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39B1 - 폴리올레핀의 스티밍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의 스티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39B1
KR101710339B1 KR1020117017586A KR20117017586A KR101710339B1 KR 101710339 B1 KR101710339 B1 KR 101710339B1 KR 1020117017586 A KR1020117017586 A KR 1020117017586A KR 20117017586 A KR20117017586 A KR 20117017586A KR 101710339 B1 KR101710339 B1 KR 10171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team
flow rate
temperature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1428A (ko
Inventor
조르지오 발라리니
안토니오 밀레오
루카 소프리티 (사망자)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1011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5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2Neutralisation of the polymerisation mass, e.g. killing the catalyst also removal of catalyst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6Treatment of polymer solutions
    • C08F6/10Removal of volatile materials, e.g. solvents

Abstract

중합 프로세스의 하류의 스티밍 용기에서 중합체 입자를 증기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중합체 입자를 증기의 향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이 상기 중합 프로세스에서의 상기 중합체의 생산 속도에 비례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서 나오는 중합체의 온도 (T out ) 와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의 온도 (T in ) 사이의 구배에 비례하도록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방법.

Description

폴리올레핀의 스티밍{STEAMING OF A POLYOLEFIN}
본 발명은 올레핀 중합 프로세스로부터 나오는 중합체 입자의 스티밍, 특히 폴리올레핀과 접촉하는 증기의 공급에 연속 제어를 행함으로써 폴리올레핀을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 중합이 고체 촉매의 존재 하에서 액상 또는 기상으로 행해지는 산업 스케일의 프로세스에서, 지글러-나타 (Ziegler-Natta) 타입, 그리고 더 최근에는 메탈로센 (metallocene) 타입의 높은 활동도 및 선택도를 갖는 촉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는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과 같이 촉매 활성제로서 작용하는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과 같은 전이금속 화합물 및 유기금속 화합물에 기초한 고체 촉매 성분을 포함한다. 다른 올레핀들을 중합하기 위한 여러 반응은 지글러-나타 촉매에 의해 촉진될 수 있고, 따라서 단일중합체 (homopolymer),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획득되는 중합체는 촉매 성분 잔류물, 특정 양의 비반응 단량체, 및 다른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더욱이, 올레핀 중합이 기상에서 행해지는 때, 프로판, 이소부탄, 이소펜탄 또는 다른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의 존재는 주로, 중합 반응으로부터 반응기 내에서 생성되는 열을 방산하는데 기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심지어 저휘발성의 이들 알칸이 폴리올레핀 입자에 폐색 및 용해된 채로 남을 수 있다.
안전, 경제적 그리고 생태학적 이유로 인해, 생성되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비반응 (공)단량체, 유기 화합물, 및 비교적 낮은 휘발성의 알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모두 환경에 부담을 주고, 이들 중 일부는 대기 중의 산소의 존재 하에서 폭발성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환되지 않은 단량체는 중합 반응기 외부에서 비제어 잔류 중합을 연장시킬 위험이 있다. 더욱이, 중합체로부터 비반응 단량체를 제거하면, 단량체를 회수하여 중합 반응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어, 원료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압출 및 펠릿화될 고품질 중합체 과립 (granule) 을 획득하기 위해 중합체로부터 상기 휘발성 화합물의 제거가 또한 필요한데, 그 이유는, 중합체 내로 그러한 화합물의 존재는 하류 프로세스에서 더 높은 안전 조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몇몇의 촉매 화합물은 공기, 물 및 첨가제와 격렬한 반응으로 반응하여, 위험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고, 획득되는 중합 생성물의 냄새 및 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합체 입자로부터 비반응 (공)단량체, 유기 화합물, 불활성 가스, 및 촉매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마무리 단계는 일반적으로 중합 프로세스의 일부이다.
