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461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461A
KR20170070461A KR1020150177995A KR20150177995A KR20170070461A KR 20170070461 A KR20170070461 A KR 20170070461A KR 1020150177995 A KR1020150177995 A KR 1020150177995A KR 20150177995 A KR20150177995 A KR 20150177995A KR 20170070461 A KR20170070461 A KR 2017007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terminal
unit
main control
warn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759B1 (ko
Inventor
진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7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18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the general 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포브(FOB) 등의 차량키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핸드핼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키 대신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휴대용 단말에 장착된 차량키 모듈을 조작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개폐 또는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키 또는 휴대용 단말을 조작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운전자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어야 하는데, 배터리의 사용 시간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사용 패턴에 따라 상이하며, 짧게는 수 시간에서 길게는 몇 일까지 편차가 존재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기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차량은 개폐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되, 메인 제어부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는 도어가 개방된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통신부는 휴대용 단말로부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메인 제어부는 서칭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키의 실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는 서칭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차량키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차량키에 서칭 신호를 송신하는 LF(Low Frequency) 통신부, 및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되, 메인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는 차량이 차고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문구 또는 도형으로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음향으로서 출력하는 사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휴대용 단말과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되, 메인 제어부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충전부의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알림부는 충전부와 휴대용 단말이 제 1 기준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제 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메인 제어부는 충전부와 휴대용 단말이 제 1 기준 시간 내에 연결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충전부와 휴대용 단말이 제 1 기준 시간 내에 연결되고,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충전부의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알림부는 충전부와 휴대용 단말이 제 2 기준 시간 내에 분리된 경우,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시동 오프를 수신하고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배터리 잔량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개폐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되, 메인 제어부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는 도어가 닫힌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는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메인 제어부는 서칭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키의 실외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부는 서칭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차량키가 실외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 또는 도어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도어 언락 신호 또는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고자 하는 운전자에게 휴대용 단말의 방전 위험을 알릴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알림부가 휴대용 단말의 방전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운전자는 차량키 소지의 필요성을 직감할 수 있고, 추후 휴대용 단말의 방전에 대비하여 충전의 필요성을 직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도이다.
도 3은 차량키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3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알림부가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 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가 차량에 하차 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 및 차량(10)을 제어하는 차량키(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도이며, 도 3은 차량키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72(도 2 참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1), 운전자에게 차량(1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 72)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또한, 본체(1) 외부에는 도어(71, 72)를 개폐할 수 있는 외부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에는 LF(Low Frequency)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LF 안테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면 유리(31)는 본체(1)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석(21) 쪽의 대시보드(19)에는 스티어링 휠(12)이 마련되며, 대시보드(19)의 영역 중 스티어링 휠(12)이 마련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는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13b)와 차량(10)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13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차량(10)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2)에는 클러스터 입력부(14)가 마련되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될 정보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운전석(21) 쪽의 대시보드(19)에는 스티어링 휠(12)이 마련되며, 스티어링 휠(12)과 인접한 영역에 차량키(일 예로서, 포브(FOB)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키 홈(15)에 차량키가 삽입되면 차량키와 차량(10)이 연결될 수 있다. 삽입된 차량키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차량(10)의 시동이 켜지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동이 꺼진다.
또한, 대시보드(19)에는 차량(10)의 시동을 온/오프 제어하는 시동 버튼(16)이 마련될 수 있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키와 차량(10) 간의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시동 버튼(16) 가압에 의해 차량(10)의 시동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서틀(jog shuttle)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도어(71, 72)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부(7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운드부(73)는 후술할 메인 제어부(240; 도 4 참조)의 제어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운드부(73)는 스피커 또는 앰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에이브이엔 장치(90)를 포함한다.
에이브이엔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AVN, 90)는 차량(10) 내 오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로서, 차량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상파 라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라디오를 재생하는 라디오 서비스, CD(Compact Disk) 등을 재생하는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을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에이브이엔 장치(90)가 이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는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에이브이엔 장치(90)는 단말 연결부(P)를 포함한다.
