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664B1 - 문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문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664B1
KR101046664B1 KR1020080047977A KR20080047977A KR101046664B1 KR 101046664 B1 KR101046664 B1 KR 101046664B1 KR 1020080047977 A KR1020080047977 A KR 1020080047977A KR 20080047977 A KR20080047977 A KR 20080047977A KR 101046664 B1 KR101046664 B1 KR 10104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groove
synthetic resin
manufacturing apparatus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56A (ko
Inventor
이봉조
Original Assignee
이봉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조 filed Critical 이봉조
Priority to KR102008004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합성수지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문틀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공정을 거친 심재가 인입 고정되어 합성수지의 도포공정이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내부로 합성수지(B)를 공급하여 심재(A)를 도포하는 공급장치(40)와, 상기 심재(A) 표면으로 합성수지(B)가 도포된 문틀(C)을 진공상태에서 흡착하여 고착화하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화된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를 구성하여 합성수지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틀

Description

문틀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door frame }
본 발명은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합성수지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문틀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은 문의 양옆과 위 아래에 구성된 테두리로써, 문의 양옆과 위 아래형태와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창문이나 문짝을 달거나 끼워 계속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통상 문 자체를 형성하는 외곽 및 중심부연결 프레임을 문틀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문틀은 통상 목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목재가 썩거나 수분에 약한 성질 때문에 부식되어 계속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등, 문틀로써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목재를 심재로 하여 합성수지를 외부층 으로 구성된 문틀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합성수지를 목재 표면에 구성하기 위해서는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를 통해 심재와 합성수지를 관통하여 고정된 구조를 가지는 문틀을 생산하는 바, 이러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문틀은 합성수지와 목재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제품의 완성 시 열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며, 목재와 외부층이 서로 결착력이 약해 들뜸현상이 일어나 문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목재와 합성수지를 체결하는 공정 또한 매우 까다로워 생산성 저하 및 인건비가 과다 책정되어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문틀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문틀의 생산성 향상과 들뜸 및 고온에 의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목재와 합성수지를 상호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문틀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목재가 문틀의 형태로 성형된 심재(A)가 안착되어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일측에서 합성수지(B)를 도포하는 공급 장치(40)와, 상기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진 문틀(C)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이 이루어진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금형부(10)는 함체형태로 구성되되,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문틀 형태의 삽입홈(20)이 관통 구성되고, 일측으로 공급장치(40)의 투입부(60)와 결착되는 결착홈(30)이 삽입홈(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20)의 내부 중단부로 심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틀을 삽입홈(20)과 일정한 공차를 두고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삽입홈(20)과 틀의 공차 사이로 합성수지(B)가 유입되어 틀에서 인출되는 심재(A)의 표면에 합성수지(B)가 일정한 양으로 도포되는 것을 포함한다.
금형부(10)는 종방향으로 전단부(11), 중단부(12), 후단부(13)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중단부(12) 일측에서 전단부(11) 방향으로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선단부(17)를 돌출 구성하여 전단부(11) 내부의 선단홈(18)에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착홈(30)은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되, 결착홈(30)에서 연장되는 이동부(14)를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14)의 단부에 중단부(12)를 관통하는 이동홈(15)을 구성하고, 상기 이동홈(15)에서 연장되어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며 전단부(11)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구성되어 선단홈(18)과 선단부(17)의 틈새로 연계되는 적체 부(16)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장치(40)는 합성수지(B) 원료를 반죽하는 호퍼부(50)와 호퍼부(50) 선단측에 금형부(10)의 결착홈(30)과 결착되는 투입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착홈(30)의 내부면으로 나사산을 구성하고, 상기 투입부(60)의 외부면으로 결착홈(30)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고착장치(70)는 문틀(C)이 안착되는 안착부(80)와 상기 안착부(80)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덮개(90)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밀폐 시 문틀(C)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문틀홈(70h)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문틀홈(70h)의 표면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착홈(100)과 흡착홈(100)과 연계된 공기흡입장치(110)를 각각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내부 일측으로 냉각수(w)가 구성되는 냉각수 공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장치(130)는 냉각수(W)가 지면에 구성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태의 냉각부(140)와, 상기 냉각부(140)의 양측으로 냉각수(W)가 유입 또는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관(1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140)의 내부 하측으로 냉각공정 시 문틀(C)이 고정되어 일률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받침대(160)가 다수 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문틀 형상의 목재로 이루어지는 심재(A) 표면에 합성수지(B)를 도포하는 도포공정단계와, 상기 심재(A)와 합성수지(B)를 일체화하는 고착공정단계와, 상기 일 체화된 심재(A)와 합성수지(B)를 냉각하는 냉각공정단계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와 합성수지를 