EP 0 808 850 및 EP 1 348 721 에는,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촉진된 중합 반응에 의해 획득되는 올레핀 중합체의 냄새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의 내용에 따르면, 시클로펜타디에닐 골격을 갖는 리간드가 냄새 발생의 근원이다. 상기 리간드는 폴리올레핀을 물과 접촉시켜 폴리올레핀에 포함된 잔류 리간드를 분해시키는 단계, 및 그 다음으로, 불활성 가스, 바람직하게는 질소의 스트림에서 상기 폴리올레핀을 가열함으로써 분해된 리간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US 4,332,933 에는, 촉매 잔류물 및 휘발성 화합물의 함량을 줄이기 위해 중합체 분말을 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105 ~ 140 ℃ 의 온도에서 과열 증기의 스트림을 중합체 분말 위로 흐르게 하는 단계, 및 임의의 증기 응축을 방지하기 위해, 중합체를 상기 온도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동화 조건으로 중합체 입자를 담고 있는 용기의 저부에서 과열 증기의 스트림이 연속적으로 도입된다. 중합체의 온도를 105 ~ 140 ℃ 의 온도까지 올리는데 요구되는 열은 유동화 중합체 베드에 침지되는 적절한 열교환기에 의해 시스템에 공급된다. 또한, 증기 응축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재킷에 의해 용기 벽이 가열된다.
WO 2008/080782 에는, 폴리올레핀이 증기로 처리되는 단계, 및 그 다음으로, 증기처리된 폴리올레핀이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마무리용 프로세스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단계에서, 중합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폴리올레핀은 용기의 상부에 공급되어, 폴리올레핀에 결합된 가스의 스트리핑 (stripping) 을 행하고 촉매 잔류물을 비활성화시키는 포화 증기의 향류 (counter-current flow) 로 처리된다. 증기처리된 폴리올레핀은 용기의 저부로부터 배출되어, 건조 단계가 행해지는 다른 용기로 전달된다. 포화 증기의 폴리올레핀과의 접촉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가열에 기여하고 증기의 응축을 야기하므로, 폴리올레핀 입자에 물의 층이 형성된다. 용기의 저부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이 응축되는 증기의 양을 초과하므로, 용기에 도입되는 증기의 일부가 기상으로 남게 된다.
상기한 종래 프로세스의 주된 단점은, 증기의 유량이 통상적으로 반응기 생성 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합 반응기의 생산성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한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반응기의 운전 조건 (온도, 압력, 단량체 농도, 촉매 활동도) 의 최종 변동은 중합 반응기로부터 배출되는 중합체의 생산 송도를 상당히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중합체 스티밍 동안 증기의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면, 반응기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폐증기가 발생하거나 또는 반응기 생산성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단량체의 불충분한 스트리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스티밍 용기 내부의 폴리올레핀 입자를 처리할 때 증기의 일정한 유량의 이용과 관련된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합 프로세스의 하류의 스티밍 용기에서 중합체 입자를 증기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중합체 입자를 증기의 향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이 상기 중합 프로세스에서의 상기 중합체의 생산 속도에 비례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서 나오는 중합체의 온도 (T out ) 와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의 온도 (T in ) 사이의 구배에 비례하도록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된 이점은, 중합체 스티밍을 행하는데 이용되는 증기의 양이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 양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조절된다는 것이다. 또한, 증기의 양은 중합체가 스티밍 용기를 통과할 때 중합체에 가해지는 가열의 레벨에 의존한다.
합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스티밍 용기에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증기의 양을 최적화하면서, 중합 반응기로부터 나오는 중합체 입자로부터 비반응 단량체 및 중질 탄화수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중합체 입자가 스티머의 상부에서 도입되고 중력에 의해 떨어져서, 스티머의 저부에서 도입되는 증기의 유동과 향류식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증기의 유동과 향류식으로 접촉되는 중합체를 처리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입자는 플러그 유동 (plug flow) 조건 하에서 스티밍 용기를 통해 하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밍 용기에 공급되는 증기의 적절한 양은 상기 용기에 도입되는 중합에의 유량 (Fp) 에 따라, 그리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서의 중합체의 출구 온도 (T out ) 와 입구 온도 (T in ) 사이의 차이 (ΔT 중합체 ) 에 따라 조절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파라미터, 즉 유량 (Fp), 온도 (T out , T in ) 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및 하기 식 (Ⅰ) 에 의해 산출되는 값에 따라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F 증기 = K· Fp ·ΔT 중합체 (Ⅰ)
식 중에서, F 증기 =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 (㎏/h);
Fp = 스티밍 용기의 상부에서 도입되는 중합체의 유량 (㎏/h);
ΔT 중합체 = T out -T in (℃)
K(℃) -1 = 증기 유량의 증배 상수 (multiplicative constant) 이다.
상기 식 (Ⅰ) 의 증배 상수 (K) 는 중합체의 비열 및 스티머에서 유지되는 압력에서 증기의 응축열에 의존하는 파라미터이다. 과열 증기의 경우, K 는 증기의 비열에도 또한 의존한다.
