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111B1 -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111B1
KR101710111B1 KR1020140053717A KR20140053717A KR101710111B1 KR 101710111 B1 KR101710111 B1 KR 101710111B1 KR 1020140053717 A KR1020140053717 A KR 1020140053717A KR 20140053717 A KR20140053717 A KR 20140053717A KR 101710111 B1 KR101710111 B1 KR 10171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ortion
plate
pedestal
aggregate
waste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248A (ko
Inventor
정일섭
임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4005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1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멧돌방식으로 구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동축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상부마찰돌기들과, 상부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하부마찰돌기선들사이에서 폐골재들이 서로 마찰되어 폐골재에 형성된 시멘트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의 폐골재를 양산하도록한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는; 받침대(10)의 상부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모터(21)가 설치된 회동축(20)과; 상기 회동축(20)이 중앙에 관통되어 결합설치되고, 상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상부마찰돌기선(31)이 형성된 하부회전판(30)과; 내부에 폐골재(a)가 투입되는 상광하협의 투입부(41)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2)의 외측둘레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판(30)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회전판(30)과 거리를 두어 낙하배출부(43)가 형성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하부마찰돌기선(44)이 형성된 상부판(40)과;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 가외둘레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받침대(50)와; 상기 수직받침대(50)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Apparatus for peeling and removing of cement}
본 발명은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멧돌방식으로 구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동축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상부마찰돌기들과, 상부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하부마찰돌기선들사이에서 폐골재들이 서로 마찰되어 폐골재에 형성된 시멘트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의 폐골재를 양산하도록한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석재등을 파쇄하여 레미콘, 아스팔트용 모래등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롤크러셔와 같은 파쇄장치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롤크러셔는 2개의 원통형태의 롤을 나란히 설치한 후 상기 롤을 서로 맞물리게 회전시켜 그 사이로 석재나 폐콘크리트의 원석을 투입하면 압축력에 의해 상기 원석이 파쇄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세골재 및 모래크기의 파쇄물를 생산하여왔다.
이와 같이, 상기 건물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석재등을 롤크러셔로 파쇄하여 그 크기를 줄인 폐골재는 단순히 세척장치로 폐골재의 외부에 롤크러셔로 원석을 분쇄하여 발생된 미분이 부착되어 있어서 폐골재의 외부에 부착된 미분을 세척장치로 폐골재에서 제거만 하였을뿐, 폐골재의 외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형성된 시멘트는 제거되지 못하여 외부에 시멘트가 견고하게 부착형성된 폐골재를 다시 건축용으로 재활용되는데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멧돌방식으로 구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동축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상부마찰돌기들과, 상부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하부마찰돌기선들사이에서 폐골재들이 서로 마찰되어 폐골재에 형성된 시멘트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의 폐골재를 양산하도록한 새로운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받침대(10)의 상부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동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모터(21)가 설치된 회동축(20)과; 상기 회동축(20)이 중앙에 관통되어 결합설치되고, 상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상부마찰돌기선(31)이 형성된 하부회전판(30)과; 내부에 폐골재(a)가 투입되는 상광하협의 투입부(41)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2)의 외측둘레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판(30)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회전판(30)과 거리를 두어 낙하배출부(43)가 형성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하부마찰돌기선(44)이 형성된 상부판(40)과;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 가외둘레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받침대(50)와; 상기 수직받침대(50)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60)은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수직지지대(61a)와, 상기 수직지지대(61a)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지지대(61b)로 구성된 지지대(61)와, 상기 수평지지대(61a)에 형성된 승강공(62)과, 상기 승강공(62)에 상기 받침판(10)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바(63)가 삽입되고, 상기 수평지지대(61a)의 하부면에 하부가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수직받침대(5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상부수평지지대(50a)의 하부면에 고정되거나 관통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4)는 연결와이어(64a) 또는 연결바(6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0)은 하향경사지게 상부경사부(40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판(30)은 상기 상부판(40)의 하부와 대응되도록 하향경사지게 하부경사부(3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경사부(40a)와 상기 하부경사부(30a)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경사낙하배출부(4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0)의 하부마찰돌기선(44)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부마찰돌기선(31)은 시계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40)의 하부마찰돌기선(44)과 하부마찰돌기선(44)의 사이에 브러쉬부(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70)는 다수개의 나사공(71)이 형성된 본체(70a)와, 상기 본체(70a)의 양측의 상기 나사공(71)은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과 하부마찰돌기선(44)의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나사공(72)이 서로 일치된후, 상기 나사공(71)과 상기 결합나사공(72)에 나사(73)가 결합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본체(70a)의 양측 나사공(71)의 사이에 다수개의 나사공(71)들에 브러쉬(74)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75)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투입부(41)의 하부 내측에 위치한 상기 회동축(20)의 상부에 상기 투입부(41)에 안내되는 폐골재(a)들을 상기 투입부(41)의 내측면으로 분산시켜 상기 배출공(42)으로 유도되도록 