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69B1 -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69B1
KR101710469B1 KR1020090126075A KR20090126075A KR101710469B1 KR 101710469 B1 KR101710469 B1 KR 101710469B1 KR 1020090126075 A KR1020090126075 A KR 1020090126075A KR 20090126075 A KR20090126075 A KR 20090126075A KR 101710469 B1 KR101710469 B1 KR 10171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ulses
group
radar signal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366A (ko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69B1/ko
Priority to JP2010280568A priority patent/JP5731186B2/ja
Priority to US12/971,303 priority patent/US8548032B2/en
Publication of KR2011006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radar signals or the like, e.g. radar jammin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5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 H04K3/226Selection of non-jammed channel f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8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or WL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전체 그룹을 쇼트-펄스(short-pulse) 타입 또는 롱-펄스(long-pulse) 타입별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별 그룹 수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펄스 폭, 펄스 반복 간격

Description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THE METHOD FOR DETECTING A RADAR SIGNAL}
본 발명은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 폭(Pulse Width) 및 펄스 반복 간격(Pulse Repetition Interval)을 이용하여 레이더 펄스의 유형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통신 시 항상 선이 필요한 유선통신의 불편함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무선통신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 계열의 무선 랜은 그 중 한가지로 근래에 들어 크게 부각되고 있다. IEEE 802.11은 사용되는 주파수와 방법 등에 의해 a/b/g/(n)(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IEEE 802.11a에서는 5GHz의 주파수 대역을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를 이용하여 송수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5GHz의 주파수 대역은 군사용 레이더를 비롯하여, 기상용, 무선항해용, 위성용 레이더 등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어,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Radiocommunications)뿐만 아니라 유럽전기통신표준기구(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및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에서도 이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랜이 레이더 신호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함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주파수선택(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과 '전송출력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레이더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능동주파수 선택(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은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고 그 레이더가 위치한 채널을 회피하여 새로운 채널에서 통신을 재개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IEEE 802.11h에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IEEE 802.11h에는 레이더 신호를 검출한 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원에게 공지하여 채널을 옮기도록 하는 메커니즘만 정의되어 있을 뿐 실제로 어떻게 레이더 신호를 검출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레이더를 검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 펄스를 분석하여 레이더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전체 그룹을 쇼트-펄스(short-pulse) 타입 또는 롱-펄스(long-pulse) 타입별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별 그룹 수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그룹화하는 단계에 의하여 그룹화된 펄스들을,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손실 펄스들을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분석에 기초하여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펄스 폭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는 그룹별 손실 펄스 수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는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불필요한 펄스들 또는 불필요한 그룹들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은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펄스 수집 블락;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수집 블락이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락; 및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분석 블락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정보는 펄스 폭(Pulse Width) 및 펄스 반복 간격(Pulse Repetition Interva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블락은 수집된 상기 복수의 펄스들이 제1기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블락; 상기 판단 블락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유사 펄스별로 그룹 분류하며, 제1 평균화 연산, 제2 평균화 연산, 손실 펄스 수 연산, 및 그룹 수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 블락; 상기 판단 블락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 및 상기 그룹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판단 블락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블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준은 펄스 폭 비교 기준, 펄스 반복 간격 비교 기준, 손실 펄스 수 기준, 그룹별 펄스 수 기준, 및 그룹 수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레이더 펄스의 유형에 따른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필터링하고, 그룹별 펄스 수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블락은 그룹별 펄스 반복 간격의 손실 펄스 수에 기초하여 손실 펄스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블락은 그룹별 펄스 반복 간격의 손실 펄스 수에 기초하여 그룹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펄스들은 쇼트-펄스(short-pulse) 및 롱-펄스(long-pul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분류는 내부적으로 쇼트-펄스는 1개의 그룹으로, 롱-펄스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 및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이 발생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무선 송수신기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 펄스의 펄스 폭 및 펄스 반복 간격을 분석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는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면 해당 채널을 레이더 신호가 없는 채널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 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송수신기(200)는 안테나(300), 프론트 엔드 모듈(20), 프로세서(216) 및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을 포함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프론트 엔드 모듈(20)로 입력되고,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0)은 상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 또는 다른 신호와 믹싱하거나 필터링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6) 및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로 출력한다.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한다. 레이더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상기 프로세서(216)가 검출된 레이더 신호를 방해하지 않는 다른 채널로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기(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송수신기(200)는 안테나(300), 저잡음 증폭기(202), 제1믹서(204), 제2믹서(206), 제1 저역 통과 필터(208), 제2 저역 통과 필터(210), 제1 가변 이득 증폭기(212), 제2 가변 이득 증폭기(214),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7),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8), 프로세서(216), 국부 발진기(400), 위상 변환 모듈(500) 및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을 포함한다.