특히, 증배 상수 (K) 의 값은 K * · Ke 의 결과로부터 나오고, 여기서
K * 는 중합체의 비열 및 스티머에서 유지되는 압력에서 증기의 응축열에 의존하고,
Ke = T in 으로부터 T out 까지 중합체를 가열하는 이론적으로 필요한 증기량에 대한 과잉의 증기를 고려하는 파라미터이다.
반응기로부터 나오는 중합체 전부가 스티밍 용기에서 탈기 및 촉매 비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므로,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의 유량 (Fp) 은 실질적으로 중합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중합체의 순간 생성 속도에 해당한다.
반응기 내 운전 조건 (온도, 압력, 단량체, 농도, 촉매 활동도) 의 최종 변동은 중합체 생성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Fp 의 값도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또한,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의 온도 (T in ) 는 중합 반응기 내부 및 탈기 단계 (통상적으로 중합체 스티밍의 상류에서 행해짐) 의 프로세스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처리되는 중합체의 타입에 따라, 입구 온도 (T in ) 는 일반적으로 60 ~ 95 ℃, 바람직하게는 70 ~ 90 ℃ 이다.
중합체의 출구 온도 (T out ) 의 값은 스티밍 용기의 출구에서 직접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식 (Ⅰ) 에서 T out 을 위해, 미리 고정된 기준 온도가 이용될 수 있다. T out 은 일반적으로 80 ~ 120 ℃, 바람직하게는 95 ~ 110 ℃ 이다.
반응기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때,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유리하게는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 (Fs) 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티머 내로의 중합체의 입구 온도 (T in ) 의 증가가 존재하는 때에도 동일한 상황이 발생한다. 실제로, 더 뜨거운 중합체는, 중합체를 가열하고 비반응 단량체를 스트리핑하기 위해 더 적은 양의 증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파라미터 (Fp, ΔT 중합체 ) 의 값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스티머에 도입되는 증기의 유량 (Fs) 을 연속적으로 조절하므로, 불필요한 양의 증기 이용을 피할 수 있다.
반대로, 반응기 생산성을 증가시키거나 입구 온도 (T in ) 를 감소시키는 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변동을 검출하고 스티밍 용기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을 적절히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F 증기 = K· Fp ·ΔT 중합체 의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고급 프로세스 제어기 (advanced process controller, ACP), 및 제어 밸브의 개방에 작용할 수 있는 유량 제어기 (FC) 를 포함하고, 제어 밸브는 스티밍 용기의 저부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유량의 조절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예컨대 N 분의 시간 간격으로 행해지는 것이 유리하고, 여기서 N 은 0.1 ~ 10 분, 바람직하게는 0.3 ~ 5 분이다. 증기 유량의 조절은 매 1분 (N = 1) 으로 미리 설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매 N 분마다 증기의 유량이 상기 식 F 증기 = K· Fp ·ΔT 중합체 에 의해 재산출되고, 상기한 제어 수단이 갱신되는 값에 따라 증기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텐-1 (공)중합체이다.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기 전에 제어 밸브에 공급되는 증기는 120 ~ 150 ℃ 의 저압 증기 (2 ~ 5 ba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밍 용기 내부의 절대 압력은 1 ~ 4 bar, 바람직하게는 1.1 ~ 2.0 bar 일 수 있다.
스티밍 용기 내에서 유지되는 운전 온도에서, 단시간 내에, 비반응 단량체는 스트리핑되고 촉매 잔류물은 증기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중합체를 통한 증기의 큰 확산성 (diffusivity) 및 플러그 유동 조건에 의해, 10 분 ~ 45 분, 바람직하게는 15 분 ~ 35 분의 중합체의 체류 시간에 처리가 유효하게 된다. 증기는 제거되는 기상 유기 화합물이 풍부한 스티머의 상부로부터 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포화 조건에서 증기를 이용한다. 중합체 스티밍 동안, 포화 증기가 중합체 입자와 접촉하여 일부 응축되고, 따라서 중합체 입자에 물 층을 형성한다. 그러한 물 층은 중합체 입자가 서로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특히 점착성 (sticky) 중합체가 연화 (softening) 및 응집화 (agglomeration) 될 필요없이 효과적으로 스티밍될 수 있다.
