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840B1 -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 Google Patents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840B1
KR101709840B1 KR1020140186908A KR20140186908A KR101709840B1 KR 101709840 B1 KR101709840 B1 KR 101709840B1 KR 1020140186908 A KR1020140186908 A KR 1020140186908A KR 20140186908 A KR20140186908 A KR 20140186908A KR 101709840 B1 KR101709840 B1 KR 10170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etection signal
hall sensor
amplifier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641A (ko
Inventor
문요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840B1/ko
Priority to US14/961,214 priority patent/US9924096B2/en
Publication of KR2016007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23Electronic aspects, e.g. circuits for stimulation, evaluation, control; 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calibration
    • G01R33/0029Treating the measured signals, e.g. removing offset or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DC 옵셋을 제거할 수 있는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은 홀 센서의 검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옵셋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옵셋을 제거하는 전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은 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포함된 옵셋을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제거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의 신호 처리 결과에 따라 촬상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HALL SENSOR MODULE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DULE}
본 발명은 DC 옵셋을 제거할 수 있는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모바일 기기에서 카메라는 필수적인 기능 중 하나이며, 그 성능 또한 높아짐에 따라서 수백만 화소에서 천만 화소 이상까지의 고성능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화소의 카메라에 비하여 모바일 기기라는 제약사항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적용되는 공간은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작은 렌즈의 구경 및 작은 이미지 픽셀 사이즈 등으로 인해 이미지 촬영시 외부의 진동이나 손떨림 등과 같은 미세한 움직임에도 이미지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미세한 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열화를 억제하고,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이미지 보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가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Optical Image Stabilizaion;OIS) 모듈을 채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OIS 모듈은 홀(Hall) 센서를 적용하여 X축과 Y축상의 렌즈의 위치 성분을 검출할 수 있고, 자이로(Gyro) 센서에 검출된 손떨림 성분과 X축과 Y축상의 렌즈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렌즈의 위치를 구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떨림은 1Hz 미만의 주파수에서 수십 Hz의 주파수에 형성되어 발생되며, 이에 따라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양자화된 후 하이패스필터(High Pass Filter;HPF)를 거쳐 검출 신호에 포함된 DC 옵셋, 드리프트 성분 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1Hz 미만에서 수십Hz의 손떨림 주파수는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될 수 있고, 홀 센서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나 레벨이 낮기 때문에 출력 신호를 증폭하게 되면 DC 옵셋이 발생되어 OIS 모듈이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DC 옵셋 제거시 저잡음으로 동작하여야 올바른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8882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DC 옵셋을 제거할 수 있는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은 홀 센서의 검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옵셋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옵셋을 제거하는 전류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은 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포함된 옵셋을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제거하는 제1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의 신호 처리 결과에 따라 촬상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DC 옵셋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주파수 레인지의 DC 옵셋을 저잡음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의 보다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에 채용된 전류 제공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에 채용된 전류 제공부의 출력 전류 그래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홀 센서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100)은 홀 센서(11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제1 신호 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120)는 증폭부(121), 전류 제공부(122) 및 변환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21)는 홀 센서(11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레벨을 증폭시킬 수 있다.
홀 센서(110)는 촬상부의 X축과 Y축상의 위치 성분을 검출할 수 있으며, 홀 센서(110)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레벨이 낮기 때문에 이를 신호 처리가 가능할 정도로 레벨을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검출 신호에는 홀 센서 모듈 또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이 채용된 기기에서 발생되거나, 자이로 센서에서 발생된 옵셋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옵셋은 DC 옵셋일 수 있다.
전류 제공부(122)는 홀 센서(11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포함된 옵셋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전류를 증폭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전류는 옵셋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증폭부(121)의 피드백 라인에 제공할 수 있다.
변환부(123)는 증폭부(121)에 의해 증폭된 검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촬상부의 위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2000)은 제1 신호 처리부(220), 제2 신호 처리부(25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부(220)는 홀 센서(21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사용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1 신호 처리부(22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부(26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부(250)는 자이로 센서(24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사용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여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0)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200)을 채용한 기기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어부(230)는 제2 신호 처리부(250)의 디지털 신호에 따라 촬상부(260)의 광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의 보다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300)의 증폭부(321)는 차동 증폭부(321a) 및 버퍼(321b)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310)의 등가 회로는 브리지 저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차동 증폭부(321a)는 제1 및 제2 증폭기(OP1,OP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321b)는 제3 증폭기(OP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동 증폭부(321a)의 차동 증폭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변환부(323)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증폭기(OP1)의 플러스 단자(+)는 홀 센서(310)로부터의 제1 검출 신호(VIN1)를 입력받고, 마이너스 단자(-)는 피드백 라인을 따라 증폭된 검출 신호(VOUT1)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피드백 라인의 저항(R1,R2)의 저항비에 따라 제1 증폭기(OP1)의 증폭율이 설정될 수 있다.