단말 연결부(P)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AUX 포트, 시가잭(Cigar Jack) 등을 장착하여 휴대용 단말(300)과 유선(즉,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휴대용 단말(30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단말 연결부(P)는 복수개 마련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3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를 포함한다.
에이브이엔 장치(90)는 단말 연결부(P)를 통해 휴대용 단말(300)과 연결되어 미러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연결된 휴대용 단말(30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에이브이엔 장치(90)가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는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에이브이엔 장치(90)가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 연결부(P)는 후술할 충전부(220; 도 4)로서의 기능을 한다.
미러링 서비스는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다양한 디스플레이(13a, 91 등)에 정보를 출력하거나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로, 이하 미러링 서비스는 애플 카플레이(Apple CarPlay),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 노키아 미러링크(Nokia Mirrorlin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미러링 서비스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에이브이엔 장치(90)는 화면을 표시하는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 및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수신하는 에이브이엔 입력부(92)를 포함한다.
"조작"은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 상에 출력된 어떠한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항목을 실행시키기 위해 에이브이엔 입력부(92)의 버튼을 가압하거나(press), 터치(touch)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는 대시보드(19)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3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라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에이브이엔 장치(90)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화면(이하, "AVN 화면"이라 한다)을 출력한다. 또한,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는 휴대용 단말(300)이 접속되면 사용자에게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러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 화면은 휴대용 단말(300)이 표시하는 화면을 그대로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미러링 화면은 차량 통신망을 통해 전술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에 전달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차량(10)에 장착된 다양한 디스플레이부(211; 도 4 참조)에 표시될 수도 있다.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에이브이엔 입력부(92)는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의 전면에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에이브이엔 장치(90)는 GPS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PS모듈은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현재 위치 정보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키(100)는 차량(10)과 유선 또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연결된다.
일 예로, 차량키(100)는 차량(10)의 키 홈(15)에 삽입되거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도어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포브키(FOB key)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키(100)에는 차량(10) 도어(71, 72)의 도어락을 잠금시키는 하드키(101)와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하드키(102), 트렁크의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하드키(103), 및 차량(10)이 경적을 울리도록 명령하는 하드키(104)가 마련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키, 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키(100)는 차량(10)과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차량(10)과의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차량키(100)는 LF(Low Frequency) 수신부 및 RF(Radio Frequnecy)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LF 수신부를 통해 차량(10)으로부터 송신된 차량키(100) 서칭 신호를 수신하고, RF 송신부를 통해 서칭 응답 신호를 차량(10)에 송신함으로써 차량(100)과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차량키(100)의 LF 수신부는 서칭 신호를 수신하는 LF안테나, 서칭 신호의 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서칭 신호의 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키(100)의 LF 수신부는 120kHz 이상 135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차량키(100)의 RF 송신부는 인증 정보를 서칭 응답 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변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서칭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RF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키(100)의 RF 송신부는 LF수신부에 비해 고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로서, 예를 들어, 315MHz 이상 433MHz 이하의 고주파수 대역(Ultra-High Frequency; UHF)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차량(10)은 차량키(100)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칭 응답 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차량키(100)를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 및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을 측정하고,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으로부터 차량키(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차량(10)은 측정한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키(100)가 실내 또는 실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차량(10)의 세부 구정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210), 연결된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220), LF통신망 및 RF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30), 및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알림부(210)는 메인 제어부(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음을 알리는 문구, 알림음 등 운전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출력물을 포함한다.
알림부(210)는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시각적인 문구 또는 도형으로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11)는 전술한 차량(10)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 또는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일 수 있고, 이외에도 차량(10)에 마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1)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z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11)는 입체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삼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1)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1)가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1)는 입력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패널이나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장치는 초음파나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알림부(210)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음향으로서 출력하는 사운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부(212)는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사운드부(73)를 포함한다.
사운드부(212)는 스피커 또는 앰프로 구현될 수 있고, 차량(10)의 도어(71, 71)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체(1)의 외부 등 차량(10)의 다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부(212)는 운전자가 차량(10)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음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외부(예를 들어, 도어(71, 72) 또는 트렁크의 바깥면)에 구비된 버저(buzz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충전부(220)는 차량(10)과 연결된 휴대용 단말(30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충전부(220)는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300)을 충전하는 유선 충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용 단말(300)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한다.