도 1b를 참고하면, 안테나(300)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202)로 입력되고, 상기 저잡음 증폭기(202)는 상기 RF 신호를 증폭하여 제1믹서(204) 및 제2믹서(206)로 출력한다.
상기 제1믹서(204)는 상기 증폭된 RF 신호와 국부 발진기(400)로부터 출력된 국부 발진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RF 신호를 하향-변환된(down-converted) I(In-phase) 채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주파 신호(예컨대, 기저대역 주파수 또는 중간 주파수 중 하나)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제2믹서(206)는 상기 증폭된 RF 신호와 위상 변환 모듈(500)을 통해 위상 시프트된(phase-shifted) 국부 발진 신호를 믹싱하여, 하향-변환된 Q(Quadrature) 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위상 변환 모듈(500)은 국부 발진기(400)로부터 국부 발진 신호를 입력받아 90도 시프트된 위상을 갖는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향-변환된 Q 채널 신호 역시 저주파신호(예컨대, 기저대역 주파수 또는 중간주파수 중 하나)이다.
제1 저역 통과 필터(LPF:Low Pass Filter)(208) 및 제2 저역 통과 필터(LPF:Low Pass Filter)(210)는 각각 상기 하향-변환된 I 및 Q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필터링된 I 및 Q 채널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가변 이득 증폭기(212) 및 제2 가변 이득 증폭기(214)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가변 이득 증폭기(212) 및 제2 가변 이득 증폭기(214)는 상기 필터링된 I 및 Q 채널 신호를 입력받고, 프로세서(216)로부터 이득 제어 신호(GCS)를 수신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GCS)에 따라 이득을 가변한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7)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8)는 상기 제1 가변 이득 증폭기(212) 및 제2 가변 이득 증폭기(214)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프로세서(216)에 출력한다.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7)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8)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레이더 신호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레이더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제어 신호(CS)를 상기 프로세서(216)에 출력하여 상기 프로세서(216)가 검출된 레이더 신호를 방해하지 않는 다른 채널로 통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b의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레이더 검출 모듈(100)은 펄스 수집 블락(110), 제어 블락(120) 및 분석 블락(13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은 상기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7)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8)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되는 복수의 펄스들은 그 펄스 폭에 따라 쇼트-펄스(short-pulse) 및 롱-펄스(long-pulse) 타입을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수집되는 복수의 펄스들은 도착시간, 펄스 폭 및 펄스 반복 간격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블락(120)은 기준 시간(예컨대, 미리 정해놓은 펄스 수집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따라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펄스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펄스 수집 개수는 미리 정해놓은 수집 펄스의 개수로서 2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시간을 1000usec로 정해놓은 경우, 제어 블락(120)은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100usec동안 펄스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기준 펄스 수집 개수를 10으로 정해놓은 경우, 제어 블락(120)은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10개의 펄스를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펄스들이 수집되면, 분석 블락(130)은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에 수집된 복수의 펄스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레이더 신호 존재 유무를 분석하고, 레이더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어 신호(CS)를 상기 프로세서(216)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정보는 펄스 폭(PW:Pulse Width) 및 펄스 반복 간격(PRI:Pulse Repetiton Interval)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펄스가 도착(수신)할 때마다 펄스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를 만족하면 비로소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에 수집된 복수의 펄스들을 분석함으로써, 펄스 검출 장치나 시스템의 부하가 경감된다.
