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59B1 -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59B1
KR101709559B1 KR1020150113115A KR20150113115A KR101709559B1 KR 101709559 B1 KR101709559 B1 KR 101709559B1 KR 1020150113115 A KR1020150113115 A KR 1020150113115A KR 20150113115 A KR20150113115 A KR 20150113115A KR 101709559 B1 KR101709559 B1 KR 10170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hole
protrusion
suction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9130A (ko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온
Priority to KR102015011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vacuum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는 판재를 이용해 드레인보드(Drain Board)를 만들기 위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와 돌기내부로 연통되는 진공통로를 다수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흡착구멍을 구비한 성형롤러; 및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흡착구멍을 통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돌기는: 상기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돌기상부, 및 상기 돌기를 성형롤러에 고정하는 돌기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상부는 상기 판재를 흡착하기 위한 돌기틈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틈구멍은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 방사형으로 뻗어진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레인보드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rain Board}
본 실시예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땅속에 매설되는 외벽이나 내벽 또는 콘크리트의 바닥 하부면에는 수압에 의해 구조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배수처리를 하게 된다.
배수처리 공법으로는 드레인보드를 이용한 배수처리 공법과 자갈을 이용한 배수처리 공법을 흔히 사용한다.
드레인보드 공법은 지면과 맞닿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에 드레인보드를 설치한 후 토사를 덮어 시공하고, 자갈 배수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에 자갈을 쌓은 다음 토사를 덮어 시공한다.
이러한 공법 중 자갈 배수 공법은 자갈 사이로 토사 또는 잔입자가 유입되어 배수공(배수로)를 막아 배수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토사 또는 잔입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드레인보드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드레인보드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토사 사이에 입체적으로 구조화된 드레인보드를 이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배수효과가 크고 특히 배수용 필터를 통해 토사 또는 잔입자의 유통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압을 감소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 시켜준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성형롤러와 돌기 사이에 생기는 물리적인 틈과 그 틈 사이로 판재가 흡입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드레인보드를 제조하는 과정은 크게 ⅰ)판재(110)를 성형롤러(100)에 공급하는 과정, ⅱ)성형롤러(100)에 의해 판재(110)를 성형하는 과정, ⅲ)성형된 드레인보드(120)를 성형롤러(100)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드레인보드(120)를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의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의 4개의 방향으로 돌기틈구멍(210)이 있고 돌기틈구멍(210) 내부에 돌기연결구멍(220)이 있었다. 드레인보드의 성형을 위해 돌기틈구멍(210)에 강한 흡착으로 판재(110)를 성형하였다.
다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롤러(100)와 돌기(200)의 하부면 사이에는 성형롤러(100)의 곡면과 돌기(210) 하부면의 평면 사이에서 존재하는 물리적인 틈(310)이 생긴다.
또한, 돌기연결구멍(2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진공펌프에 의한 흡착이 주로 물리적인 틈(310) 부분에서 주로 일어나게 되어 성형과정에서 판재(100) 중 일부(320)가 물리적인 틈(310) 사이로 들어오게 되어, 이후 드레인보드(120)를 성형롤러(100)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이 방해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돌기(200)의 돌기연결구멍(220)은 단순히 돌기틈구멍(210)으로 흡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돌기연결구멍(220)의 공간이 작아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4개의 돌기틈구멍(210)으로 판재(110)를 흡착하다 보니 돌기틈구멍(210) 주위에는 판재의 밀도가 높은 반면 돌기틈구멍(210)과 떨어진 부분은 상대적으로 판재의 밀도가 낮아 성형된 드레인보드(120)의 돌출부(130) 주위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진공펌프의 진공용량을 조절하여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성형롤러의 회전속도를 줄이게 되어 드레인보드의 생산속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과정에 있어서, 흡착과정의 경우 하나의 돌기(200)마다 흡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성형롤러 내의 회전축에 나란하여 일직선으로 된 진공통로가 하나의 열에 대한 각각의 돌기와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열에서 전체적으로 동시에 성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흡착구멍(140)만을 통해 판재를 성형하는 경우 한번의 흡착만으로 판재의 성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나의 흡착구멍(140)과 연결된 성형롤러(100) 내부를 전체적으로 진공으로 만들어 흡착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과 많은 용량의 진공이 필요하고, 이는 상대적으로 성형롤러(100)가 천천히 회전이 되어야 달성될 수 있었고, 이러한 