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173B1 -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 Google Patents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173B1
KR101710173B1 KR1020150001051A KR20150001051A KR101710173B1 KR 101710173 B1 KR101710173 B1 KR 101710173B1 KR 1020150001051 A KR1020150001051 A KR 1020150001051A KR 20150001051 A KR20150001051 A KR 20150001051A KR 101710173 B1 KR101710173 B1 KR 10171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lubricating oil
press
bearing
hydrostatic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618A (ko
Inventor
정철재
박상신
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도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도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도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5000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1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88Lubr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agnetic Bearings And Hydrostatic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윤활유를 이용하는 정압베어링으로 크랭크샤프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고속으로 운전할수록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하여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돕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편심부(110)가 형성된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110)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넥팅로드(200)를 통해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는 외부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정압베어링(400)에 의해 지지되어, 기본적으로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도와 양질의 제품을 고속으로 성형할 뿐 아니라, 정압베어링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크랭크샤프트의 내부 유로를 통함으로써 윤활배관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High speed press with hydrostatic bearing}
본 발명은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윤활유를 이용하는 정압베어링으로 크랭크샤프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고속으로 운전할수록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하여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돕기 위한 장치로써, 기본적으로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도와 양질의 제품을 고속으로 성형할 뿐 아니라, 정압베어링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크랭크샤프트의 내부 유로를 통함으로써 윤활배관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란 재료에 힘을 가해서 소성변형시켜 굽힘·전단·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로, 재료로는 강판·동판(銅板)·황동판·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섬유 등도 사용되며,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정확한 치수·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스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프레스(1)는, 프레임(11)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2)와,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중단에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중심선 'a'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중심선 'b'를 갖는 편심부(12a)와, 상기 편심부(12a)에 연결되어 일정거리 승강 하는 커넥팅로드(14)와, 상기 커넥팅로드(14)의 하측에 체결되어 피가공물을 프레스 성형하는 슬라이더(1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프레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하여 플라이휠이 회전하면, 프레임(11) 상부에 베어링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크랭크샤프트(12)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크랭크샤프트(12)에 형성된 편심부(12a)는 그 중심선 b가 상기 크랭크축(12)의 중심선 a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편심되어 있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2)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14)를 일정높이로 반복하여 승강 시켜 주게된다.
이와 같이, 크랭크샤프트(12)의 회전을 통해 커넥팅로드(14)에 연결된 슬라이드(13)가 승강하면서 프레스 성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스에 있어서 최근 대형화 및 고속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추세이다.
프레스의 대형화에 따라 높은 중량의 보다 넓은 슬라이더를 기울어짐 없이 수평하게 안정적인 상태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커넥팅로드를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크랭크샤프트의 길이를 기존에 비해 길게 설계해야만 할 뿐 아니라, 특히 프레스의 고속화에 따라 기존에 비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를 원활하게 지지하는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스에는 크랭크샤프트를 지지하기 위해 단순한 미끄럼 베어링이 적용되고 있어, 프레스의 운전속도가 빨라질수록 비교적 긴 길이의 크랭크샤프트를 다수의 위치에서 중심선을 모두 획일적으로 맞추어 정확하게 지지하기 어려워지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속 운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프레스에 대한 대형화 및 고속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운전되는 프레스에 크랭크샤프트를 정압베어링으로 지지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도와 양질의 제품을 고속으로 성형할 뿐 아니라, 정압베어링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크랭크샤프트의 내부 유로를 통함으로써 윤활배관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편심부가 형성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넥팅로드를 통해 슬라이더가 승강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외부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정압베어링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기밀을 유지하여 감싸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베어링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몸체 및 상기 패드는 다수로 분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윤활유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반경방향으로 배출유로가 연통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이 방사상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는 윤활유의 토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노즐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추가적으로, 상기 노즐의 출구 측에는 오목한 확장 공간의 포켓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는 역편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역편심부에는 보조 커넥팅로드를 통해 중량체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고속으로 운전되는 프레스에 크랭크샤프트를 정압베어링으로 지지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슬라이더의 안정적인 승강을 도와 양질의 제품을 고속으로 성형할 뿐 아니라, 정압베어링에 공급되는 윤활유가 크랭크샤프트의 내부 유로를 통함으로써 윤활배관이 간단하여 조립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레스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 및 정압베어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 및 정압베어링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의 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 및 정압베어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 및 정압베어링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편심부(110)가 형성된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110)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넥팅로드(200)를 통해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는 외부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정압베어링(4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편심부(110)가 형성된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110)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넥팅로드(200)를 통해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1)에 적용되는 것이다.