물론, 스티밍 용기로부터 배출된 후, 중합체 입자는 중합체로부터 증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 단계를 거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건조 단계로부터 나오는 건조된 폴리올레핀은 수분, 휘발성 화합물 및 촉매 잔류물이 실질적으로 없고, 이후 가공 작업에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고 실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 중합 단계로부터 나오는 중합체 입자는 라인 (1) 을 통해 스티머 (2) 의 상부로 운반되고, 중합체는 스티머 (2) 의 저부에서 라인 (3) 을 통해 도입되는 증기의 유동과 향류식으로 접촉된다.
증기의 공급은 스티머 (2) 의 저부에 배치된 2 개의 개별 라인 (3a, 3b) 에 의해 분배된다.
중합체 입자는 플러그 유동 조건 하에서 스티머 (2) 를 통해 하강하고, 중합체 입자의 하향 유동을 조성하기 위해, 스티머 (2) 는 부드러운 회전을 제공하는 교반기 (4) 를 구비한다.
증기는 제거되는 기상 유기 화합물이 풍부한 스티머의 상부로부터 라인 (5) 을 통해 인출되는 한편, 탈기 중합체는 스티머 (2) 의 저부로부터 라인 (6) 을 통해 인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중합 단계로부터 배출되는 중합체의 유량 (Fp), 스티머 (2) 에 도입되는 중합체의 입구 온도 (T in ), 및 스티머 (2) 의 저부를 나올 때의 중합체의 출구 온도 (T out ) 를 각각 측정 또는 산출하는데 유용한 검출 수단 (7, 8, 9) 을 포함한다.
따라서, Fp , T in T out 의 값은 고급 프로세스 제어기 (APC) (10) 로 전달되고, 이 고급 프로세스 제어기는 식: F 증기 = K· Fp ·( T out - T in ) 에 따라 증기 유량의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ACP (10) 으로부터의 출력 값은 조절 밸브 (12) 의 개방에 작용할 수 있는 유량 제어기 (FC) (11) 로 전달되고, 따라서 라인 (3a, 3b) 을 통해 스티머 (2) 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 (Fs) 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유량 제어기 (11) 로부터 나오는 입력 값에 따라 조절된다.
하기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을 보여준다.
예 1 ( 비교예 )
- 중합 조건 -
루프 반응기에서 액체 모노머의 슬러리 중합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이 제조된다.
중합 촉매로서 ,
- WO 00/63261 의 예 10 (이 예에 따르면, 내부 도너 화합물로서 디에틸 2,3-디이소프로필-숙신산염이 이용됨) 에 기재된 절차로 준비된 티타늄 고체 촉매 성분;
- 촉매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 (TEAL);
- 외부 도너로서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을 포함하는 지글러-나타 촉매가 이용된다.
분자량 조절제로서 H2 를 이용하여 루프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이 중합된다. 이 반응기에는 어떠한 공단량체도 공급되지 않는다 루프 반응기에 보충 (make-up) 프로필렌 및 수소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프로필렌의 중합은 70 ℃ 의 온도 및 34 bar 의 절대압력에서 행해진다.
루프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폴리프로필렌 슬러리는 재킷 파이프 내로 강제로 유입되어, 85 ℃ 의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되고, 그 결과 액상이 증발한다. 계속적으로, 프로필렌 및 증발되는 단량체의 획득되는 스트림이 플래시 탱크에 도입되고, 그곳에서 증발되는 프로필렌의 일부가 중합체 입자로부터 분리된다.
- 스티밍 -
라인 (1) 을 통해 폴리프로필렌 30000 ㎏/h 가 스티머의 상부 (도 1 의 도면부호 2) 로 전달된다. 스티머 (2) 의 입구에서 중합체 입자의 평균 온도는 약 70 ℃ 이다.
라인 (3a, 3b) 을 통해 스티머 (2) 의 저부에서, 증기의 총 유량 2200 ㎏/h 로 포화 증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포화 증기의 총량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수행함이 없이, 시간에 따라 변함없이 유지된다.
중합체 입자는 중력에 의해 스티머 (2) 를 따라 아래로 떨어지고, 따라서 포화 증기의 상향 유동과 향류식으로 접촉한다. 운전 조건은 스티머에서 106 ℃ 의 온도 및 1.2 bar 의 절대압력을 유지하도록 된다. 스티머에서의 중합체의 평균 체류 시간은 20 분이다.
기상 탄화수소, 주로 프로필렌 및 프로판이 풍부한 증기는 라인 (5) 을 통해 스티머 (2) 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증기처리된 폴리프로필렌은 라인 (6) 을 통해 스티머 (2) 의 저부로부터 인출되어 건조 단계로 운반된다.