성형롤러(100)의 회전속도의 감소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본 실시예는 돌기연결구멍이 돌기상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넓히고, 성형롤러 상의 돌기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돌기틈구멍의 개수를 방사형으로 빽빽히 생기도록 증가시켜, 진공펌프에 의한 흡착시 돌기연결구멍에서 진공을 저장하고 돌기에서 방사형으로 빽빽하게 형성된 돌기틈구멍 전체 부분에서 감압을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여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성형롤러와 돌기 사이의 물리적인 틈 사이로 판재가 들어가지 않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수의 흡착구멍에서 연속적으로 흡착을 하여 일정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성형이 이루어져 흡착구멍과의 떨어진 거리 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돌기에서 세밀한 드레인보드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롤러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드레인보드의 생산속도를 높이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는 판재를 이용해 드레인보드(Drain Board)를 만들기 위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와 돌기내부로 연통되는 진공통로를 다수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흡착구멍을 구비한 성형롤러; 및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흡착구멍을 통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돌기는: 상기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돌기상부, 및 상기 돌기를 성형롤러에 고정하는 돌기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상부는 상기 판재를 흡착하기 위한 돌기틈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틈구멍은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 방사형으로 뻗어진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는 판재를 이용해 드레인보드를 만들기 위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흡착하여 성형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소정 위치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된 성형롤러; 및 상기 성형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판재를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롤러는 원통형 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면, 상기 둘레면의 좌우단에 수직한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제 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둘레면은 상하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판재를 성형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은 흡착수단과 연통하기 위한 흡착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롤러는 상기 흡착구멍에서 상기 제 2측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돌기와 연결되는 진공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판재를 성형하기 위해 방사형으로 뻗어진 복수개의 돌기틈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흡착구멍에서 흡착이 일어나도록 복수개의 흡착구멍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펌프에 의한 돌기연결구멍에서의 감압상태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막아 진공이 저장된 돌기연결구멍에서의 감압이 돌기의 전체방향으로 골고루 일어나게 하여 성형롤러에서 판재를 성형할 때, 판재가 성형롤러와 돌기 사이의 물리적인 틈 사이로 들어오지 않아 성형된 드레인보드가 용이하게 성형롤러로부터 탈착되어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의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기의 전 방향에서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제조된 드레인보드의 돌출부 주위가 밀도가 고르게 되어 드레인보드가 보다 안정적이게 되어 시공에서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흡착구멍을 통해 연속적으로 흡착이 일어나게 되어 흡착구멍에서 떨어진 거리와 상관없이 모든 돌기에서 성형이 세밀하게 이루어지며, 성형롤러의 회전속도를 줄이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종래의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정면도이다.
도 2의 (b)는 종래의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의 (a)는 성형롤러와 돌기 사이에 생기는 물리적인 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종래의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사용시 성형롤러와 돌기 사이에 생기는 물리적인 틈으로 판재가 흡입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통로와 그에 연결된 복수의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저면도 및 그의 확대도이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ⅰ),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재’는 다이스를 빠져 나와 성형롤러에 의해 성형되기 전까지의 성형부재를 말하며, 성형된 이후의 판재는 ‘드레인보드’라고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통로와 그에 연결된 복수의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는 판재를 성형롤러에 통과시켜 드레인보드를 제조하는 장치로 성형롤러(100) 및 흡착수단(900; 도 9 참조)을 포함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드레인보드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판재(110)의 경우 성형이 용이한 상태이어야 하므로 압출기(410)가 원료를 용융상태가 될 수 있는 온도로 가열 및 압축하여 성형이 용이한 상태로 다이스(420)로 보내고, 다이스(420)는 실제 드레인보드로 사용될 크기의 판재(110)를 성형롤러로 밀어준다.
판재(110)가 성형롤러(100)의 돌기(200)에 맞닿으면, 용융상태의 판재가 돌기에 내려앉아 돌기를 감싸고, 진공펌프에 의한 흡착으로 판재(110)가 성형롤러(100)의 표면으로 돌기(200) 주위로 완전히 흡착되어 돌출부(130)가 형성된 드레인보드(120)로 성형된다.