통상 프레스(1)에 있어서 커넥팅로드(200)의 개수는 프레스(1)의 용량에 따라 하나 이상 마련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대용량으로써 하나의 프레스(1)에 4개의 커넥팅로드(200)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크랭크샤프트(100)에는 도 7과 같이 4개의 편심부(110)가 형성되며, 이러한 편심부(110)에 커넥팅로드(200)가 도 4와 같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로드(200)의 하단에는 슬라이더(300)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그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제품의 성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편심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역편심부(115)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역편심부(115)에는 도 4와 같이 보조 커넥팅로드(510)가 각각 연결되며, 이 보조 커넥팅로드(510)의 상단에는 중량체(500)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그 상측에 위치하는 중량체(500)도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중량체(500)는 상기 슬라이더(300)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프레스(1)의 고속 운전 시 상하 방향 힘의 밸런스를 맞추어 주게 되어 진동 발생을 억제하며 고속 운전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크랭크샤프트(100)에 2개의 보조 커넥팅로드(510)를 통해 중량체(500)가 연결되도록 도 7과 같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에 2개의 역편심부(115)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1)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200)를 통해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는 외부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정압베어링(4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정압베어링(400)은 프레스(1)의 운전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프레스(1) 몸체에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정압베어링(400)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에 있어서 편심부(110) 및 역편심부(115)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다수개 마련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크랭크샤프트(100)에 6개의 정압베어링(400)이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이러한 정압베어링(400)의 개수는 프레스(1)의 용량에 따라 증감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정압베어링(400)은 크랭크샤프트(100)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 압력의 힘으로 뜨게 하여,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고속 회전 시 기본적으로 회전 마찰을 적게 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회전 중심을 항상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압베어링(400)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기밀을 유지하여 감싸는 패드(410)와, 상기 패드(410)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베어링 몸체(420)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여기에서, 상기 정압베어링(400)의 패드(410)는 원통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테두리는 굴곡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하지만, 테두리의 안쪽은 도 8과 같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있어 그 사이 공간에 윤활유가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윤활유는 상기 정압베어링(400)의 외부로부터 별도의 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드(410)의 외측에는 대략 블록 형상의 베어링 몸체(420)가 마련되며, 이 베어링 몸체(420)가 프레스(1)에 고정됨으로써,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00)가 상기 정압베어링(400)을 통해 프레스(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드(410) 및 상기 베어링 몸체(420)가 각각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이하 '일체형 정압베어링'이라 한다)되어도 좋고, 상기 베어링 몸체(420) 및 상기 패드(410)는 다수로 분할 형성(이하 '분할형 정압베어링'이라 한다)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하나의 크랭크샤프트(100)에 마련된 6개의 정압베어링(400) 중,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정압베어링(400)은 일체형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4개의 정압베어링(400)은 분할형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패드(410) 및 상기 베어링 몸체(420)를 각각 일체형 정압베어링(400)으로 적용할 경우 이음부가 없어 윤활유에 대한 기밀성이 높아지며, 상기 패드(410) 및 상기 베어링 몸체(420)를 각각 분할형 정압베어링(400)으로 적용할 경우 조립성이 높아진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할형 정압베어링(400)은 조립성 및 기밀성을 감안하여 통상 2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정압베어링(400)에 외부로부터 윤활유를 공급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한다.
