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21B1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21B1
KR101710321B1 KR1020150102579A KR20150102579A KR101710321B1 KR 101710321 B1 KR101710321 B1 KR 101710321B1 KR 1020150102579 A KR1020150102579 A KR 1020150102579A KR 20150102579 A KR20150102579 A KR 20150102579A KR 101710321 B1 KR101710321 B1 KR 101710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external device
vehicle
user
data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653A (ko
Inventor
이한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60W254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은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음성을 출력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운송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차량 내에 설치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가 사용자가 탑승하거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안내 음성이나, 음악이나, 비디오나, 지도 정보와 같은 미디어들을 출력하는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다.
미디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음향 형태, 시각적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 또는 하차하는 경우 외부기기에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를 포함한다.
외부기기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디폴트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오디오 장치는 외부기기에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은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및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지 판단하고,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및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지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한 경우,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탑승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 및 도어의 문열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은 현재 날짜를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되, 통신부는 측정된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 장치는 측정된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날짜는 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신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하는 단계는 외부기기에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량에 미리 저장된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및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및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지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한 경우,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탑승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도어의 문열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현재 날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수신하는 단계는 측정된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출력하는 단계는 측정된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날짜는 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의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차량이 외부기기에 미리 저장한 음성을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 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앞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뒷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차량이 포함하는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는 음성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 차륜(12, 13)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16), 차량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게 차량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1), 사용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5)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후드(hood),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루프 패널(roof panel), 도어(door), 트렁크 리드(trunk lid), 쿼터 패널(quarter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12, 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16)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1)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가 도어(14) 즉 본체(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리어 윈도우(rear window)가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미러(15)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의 사용자가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앞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뒷좌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은 본체(10)의 내부에 탑승자가 앉는 시트(S1~S4), 기어박스(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S1~S4)는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 시트(S1), 운전석 시트(S1)와 함께 본체(10) 내 전방에 위치하는 보조석(S2) 시트, 본체(10) 내 후방에 위치하는 좌측 시트(S3)와 우측 시트(S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장치(31)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22)들이 기어박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3), 시계, 오디오 장치(32) 및 네비게이션 장치(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33)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3)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3)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33)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3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31)가 설치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31)는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네비게이션 장치(31)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기어박스(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32)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2)의 조작패널에 형성된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2)는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34, 36, 61, 62)를 통해 음향을 송출할 수 있다. 스피커는 운전석 시트(S1)의 좌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34)와, 보조석 시트(S2)의 우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35)와, 뒷좌석에 마련되는 스피커(61, 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 및 차량의 조향장치와 연결되고 림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는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 내 후방에 위치하는 좌측 시트(S3)와 우측 시트(S4) 사이에는 뒷좌석 사용자가 팔을 거치할 수 있는 암 레스트(50)가 마련될 수 있다. 암 레스트(50)에는 뒷좌석 사용자를 위한 입력장치(51)들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51)들은 다양한 버튼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입력장치(51)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뒷좌석 사용자는 입력장치(51)를 이용하여 본체(10) 내의 오디오 장치(32, 도 2 참고)를 조작할 수 있다. 특히, 뒷자리의 좌측 시트(S3)에 앉은 사용자는 뒷자리의 좌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61)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뒷자리의 우측 시트(S4)에 앉은 사용자는 뒷자리의 우측 도어에 마련되는 스피커(62)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뒷좌석 사용자는 입력장치(51)를 이용하여 뒷좌석을 위해 마련되는 공조장치(60)의 풍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뒷좌석 사용자는 입력장치(51)를 사용하여 본체(10) 내의 다양한 편의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앞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22)와 뒷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51)는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오디오장치(32), 네비게이션 장치(31), 또는 계기판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기어박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HUD(Head Up Display) 장치 또는 백미러 등과 접속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앞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22)와 뒷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51)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22)와 뒷좌석에 위치하는 입력장치(51)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동작하거나,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00)은 휴대용 단말(200), 서버와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하, 휴대용 단말(200)을 외부기기의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차량이 포함하는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차량(1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서버와 휴대용 단말(200)과 같은 다른 통신 주체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차량(100) 내 각종 전자 장치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200)에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휴대용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를 포함하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를 포함한다.