제2 증폭기(OP2)의 플러스 단자(+)는 홀 센서(310)로부터의 제2 검출 신호(VIN2)를 입력받고, 마이너스 단자(-)는 피드백 라인을 따라 증폭된 검출 신호(VOUT2)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드백 라인의 저항(R1,R2)의 저항비에 따라 제2 증폭기(OP2)의 증폭율이 설정될 수 있다.
전류 제공부(322)는 제1 검출 신호(VIN1)과 제2 검출 신호(VIN2)의 전압차(옵셋)에 따라 제1 증폭기(OP1)과 제2 증폭기(OP2)의 피드백 라인에 각각 제1 보상 전류(IOP)와 제2 보상 전류(ION)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제1 증폭기(OP1)의 출력 신호(VOUT1)는 다음의 수식1과 같을 수 있다.
(수식1)
VOUT1=VIN1-R2(((V1-V2)/R1)+IDAC)
여기서, IDAC는 전류 제공부(322)의 제1 보상 전류(IOP)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증폭기(OP2)의 출력 신호(VOUT2)는 다음의 수식2와 같을 수 있다.
(수식2)
VOUT2=VIN2-R2(((V2-V1)/R1)+IDAC)
여기서, IDAC는 전류 제공부(322)의 제2 보상 전류(ION)일 수 있다.
상술한 수식1 및 수식2와 같이, 제1 검출 신호(VIN1)과 제2 검출 신호(VIN2)의 전압차(옵셋)은 제1 및 제2 보상 전류(IOP,ION)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상술한 옵셋은 각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의 저항과 보상 전류의 선택비에 따라 옵셋 제거 범위(offset cancellation range)가 정의될 수 있어, 넓은 제거 범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옵셋의 레벨이 '0'이거나 매우 작을 경우, 전류 제공부(322)에서 제공하는 보상 전류의 레벨도 매우 작기 때문에 전류 제공부(322)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영향 또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출 신호(VIN1)과 제2 검출 신호(VIN2)의 전압차(옵셋)가 60mV일 경우, 제1 및 제2 증폭기(OP1,OP2)의 증폭율을 100배로 설정하기 위해 R1은 2kohm, R2는 100kohm으로 설정되면, 옵셋을 제거하기 위한 보상 전류는 하기의 수식3에 의해 ±30uA로 설정되어 옵셋을 제거할 수 있다.
(수식3)
Figure 112014124932897-pat00001
여기서, IDAC는 제1 및 제2 보상 전류(IOP,ION)일 수 있다. 즉, +IDAC는 제1 보상 전류(IOP)일 수 있고, -IDAC는 제2 보상 전류(ION)일 수 있다. 반대로, +IDAC는 제2 보상 전류(ION)일 수 있고, -IDAC는 제1 보상 전류(IOP)일 수 있다.
