린(160, 170), 덮개(200), 회전동력전달부(230), 역세수단(240), 역세수배출챔버(245) 및 맨홀(210)을 포함한다.
케이싱(110)에는 용수여과장치(100)의 다른 구성들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이 있고, 상단에 마련된 덮개(20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0)의 대략 중앙부의 측면에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111)와,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1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은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케이싱(110)의 내측면 중 아래쪽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지턱(250)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턱(250)은 플랜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스크린장착부(120)는 케이싱(110) 내측에서 오염수유입구(111) 보다 위쪽에 설치되며,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중심을 동심원으로 하여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 제1스크린(160)이 장착되는 다수의 제1스크린장착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스크린장착부(120)가 설치되어 고정되면, 그 위쪽 부분이 제1여과공간(140)이 된다. 여기서, 제1여과공간(140)에는 제1여과공간차단관(142)이 설치되어 역세수단(240)의 역세본체(241)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동력전달부(230)가 오염수 또는 여과수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오염수유입구(111)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제1스크린장착부(120)와 마찬가지로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중심을 동심원으로 하여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에 제2스크린(170)이 장착되는 다수의 제2스크린장착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2스크린장착부(130)가 설치되어 고정되면, 그 아래쪽 부분이 제2여과공간(150)이 되며, 제1여과공간(140)과 제2여과공간(150)의 일측에는 여과수배출구(112)와 연통되는 제1배출홀(141) 및 제2배출홀(15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여과공간(150) 하부에는 수리 또는 세척작업 시에 제2여과공간(150)에 잔류하는 여과수 또는 오염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부(260)가 마련되어 있다.
제1스크린(160)은 제1여과공간(140)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수를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걸러내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스크린(160)은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제1스크린장착공(121)에 장착된다. 이 때 제1스크린(160)은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제1스크린(160)의 하부는 제1스크린장착공(121)을 통해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하부와 연통된 상태이다.
제2스크린(170)은 제2여과공간(150)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낸다. 제2스크린(170)은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제2스크린장착공(131)에 장착되며, 제1스크린(160)과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동심원 상에 설치되며, 제2스크린장착공을(131)을 통해 제2스크린장착부(130)와 연통된다.
덮개(200)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케이싱(110)에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킨다. 이러한 덮개(200) 상단에는 회전동력전달부(230)에 포함되어 회전동력을 생산하는 모터(231)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여과과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덮개(200)가 폐쇄된 상태이며, 내부 구성들을 설치 및 분해할 시에는 덮개(200)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200)를 개방하여 내부 부품들을 분해 및 조립할 수도 있지만, 맨홀(210)에서도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즉, 맨홀(210)은 장치 중앙에 위치하고, 타원의 형태로 구성되어 그 크기가 내부의 부품들이 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과 같은 비교적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부품보다는 역세수단(240)과 같은 중앙에 위치한 부품들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원형관(220)은 케이싱(110) 내부에서 상단은 오링(270a)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하단과 맞닿아 있고, 하단은 오링(270b)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상단과 맞닿아 설치된다. 여기서 오링(270a, 270b) 은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원형관(220)은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의 역세를 수행하는 역세수단(240)이 내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형관(220)의 측면 일측에는 유입통로(221)가 형성되어 오염수유입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10) 내부로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형관(220)의 내부는 오염수유입공간(222)으로 활용된다.
회전동력전달부(230)는 회전동력을 역세수단(240)의 역세본체(241)에 전달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231), 모터회전축(232), 모터회전축연결부(233), 역세본체회전축(234) 및 역세본체회전축 고정수단(235)을 포함한다.
모터(231)는 역세과정에서 역세수단(240)의 역세본체(241)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한다.
모터회전축(232)은 모터(231)가 작동될 때 모터(231)의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모터회전축연결부(233)는 역세본체회전축(234)에 고정되어 있고, 이후 덮개(200)가 폐쇄될 때 모터회전축(232)과도 결합되어 모터회전축(232)과 역세본체회전축(234)을 연결한다. 따라서 모터회전축연결부(233)는 역세본체회전축(234)이 모터회전축(232)과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역세본체회전축(234)은 상단이 모터회전축(232)과 연동되고, 하단은 역세본체(241)와 결합됨으로써, 모터(231)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역세본체(241)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역세본체회전축 고정수단(235)은 역세본체회전축(234)이 회전 시 수직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중앙을 관통하고 양단이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윗면에 볼팅결합 되어 설치된다.