이 예에 따르면, 스티머 (2) 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 (2200 ㎏/h) 은, 중합 단계에서의 중합체 생성 속도의 최종 변화 및 스티머 (2) 를 따른 중합체 온도 (T in T out ) 의 변화를 고려함이 없이, 시간에 따라 변함없이 유지된다. 1주 후, 증기의 소비는 369600 ㎏ 이었고, 평균 중합체 생산성 (30 t/h) 에 대해, 증기의 양은 처리된 폴리올레핀 1000 ㎏ 당 증기 73 ㎏ 에 해당하였다.
예 2
예 1 에 주어진 중합 조건에 따라 준비된 폴리프로필렌 입자를,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따라 스티밍 처리한다.
중합 조건은 30000 ㎏/h 의 평균 생산 속도를 갖도록 되지만, 중합체 생산성의 순간 값은 이 평균값 주위에서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
도 1 의 스티머 (2) 내로의 중합체의 초기 입구 온도는 70 ℃ 이지만, 이 온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중합 반응기로부터 중합체가 배출되는 온도에 따라 약간 변한다.
라인 (3a, 3b) 을 통해 스티머 (2) 의 저부에 포화 증기가 공급된다. 중합체의 출구 온도는 106 ℃ 이고, 이는 도 1 의 라인 (3a, 3b) 을 통해 스티머 (2) 의 저부에서 도입되는 포화 증기의 온도이다.
스티머에 공급되는 증기 유량의 초기 값은 2200 ㎏/h 이지만, 계속적으로 증기 유량은 다음 식에 따라 매 1분마다 조절된다.
증기 유량 (㎏/h) = K· Fp (㎏/h) ·ΔT 중합체
K = K * · Ke
여기서, K * 는 중합체의 비열 및 증기의 응축열에 의존하고,
K * = {(Cp)중합체 / 증기의 응축열} = 1.08 x 10-3,
Ke = 1.5(Tin 으로부터 Tout 까지 중합체를 가열하는 이론적으로 필요한 증기량에 대한 과잉의 증기).
따라서, K = 1.5 × {(Cp)중합체 / 증기의 응축열} = 1.5 × 1.08 × 10-3
여기서, (Cp)중합체 = 폴리프로필렌의 평균 비열 = 0.58 kcal/㎏℃
1.2 bar 에서의 증기의 응축열 = 536 Kcal/㎏.
1주 후, 증기의 소비는 293933 ㎏ 이었다. 평균 중합체 생산성 (30 t/h) 에 대해, 증기의 소비는 처리된 폴리올레핀 1000 ㎏ 당 증기 58 ㎏ 이었다.
비교예 1 에 대해, 1주에 증기 양이 20.5 중량% 절감된다.

Claims (11)

  1. 중합 프로세스의 하류의 스티밍 용기에서 중합체 입자를 증기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중합체 입자를 증기의 향류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이 상기 중합 프로세스에서의 상기 중합체의 생산 속도에 비례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티밍 용기에서 나오는 중합체의 온도 (T out ) 와 상기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중합체의 온도 (T in ) 사이의 구배에 비례하도록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중합체 생산 속도, 상기 출구 온도 (Tout ) 및 상기 입구 온도 (Tin ) 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단계, 및
    - 제어 수단에 의해 식 F증기 = K·Fp·ΔT중합체 에 의해 산출되는 값에 따라 상기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에서,
    F증기 = 스티밍 용기에 들어가는 증기의 유량 (㎏/h);
    Fp = 스티밍 용기의 상부에서 도입되는 중합체의 유량 (㎏/h);
    ΔT중합체 = Tout -Tin (℃)
    K(℃)-1 = 증기 유량의 증배 상수 (multiplicative constant) 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F증기 의 상기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제어기 (APC), 및 상기 유량 (F증기 ) 을 조절하는 제어 밸브의 개방에 작용할 수 있는 유량 제어기 (FC)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배 상수 (K) 는 상기 온도 (T out ) 에서 증기의 응축열에 의존하고 또한 중합체의 비열에 의존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매 N 분마다 상기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고, N 은 0.1 ~ 10 분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온도 (T out ) 는 미리 고정된 기준 온도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입자는 플러그 유동 조건 하에서 상기 스티밍 용기를 통해 하강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온도 (T in ) 는 60 ~ 95 ℃ 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온도 (T out ) 는 90 ~ 115 ℃ 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는 포화 조건 하에 있는 방법.