상기 분석 블락(130)은 판단 블락(131), 연산 블락(132), 필터(133) 및 보상 블락(134)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블락(131)은 연산 블락(132), 필터(133) 및 보상 블락(134)과 함께 레이더 신호 검출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블락(131)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이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예컨대, 상기 펄스 폭 및 펄스 반복 간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상응하는 제1기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레이더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최종 판단된 경우, 제어 신호(CS)를 상기 프로세서(216)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기준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펄스 폭과 레이더 펄스의 유형에 따른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폭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설정된 펄스 폭 비교 기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펄스 반복 간격과 레이더 펄스의 유형에 따른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설정된 펄스 반복 간격 비교 기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손실 펄스의 수에 기초하여 설정된 손실 펄스 수 기준, 그룹별 펄스 수에 기초하여 설정된 그룹별 펄스 수 기준 및 그룹 수에 기초하여 설정된 그룹 수 기준을 포함한다.
상기 연산 블락(132)은 상기 판단 블락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유사 펄스별로 그룹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펄스 폭을 판단하고, 유사한 그룹별로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그룹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쇼트-펄스 그룹은 내부적으로 1개의 그룹으로만 분류될 수 있고, 롱-펄스 그룹은 내부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그룹들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연산 블락(132)는 상기 그룹으로 분류 기준(예컨대, 펄스 폭)을 그룹별로 평균화하는 제1 평균화 연산, 상기 그룹의 펄스들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예컨대, 펄스 반복 간격)를 평균화하는 제2 평균화 연산,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펄스 반복 간격의 손실 펄스 수와 관련한 손실 펄스 수 연산 및 펄스 타입별 그룹 수와 관련한 그룹 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판단 블락(131)은 상기 손실 펄스 수에 기초하여 그룹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손실 펄스 수가 5이고, 기준 값이 4라면,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 값보다 1이 크게 되므로, 펄스 반복 간격 이후 펄스를 다른 그룹으로 간주하고 추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133)는 상기 판단 블락(13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필터링하거나 분류된 상기 그룹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더 펄스의 유형에 따른 레이더 규정 펄스(Regulation Pulse, 예컨대, FCC 또는 ETSI 규정 펄스)의 펄스 폭에 기초한 판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고, 상기 그룹의 그룹별 펄스 수에 기초한 판단에 의해 상기 그룹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보상 블락(134)은 상기 판단 블락(131)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룹의 펄스 반복 간격에 손실 펄스가 존재하는 판단 및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 값 이하라는 판단에 의해 펄스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펄스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실 펄스의 수가 3이고, 기준 값이 4인 경우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 값 이하이므로, 상기 보상 블락(134)은 펄스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도 1의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에 의 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수집된 복수의 펄스들을 레이더 펄스의 모든 유형에 대한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폭의 범위에 기초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S200).
다음으로, 필터링된 펄스들을 펄스 폭의 유사도에 따라서 그룹별로 분류할 수 있다(S300). 이때,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상기 그룹별 펄스 폭을 평균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100)은 그룹별 펄스들을 분석할 수 있다(S400). 이때, 그룹별 펄스 폭에 상응하는 레이더 규정 펄스 유형의 펄스 반복 간격의 범위에 따라 상기 그룹에 포함된 펄스들의 일부를 필터링하거나, 상기 펄스 반복 간격을 평균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그룹별로 펄스 반복 간격의 손실 펄스 수를 분석하여 손실 펄스를 보상할 수 있다(S500).
다음으로, 상기 그룹별 펄스 폭 및 펄스 반복 간격을 최종적으로 평균화하고, 상기 그룹별 펄스 수에 기초하여 그룹들의 일부를 필터링한다(S600).
다음으로, 총 그룹을 타입별(예컨대, 쇼트-펄스 및 롱-펄스)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 검출 유무를 판단한다(S700).
도 4는 도 3의 펄스 수집 단계(S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펄스 수집 블락(110)은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제어 블락(120)은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블락(120)은 기준 시간 동안에만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거나, 기준 펄스 개수가 수집되면 상기 펄스 수집 블락(110)이 더 이상 펄스들을 수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도 3의 펄스 필터링 단계(S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판단 블락(131)은 수집된 펄스들이 레이더 펄스의 모든 유형에 대한 레이더 규정 펄스의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0), 상기 레이더 규정 펄스의 기준 범위를 벗어난 펄스들은 필터(133)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S220). 판단 블락(131)은 S210 단계가 수집된 모든 펄스들에 대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도 5b는 도 3의 펄스 필터링 단계(S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펄스 수집 블락(110)에 수집된 펄스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때, 펄스 P1 및 P2는 각각 펄스 폭이 0.5usec 및 150usec에 해당하여, 레이더 펄스 유형에 대한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폭의 범위(예컨대, 10~100usec)를 벗어난다. 따라서, 상기 펄스 P1 및 P2는 필터(133)에 의해 제거된다.