역세수단(240)은 회전동력전달부(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들에 끼인 이물질을 세척하여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역세수단(240)은 역세본체(241), 역세수유도부(242a, 242b), 제1역세암(243a, 243b), 제2역세암(244a, 244b) 및 역세수배출챔버(245)를 포함한다.
역세본체(241)는 오염수유입공간(222)의 중심 상에 위치하며, 양 측면에는 역세수유도부(242a, 242b)가 연결되고, 역세수유도부(242a, 242b)의 상하부에는 각각 제1역세암(243a, 243b)과 제2역세암(244a, 244b)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역세본체(241)가 회전하면 제1역세암(243a, 243b)과 제2역세암(244a, 244b)도 회전하게 되고, 제1역세암(243a, 243b) 및 제2역세암(244a, 244b)은 각각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과 마주하게 되며, 이 때 제1역세암(243a, 243b) 및 제2역세암(244a, 244b) 통해 유입된 역세수가 역세수유도부(242a, 242b)를 거쳐 역세본체(241) 내부로 이동된다.
역세수배출챔버(245)는 역세본체(241)로 이동된 역세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역세수배출관(246), 역세본체연결부(248) 및 역세본체고정수단(249)을 포함한다. 역세수배출챔버(245)의 구조를 살펴보면, 역세본체(241) 하단에는 역세본체연결부(248)가 결합되고, 역세본체고정수단(249) 하단에는 역세수배출관(246)이 결합됨으로써, 역세본체(241)에서 역세수배출관(246)까지 하나의 통로가 연결된다. 이 때 역세본체고정수단(249)은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중앙을 관통하여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볼팅결합 된다. 따라서 역세본체고정수단(249)은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역세수배출관(246)에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용수여과장치의 작동과정>
이하에서는 용수여과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펌프(미도시)의 작동으로 케이싱(110)의 오염수유입구(111)를 통해 오염수가 유입되면 오염수는 원형관(220)의 유입통로(221)를 거쳐 제1스크린장착부(120)와 제2스크린장착부(130) 사이의 오염수유입공간(222)으로 유입된다.
이후 오염수는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제1스크린장착공(121)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제2스크린장착공(131)을 통해 제1스크린(160)들과 제2스크린(170)들 내측으로 유입되고,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의 측면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렇게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을 통해 제1여과공간(140) 및 제2여과공간(150)으로 여과수가 빠져나오면, 여과수는 제1배출홀(141) 및 제2배출홀(151)을 통해 여과수배출구(112)로 빠져나간다.
이 때 일정 시간동안 여과 공정이 계속되다 보면, 스크린들(160, 170) 내측에 끼인 이물질의 양이 많아 여과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스크린들(160, 170) 내측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세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 역세과정은 역세수단(240)의 작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모터회전축연결부(233)로 인해 모터회전축(232)과 역세본체회전축(234)이 연동된 상태에서 모터(231)가 작동하면 모터회전축(232)이 회전됨에 따라 역세본체회전축(234)이 회전되어 역세본체(241)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역세본체(241)의 회전에 따라, 역세수유도부(242a, 242b)와 역세수유도부(242a, 242b)에 결합된 제1역세암(243a, 243b) 및 제2역세암(244a, 244b)도 함께 회전한다.