유선 충전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 와 관련하여 전술한 차량의 단말 연결부(P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결부(P1)가 시가잭을 장착한 경우, 시가잭에 연결된 시가 케이블은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를 통해 제공된 전원을 휴대폰의 충전시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를 포함하는 어뎁터를 포함하고, 시가 케이블의 일측은 휴대용 단말(3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시가잭에 삽입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5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무선 충전 장치로 구현된 충전부(220)의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방식,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및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RF/Micro Wave Radiation) 방식을 포함하고,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차량(10)은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 또는 연결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연결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연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운전자에게 제 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연결 감지부는 무선 충전 장치 근방에 존재하는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휴대용 단말(300)의 근접을 판단하는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및 직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가 차량(10)의 대시보드(19) 상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무선 충전 장치의 장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230)는 차량키(100)를 탐색하기 위해 LF 송신 가능 범위 이내에서 서칭 신호를 송신하는 LF통신부, 차량키(100)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232), 및 휴대용 단말(3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233)을 포함한다.
LF 통신부(231)부는 서칭 신호의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서칭 신호의 변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서칭 신호를 송신하는 LF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LF 통신부는 120kHz 이상 135kHz 이하의 저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RF 통신부는 차량키(100)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안테나, 서칭 응답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변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통신부는 LF통신부에 비해 고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모듈로서, 예를 들어, 315MHz 이상 433MHz 이하의 고주파수 대역(Ultra-High Frequency; UHF)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키(100)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칭 응답 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차량키(100)를 승인(즉, 인증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 및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을 측정하고,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으로부터 차량키(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0)은 측정한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키(100)가 실내 또는 실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33)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차량키(100)가 아니더라도 전술한 도어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차량(10)을 제어하는 차량키(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기기가 더 있을 수 있다.
차량키(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기기로서, 휴대성과 이동성을 갖는 핸드헬드 기반의 휴대용 단말(300)이 있을 수 있고, 휴대용 단말(300)에는 차량키(100)로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바, 휴대용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판매될 수도 있고 판매 이후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300)이 차량(10)에 대한 차량키(100)로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233)는 휴대용 단말(300)과 차량(10)이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치고, 휴대용 단말(300)의 인증이 승인된 경우,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차량(10)의 도어(71, 72)의 도어락을 잠금시키는 유무선 신호와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유무선 신호, 트렁크의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유무선 신호, 및 차량(10)이 경적을 울리도록 명령하는 유무선 신호 등 차량(10)을 제어하는 다양한 유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233)는 휴대용 단말(300)에 배터리 잔량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고,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자기공명영상장치(100)의 단자(예를 들어, USB단자, AUX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유선 이더넷을 포함하고,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망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802. 11x)을 지원한다. 또한, 무선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지원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근거리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지원한다.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이하, 차량(10)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가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데이터 통신부(233)가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71, 72)의 도어락을 해제시키고, 도어(71, 72)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어(71, 72)의 개방 여부의 판단은 운전자가 도어(71, 72)의 차량(10) 외부 손잡이를 터치했는지 여부 또는 운전자가 도어(71, 72)의 차량(10) 외부 손잡이를 당김 조작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도어(71, 72)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한다.
배터리 잔량의 판단은 차량(10)의 데이터 통신부(233)가 휴대용 단말(300)에 배터리 잔량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10)의 메인 제어부(240)가 수신한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초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4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알림부(210)가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차량(10)에 탑승하고,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방전될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한다.
더 나아가,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10)이 차고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이 차고지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차고지는 운전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는 휴대용 단말(300) 외 차량(10) 제어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차량키(100)가 있을 수 있는 장소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운전자는 차고지의 보조 차량키(100)를 이용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는 바, 제 1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불필요할 수 있다.