도 6a는 도 3의 펄스 그룹화 단계(S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판단 블락(131)은 S200에서 필터링을 거친 펄스들에 대하여 펄스 폭이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연산 블락(132)은 상기 펄스 폭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들을 그룹화할 수 있고(S310), 각 그룹별 펄스 폭 값을 평균화 할 수 있다(S320).
도 6b는 도 3의 펄스 그룹화 단계(S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수집된 펄스를 펄스 폭의 유사도를 기초로 그룹화한 것을 나타낸다. 그룹 G1은 펄스 폭이 10usec에 근접한 펄스들을 그룹화한 것이고, 그룹 G2는 펄스 폭이 20usec에 근접한 펄스들을 그룹화하였다. 그룹 G3 내지 G7은 각각 펄스 폭이 50usec, 90usec, 70usec, 100usec 및 60usec에 근접한 펄스들을 그룹화한 것이고, 상기 그룹 G3 내지 G7은 각기 다른 그룹에 해당한다.
도 7은 도 3의 그룹 분석 단계(S4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판단 블락(131)은 평균화된 펄스 폭에 따른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의 범위를 수집하고(S410),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펄스 반복 간격이 상기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의 제1범위(예컨대, 최소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S420), 상기 제1범위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해당 펄스를 그룹으로부터 필터(133)를 통해 제거한다(S430). 상기 제1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판단 블락(131)은 상기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의 제2범위(예컨대, 최대값)에 해당하는지 및/또는 그룹 내의 펄스 반복 간격 간에 유사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이에 해당하는 경우 연산 블락(S132)은 상기 그룹 내 펄스 반복 간격을 평균화할 수 있다(S450).
다음으로, 판단 블락(131)은 S420 단계가 그룹 내 모든 펄스들에 대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55). S4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룹 내 모든 펄스들에 대한 검토가 끝나지 않았다면(즉, S4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NO'이면, S420 단계로 복귀한다.
S4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룹 내 모든 펄스들에 대해 검토되었다면(즉, S45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YES'이면), 판단 블락(131)은 평균화된 상기 펄스 반복 간격이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고(S460), 유효하지 않을 경우 필터(133)에서 해당 그룹을 제거할 수 있다(S470).
다음으로, 판단 블락(131)은 상기 S410 내지 S470이 모든 그룹에서 검토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80).
도 8a는 도 3의 보상 단계(S5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을 참고하면, 연산 블락(132)은 평균화된 상기 펄스 반복 간격을 기초로 손실 펄스 수를 연산할 수 있다(S510). 판단 블락(131)은 상기 손실 펄스 수가 0인지를 판단하고(S520), 0이 아니라면,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값(또는 최대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상기 기준값을 초과한다면, 판단 블락(131)은 해당 펄스를 시작 펄스로 하는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할 수 있다(S550).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보상 블락(S134)은 펄스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펄스를 보상할 수 있다(S540).
다음으로, 판단 블락(131)은 상기 S510 내지 S550이 모든 펄스 및 모든 그룹에서 검토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S570).
도 8b는 도 3의 보상 단계(S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손실 펄스 수를 기초로 펄스를 보상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준값이 2일 경우, 만일 손실 펄스 수가 2라면, 펄스가 손실된 것으로 간주하고, 펄스를 보상한다. 만 일 손실 펄스 수가 3이라면, 상기 기준값 2를 초과하므로,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한다.
도 9는 도 3의 그룹 필터링 단계(S6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연산 블락(S132)은 상기 S500에서 얻은 최종 펄스 폭 및 펄스 반복 간격을 평균화하고, 그룹별 펄스 수를 구할 수 있다(S610).