상술한 +,- 부호는 보상 전류가 싱킹(sinking) 전류 또는 소싱(sourcing) 전류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상 전류는 해당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전류를 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에 채용된 전류 제공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에 채용된 전류 제공부(422)는 전류원(422a), 제1 및 제2 스위치 그룹(422b,422c),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 그룹(422d,422e) 및 전류 미러(422f)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제공부(422)는 제1 보상 전류(IOP)와 제2 보상 전류(ION)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보상 전류(IOP)와 제2 보상 전류(ION)는 서로 보상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 전류(IOP)가 증가하면, 제2 보상 전류(ION)은 감소할 수 있고, 반대로, 제1 보상 전류(IOP)가 감소하면, 제2 보상 전류(ION)은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 모듈에 채용된 전류 제공부의 출력 전류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상 전류(IOP)와 제2 보상 전류(ION)는 서로 보상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전류원(42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이 서로 반대로 설정된 싱킹 전류(sinking current)와 소싱 전류(sourcing current)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그룹(422b)와 제2 스위치 그룹(422c) 각각은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 그룹(422b)와 제2 스위치 그룹(422c) 각각의 복수의 스위치는 전류원(422a)으로부터의 싱킹 전류 또는 소싱 전류의 전달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제공부(422)는 제1 검출 신호(VIN1)과 제2 검출 신호(VIN2)의 전압차(옵셋)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보상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8비트의 분해능을 갖도록 보상 전류를 설정하는 경우, 제1 스위치 그룹(422b)와 제2 스위치 그룹(422c) 각각은 보상 전류의 전류 방향을 결정하는 제1 스위치(MSB)를 포함할 수 있고, 나머지 복수의 스위치(LSB)는 보상 전류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원(422a)의 소싱 전류가 공급되고, 싱킹 전류가 차단되기 위해, 제1 스위치 그룹(422b)의 제1 스위치(MSB)는 턴 온되고, 제2 스위치 그룹(422c)의 제1 스위치(MSB)는 턴 오프되는 경우, 제1 스위치 그룹(422b)의 나머지 복수의 스위치(LSB)에 의해 전류의 레벨이 결정되고, 제1 트랜지스터 그룹(422d)의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온된 스위치에 연결된 해당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류를 미러링 및 증폭시킬 수 있으며, 전류 미러(422f)에 의해 제1 보상 전류(IOP)는 싱킹 전류로 설정되고, 제2 보상 전류(ION)은 소싱 전류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류원(422a)의 싱킹 전류가 공급되고, 소싱 전류가 차단되기 위한 경우, 상술한 동작이 반대로 설정되어 제2 트랜지스터 그룹(422e)의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온된 스위치에 연결된 해당 트랜지스터에 의해 전류를 미러링 및 증폭시킬 수 있으며, 전류 미러(422f)에 의해 제1 보상 전류(IOP)는 소싱 전류로 설정되고, 제2 보상 전류(ION)은 싱킹 전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홀 센서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대비하여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의 증폭율에 따라 옵셋을 제거하는 종래의 경우 옵셋 제거 범위가 좁고, 별도의 제어 전압이 필요하여 옵셋 제거시 노이즈의 영향이 높은 반면, 본 발명의 경우는 보상 전류의 크기 및 증폭기의 저항 크기에 따라 옵셋을 제거하여 옵셋 제거 범위가 넓고, 옵셋이 낮거나 '0'일 경우 보상 전류가 낮거나 '0'일 수 있으므로 옵셋 제거시 노이즈의 영향이 낮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홀 센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DC 옵셋을 제거할 수 있으며, 넓은 주파수 레인지의 DC 옵셋을 저잡음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홀 센서 모듈
110,210,310: 홀 센서
120,220: 제1 신호 처리부
121,321: 증폭부
122,322,422: 전류 제공부
123,323: 변환부
2000: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230: 제어부
240: 자이로 센서
250: 제2 신호 처리부
260: 촬상부
321a: 차동 증폭부
321b: 버퍼
422a: 전류원
422b: 제1 스위치 그룹
422c: 제2 스위치 그룹
422d: 제1 트랜지스터 그룹
422e: 제2 트랜지스터 그룹
422f: 전류미러
OP1: 제1 증폭기
OP2: 제2 증폭기
OP3: 제3 증폭기

Claims (11)

  1. 홀 센서의 검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상기 검출 신호의 옵셋에 따라 상기 증폭부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옵셋을 제거하는 전류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상기 홀 센서로부터 제1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및 상기 홀 센서로부터 제2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 각각은 상기 전류 제공부로부터의 제1 보상 전류 또는 제2 보상 전류를 피드백 라인을 통해 제공받으며,
    상기 제1 보상 전류와 상기 제2 보상 전류는 서로 보상 관계에 있는 홀 센서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홀 센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공부는 상기 제1 검출 신호와 상기 제2 검출 신호의 전압차에 따른 보상 전류를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각각 제공하는 홀 센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공부는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제1 스위치 그룹;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의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해당 스위치로부터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의 제2 전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제2 스위치 그룹;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의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해당 스위치로부터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 그룹;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 그룹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그룹으로부터의 증폭된 전류를 미러링하여 상기 제1 보상 전류 및 상기 제2 보상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미러
    를 포함하는 홀 센서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전류는 상기 제1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인가되고,
    상기 제2 보상 전류는 상기 제2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인가되는 홀 센서 모듈.