제1역세암(243a, 243b)이 회전할 시 제1스크린장착부(120)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오염수가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제1역세암(243a, 243b)이 제1스크린장착공(121)과 마주하게 되면, 제1스크린(160)의 내측이 제1스크린장착공(121), 제1역세암(243a, 243b), 역세수유도부(242a, 242b), 역세본체(241), 역세수배출관(246) 및 역세수배출구(247)까지 모두 하나의 통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살펴보면, 케이싱(110) 내측은 오염수의 유입에 따라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고, 케이싱(110) 외부는 대기압 상태이다. 따라서 제1역세암(243a, 243b)이 제1스크린(160) 하부와 마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압력차에 의해 제1스크린(160) 바깥의 여과수가 제1스크린(160) 표면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제1스크린(160) 내측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탈된다. 이렇게 세척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는 제1스크린(160) 하부의 제1스크린장착공(121), 역세수유도부(242a, 242b), 역세본체(241), 역세수배출관(246), 역세수배출구(247) 순서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제1역세암(243a, 243b)과 제2역세암(244a, 244b)은 역세본체(241)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고 동일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역세암(243a, 243b)의 설명에 따라 제2역세암(244a, 244b)의 기능 설명은 대체될 수 있다. 즉, 제2역세암(244a, 244b) 또한 제2스크린(170)에 밀착되었을 시 연결되는 통로를 정리하면, 제2스크린(170), 제2스크린장착공(131), 역세수유도부(242a, 242b), 역세본체(241), 역세수배출관(246) 및 역세수배출구(247) 순으로 통로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2역세암(244a, 244b)이 회전하면 복수의 제2스크린(170)들이 순차적으로 세척되게 된다.
한편, 역세수단(240)은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오염수유입구(111)와 여과수배출구(112) 상에 압력센서(미도시)를 각각 설치하고, 오염수유입구(111)의 압력과 여과수배출구(112)의 압력 차이가 일정 차이 이상이 되면 제어부가 제1스크린(160) 및 제2스크린(170)에 이물질이 많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231)를 작동시킴으로써 역세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여과 공정과 역세 공정이 처음부터 함께 이루어지는 상세역세도 가능하다.
<스크린 및 스크린장착부의 가압구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을 때 부품들이 가압되어 스크린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지지턱이 코팅되었을 때 제2스크린장착부가 정상적으로 지지되지 못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 제2스크린에 가압지지캡이 결합되었을 때 부품들이 가압되어 스크린이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서 케이싱(110) 내부에 지지턱(250)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크린(160, 170)과 스크린장착부(120, 130)가 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덮개(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케이싱(110) 내부에서 구성들이 설치된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2스크린(170)은 다수의 제2스크린 가압부재(310b)에 의해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가압되어 장착되어 있다. 즉, 제2스크린 가압부재(310b)는 제2스크린(170)에서 제2스크린장착부(130)와 반대편에 위치하고, 그 중앙에 볼트의 조임으로 가압하여 제2스크린(170)을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장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제2여과공간(150) 일측에 형성된 지지턱(25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상단에는 원형관(220)의 하단이 맞닿아 위치하며, 원형관(220)의 상단에는 제1스크린장착부(120)가 맞닿아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제2스크린(170)이 제2스크린 가압부재(310b)에 의해 장착된 것과 마찬가지로 제1스크린장착부(120)에는 제1스크린 가압부재(310a)의 볼트 조임에 의해 가압되어 제1스크린(160)이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200)가 폐쇄된다면, 덮개(200)의 하단은 화살표방향과 같이 제1스크린 가압부재(310a)를 가압하게 된다. 제1스크린 가압부재(310a)가 가압되면, 제1스크린 가압부재(310a)의 하단에 맞닿아 있는 제1스크린(160) 또한 가압되어 제1스크린장착부(120)를 가압하게 된다.
제1스크린장착부(120)가 가압됨에 따라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하단과 맞닿아 있는 원형관(220)의 상단 또한 가압력을 받게 되고, 원형관(220)의 하단과 맞닿아 있는 제2스크린장착부(130) 또한 가압력을 받게 된다. 즉, 원형관(220)은 제1스크린장착부(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제2스크린장착부(130)에 전달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제2여과공간(150)에 형성된 지지턱(250)에 의해 양 측면이 지지되고, 중앙 부분은 역세본체연결부(248)에 의해 지지된다. 즉, 역세수배출관(246)이 케이싱(110) 하단부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역세수배출관(246)과 역세본체고정수단(249)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역세본체(241)의 구성들도 마찬가지로 역세수배출관(246)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지지턱(250) 및 역세수배출관(246)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가압구조를 통해서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케이싱(110)에 볼팅결합 하지 않아도 지지가 가능하다.