다음으로, 판단 블락(131)은 그룹별 펄스 수가 비정상적인 수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S620), 그룹별 펄스 수가 비정상적인 그룹은 필터(133)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S630). 다음으로, 판단 블락(131)은 상기 S610 내지 S630이 모든 그룹에서 검토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도 10은 도 3의 레이더 신호 유무 판단 단계(S7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연산 블락(132)은 총 그룹을 타입별(예컨대, 쇼트-펄스 및 롱-펄스)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를 연산할 수 있다(S710). 판단 블락(131)은 타입별 그룹 수가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S720), 기준 범위에 해당한다면, 레이더 신호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b의 레이더 신호 검출 모듈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펄스 수집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도 3의 펄스 필터링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b는 도 3의 펄스 필터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3의 펄스 그룹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b는 도 3의 펄스 그룹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그룹 분석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도 3의 보상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b는 도 3의 보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그룹 필터링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레이더 신호 유무 판단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0)

  1.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펄스들을 각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그룹별로 손실 펄스 수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전체 그룹을 쇼트-펄스(short-pulse) 타입 또는 롱-펄스(long-pulse) 타입으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별 그룹 수가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손실 펄스를 보상하고 상기 손실 펄스 수가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손실 펄스를 시작 펄스로 하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필터링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복수의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펄스 폭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는
    레이더 규정 펄스의 펄스 반복 간격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은
    상기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된 각 그룹을 그룹 필터링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9. 기준 시간 또는 기준 펄스 수집 개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펄스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펄스들 각각을 펄스 필터링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된 펄스들을 펄스 폭에 기초하여 유사 펄스별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펄스들을 각 그룹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그룹별로 손실 펄스 수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각 그룹을 그룹 필터링 기준에 따라 필터링하는 단계;
    그룹 필터링을 거친 각 그룹을 쇼트-펄스(short-pulse) 타입 또는 롱-펄스(long-pulse) 타입으로 분류하고, 타입별 그룹 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입별 그룹 수가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레이더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룹별 펄스들의 손실 펄스를 보상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손실 펄스 수가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손실 펄스를 보상하고 상기 손실 펄스 수가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손실 펄스를 시작 펄스로 하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레이더 신호 검출 방법.
  10.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126075A 2009-12-17 2009-12-17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KR10171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75A KR101710469B1 (ko) 2009-12-17 2009-12-17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JP2010280568A JP5731186B2 (ja) 2009-12-17 2010-12-16 レーダー信号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US12/971,303 US8548032B2 (en) 2009-12-17 2010-12-17 Method of detecting a radar signal, radar detection module, and wireless transceiv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75A KR101710469B1 (ko) 2009-12-17 2009-12-17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66A KR20110069366A (ko) 2011-06-23
KR101710469B1 true KR101710469B1 (ko) 2017-02-28

Family

ID=4415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75A KR101710469B1 (ko) 2009-12-17 2009-12-17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48032B2 (ko)
JP (1) JP5731186B2 (ko)
KR (1) KR101710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541B1 (ko) * 2011-10-26 2013-06-25 국방과학연구소 다채널 디지털 수신 방법 및 장치
GB201200916D0 (en) * 2012-01-19 2012-02-29 Cambium Networks Ltd Improvements to radar detection in a broadb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119079B2 (en) 2012-01-27 2015-08-25 Airties Kablosuz Iletisim San. Ve Dis Tic. A.S. System and method to avoid interference with radar systems
US9157985B1 (en) * 2012-02-08 2015-10-13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ignal agnostic matched filter parameter estimator
US9244156B1 (en) * 2012-02-08 2016-01-2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Orthogonal polarization signal agnostic matched filter
US20130314267A1 (en) * 2012-05-24 2013-11-28 Thomas J. Kenney Multi-band scanning for radar detection in wi-fi systems
FR2998974B1 (fr) * 2012-11-30 2015-01-23 Thales Sa Procede de determination des caracteristiques parmi un ensemble des caracteristiques presumees d un signal radar en presence d interferences