이 후 성형된 드레인보드(120)는 유도롤러(430)를 통해 성형롤러(10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롤러(100)는 판재(110)를 흡착하여 성형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소정 위치에서 회전축(440)을 중심으로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성형롤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원통형 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면(510), 둘레면(510)의 좌우단에 수직한 제 1 측면(520) 및 제 1 측면(520)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제 2측면(530)으로 구분된다.
성형롤러(100)는 판재의 성형을 위해 둘레면(510)에 다수의 돌기(200)를 포함하고, 제 1 측면(520)에 흡착구멍(140)을 포함하며, 내부에 진공통로(540)를 포함한다.
다수의 돌기(200)는 압출기(410) 등에서 압출되어 전송되어오는 판재(110)의 표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성형롤러(100) 둘레면(510)에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수의 돌기(200)는 성형롤러(100)의 원통의 둘레면(510)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200)는 상하좌우 간격이 동일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성형롤러(100)의 제 1 측면(520)과 제 2 측면(530)에 수직한 선에 이어지는 돌기들은 하나의 열(L)을 이룬다.
흡착구멍(140)은 이하 설명할 흡착수단(900)과 진공통로(540)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돌기 아래의 성형롤러(100) 제 1 측면(520)에 위치한다.
진공통로(5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열(L)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돌기(200)들 사이를 연결한다. 진공통로(540)는 성형롤러(100)의 제 1 측면(520)의 흡착구멍(140)으로부터 제 2 측(530)면 방향으로 성형롤러(100) 내부에서 일직선으로 뚫린 관이다.
진공통로(540)는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성형롤러(100)의 돌기(200)로 이어지는 부분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밀봉되어야 하므로 제 2 측면(530)은 제 1 측면(520)의 흡착구멍(140)과 같은 구멍 없이 막혀있을 수 있다.
다만, 제 2 측면에도 제 1 측면에서와 같이 흡착구멍(140)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측면의 흡착구멍(140)에서도 흡착수단이 연결되어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에서 동시에 흡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측면과 멀리 떨어진 돌기 부분에도 제 2 측면에 연결된 흡착수단에 의해 세밀한 성형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흡착구멍(140)에는 그와 연결되는 진공통로(540)가 있으며, 각각의 진공통로(540)는 그에 대응하는 열(L)의 복수의 돌기(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흡착구멍(140)에 흡착수단(900)이 연결되는 경우 해당하는 열(L)의 돌기(200)에서 판재(110)를 흡착하여 성형이 이루어진다.
흡착수단(900)의 경우는 이하 설명할 진공펌프(910; 도 9 참조) 등을 이용하여 성형롤러(100) 내의 공기를 빨아들여 판재(110)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 성형롤러(100)의 흡착구멍(140)을 통해 연결된다.
흡착구멍(140)은 성형롤러(100)내의 진공통로(540) 및 그와 연결된 돌기(200) 부분의 공기를 빨아들여 둘레면(510)으로 감기는 판재(110)를 성형롤러(100)의 표면에 흡착시켜 판재(110)를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롤러에 사용되는 돌기의 저면도 및 그의 확대도이다. 도 8의 (b)는 도 7의 (a)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에 대해 살펴보면, 성형롤러(100)의 표면에 나사형태로 결합되는 돌기(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상부(710)와 돌기하부(720)로 구성된다.
돌기상부(710)와 돌기하부(720)는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돌기(200)가 성형롤러(100)에 결합되면, 돌기상부(710)는 성형롤러(100)의 둘레면(510)에 돌출되고, 돌기하부(720)는 성형롤러(100) 내부와 결합하게 된다.
즉, 돌기하부(720)는 돌기(200)를 성형롤러(1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수나사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돌기하부(720)는 나사부분(730)과 잘림부분(740)으로 구분되며, 잘림부분(740)은 원통형태의 돌기하부(720) 중 일측이 수직하게 잘려진 부분으로, 진공통로(540)와 연통되며, 흡착수단(900)을 통해 공기를 빨아들여 판재(110)를 성형롤러(100)에 흡착할 수 있게 한다.