  8. 홀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포함된 옵셋을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보상 전류를 제공하여 제거하는 제1 신호 처리부;
    상기 제1 신호 처리부의 신호 처리 결과에 따라 촬상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홀 센서로부터 제1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 및 상기 홀 센서로부터 제2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 각각은 상기 제1 검출 신호와 상기 제2 검출 신호의 전압차에 따른 보상 전류를 피드백 라인을 통해 제공받는 차동 증폭부와,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를 갖는 증폭부; 및
    상기 제1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제1 보상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증폭기의 피드백 라인에 제2 보상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상 전류와 상기 제2 보상 전류는 서로 보상 관계에 있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공부는
    전류원;
    상기 전류원으로부터의 제1 전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제1 스위치 그룹;
    상기 제1 스위치 그룹의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해당 스위치로부터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 그룹;
    상기 전류원으로부터의 제2 전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갖는 제2 스위치 그룹;
    상기 제2 스위치 그룹의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는 해당 스위치로부터의 전류를 증폭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 그룹;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 그룹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 그룹으로부터의 증폭된 전류를 미러링하여 상기 제1 보상 전류 및 상기 제2 보상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미러
    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11. 삭제
KR1020140186908A 2014-12-23 2014-12-23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KR10170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908A KR101709840B1 (ko) 2014-12-23 2014-12-23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US14/961,214 US9924096B2 (en) 2014-12-23 2015-12-07 Hall sensor device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908A KR101709840B1 (ko) 2014-12-23 2014-12-23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41A KR20160076641A (ko) 2016-07-01
KR101709840B1 true KR101709840B1 (ko) 2017-02-23

Family

ID=5613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908A KR101709840B1 (ko) 2014-12-23 2014-12-23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4096B2 (ko)
KR (1) KR1017098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0517B2 (ja) 1994-01-31 2002-07-08 株式会社東芝 電力乗算装置
DE10032530C2 (de) * 2000-07-05 2002-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stärkerschaltung mit Offsetkompensation
JP4307430B2 (ja) 2005-09-22 2009-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手ぶれ検出装置
JP2007271599A (ja) 2006-03-06 2007-10-18 Alps Electric Co Ltd オフセット補正プログラム及び電子コンパス
KR20110055992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장치의 광학적 위치 어긋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8115817B2 (en) * 2010-03-17 2012-02-14 Ability Enterprise Co., Ltd. Anti-shake circuit for an imaging device
JP5855341B2 (ja) * 2010-12-28 2016-02-09 ローム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20120116036A (ko) * 2011-04-12 2012-10-22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프셋을 제거한 홀 센서
KR20120138876A (ko) 2011-06-16 2012-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프셋 전압 보상 기능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EP2728369B1 (en) * 2012-01-25 2016-06-15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Hall electromotive force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current sensor thereof
CN108828874A (zh) * 2013-12-11 2018-11-16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照相机模块及其光学元件的位置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82827A1 (en) 2016-06-23
US9924096B2 (en) 2018-03-20
KR20160076641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95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TWI410656B (zh) 偏移消除電路
US7599810B2 (en) Position detecting circui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5106021B2 (ja) 防振制御回路および撮像装置
WO2017159394A1 (ja) 撮像素子および電子機器
US8482621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imaging apparatus
US105749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uator control
CN110398913B (zh) 用于控制致动器的致动器控制电路和方法
US117701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river calibration
US8212879B2 (en) Image stabilization control circuit for imaging apparatus
KR20160120547A (ko) 디지털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840B1 (ko) 홀 센서 모듈 및 광학 이미지 안정화 모듈
JP5599039B2 (ja) 像ブレ補正機能付き光学装置
JP2008048270A (ja) ブレ補正可能な撮影装置
KR101942724B1 (ko) 오프셋 보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1066486A (ja) 位置検出回路及びぶれ補正装置
JP2008046478A (ja) ブレ補正装置及び撮影装置
WO2017056146A1 (ja) 信号伝送回路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2012123149A (ja) 振れ補正機能を有する光学機器
US8134602B2 (en) Amplifier circuit
JP2011124648A (ja) 可変利得増幅回路、撮像装置
JP2010191316A (ja) 振れ検出センサ及び像振れ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