US20140315506A1 (en) * 2013-04-18 2014-10-2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radar sub-channel in communication networks
JP6608127B2 (ja) * 2014-06-30 2019-11-20 日本無線株式会社 干渉抑圧支援装置
FR3031257B1 (fr) 2014-12-31 2018-03-30 Thales Procede de desentrelacement de signaux radars
JP6438321B2 (ja) * 2015-02-23 2018-12-12 古野電気株式会社 レーダ装置
WO2016159852A1 (en) 2015-03-27 2016-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ar detection and/or pro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a spectrum shared with at least one radar system
CN106385324A (zh) * 2015-07-27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雷达信号检测方法和装置
JP6678485B2 (ja) * 2016-03-16 2020-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方法
US10416282B2 (en) * 2016-09-30 2019-09-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adar signal detection
FR3075971B1 (fr) * 2017-12-27 2020-05-29 Avantix Procede de detection de radars et dispositif associe
KR102031928B1 (ko) * 2019-03-25 2019-10-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이진 트리를 이용한 고속 펄스열 추출 장치 및 방법
JP7426717B2 (ja) 2019-09-12 2024-02-02 セルスター工業株式会社 探知機
JP7470955B2 (ja) 2019-09-12 2024-04-19 セルスター工業株式会社 探知機
US10948568B1 (en) 2019-09-12 2021-03-16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adar detection in a wireless L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562A (ja) * 2000-01-18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探知装置
US20040201517A1 (en) 2003-04-08 2004-10-14 Globespanvirata, Inc. Radar detector having a multi-period peridocity validator and method therefor
JP2007171164A (ja) * 2005-12-05 2007-07-05 Marvell World Trade Ltd レーダ検出および動的周波数選択
US20070281638A1 (en) * 2003-09-15 2007-12-06 Broadcom Corporation Radar detection circuit for a wlan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013B2 (en) * 2001-12-06 2004-02-24 Atheros Communications, Inc. Radar detection and dynamic frequency selection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6891496B2 (en) * 2002-05-03 2005-05-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layer radar pulse detection and estimation
US7599671B2 (en) * 2005-08-08 2009-10-06 Marvell World Trade Ltd. Rada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7747222B2 (en) * 2005-12-09 2010-06-29 Marvell World Trade Ltd. Detection and estimation of radio frequency variations
US7623060B1 (en) * 2006-06-29 2009-11-24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radar
US20090160696A1 (en) * 2007-12-21 2009-06-25 Ralink Technology Corporation Configurable radar detection and avoidance system for wireless ofdm tranceiv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562A (ja) * 2000-01-18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探知装置
US20040201517A1 (en) 2003-04-08 2004-10-14 Globespanvirata, Inc. Radar detector having a multi-period peridocity validator and method therefor
US20070281638A1 (en) * 2003-09-15 2007-12-06 Broadcom Corporation Radar detection circuit for a wlan transceiver
JP2007171164A (ja) * 2005-12-05 2007-07-05 Marvell World Trade Ltd レーダ検出および動的周波数選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66A (ko) 2011-06-23
US8548032B2 (en) 2013-10-01
JP5731186B2 (ja) 2015-06-10
JP2011128157A (ja) 2011-06-30
US20110150053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69B1 (ko) 레이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US7697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hannel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98806B2 (en) LNA gain adjustment in an RF receiver to compensate for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20130102267A1 (en) Detection and mitigation of interference in a multimode receiver using variable bandwidth filter
EP1575322B1 (en) Spectrum sharing in the unlicensed band
US8787507B2 (en) Detection and mitigation of interference in a receiver
EP1956719A2 (en) Radio receiving apparatus
KR101512414B1 (ko)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응형 rf 포화 검출
JP2011511585A (ja) 無線受信機における局検出及び探索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54448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ed-interference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device
US8750804B2 (en) Applying spurious interference rejection to detect incumbent users of television channels
US8199765B2 (en) Interference-det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970757B1 (ko) 무선 인지 시스템에서 멀티 유저들을 위한 에너지 검출기반의 협력 채널 센싱 방법
CN102668658B (zh) Fm信号的基于自相关性的频谱感测
CN100521557C (zh) 无线通信系统中的干扰检测
KR101298175B1 (ko) 스펙트럼 센싱 방법 및 장치
KR20100054443A (ko) 방탐 정확도가 향상된 신호 방향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127991A1 (en) Method and circuit for avoiding band interference wave in receiver
Hamid et al. Maximum minimum eigenvalues based spectrum scanner for cognitive radios
CN114025378B (zh) 一种基于跨信道扫描的LoRa信道占用检测方法及系统
JP2004153718A (ja) Agc制御回路及びagc増幅器制御方法
KR101924993B1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CN214675207U (zh) 基于电平控制对脉冲调幅信号进行识别的装置
JP5005297B2 (ja) 無線lan装置
JP4121410B2 (ja) 信号検出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利用可能な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