분산판(8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산판(8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81)에 상기 회동축(20)의 상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낙하배출부(43)의 외측둘레 하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기 상부마찰돌기선(31)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들사이에 위치하여 표피에 시멘트가 형성된 상기 폐골재(a)들이 서로 마찰되어 상기 폐골재(a)의 각부가 제거되고 상기 폐골재(a)에서 시멘트가 박리되어 상기 낙하배출부(43)를 거쳐 상기 낙하배출부(43)의 외측둘레 하부와 연통된 연통부(11)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폐골재, 시멘트를 수집하는 수집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멧돌방식으로 구현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동축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상부마찰돌기들과, 상부판의 하부면에 형성된 방사체의 하부마찰돌기선들사이에서 폐골재들이 서로 마찰되어 폐골재에 형성된 시멘트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박리되어 제거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의 폐골재를 양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의 수직받침대와 하부회전판상에 설치된 상부판의 외측둘레를 다수개의 승강수단으로 연결설치되도록하여 상부판에 투입되는 폐골재들중에서 그 크기가 큰 폐골재들이 상부판과 하부회전판의 사이의 낙하배출부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상부판을 승강수단으로 하부회전판에서 승강되게 하여 상부판과 하부회전판의 사이에서 크기가 큰폐골재의 외측면에서 시멘트가 박리되고, 폐골재의 각부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판과 하부회전판의 서로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속회전되는 하부회전판으로 인해 상부판과 하부회전판의 사이의 낙하배출부를 통해 시멘트가 박리되고 각부분에 제거된 폐골재가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판 하부마찰돌기선들과 하부마찰돌기선들의 사이에 브러쉬부를 더 설치하여 상부판의 하부마찰돌기선들과 하부회전판의 상부마찰돌기선들과 더불어 브러쉬부들로 인해 폐골재의 외측면에서 시멘트를 보다 손쉽게 박리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 상부판, 하부회전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가 설치된 상부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의 개략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 상부판, 하부회전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회전판의 상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가 설치된 상부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부의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는 회동축(20)과, 하부회전판(30)과, 상부판(40)과, 수직받침대(50)와,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0)은
받침대(10)의 상부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동되게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20)은 상부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축(20)의 하부에 모터(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20)에는 후술되는 상기 하부회전판(3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회전판(30)에는 상기 회동축(20)이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중앙에 관통되어 결합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투입부(41)의 하부 내측에 위치한 상기 회동축(20)의 상부에 상기 투입부(41)에 안내되는 폐골재(a)들을 상기 투입부(41)의 내측면으로 분산시켜 상기 배출공(42)으로 유도되도록 분산판(8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판(8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81)에 상기 회동축(20)의 상부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산판(80)이 더 설치되는 것은 상기 투입부(41)에 투입되는 폐골재(a)들이 상기 회동축(20)과 함께 고속회전되어 상기 분산판(80)의 외측에 부딛치는 폐골재(a)들이 상기 투입부(41)의 내측면에 충돌되어 상기 투입부(4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42)으로 손쉽게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후술되는 상기 낙하배출부(43)의 외측둘레 하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0)의 하부에 수집부(1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수집부(12)는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기 상부마찰돌기선(31)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들사이에 위치하여 표피에 시멘트가 형성된 상기 폐골재(a)들이 서로 마찰되어 상기 폐골재(a)의 각부가 제거되고 상기 폐골재(a)에서 박리되는 시멘트 및 상기 폐골재(a)들과 상기 폐골재(a)들이 서로 마찰되어 각진부분이 가공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진 폐골재, 폐골재분진이 상기 낙하배출부(43)를 거쳐 상기 낙하배출부(43)의 외측둘레 하부와 연통된 연통부(11)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외측이 가공되어진 골재, 가공으로 양산된 분진, 시멘트를 수집하도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상부마찰돌기선(3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부마찰돌기선(31)은 시계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마찰돌기선(3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은 후수술되는 상부판(40)의 하부면에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하부마찰돌기선(44)사이에 투입되는 폐골재(a)들이 서로 손쉽게 마찰되게 하여 폐골재(a)의 외측에 형성된 시멘트를 제거하고 폐골재(a)의 각부분을 손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회전판(30)은 하향경사지게 하부경사부(30a)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경사부(30a)는 1˚~ 10˚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경사부(30a)를 형성하는 것은 후술되는 상부판(40)의 상부경사부(40a)와 함께 구성되어 상기 하부회전판(30)이 고속회전되어 후술되는 투입부(41)에 투입되는 폐골재(a)의 외측에서 박리되는 시멘트와 폐골재(a)의 각진부분이 제거된 골재분진이 원심력으로 상기 하부회전판(30)과, 상부판(40)의 사이에 형성된 낙하배출부(43)로 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판(40)은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40)은 내부에 폐골재(a)가 투입되는 상광하협의 투입부(4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40)은 상기 투입부(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2)의 외측둘레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40)은 상기 하부회전판(30)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회전판(30)과 거리를 두어 낙하배출부(43)가 형성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낙하배출부(43)는 상기 상부판(40)과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사이에 투입된 폐골재(a)들이 서로 마찰되어 폐골재(a)들의 외측둘레에서 박리된 시멘트와, 폐골재(a)들의 각진부분이 제거된 폐골재분진이 자유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판(40)의 하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하부마찰돌기선(4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40)의 하부마찰돌기선(44)은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이 시계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은상기 하부회전판(30)의 하부면에 시계반대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마찰돌기선(31)사이에 투입되는 폐골재(a)들이 서로 손쉽게 맷돌방식으로 마찰되게 하여 폐골재(a)의 외측에 형성된 시멘트를 제거하고 폐골재(a)의 각부분을 손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40)은 하향경사지게 상부경사부(40a)를 형성한다.