음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하는 경우, "어서 오십시오"와 같은 인사말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하는 경우, "안녕히 가십시오"와 같은 인사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는 요일 별로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부(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2),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오디오 장치(32)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의 시동을 거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탑승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탑승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의 운전석 측 도어(14)를 여는 경우, 도어(14)에 마련된 감지 센서가 문열림을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수신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탑승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탑승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의 시동을 끄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관련된 기술은 공지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이후, 휴대용 단말(20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가 없다는 무선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거나, 아무런 무선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경우, 차량(100) 내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디폴트(default)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오디오 장치(32)를 제어한다.
디폴트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가 없는 경우, 차량(100)에서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이고, 요일 별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월요일에 대응하는 인사말을 휴대용 단말(200)에 녹음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스피커(34, 36, 61, 62)는 월요일의 디폴트 음성 데이터로서 저장된 연예인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폴트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200) 또는 차량(100)에 마련된 별도의 구매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선택 및 구입할 수 있다.
차량(100)이 포함하는 저장부는 전술한 제어부(120)가 포함하는 메모리(122)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00)은 현재 시간 또는 날짜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뿐만 아니라 현재 시간 또는 날짜를 측정하여 시간대 또는 날짜(요일을 포함함)에 따라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오디오 장치(3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인 경우,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탑승 및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시간이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오후 7시인 경우), 사용자가 탑승하였더라도,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탑승 및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지 아니하고, 스피커(34, 36, 61, 62)에선 아무런 음성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휴대용 단말(200)에 오후 5시부터 8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시간이 오후 7시인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탑승 및 오후 5시부터 8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오후 5시부터 8시 이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요일이 월요일인 경우,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하차 및 월요일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휴대용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가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34, 36, 61, 62)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된 통신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부(110)는 차량(100) 내부의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부(112), 휴대용 단말(200)과 같은 외부기기 또는 외부 기지국 등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16), 내부 통신부(112)와 무선 통신부(116)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부(112)는 내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 내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제어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로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신호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내부 통신망과 내부 통신부(112)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통신 신호로 변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신호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하고, 제어 신호는 통신부(110) 내부에서 송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와 내부 통신부(112)와 통신 제어부(11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예를 들어, 캔 통신의 경우 통신 신호는 한 쌍의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한 쌍의 통신 라인 사이의 전위 차이에 따라 통신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에 비하여 내부 통신부(112)와 통신 제어부(11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단일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단일 라인의 전위에 따라 제어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처럼,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는 통신 제어부(111)가 출력한 제어 신호를 내부 통신망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내부 통신망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를 통신 제어부(111)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복조한다.
이와 같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통신 인터페이스(1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내부 통신망이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점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내부 통신망이 비어있으면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내부 신호 변화 모듈(114)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통신 인터페이스(11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제어부(120)가 직접 내부 통신부(112)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6)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외부기기 또는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6)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6)가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802. 11x)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규약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지원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무선 통신부(116)가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6)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 및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모듈(117)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 외부기기(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200) 또는 서버)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 외부기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무선 통신 제어모듈(117)의 제어에 따라 차량(100)의 탑승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외부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는 무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부(116)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로 변조한다.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는 무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와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특히, 무선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비하여 제어 신호는 디지털 신호인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무선 신호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수(예를 들어, 5G 통신 방식의 경우 약 28GHz)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낸다. 이를 위하여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은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함으로써 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 또는 외부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하는(establish) 경우,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19)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신호 변환 모듈(118)과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제어 모듈(117)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제어부(120)가 직접 무선 통신부(116)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1)는 내부 통신부(112) 및 무선 통신부(116)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통신부(112)를 통하여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내부 통신부(112) 및 무선 통신부(1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내부 통신부(112)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111)는 해당 데이터를 외부기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11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목표 장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목적 장치로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제어부(111)는 내부 통신부(112)와 무선 통신부(116)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통신 제어부(111)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11)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가 직접 통신부(120)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는 외부기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새로 저장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외부기기의 일 예로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는 음성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스크린(210)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을 휴대용 단말(200)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200)은 사용자가 차량 인사말을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패스워드를 요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210)은 새로운 차량 인사말을 등록하기 위한 아이콘과 이미 저장된 하나 이상의 차량 인사말을 나열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리스트에 표시된 어느 한 차량 인사말을 선택함으로써 휴대용 단말(200)은 이미 저장된 차량 인사말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차량 인사말을 등록하기 위한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도 8을 참조하면 인사말을 녹음하기 위한 화면이 휴대용 단말(200)의 터치 스크린(2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데이터의 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녹음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인사말을 녹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음된 인사말은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휴대용 단말(200)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녹음된 인사말이 차량(100)의 탑승에 대응하는 인사말인지 하차에 대응하는 인사말인지 선택할 수도 있다. 녹음된 인사말이 탑승에 대응하는지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지 여부 또한 휴대용 단말(20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차량(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차량(100)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설명되는 차량(100)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바, 참조부호 또한 동일하게 기재된다.