돌기상부(710)는 드레인보드(120)의 돌출부(130)가 성형되는 곳으로 상면이 평면부를 갖는 원추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는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종이컵을 뒤집어 놓은 형상과 유사하다.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은 돌기하부 연결부분, 돌기틈구멍(210) 및 돌기연결구멍(220)으로 구성된다. 돌기하부 연결부분은 돌기하부(720)가 돌기상부(710)에 연결되는 부분이며, 돌기상부(710)와 돌기하부(72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돌기연결구멍(220)은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의 돌기하부(720) 연결부분 주위로 돌기상부 내측으로 고리형태의 홈이 파여있는 부분을 말한다. 돌기연결구멍(220)은 돌기(200)가 성형롤러(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돌기하부(720)의 잘림부분(740)과 이하 설명할 돌기틈구멍(210)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으로 진공통로(540)와 연통되어 판재(110)를 흡착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연결구멍(220)이 돌기상부를 차지하는 공간은 흡착수단(900)에 의한 감압시 순간적으로 진공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여야 하므로 돌기연결구멍(220)이 돌기상부(710)로 들어간 길이(H) 및 돌기연결구멍(220)의 폭(W)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돌기연결구멍(220)에 비해 큰 공간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돌기연결구멍(220)의 폭(W)은 돌기하부(720) 나사부분(730)의 지름(D)보다 크거나 같으며, 돌기연결구멍(220)이 돌기상부(710)로 들어간 길이(H)는 돌기연결구멍(220) 폭(W)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다.
돌기연결구멍(220)이 종래에 비해 큰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돌기연결구멍(220)은 단순히 잘림부분(740)과 돌기틈구멍(210)을 연결하는 역할 이외에 진공펌프(910)에 의해 감압이 시작되면 진공통로(540)와 연결된 돌기연결구멍(220)은 순간적으로 감압상태로 변하게 되고, 돌기연결구멍(220)은 진공을 저장하여 돌기의 전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틈구멍(210)으로 골고루 감압이 이루어지게 하여 돌기(200)의 일부 방향만으로 흡착이 진행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돌기틈구멍(210)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상부(710) 하단면에서 돌기연결구멍(220)으로부터 외부와 만나는 부분까지 방사형으로 형성된 구멍으로 종래와 달리 매우 작은 구멍이 빽빽하게 형성된다.
돌기틈구멍(210)은 돌기연결구멍(220)과 연통하여 진공통로(540)에서부터 밖으로 연결되어 흡착수단(900)에 의한 판재(110)를 흡착하여 성형할 수 있다. 돌기틈구멍(210)은 반원기둥 또는 직육면체 형태일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틈구멍(210) 사이는 틈벽(810)으로 이루어지며,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에서 돌기틈구멍(210)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와 틈벽(810)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 길이(n)의 비율은 1:1.5 내지 1:2이며,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에서 돌기틈구멍(710)이 돌기연결구멍(220)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와 틈벽(810)이 돌기연결구멍(220)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n')의 비율은 1:1 내지 1:1.5가 된다.
이 경우,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에서 돌기틈구멍(210)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는 돌기틈구멍(210)이 돌기연결구멍(220)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는 같고 돌기상부(710)의 하단면의 반지름 길이(R)의 10분의 1 이하이다.
이와 같이 돌기연결구멍(220)이 돌기상부(710)를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고, 돌기틈구멍(210)이 돌기의 전 방향으로 빽빽하게 형성됨으로써, 진공펌프(910)에 의해 감압이 시작되면 진공통로(540)와 연결된 돌기연결구멍(220)은 순간적으로 감압상태로 변하게 되고, 돌기연결구멍(220)은 진공을 저장하여 돌기의 전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틈구멍(210)으로 골고루 감압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돌기상부(710)의 하부면 전 방향의 돌기틈구멍(210)에서 골고루 흡착이 일어나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성형롤러(100)와 돌기(200) 사이의 물리적인 틈(310)에서 특히, 강한흡착이 일어나지 않아 물리적인 틈으로 판재(110)가 들어오지 않게 되어 성형된 드레인보드(120)가 성형롤러에서 용이하게 탈착된다.