즉, 상기 상부경사부(40a)는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기 하부경사부(30a)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낙하배출부(4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경사부(40a)는 1˚~ 10˚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경사부(40a)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회전하부판(30)의 하부경사부(30a)와 함께 구성되어 상기 하부회전판(30)이 고속회전되어 상기 투입부(41)에 투입되는 폐골재(a)의 외측에서 박리되는 시멘트와 폐골재(a)의 각진부분이 제거된 골재분진이 원심력으로 상기 하부회전판(30)과, 상부판(40)의 사이에 형성된 낙하배출부(43)로 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경사부(40a)와 상기 하부경사부(30a)의 사이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경사낙하배출부(43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낙하배출부(43a)를 형성하는 것은 폐골재(a)의 외측에서 박리되는 시멘트와 폐골재(a)의 각진부분이 제거된 골재분진이 자연스럽게 자유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40)의 하부마찰돌기선(44)과 하부마찰돌기선(44)의 사이에 브러쉬부(7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브러쉬부(70)는 다수개의 나사공(71)이 형성된 본체(70a)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70a)의 양측의 상기 나사공(71)은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과 하부마찰돌기선(44)의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나사공(72)이 서로 일치된후, 상기 나사공(71)과 상기 결합나사공(72)에 나사(73)가 결합되어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70a)의 양측 나사공(71)의 사이에 다수개의 나사공(71)들에 브러쉬(74)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75)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쉬부(70)를 상기 상부판(40)의 하부에 다수개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들과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상기 상부마찰돌기선(31)들과 더불어 상기 브러쉬부(70)들로 인해 폐골재(a)의 외측면에서 시멘트를 보다 손쉽게 박리하고, 폐골재의 각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폐골재로 양산하기위함이다.
한편, 상기 브러쉬(74)는 폐와이어를 재활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받침대(50)는 도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 가외둘레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60)은 도 1, 도 5a,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60)은 상기 수직받침대(50)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수단(60)은 다수개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판(40)과 상기 수직받침대(50)들을 서로 연결되게 구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60)은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지지대와(61a)와, 상기 수직지지대(61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지지대(61b)로 구성된 지지대(61)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61)에 형성된 승강공(62)과, 상기 승강공(62)에 상기 받침판(10)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바(6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상기 수평지지대(61a)의 하부면에 하부가 고정설치되고, 상부는 상기 수직받침대(5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상부수평지지대(50a)의 하부면에 고정된 연결부재(64)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64)는 연결와이어(64a)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는 상기 수직받침대(50)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상부수평지지대(50a)의 하부면에 관통되어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64)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64)는 연결바(64a)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상기 수직받침대(50)와 상기 하부회전판(30)상에 설치된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를 다수개의 상기 승강수단(60)으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상부판(40)이 승강되도록하여 상기 상부판(40)에 투입되는 폐골재(a)들중에서 그 크기가 큰 폐골재(a)들이 상기 상부판(40)과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사이의 상기 낙하배출부(43)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상기 상부판(40)을 상기 승강수단(60)으로 상기 하부회전판(30)에서 승강되게 하여 상기 상부판(40)과 상기 하부회전판(30)의 사이에서 크기가 큰폐골재(a)의 외측면에서 시멘트가 박리되고, 폐골재(a)의 각부가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형골재로 재양산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받침대 11: 연통부
12: 수집부 20: 회동축
21: 모터 30: 하부회전판
30a: 하부경사부 31: 상부마찰돌기선
40: 상부판 40a: 상부경사부
41: 투입부 42: 배출공
43: 낙하배출부 43a: 경사낙하배출부
44: 하부마찰돌기선 50: 수직받침대
50a: 상부수평지지대 60: 승강수단
61: 지지대 61a: 수직지지대
61b: 수평지지대 62: 승강공
63: 수직파 64: 연결부재
64a: 연결와이어 64b: 연결바
70: 브러쉬부 70a: 본체
71: 나사공 72: 결합나사공
73: 나사 74: 브러쉬