우선,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 또는 하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차량(100)의 시동을 걸거나 끄는 경우,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차량(100)의 운전석 측 도어(14)를 여는 경우, 도어(14)에 마련된 감지 센서가 문열림을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감지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관련된 기술은 공지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차량(100)은 현재 시간, 날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 뿐만 아니라 현재 시간 또는 날짜를 측정하여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 또는 날짜인지 판단할 수 있다(S1200).
다만, 현재 시간 또는 날짜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대 또는 날짜인지 판단하는 단계(S120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인 오전 5시부터 10시 이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날짜가 미리 설정된 날짜인 2022년 7월 1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현재 요일이 미리 설정된 요일인 월요일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20)는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또는 날짜가 미리 설정된 날짜)인 경우(S1200의 "예") 무선 통신부(116)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200))에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통신부(116)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0).
이어서, 제어부(120)는 무선 통신부(116)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S1400),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장치(32)에 전송하고, 오디오 장치(32)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를 통해 출력한다(S1500).
이어서, 제어부(120)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전송한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없다는 무선 신호를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아무런 무선 신호를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경우(S1400의 "아니오"), 차량(100) 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디폴트(default) 음성 데이터를 오디오 장치(32)에 전송하고, 오디오 장치(32)는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34, 36, 61, 62)를 통해 출력한다(S1600).
한편, 상술한 차량(100)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1: 프로세서 122: 메모리
32: 오디오 장치
34, 34, 61, 62: 스피커
200: 휴대용 단말

Claims (20)

  1.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및
    디폴트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를 통해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시간대 중 어느 한 시간대인 경우,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외부기기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상기 외부기기에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한 경우,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탑승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문열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현재 날짜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는 요일을 포함하는 차량.
  11.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현재 시간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시간대 중 어느 한 시간대인 경우,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상기 외부기기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에 상기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디폴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휴대용 단말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한 경우, 음성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 또는 하차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도어의 문열림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탑승 또는 하차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현재 날짜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 시간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재 날짜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는 요일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102579A 2015-07-20 2015-07-2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10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79A KR101710321B1 (ko) 2015-07-20 2015-07-2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79A KR101710321B1 (ko) 2015-07-20 2015-07-2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53A KR20170010653A (ko) 2017-02-01
KR101710321B1 true KR101710321B1 (ko) 2017-02-27

Family

ID=5810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79A KR101710321B1 (ko) 2015-07-20 2015-07-20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989B1 (ko) 2018-09-11 2023-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송수신 장치
KR102077033B1 (ko) * 2019-11-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5B1 (ko) * 2019-11-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Y1 (ko) 2002-09-25 2003-01-14 박정우 자동차 음성안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579B1 (ko) * 2013-10-24 2020-05-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장치의 휴대용 단말 기기 연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1Y1 (ko) 2002-09-25 2003-01-14 박정우 자동차 음성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53A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7749B (zh) 车辆、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726447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10665090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ES2688184T3 (es) Sistemas de identificación de conductor y de recogida de datos para su uso con dispositivos de comunicación móvil en vehículos
CN106364430B (zh) 车辆控制装置及其车辆控制方法
EP2974364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 audio beam orientation based on device location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10117053B2 (en) Vehicle,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1032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9860710B2 (en) Symmetrical reference personal device location tracking
CN106488359A (zh) 车辆音频系统的定制
JP2018039503A (ja) 車載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164824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CN104729518A (zh) 移动终端和控制移动终端的方法
KR101487474B1 (ko)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
CN110830885B (zh) 用于车辆音频源输入声道的系统和方法
KR20190074564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US10771557B2 (en) Vehicle, server, telematics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CN110892739A (zh) 用于车辆中的一键式wifi连接的装置和方法
KR102302870B1 (ko) 차량의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7046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3741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22251A1 (en) Terminal and server communicating therewith
KR10250447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