또한, 돌기(200)의 전 방향에서 동시에 흡착이 일어나므로 판재(110)를 골고루 빨아들여 성형된 드레인보드(120)의 돌출부(130) 주위의 밀도가 특정방향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되며, 성형이 더욱 세밀해진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수단(900)은 진공펌프(910), 연결관(920), 익스텐션(930) 및 연결구(940)를 포함한다.
진공펌프(910)는 성형롤러(100)의 적어도 일단 가장자리 부근에 고정 설치되어 성형롤러에 형성된 흡착구멍(140)과 연결하는 진공통로(540)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성형롤러(100)내 공기를 흡입, 압축하여 판재(110)를 성형한다.
연결관(920)은 진공펌프(910)와 연결구(940)를 연결하는 관이며, 연결구(940)는 성형롤러(100)의 복수개의 흡착구멍으로 흡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일측면은 연결관(920)과 연결되고, 타측면은 성형롤러(100)의 복수개의 흡착구멍(140)과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구(940) 내부는 연결관(920)과 복수의 흡착구멍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흡착구멍(140)을 통해 흡착이 이루어짐으로 종래의 하나의 흡착구멍(140)을 통해 흡착이 이루어지는 성형롤러(100)에 비해 다수의 흡착구멍(140)에 의해 연속적으로 흡착이 일어나게 되어 보다 세밀한 드레인보드(120)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수의 흡착구멍(140)에 의해 연속적으로 흡착이 일어나므로 하나의 흡착구멍(140)만으로 흡착이 일어나는 경우보다 저진공의 펌프용량을 가지고, 성형롤러(100)를 빠르게 회전시키더라도 판재를 세밀하게 성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940)의 타측면에서 연결되는 성형롤러(100)의 흡착구멍(140)의 개수는 2개 이상에서 이루어지나, 6~12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도롤러(430)에 의해 드레인보드(120)가 탈착되기 전까지 성형롤러(100)의 회전속도를 줄이지 않고도 판재(110)에 적절한 성형을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연결관(920)과 연결구(940) 사이에는 익스텐션(930)을 구비하여 성형롤러(1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성형롤러(100)의 움직임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성형롤러에서 흡착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성형롤러 110 : 판재
120 : 드레인보드 140 : 흡착구멍
200 : 돌기 210 : 돌기틈구멍
540 : 진공통로 710 : 돌기상부
720 : 돌기하부 900 : 흡착수단

Claims (17)

  1.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는 판재를 이용해 드레인보드(Drain Board)를 만들기 위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와 돌기내부로 연통되는 진공통로를 다수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흡착구멍을 구비한 성형롤러; 및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상기 흡착구멍을 통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판재를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돌기는:
    상기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돌기상부, 및
    상기 돌기를 성형롤러에 고정하는 돌기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상부는 상기 판재를 흡착하기 위한 돌기틈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틈구멍은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 방사형으로 뻗어지며,
    상기 돌기 하부는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잘림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상부는 상기 잘림부분과 상기 돌기틈구멍을 연결하는 돌기연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연결구멍의 폭은 상기 돌기하부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돌기연결구멍이 상기 돌기상부로 들어간 깊이는 상기 돌기연결구멍 폭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착수단에 의한 감압시 순간적으로 진공을 저장할 수 있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하부는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돌기하부 중 일측이 수직하게 잘려진 잘림부분을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방사형으로 뻗어진 상기 돌기틈구멍 각각의 사이는 틈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돌기틈구멍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와 상기 틈벽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 길이(n)의 비율은 1:1.5 내지 1:2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방사형으로 뻗어진 상기 돌기틈구멍 각각의 사이는 틈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돌기틈구멍이 상기 돌기연결구멍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와 상기 틈벽이 상기 돌기연결구멍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n')의 비율은 1:1 내지 1:1.5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돌기틈구멍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와 상기 돌기틈구멍이 상기 돌기연결구멍과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는 동일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돌기틈구멍이 외부와 만나는 모서리의 길이(m)는 상기 돌기상부의 하단면의 반지름의 10분의 1 이하인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러는 양측으로 흡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성형롤러 양측에 형성된 흡착구멍으로 연결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성형롤러 내 공기를 흡입, 압축하여 상기 판재를 성형하는 진공펌프;
    상기 성형롤러의 복수개의 상기 흡착구멍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흡착구멍과 연결된 연결구; 및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연결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성형롤러의 움직임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익스텐션을 더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6개 내지 12개의 흡착구멍에서 흡착되도록 5개 내지 9개의흡착구멍과 연결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3. 소정의 두께로 공급되는 판재를 이용해 드레인보드를 만들기 위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흡착하여 성형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소정 위치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된 성형롤러; 및