상기 정압베어링(400)에는 미도시한 별도의 펌프 등을 통해 윤활유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하나의 크랭크샤프트(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기 정압베어링(400)에 외부로부터 별도의 배관을 설치하여 정압베어링(400) 각각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윤활유의 배관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장치의 조립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프레스(1)의 기타 동적인 구성요소와 윤활유 배관 간에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내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통해 다수의 정압베어링(400)에 별도의 윤활유 배관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윤활유 공급유로(1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120)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반경방향으로 배출유로(130)가 연통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공급유로(120)는 대략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축중심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미도시한 펌프 및 배관을 통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끝단으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에는 도 7과 같이 도면상 좌측에 윤활유의 공급을 위해 공급유로(120)가 개방되어 있으며, 도면상 우측에는 마지막 정압베어링(400)이 마련되는 위치에서 상기 공급유로(120)가 폐쇄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된 프레스(1)의 몸체로부터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00)로 윤활유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중공의 커플러(150)를 도 5 및 도 6과 같이 추가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커플러(150)는 고정체로부터 회전체로 기밀을 유지하여 윤활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유로(130)는 도 7과 같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00)를 지지하는 정압베어링(400)이 설치되는 다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 8과 같이 그 안쪽으로는 상기 공급유로(120)와 연통 형성되며, 그 바깥쪽으로는 상기 정압베어링(400)의 패드(410) 내주면과 연통 형성된다.
따라서, 윤활유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내부로 공급유로(120)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유로(130)를 통해 정압베어링(400)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압베어링(400)에 공급되는 윤활유를 별도의 외부 배관을 통하지 않고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내부로 설계함으로써, 윤활유의 배관이 간단해져 장치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프레스(1)의 기타 동적인 구성요소와 윤활유 배관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또한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130)는 2개 이상이 방사상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배출유로(130)가 9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개의 배출유로(130)를 방사상 등간격으로 형성할 경우, 상기 배출유로(130)를 통해 윤활유가 패드(410)와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 사이로 안정적이고 고르게 공급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고속 회전시 그 중심이 항상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효과는 회전속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130)의 말단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유의 토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노즐(13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노즐(131)은 패드(410)의 내주면과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 사이로 공급되는 윤활유의 토출 압력을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윤활유의 토출 압력은 정압베어링(400)의 지지 강성 및 중심축 정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윤활유의 온도에 따른 점성에 따라 적절하게 노즐(131) 직경을 설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131)의 출구 측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확장 공간의 포켓(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켓(132)은 상기 배출유로(130)의 말단에 소정의 확장된 공간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 또한 정압베어링(400)의 지지 강성 및 중심축 정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는 우선 구동모터에 의하여 플라이휠이 회전하면, 다수의 정압베어링(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크랭크샤프트(10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편심부(110)에 커넥팅로드(200)를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300)가 승강하면서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크랭크샤프트(100)의 역편심부(115)에 보조 커넥팅로드(510)를 통해 연결된 중량체(500)는 상기 슬라이더(300)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면서 밸런스를 맞추어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의 펌프를 통해 윤활유가 커플러(150)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00)의 공급유로(120)로 공급되며, 이후 윤활유는 배출유로(130)를 통해 크랭크샤프트(100)의 외주면과 정압베어링(400)의 패드(410) 내주면 사이공간으로 공급된다.