75: 나사산 80: 분산판
81: 결합공 a: 폐골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받침대(10)의 상부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어 회동되게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모터(21)가 설치된 회동축(20)과;
    상기 회동축(20)이 중앙에 관통되어 결합설치되고, 상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상부마찰돌기선(31)이 형성된 하부회전판(30)과;
    내부에 폐골재(a)가 투입되는 상광하협의 투입부(41)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배출공(42)의 외측둘레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회전판(30)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회전판(30)과 거리를 두어 낙하배출부(43)가 형성되게 설치되고 하부면에 방사체로 다수개의 하부마찰돌기선(44)사이에 브러쉬부(70)가 설치된 상부판(40)과;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 가외둘레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받침대(50)와;
    상기 수직받침대(50)들과, 상기 상부판(40)의 외측둘레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승강수단(60)으로 구성되되,
    상기 브러쉬부(70)는 다수개의 나사공(71)이 형성된 본체(70a)와, 상기 본체(70a)의 양측의 상기 나사공(71)은 상기 상부판(40)의 상기 하부마찰돌기선(44)과 하부마찰돌기선(44)의 사이에 복수개로 형성된 결합나사공(72)이 서로 일치된후, 상기 나사공(71)과 상기 결합나사공(72)에 나사(73)가 결합되어 고정설치되고, 상기 본체(70a)의 양측 나사공(71)의 사이에 다수개의 나사공(71)들에 브러쉬(74)의 상부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75)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박리제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53717A 2014-05-03 2014-05-03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KR10171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717A KR101710111B1 (ko) 2014-05-03 2014-05-03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717A KR101710111B1 (ko) 2014-05-03 2014-05-03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48A KR20150126248A (ko) 2015-11-11
KR101710111B1 true KR101710111B1 (ko) 2017-02-24

Family

ID=5460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717A KR101710111B1 (ko) 2014-05-03 2014-05-03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827A (ko) 2020-04-07 2021-10-15 (주) 초원환경 페로니켈 슬래그 골재를 파쇄선별하는 파쇄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571B (zh) * 2017-09-15 2019-10-01 孙勇 专用粉碎混凝土和板砖的磨粉机
KR102244421B1 (ko) 2019-06-10 2021-04-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형 브러시를 이용한 광석체 세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44B1 (ko) * 2005-02-02 2005-11-17 (주)대명크라샤 고 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863332B1 (ko) * 2008-06-19 2008-10-15 (주)다원환경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08B1 (ko) * 2007-07-23 2009-05-15 이명섭 회전 분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744B1 (ko) * 2005-02-02 2005-11-17 (주)대명크라샤 고 순도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863332B1 (ko) * 2008-06-19 2008-10-15 (주)다원환경 재생 골재용 회전 연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827A (ko) 2020-04-07 2021-10-15 (주) 초원환경 페로니켈 슬래그 골재를 파쇄선별하는 파쇄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48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304B1 (ko) 다수개의 완충수단을 구비한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US8157196B2 (en) Grinding device of vertical grinder
CN204816801U (zh) 一种中草药打碎装置
KR101710111B1 (ko)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CN207342766U (zh) 一种便于清扫的药材加工粉碎机
CN107282189A (zh) 一种多级玉米粉碎机
KR101659236B1 (ko) 스크린 선별장치를 가진 링 롤러 밀
KR20160026335A (ko) 폐골재의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CN206838179U (zh) 一种矿山用小型石料破碎机
CN206008896U (zh) 一种改进碎料刀且可二次粉碎的碎料研磨装置
CN106179654A (zh) 一种纸尿裤破碎处理装置
KR100919181B1 (ko) 재활용 시스템용 분쇄기
KR101410785B1 (ko) 스윙해머 및 방사형 회전 박리장치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장치
CN106076528A (zh) 双级单激振非线性多层筛选粉碎装置
KR200453527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4974022U (zh) 一种石灰石磨粉装置
CN204051837U (zh) 一种食品粉碎机
CN204746466U (zh) 一种立式滤饼粉碎机
CN205700915U (zh) 一种螺旋粉碎机
CN204746526U (zh) 一种粉碎石料的接料装置
JP2007196084A (ja) 生ごみ減量装置
KR200418198Y1 (ko) 골재 재생장치
CN205815788U (zh) 一种用于三辊研磨机的废气捕集罩
CN220657831U (zh) 一种用于颜料研磨的双锤研磨装置
KR100938724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