종래에는 케이싱의 내부 깊숙한 위치에 형성된 지지플랜지(미도시)에 제1스크린장착부 및 제2스크린장착부를 볼팅결합 하여 제1스크린장착부 및 제2스크린장착부를 고정시키는 구조였다. 따라서 용수여과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제1스크린장착부 및 제2스크린장착부를 케이싱에서 분리할 경우 케이싱 내부 깊숙한 위치의 볼팅결합을 해제시키는 데 불편함이 많았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케이싱(110) 내부에 고정시킬 때 볼팅결합을 실시하지 않고, 케이싱(110) 내부 구성들 사이의 가압구조를 통하여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가 지지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할 때 제1스크린장착부(120)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 등의 부품들을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6 및 도7에서는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지지하는 지지턱(25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대신하여 제2스크린(170)에 가압지지캡(300)이 부착된 것으로 가압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110)의 재질이 부식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경우 부식되지 않기 위해 케이싱(110) 내부에 별도의 고무코팅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도6과 같이 코팅에 의해 지지턱(250)은 완벽한 수평면이 형성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지지턱(250)이 제2스크린장착부(130)와 완벽하게 맞닿지 못하여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2스크린장착부(130)가 제대로 지지되지 못한다면, 오염수유입공간(222)이나 여과공간(140, 150) 등과 같은 케이싱(110) 내부 공간 사이의 수밀성이 유지되는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7에서는 케이싱(110)에 지지턱(250)이 형성되지 않고 가압지지캡(300)이 제2스크린(170)에 구비되어 지지턱(25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한다. 즉, 다수의 제2스크린(170) 각각에 가압지지캡(300)이 구비되어, 덮개(200)가 폐쇄될 시 가압지지캡(300)이 케이싱(110) 내부의 밑바닥에 지지됨으로써 일련의 가압구조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압지지캡(300)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중앙 부분이 역세본체고정수단(249)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턱(250)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양 끝단이 지지되지 못하여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제2스크린(170)의 하단에 가압지지캡(300)이 구비되어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고르게 지지시켜줌으로써 지지턱(250)이 제거되더라도 가압구조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원형관(220)은 윗면과 아랫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하단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상단에 맞닿아 설치되어 있는 것을 설명했으나, 이는 다른 형태로도 제작되어 본 발명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원통의 형상에서 측면이 다수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형태이거나, 또는 다수의 구멍이 각 면에 형성된 원통의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원형관(220)의 형태는 제1스크린장착부(120)의 하단 및 제2스크린장착부(130)의 상단에 맞닿아 용수여과장치(100) 내부의 가압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가압지지캡(300)은 제2스크린(170)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00)는 내부 구성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장착부(120, 130)가 케이싱(110)에 장착될 때 볼팅결합 되지 않는다. 즉, 덮개(200)에서 상단의 제1스크린(160)을 가압하고, 제1스크린(160)은 제1스크린장착부(120)를 가압하며, 제1스크린장착부(120)는 원형관(220)을 가압하고, 원형관(220)은 하단의 제2스크린장착부(130)를 가압하는데, 이 때 제2스크린장착부(130)는 용수여과장치(100) 내부의 지지턱(250)이나 제2스크린(170)에 끝단에 구비된 캡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용수여과장치(100) 내부의 구성들은 덮개(200)에서 제2스크린(170)까지 가압력으로 밀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별도의 볼팅결합을 수행하지 않아도 지지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스크린장착부(120, 130)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용수여과장치
110 : 케이싱
111 : 오염수유입구
112 : 여과수배출구
120 : 제1스크린장착부
121 : 제1스크린장착공
130 : 제2스크린장착부
131 : 제2스크린장착공
140 : 제1여과공간
141 : 제1배출홀
142 : 제1여과공간차단관
150 : : 제2여과공간
151 : 제2배출홀
160 : 제1스크린
170 : 제2스크린
200 : 덮개
210 : 맨홀
220 : 원형관
221 : 유입통로
222 : 오염수유입공간
230 : 회전동력전달부
231 : 모터
232 : 모터회전축
233 : 모터회전축연결부
234 : 역세본체회전축
235 : 역세본체회전축 고정수단
240 : 역세수단
241 : 역세본체
242a, 242b : 역세수유도부
243a, 243b : 제1역세암
244a, 244b : 제2역세암
245 : 역세수배출챔버
246 : 역세수배출관
247 : 역세수배출구
248 : 역세본체연결부
249 : 역세본체고정수단
250 : 지지턱
260 : 드레인부
270a, 270b : 오링
300 : 가압지지캡
310a : 제1스크린 가압부재
310b : 제2스크린 가압부재

Claims (3)

  1.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배출구가 마련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위쪽에 설치되며, 제1장착공이 형성된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상기 오염수유입구 아래쪽에 설치되고, 제2장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제2스크린장착부;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의 제1장착공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의 제2장착공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오염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여과하는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 사이에 맞닿아 설치되어 있고, 측면 일측에는 상기 오염수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통로가 마련된 원형관;