특히, 상기 배출유로(130)에는 노즐(131) 및 포켓(132)이 형성되어 정압베어링(400)의 지지 강성 및 중심축 정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크랭크샤프트(100)가 보다 고속으로 회전할수록 중심축은 중앙에 위치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는 슬라이더(300)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중량체(500)를 마련했을 뿐 아니라, 특히 크랭크샤프트(100)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을 이용하는 정압베어링(400)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100)가 고속으로 회전할수록 회전 중심이 정중앙에 위치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윤활유의 배관을 크랭크샤프트(100)의 내부로 설계하고 노즐(131) 및 포켓(132)을 부가하여 정압베어링(400)의 특성 또한 조절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프레스 100 : 크랭크샤프트
110 : 편심부 115 : 역편심부
120 : 공급유로 130 : 배출유로
131 : 노즐 132 : 포켓
150 : 커플러 200 : 커넥팅로드
300 : 슬라이더 400 : 정압베어링
410 : 패드 420 : 베어링 몸체
500 : 중량체 510 : 보조 커넥팅로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다수의 편심부가 형성된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심부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커넥팅로드를 통해 슬라이더가 승강하면서 가공을 실시하는 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외부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는 정압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정압베어링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면과 소정 간극을 두고 기밀을 유지하여 감싸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베어링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 몸체 및 상기 패드는 다수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는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윤활유 공급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반경방향으로 배출유로가 연통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는 2개 이상이 방사상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말단에는 윤활유의 토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출구 측에는 오목한 확장 공간의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에는 역편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역편심부에는 보조 커넥팅로드를 통해 중량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KR1020150001051A 2015-01-06 2015-01-06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KR10171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1A KR101710173B1 (ko) 2015-01-06 2015-01-06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051A KR101710173B1 (ko) 2015-01-06 2015-01-06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18A KR20160084618A (ko) 2016-07-14
KR101710173B1 true KR101710173B1 (ko) 2017-02-27

Family

ID=5649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51A KR101710173B1 (ko) 2015-01-06 2015-01-06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3610A (zh) * 2016-08-30 2017-01-04 无锡飞达纺织印染机械有限公司 一种冲压机床传动机构
CN108274815B (zh) * 2018-04-11 2024-01-19 珠海比昂电子设备有限公司 防压安全脱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635A (ja) * 2004-03-29 2005-10-13 Jiichi Muraki オリフィス絞り型の静圧気体軸受
JP6010204B1 (ja) * 2015-10-26 2016-10-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パワー素子の予測寿命を学習する機械学習装置及び方法並びに該機械学習装置を備えた寿命予測装置及びモー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04Y2 (ja) * 1987-11-17 1994-03-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軸用給油装置
JPH10118800A (ja) * 1996-10-14 1998-05-12 Yamada Dobby Co Ltd プレス機のクランクシャフト支持装置
JP5868709B2 (ja) * 2012-01-10 2016-02-2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静圧気体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635A (ja) * 2004-03-29 2005-10-13 Jiichi Muraki オリフィス絞り型の静圧気体軸受
JP6010204B1 (ja) * 2015-10-26 2016-10-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パワー素子の予測寿命を学習する機械学習装置及び方法並びに該機械学習装置を備えた寿命予測装置及びモ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618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0875A (en) Positive displacement machine with elastic suspension
US9284976B2 (en) Countershaft
US11396877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xial guide support
EP2453144B1 (en) Bearing device, bearing unit, and rotary machine
KR101710173B1 (ko) 정압베어링을 구비한 고속프레스
CN104976123A (zh) 多缸旋转式压缩机
EA035325B1 (ru) Гибридный газодинамический радиальный подшипник
US4634297A (en) Means for sealing of a bearing space formed in hydrostatic and aerostatic bearings adapted to receive a fluid
EP0570492A1 (en) SELF-POSITIONING DEFLECTION ADJUSTING ROLLER.
CN104948408A (zh) 一种变量轴向柱塞泵
KR101523435B1 (ko) 로터리 압축기
WO2013105147A1 (ja) ベーン型圧縮機
CN113669361B (zh) 一种主动控制径向间隙的可倾瓦轴承
KR880000592B1 (ko) 추력(推力)베어링장치
US20220065236A1 (en) Hydraulic radial piston device
US5735165A (en) Bodymaker drive system
JP6779309B2 (ja) 缶ボディ製造機用のキャリッジアセンブリのガイド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及び缶ボディ製造機
US3814554A (en) Support means for rotating elements
KR100221860B1 (ko) 크랭크 프레스의 커넥팅 로드용 베어링장치
JP6779349B1 (ja) 滑りスラスト軸受装置および滑りスラスト軸受装置を用いたロータリワークヘッド
US2111658A (en) Variable delivery pump or motor
CN107559194B (zh) 泵体组件、流体机械及换热设备
CN210335678U (zh) 一种超精加工定位装置
CN215058581U (zh) 一种静压油缸
RU2262622C2 (ru)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ий подшип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