  11. 삭제
KR1020117017586A 2008-12-30 2009-12-23 폴리올레핀의 스티밍 KR101710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73120.0 2008-12-30
EP08173120 2008-12-30
US20494209P 2009-01-13 2009-01-13
US61/204,942 2009-01-13
PCT/EP2009/067884 WO2010076285A1 (en) 2008-12-30 2009-12-23 Steaming of a polyolef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428A KR20110111428A (ko) 2011-10-11
KR101710339B1 true KR101710339B1 (ko) 2017-02-27

Family

ID=420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586A KR101710339B1 (ko) 2008-12-30 2009-12-23 폴리올레핀의 스티밍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44099B2 (ko)
EP (1) EP2370478B1 (ko)
JP (1) JP2012514087A (ko)
KR (1) KR101710339B1 (ko)
CN (1) CN102272171B (ko)
BR (1) BRPI0923892B1 (ko)
RU (1) RU2526392C2 (ko)
WO (1) WO2010076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0141B1 (en) * 2011-11-14 2015-09-16 Borealis AG Removing volatile compounds from polymer granules by vapour distillation
US9382348B2 (en) * 2013-11-13 2016-07-05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olymerization
JP7141390B2 (ja) 2016-09-16 2022-09-22 ダブリュー・アール・グレー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ーン ポリマー粒子の効率的なパージ法
WO2024025742A1 (en) 2022-07-25 2024-02-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urged polymer,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843A1 (en) 1992-01-13 1993-07-22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ing hydrocarbons from polymer slurries
US20040152936A1 (en) 2003-01-24 2004-08-05 Pettigrew Malcolm G. Heat recovery from the effluent stream of an oxygenate-to-olefin process
WO2008080782A1 (en) 2006-12-29 2008-07-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the polyolefin finish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0591C3 (de) * 1975-05-09 1980-11-06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Behandlung von wäßrigen Homo- und Copolymerisatdispersionen, deren Polymeranteil mindestens 50 Gew.-°/o polymerisier-
IT1121993B (it) 1979-07-02 1986-04-23 Montedison Spa Procedimento migliorato per l'essiccamento di materiali incoerenti
JP3724012B2 (ja) 1995-08-04 2005-12-07 チッソ株式会社 残留モノマー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残留モノマー除去方法
TW404956B (en) 1996-05-21 2000-09-11 Mitsui Petrochemical Ind A method of diminishing the source of odor from polyolefin obtained by use of metallocene compound
ATE335014T1 (de) 1999-04-15 2006-08-15 Basell Poliolefine Srl Bestandteile und katalysatoren für die olefinpolymerisation
SG106681A1 (en) 2002-03-29 2004-10-29 Mitsui Chemicals Inc Olefinic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3843A1 (en) 1992-01-13 1993-07-22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removing hydrocarbons from polymer slurries
US20040152936A1 (en) 2003-01-24 2004-08-05 Pettigrew Malcolm G. Heat recovery from the effluent stream of an oxygenate-to-olefin process
WO2008080782A1 (en) 2006-12-29 2008-07-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the polyolefin fin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0478B1 (en) 2015-01-14
KR20110111428A (ko) 2011-10-11
WO2010076285A1 (en) 2010-07-08
US20120016098A1 (en) 2012-01-19
RU2011132031A (ru) 2013-02-10
JP2012514087A (ja) 2012-06-21
BRPI0923892A2 (pt) 2018-07-31
RU2526392C2 (ru) 2014-08-20
EP2370478A1 (en) 2011-10-05
CN102272171A (zh) 2011-12-07
BRPI0923892B1 (pt) 2019-10-08
CN102272171B (zh) 2013-09-25
US8344099B2 (en)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5905B1 (en) Process for polyolefin finishing
KR101213520B1 (ko) 탄화수소함유 공급 스트림의 분리 프로세스
KR101710339B1 (ko) 폴리올레핀의 스티밍
US834997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mers
JP4767415B2 (ja) 重合調節方法
EP209504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a polymer
US8802795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olefin polymer with improved wax deposition
CN112601766B (zh) 制备基于丙烯的共聚物的方法
SG185820A1 (en) Interlock and process
KR20220108115A (ko) 열로 중합 촉매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올레핀의 용액 중 중합 방법
JP2006131778A (ja) ポリオレフィン粉体の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