    상기 원형관 내측에 위치하여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역세암이 포함되며, 상기 역세암이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의 제1장착공,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의 제2장착공 및 상기 원형관의 통공을 통해 상기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과 마주함으로써 이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하단에 연결된 역세수배출챔버로 유도하는 역세수단;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동시에 상기 모터가 장착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를 폐쇄할 때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원형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순차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케이싱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와 맞닿아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는 가압지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를 폐쇄할 때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상기 원형관,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 상기 제2스크린 및 상기 가압지지캡이 순차적으로 가압되며,
    가압 시 상기 가압지지캡이 상기 케이싱의 밑바닥에 위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스크린장착부 및 상기 제2스크린장착부가 상기 케이싱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여과장치.
KR1020160066695A 2016-05-13 2016-05-30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 KR101711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9083 2016-05-13
KR1020160059083 2016-05-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627B1 true KR101711627B1 (ko) 2017-03-14

Family

ID=5846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95A KR101711627B1 (ko) 2016-05-13 2016-05-30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4303A (zh) * 2020-07-23 2020-10-09 东阳市川泽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纺织用纺织机纺织尘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484A (ja) * 1997-02-12 1998-08-18 Hitachi Metals Ltd 精密ろ過装置
KR20010065976A (ko) * 1999-12-30 2001-07-11 조복행 여과장치
JP2008194567A (ja) * 2007-02-08 2008-08-28 Jfe Engineering Kk 濾過装置及びバラスト水中の生物捕捉除去装置
KR20100102881A (ko) * 2009-03-12 2010-09-27 박영택 멀티 여과층을 구비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484A (ja) * 1997-02-12 1998-08-18 Hitachi Metals Ltd 精密ろ過装置
KR20010065976A (ko) * 1999-12-30 2001-07-11 조복행 여과장치
JP2008194567A (ja) * 2007-02-08 2008-08-28 Jfe Engineering Kk 濾過装置及びバラスト水中の生物捕捉除去装置
KR20100102881A (ko) * 2009-03-12 2010-09-27 박영택 멀티 여과층을 구비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4303A (zh) * 2020-07-23 2020-10-09 东阳市川泽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纺织用纺织机纺织尘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4153C (en) Rotary disc filter
US8968558B2 (en) Backwashing fluid filtering system
KR102558184B1 (ko) 소형 노즐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역세척 시스템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
US9440170B2 (en) Liquid filter apparatus
KR101753728B1 (ko) 이중 여과방식의 자동 역세필터시스템
US20130319925A1 (en) Fluid filtration system
KR100916650B1 (ko)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KR100623711B1 (ko) 작동중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CN105126414A (zh) 离心式自清洁滤器
KR101711627B1 (ko)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수여과장치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KR102053710B1 (ko)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KR102566337B1 (ko) 자동역세 미세여과장치
KR101985292B1 (ko) 필터 자동 클리닝 기능을 갖는 정수장치
KR20160049266A (ko) 무동력 역세필터 장치
KR101085259B1 (ko) 폐액처리장치
AU20183341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filter system
CN215161813U (zh) 一种用于水体净化处理的微滤机
CN113135630A (zh) 一种用于水体净化处理的微滤机
CN208802955U (zh) 一种水过滤精度高的反冲洗水过滤器
KR101573323B1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CN209081627U (zh) 一种洗瓶机用供水系统
KR101711626B1 (ko) 스크린 분할형 용수여과장치
KR100718547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CN217724814U (zh) 一种微滤机排污口封闭式过滤装置及环保微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