차량(10)이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에이브인 장치(90)의 GPS모듈이 생성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의 실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키(100)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즉, 운전자가 차량키(100)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즉,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240)는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 이하인 경우, 차량키(100)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음을 알리는 문구, 알림음 등 운전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출력물을 포함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알림부(210)가 배터리의 방전을 알리는 메시지(즉,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의 연결을 유도하는 제 2 경고 메시지 및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충전부(220)의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부(220)의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하는 것은 충전부(220)가 연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연결 감지부를 턴온 또는 웨이크업(wake-up)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 1 기준 시간은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의 연결 대기 시간이다.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연결 감지부가 휴대용 단말(300)의 연결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결 감지부가 NFC통신 모듈로서 구현된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연결 감지부가 휴대용 단말(300)의 NFC태그를 읽거나 NFC신호를 수신하면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림부(210)가 제 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휴대용 단말(300)의 충전을 가이드하는 문구, 알림음 등 운전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출력물을 포함한다. 제 1 경고 메시지와 제 2 경고 메시지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한 이후, 연결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연결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충전부(220)의 연결 감지부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거나,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 휴대용 단말(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다시 판단하고,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여전히 기준값 이하인 경우, 충전부(220)의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킨다.
충전부(220)의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하는 것은 충전부(220)의 연결 모니터링과 마찬가지로, 충전부(220)가 연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연결 감지부를 다시 턴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제 2 기준 시간은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의 분리를 판단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다.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연결 감지부가 휴대용 단말(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결 감지부가 NFC통신 모듈로서 구현된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연결 감지부가 휴대용 단말(300)의 NFC태그를 읽을 수 없거나 NFC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면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제 2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휴대용 단말(300)과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다시 판단하고,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여전히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 3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휴대용 단말(300)의 연결을 가이드하는 문구, 알림음 등 운전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출력물들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경고 메시지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한 이후,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비활성화하는 것은 충전부(220)의 연결 감지부를 턴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경고 메시지는 차량(10)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11) 또는 사운드부(212)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10)에 탑승한 운전자가 제 1 내지 제 3 경고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가이드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차량(10)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가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데이터 통신부(233)가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71, 72)의 도어락을 잠금하고, 도어(71, 72)가 개방 상태에서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어(71, 72)의 닫힘 여부의 판단은 운전자가 도어(71, 72)의 차량(10) 내부 손잡이를 터치했는지 여부 또는 운전자가 도어(71, 72)의 차량(10) 내부 손잡이를 당김 조작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도어(71, 72)가 개방 상태에서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한다.
배터리 잔량의 판단은 차량(10)의 데이터 통신부(233)가 휴대용 단말(300)에 배터리 잔량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10)의 메인 제어부(240)가 수신한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초해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4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알림부(210)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즉, 운전자가 차량(10)에서 하차하고,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방전될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한다.
더 나아가,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10)이 차고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10)이 차고지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차고지는 운전자에 의해 사전 설정된 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는 휴대용 단말(300) 외 차량(10) 제어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차량키(100)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도 운전자는 차고지의 보조 차량키(100)를 이용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는 바, 경고 메시지의 출력이 불필요할 수 있다.
차량(10)이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에이브인 장치(90)의 GPS모듈이 생성한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운전자로부터 차량(10)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와 실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실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40)는 운전자가 시동 오프 신호를 입력하고, 차량키(100)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즉, 운전자가 차량키(100)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알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동 오프 신호의 수신 여부는 차량(10)의 시동 버튼(16)의 오프 제어 여부 또는 차량키(100) 또는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시동 오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의 시동을 오프시킨다.
실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즉,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240)는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간이 기준 응답 시간 이하인 경우, 차량키(100)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40)는 도어(71, 72)가 개방 상태에서 닫힌 것으로 판단되고, 데이터 통신부(223)가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실외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외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운전자가 차량키(100)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외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즉, 서칭 신호의 송신 시점부터 서칭 응답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음을 알리는 문구, 알림음 등 운전자에게 감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모든 출력물을 포함한다.
한편, 차량 하차 시의 경고 메시지는 차량(10) 외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11) 또는 사운드부(212)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10)에서 하차한 운전자가 경고 메시지를 즉각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에서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가이드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차량(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300)의 제어 블록도이다.