상호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문틀제조장치를 구성하여 문틀 형상으로 구성된 목재의 표면으로 합성수지의 도포 및 냉각공정까지의 문틀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문틀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및 목재를 일체화시켜 들뜸 및 고온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는 문틀을 제공할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합성수지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문틀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형공정을 거친 심재가 인입 고정되어 합성수지의 도포공정이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내부로 합성수지(B)를 공급하여 심재(A)를 도포하는 공급장치(40)와, 상기 심재(A) 표면으로 합성수지(B)가 도포된 문틀(C)을 진공상태에서 흡착하여 고착화하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화된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를 구성하여 합성수지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문틀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을 향 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가 금형부에 결착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에서 이동부로 합성수지가 이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 내에서 심재표면에 합성수지가 도포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a), (b)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착장치에 문틀이 안착된 후 밀폐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착장치를 통해 문틀의 고착공정이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관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를 통해 문틀이 냉각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가 문틀의 형태로 성형된 심재(A)가 안착되어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일측에서 합성수지(B)를 도포하는 공급장치(40)와, 상기 합성수 지(B)의 도포가 이루어진 문틀(C)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이 이루어진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금형부(10)는 문틀의 형태로 성형된 심재(A)를 인입하여 내부에서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함체형태로 구성되되,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문틀 형태의 삽입홈(20)이 관통 구성되며 일측으로 공급장치(40)의 투입부(60)와 결착되는 결착홈(30)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심재(A) 표면으로 합성수지(B)를 일정한 양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금형부(10)를 구조를 달리 구성하는데 도 2, 5, 6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금형부(10)는 종방향으로 전단부(11), 중단부(12), 후단부(13)로 분할 구성하여 후단부(13)에서 심재(A)가 인입되어 전단부(11)로 인출되되, 전단부(11) 내부에서 심재(A)의 표면을 합성수지(B)로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심재(A)와 동일한 형태의 선단부(17)를 중단부(12) 일측에서 전단부(11) 방향으로 돌출 구성하여 전단부(11) 내부의 선단홈(18)에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단홈(18)은 전단부(11)의 내부에 구성되어 선단부(17)를 일정한 공차를 두고 수용하여 공차를 통해 합성수지(B)가 배출되어 선단부(17)에서 인출되는 심재(A) 표면에 합성수지(B)가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착홈(30)은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성하여 후단부(13)와 중단부(12)가 결합될 때 그 형태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착홈(30)을 통해 유입된 합성수지(B)가 중단부(12)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되, 결착홈(30)에서 연장되는 이동부(14)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부(14) 또한 결착홈(30)과 동일하게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14)를 통해 중단부로 이동된 합성수지(B)를 전단부(11)로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14)의 단부에 중단부(12)를 관통하는 이동홈(15)을 구성한다.
상기 이동홈(15)에서 연장되어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되, 선단홈(18)과 선단부(17)의 틈새로 연계되는 적체부(16)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B)는 적체부(16)로 적체된 후에 선단부(17)와 선단홈(18)의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심재(A)가 인출되는 선단부(17)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합성수지(B)를 심재(A) 표면으로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금형부(10)의 구조는 선단부(17)와 선단홈(18)의 공차 사이로 합성수지(B)를 유입하여 심재(A) 표면에 일정한 양으로 합성수지(B)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하며 이러한 금형부의 변형 구조를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착홈(30)은 내부에 나사산이 구성되어 투입부(60)와의 결착 또는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장치(40)는 합성수지(B)의 원료를 반죽하여 반죽된 합성수지(B)를 금형부(10)에 인입된 심재를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B) 원료를 반죽하는 호퍼부(50)와 호퍼부(50) 일측에 금형부(10)의 결착홈(30)과 결착되는 투입부(60)를 구성하여 투입부(60)로 하여금 합성수지(B)를 금형부(10)로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부(60)의 외측으로 결착홈(3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성하여 투입부(60)와 결착홈(30)의 결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고착장치(70)는 금형부(10)에서 합성수지(B)가 도포된 심재 즉 문틀(C)을 진공상태에서 흡착하여 고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C)이 안착되는 안착부(80)와 상기 안착부(80)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덮개(90)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밀폐 시 문틀(C)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문틀홈(70h)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틀홈(70h)의 각각의 표면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착홈(100)과 흡착홈(100)과 연계된 공기흡입장치(110)를 각각 하나 이상 구성하여 문틀홈(70h)에 인입된 문틀(C)을 진공상태에서 흡착하여 합성수지(B)와 심재를 일체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11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통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내부 일측으로 냉각수(w)가 구성되는 냉각수 공간부(120)를 구성하여 고착된 문틀(C)을 부분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냉각수(h)는 안착부(80)와 덮개(90)의 표면으로 냉각수 공간부(120)에 연결되는 유관부(120a)를 구성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장치(130)는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착공정을 거친 문틀(C)을 냉각수(W)를 통해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냉각수(W)가 담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태의 냉각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140)의 횡방향의 양측으로 문틀(C)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홈부를 구성한다.