    상기 성형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판재를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흡착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롤러는 원통형 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면, 상기 둘레면의 좌우단에 수직한 제 1 측면 및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제 2측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둘레면은 상하좌우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판재를 성형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은 흡착수단과 연통하기 위한 흡착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롤러는 상기 흡착구멍에서 상기 제 2측면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돌기와 연결되는 진공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드레인보드를 성형하는 돌기상부, 및
    상기 돌기를 성형롤러에 고정하는 돌기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상부는 판재를 성형하기 위해 방사형으로 뻗어진 복수개의 돌기틈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하부는 상기 진공통로와 연결되는 잘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상부는 상기 잘림부분과 상기 돌기틈구멍을 연결하는 돌기연결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연결구멍의 폭은 상기 돌기하부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돌기연결구멍이 상기 돌기상부로 들어간 깊이는 상기 돌기연결구멍 폭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착수단에 의한 감압시 순간적으로 진공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흡착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흡착구멍에서 흡착이 일어나도록 복수개의 흡착구멍과 연결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멍은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 모두에 구비되고,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제 1 측면 및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된 상기 흡착구멍으로 연결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성형롤러 내 공기를 흡입, 압축하여 상기 판재를 성형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연결구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성형롤러의 움직임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익스텐션을 더 포함하는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17. 제 13항, 제 14항 및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6개 내지 12개의 흡착구멍에서 흡착되도록 5개 내지 9개의흡착구멍과 연결된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KR1020150113115A 2015-08-11 2015-08-11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KR10170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15A KR101709559B1 (ko) 2015-08-11 2015-08-11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15A KR101709559B1 (ko) 2015-08-11 2015-08-11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30A KR20170019130A (ko) 2017-02-21
KR101709559B1 true KR101709559B1 (ko) 2017-03-27

Family

ID=5831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15A KR101709559B1 (ko) 2015-08-11 2015-08-11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2963A (zh) * 2018-11-30 2019-02-26 曹继 一种辊压式排水板模具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69B1 (ko) * 2007-06-25 2008-11-17 주식회사 엠엔디코리아 중공판재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69B1 (ko) * 2007-06-25 2008-11-17 주식회사 엠엔디코리아 중공판재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30A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56912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глощающего элемента
KR101709559B1 (ko)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PT1882571E (pt) Matriz isostática para formação de ladrilhos
CN104278666A (zh) 一种袋装塑料排水装置
KR101585617B1 (ko)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TWI588319B (zh) 濕紙塑撈漿系統、濕紙塑產品及濕紙塑產品的成形方法
US20080087595A1 (en) Chamber Filter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38372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101649595B1 (ko) 드레인보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20037633A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US7717691B2 (en) Tire mold with vent inlet disposed under mold rib
KR100443645B1 (ko)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KR101277929B1 (ko) 보호관과 내입체를 구비한 배수용 삽입체
CN103945289A (zh) 一种扬声器模组外壳注塑钢片嵌入结构
US20170361553A1 (en) Sipe blade venting structure
KR100561739B1 (ko) 회전 성형방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및 그 성형장치
KR102042273B1 (ko)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046664B1 (ko) 문틀 제조장치
CN114277616A (zh) 成型模具
CN203684346U (zh) 地漏
CN204825584U (zh) 一种沥青路面自密封真空压实装置
KR100541564B1 (ko) 회전 성형방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630778B1 (ko) 금형기용 오염수 여과기
CN217732183U (zh) 一种纸塑包装袋的收卷装置
FI12027U1 (fi) Vaakasuora painesuodat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