휴대용 단말(3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를 포함하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300)은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10),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20),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30),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배터리(310)는 휴대용 단말(3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300) 사용 패턴에 따라 상이하며, 짧게는 수 시간에서 길게는 몇 일까지 편차가 존재한다. 배터리(310)가 방전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300)의 메인 제어부(240)는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입력부(32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300)에 관한 각종 제어 명령 및 차량(10)에 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드키, 조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드키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가압함으로써, 휴대용 단말(300)의 화면에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드키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가압함으로써, 차량(10)의 도어락을 해제하거나, 시동과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331)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331)는 휴대용 단말(300)과 차량(10)이 일련의 인증절차를 거치고, 휴대용 단말(300)의 인증이 승인된 경우, 사용자의 입력부(320)를 이용한 명령 입력에 따라 차량(10)의 도어(71, 72)의 도어락을 잠금시키는 유무선 신호와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유무선 신호, 트렁크의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유무선 신호, 및 차량(10)이 경적을 울리도록 명령하는 유무선 신호 등 차량(10)을 제어하는 다양한 유무선 신호를 차량(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331)는 차량(10)으로부터 배터리 잔량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10)에 배터리 잔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고,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망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이미 기술된 바, 이하 생략한다.
제어부(340)는 휴대용 단말(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40)는 휴대용 단말(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300)은 차량키(10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10)은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방전의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알림부(21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11) 또는 사운드부(212)가 운전자가 차량 탑승 시 시청각적으로 제 1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출력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알림부가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알림부(210)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를 포함하는 경우, 알림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3a) 상에서 제 1 경고 메시지를 문자로서 출력할 수 있고, 제 1 경고 메시지는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알림부(210)가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를 포함하는 경우, 알림부(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브이엔 디스플레이(91) 상에서 제 1 경고 메시지를 문자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알림부(210)는 다양한 차량(10) 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 경고 메시지를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알림부(210)는 배터리의 방전을 알리는 메시지(즉,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10)의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의 연결을 유도하는 제 2 경고 메시지 및 제 3 경고 메시지와, 기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알림부(210)는 전술한 제 1 경고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문자 또는 도형으로 제 2 및 제 3 경고 메시지와, 기타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210)는 차량(10)에 장착된 사운드부(212)를 포함하여, 사운드부(212)는 제 1 내지 제 3 경고 메시지와, 기타 경고 메시지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차량(1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 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가 차량에 하차 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차량, 차량키(100), 및 휴대용 단말(300)의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차량(10), 차량키(100), 및 휴대용 단말(300)의 구성요소들에 대응하는 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10)에 탑승하는 경우, 우선 차량(10)의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차고지 외에 위치하는 경우(S1110의 "아니오"),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120).
메인 제어부(240)는 데이터 통신부(233)가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S1120의 "예"), 도어(71, 72)의 도어락을 해제시키고, 도어(71, 72)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0).
이어서, 메인 제어부(240)는 도어(71, 72)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S1130의 "예), 차량키(100)가 차량(10)의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키(100)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1140의 "아니오"),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S1150),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S1160).
알림부(21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S1160의 "예"),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1170).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메인 제어부(240)는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충전부(220)의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한다(S118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S1190, S1200의 "아니오"). 알림부(21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1190의 "아니오", S1200의 "예"), 제 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210).
한편, 제 1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연결되거나(S1190의 "예"),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S1200의 "예", S1210), 메인 제어부(240)는 휴대용 단말(300)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과 기준값을 다시 비교한다(S1220).
이어서, 메인 제어부(240)는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여전히 기준값 이하인 경우(S1220의 "예"),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부(220)의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킨다(S123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되었는지 판단한다(S1240, S1250의 "아니오").
메인 제어부(240)는 제 2 기준 시간 동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되거나(S1240의 "예"), 충전부(220)와 휴대용 단말(300)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경우(S1240의 "아니오", S1250의 "예"), 휴대용 단말(300)과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을 다시 판단한다(S1260).
그리고, 알림부(210)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S1260의 "예"),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1270).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10)에서 하차하는 경우, 우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1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이 차고지 외에 위치하는 경우(S1310의 "아니오"), 시동 오프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320).
이어서, 메인 제어부(240)는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한 경우(S1320의 "예"), 차량(10)의 시동을 오프시키고, 차량키(100)가 차량(10)의 실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40).