상기 냉각부(140)의 내부 하측으로 냉각공정 시 문틀(C)이 고정되어 일률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받침대(160)를 다수 개 구성한다.
상기 냉각부(140)의 횡방향의 양측으로 냉각수(W)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유관(150)이 하나 이상 구성되어 고착장치(70)에 의해 고착된 문틀(C)을 냉각수(W)를 통해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장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살펴보면,
문틀 형상의 목재로 이루어지는 심재(A)를 합성수지(B)로 도포하는 도포공정단계와, 상기 심재(A)와 합성수지(B)를 일체화하는 고착공정단계와, 상기 일체화된 심재(A)와 합성수지(B)를 냉각하는 냉각공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단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성형장치로 인해 문틀의 형태로 가공된 심재(A)가 금형부(10)로 투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부(10)에 심재(A)가 투입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40)의 호퍼부(50)에 반죽된 합성수지(B)는 투입부(60)를 통해 금형부(10)의 이동부(14)로 유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4)로 유입된 합성수지(B)는 이동홈(15)으로 이동되고 난 후, 적체부(16)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홈(15)의 직경보다 적체부에 연결된 선단홈(18)과 선단부(17) 사이의 틈새가 협소하여 적체부(16)로 이동된 합성수지(B)는 일정시간 적체된 후, 선단부(17)와 선단홈(18)의 사이 틈새를 통해 일정한 양으로 선단부(17)의 일측까지 이동된다.
상기 선단부(17)의 일측으로 이동된 합성수지(B)는 선단부(17)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심재(A)의 표면 전체에 도포가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B)가 도포된 심재(A), 즉 문틀(C)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부(10) 내에서 인출되어 고착장치(70)로 인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문틀(C)이 고착장치(70)의 안착부(80)에 안착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덮개(90)로 하여금 안착부(80)의 상측을 밀폐하여 문틀(C)이 고착장치(70)의 문틀홈에 고정된 형태로 진공상태가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상태에서 공기흡입장치(110)가 작동되어 합성수지(B)가 도포된 심재(A)가 고착되어 합성수지(B)와 심재(A)의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착장치(70)에서 고착된 문틀(C)은 이동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고착장치(70) 일측에 구성된 냉각부(140)로 인입되어 받침대(160)를 통해 냉각부(140) 내부에서 이동되고 냉각부(140) 내부로 유관(150)을 통해 유입된 냉각수(W)에 의해 문틀(C)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공정까지 완료된 문틀(C)은 통상의 건조장치(미도시) 및 절단장치(미도시)를 통해 후 가공되어 합성수지(B)와 목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문틀(C)의 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가 금형부에 결착되는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에서 이동부로 합성수지가 이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부 내에서 심재표면에 합성수지가 도포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a), (b)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착장치에 문틀이 안착된 후 밀폐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착장치를 통해 문틀의 고착공정이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관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를 통해 문틀이 냉각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 금형부 20 : 삽입홈
30 : 결착홈 40 : 공급장치
50 : 호퍼부 60 : 투입부
70 : 고착장치 80 : 안착부
90 : 덮개 100 : 흡착홈
110 : 공기흡입장치 120 : 냉각수 홈부
130 : 냉각장치 150 : 유관
A : 심재 B : 합성수지
C : 문틀

Claims (10)

  1. 삭제
  2. 성형공정을 거친 심재(A)가 인입 고정되어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일측에서 합성수지(B)를 도포하는 공급장치(40)와,
    상기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진 문틀(C)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이 이루어진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10)는 함체형태로 구성되되, 금형부의 중앙으로 심재(A)가 일측에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문틀 형태의 삽입홈(20)이 관통 구성되고,
    일측으로 공급장치(40)의 투입부(60)와 결착되는 결착홈(30)을 구성하되, 상기 결착홈(30)이 삽입홈(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된 틀을 상기 삽입홈(20)의 일측에서 내부 중단부까지 연장하되, 상기 삽입홈(20)과 일정한 공차를 두고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삽입홈(20)과 틀의 공차 사이로 합성수지(B)를 유입시켜 틀에서 인출되는 심재(A)의 표면에 합성수지(B)가 도포되는 것을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금형부(10)는 종방향으로 전단부(11), 중단부(12), 후단부(13)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중단부(12) 일측에서 전단부(11) 방향으로 심재(A)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선단부(17)를 돌출 구성하여 전단부(11) 내부의 선단홈(18)에 수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결착홈(30)은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되, 결착홈(30)에서 연장되는 이동부(14)를 후단부(13)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14)의 단부에 중단부(12)를 관통하는 이동홈(15)을 구성하고,