그리고,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키(100)가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S1330의 "예"), 시동 오프 상태에서 대기한다(S1330의 "예").
그러나,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키(100)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S1330의 "아니오"), 도어(71, 72)가 개방 상태에서 닫힌 것을 판단한다(S1340).
도어(71, 72)가 개방 상태에서 닫힌 것이 판단되고(S1340의 "예"), 데이터 통신부(223)가 휴대용 단말(30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S1350의 "예"), 메인 제어부(240)는 차량(10)의 실외의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60). 실외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키(1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360의 "아니오"), 메인 제어부(240)는 휴대용 단말(300)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다(S1370).
이어서, 휴대용 단말(300)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S1370의 "예"), 알림부(210)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1380).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
210: 알림부
211: 디스플레이부, 212: 사운드부
220: 충전부
230: 통신부
231: LF통신부, 232: RF통신부, 233: 데이터 통신부
240: 메인 제어부

Claims (20)

  1.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 언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서칭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키의 실내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서칭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키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키에 서칭 신호를 송신하는 LF(Low Frequency) 통신부, 및 상기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차고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차량이 차고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문구 또는 도형으로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 1 경고 메시지를 음향으로서 출력하는 사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부의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 동안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제 2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연결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 내에 연결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 1 기준 시간 내에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부의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는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충전 중단 모니터링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충전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 2 기준 시간 내에 분리된 경우, 제 3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15.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락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시동 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차량.
  17. 제 15 항에 있어서,
    개폐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키로부터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서칭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키의 실외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서칭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차량키가 실외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
  19. 휴대용 단말로부터 도어 언락 신호 또는 도어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어 언락 신호 또는 상기 도어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 1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177995A 2015-12-14 2015-12-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25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95A KR102254759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95A KR102254759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61A true KR20170070461A (ko) 2017-06-22
KR102254759B1 KR102254759B1 (ko) 2021-05-20

Family

ID=5928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95A KR102254759B1 (ko) 2015-12-14 2015-12-14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242A (ko) * 2018-07-12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fc 디지털 키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9040A (ko) * 2022-03-25 2023-10-05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41A (ko) * 2008-07-30 2010-02-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을 위한 차량 키 검색 장치
JP2011108166A (ja) * 2009-11-20 2011-06-02 Tokai Rika Co Ltd セキュリティアラームシステムの吹鳴管理装置
KR20130126193A (ko) * 2012-05-11 2013-1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74598B2 (ja) * 2010-02-16 2014-04-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KR101558782B1 (ko) * 2014-06-16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무선 충전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41A (ko) * 2008-07-30 2010-02-0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을 위한 차량 키 검색 장치
JP2011108166A (ja) * 2009-11-20 2011-06-02 Tokai Rika Co Ltd セキュリティアラームシステムの吹鳴管理装置
JP5474598B2 (ja) * 2010-02-16 2014-04-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KR20130126193A (ko) * 2012-05-11 2013-1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8782B1 (ko) * 2014-06-16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무선 충전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242A (ko) * 2018-07-12 202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Nfc 디지털 키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9040A (ko) * 2022-03-25 2023-10-05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의 정보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759B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07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665090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CN108307294B (zh) 用于确定移动设备相对于车厢的位置的系统和方法
JP6372688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KR102303909B1 (ko) 휴대 단말기 및 차량용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81264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 free access to a vehicle
KR20190003194A (ko)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13532B1 (ko) 통신 모듈,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300965A1 (en)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170160786A1 (en) Smart key, control method of the smart key, and vehicle including the smart key
US201400733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unning car application connected to mobile device
US10803686B2 (en) Vehicle and vehicle system
KR102352560B1 (ko)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KR102491371B1 (ko) 원격 조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9377764B2 (en) Plug lock device
US97544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structions about manual release
KR102597217B1 (ko) 원격 조작 장치,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10116913A (ko) 서비스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102254759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9153352B (zh) 汽车智能提醒方法及装置
KR101714467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21108B1 (ko) 차량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US20190118773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erver
KR20170015009A (ko) 모바일 기기 일체형 스마트 키 지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