    상기 이동홈(15)에서 연장되어 삽입홈(20)의 외측으로 대칭되며 전단부(11)와 중단부(12)의 마주하는 일측에 각각 구성되어 선단홈(18)과 선단부(17)의 틈새 로 연계되는 적체부(16)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
  5. 삭제
  6. 성형공정을 거친 심재(A)가 인입 고정되어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금형부(10)와,
    상기 금형부(10)의 일측에서 합성수지(B)를 도포하는 공급장치(40)와,
    상기 합성수지(B)의 도포가 이루어진 문틀(C)의 고착이 이루어지는 고착장치(70)와,
    상기 고착이 이루어진 문틀(C)을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130)를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착장치(70)는 문틀(C)이 안착되는 안착부(80)와 상기 안착부(80)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덮개(90)로 구성되되,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밀폐 시 문틀(C)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문틀홈(70h)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문틀홈(70h)의 표면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착홈(100)과 흡착홈(100)과 연계되는 공기흡입장치(110)를 각각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80)와 덮개(90)의 내부 일측으로 냉각수(w)가 구성되는 냉각수 공간부(120)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문틀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47977A 2008-05-23 2008-05-23 문틀 제조장치 KR10104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7A KR101046664B1 (ko) 2008-05-23 2008-05-23 문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977A KR101046664B1 (ko) 2008-05-23 2008-05-23 문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6A KR20090121856A (ko) 2009-11-26
KR101046664B1 true KR101046664B1 (ko) 2011-07-05

Family

ID=4160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977A KR101046664B1 (ko) 2008-05-23 2008-05-23 문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04B1 (ko) * 2012-07-11 2013-12-10 (주)캡스톤엔지니어링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KR101316651B1 (ko) * 2013-05-20 2013-10-10 주식회사 나호테크 문틀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23A (ko) * 2002-03-14 2003-09-19 윤종일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KR20060002310A (ko) * 2004-07-01 2006-01-09 주식회사 현성에스우드 합성목재 수냉식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568774B1 (ko) * 2003-07-29 200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플라스틱 문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23A (ko) * 2002-03-14 2003-09-19 윤종일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KR100568774B1 (ko) * 2003-07-29 200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플라스틱 문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02310A (ko) * 2004-07-01 2006-01-09 주식회사 현성에스우드 합성목재 수냉식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56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6311B (zh) 用于通过高压树脂传递模塑来由塑料制造复合材料构件的方法和所属的高压树脂传递模塑模具
US8105068B2 (en) Reusable infusion bag
EP2681037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bundbauteils
DE502006008499D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ahnrads
KR101046664B1 (ko) 문틀 제조장치
WO2012115067A1 (ja) Frpの製造方法
DE19848246A1 (de) Thermoplastteil mit eingespritzter Elastomerdichtung
DE1015455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Profilstrangs an einem Bauteil
CN104490043A (zh) 一种硬质旅行箱及其制作方法
KR20120004430A (ko) 흡입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 삽입부를 갖는 플라스틱 부분을 몰딩하기 위한 방법, 몰딩 디바이스 및 이용
DE4320893C2 (de) Verfahren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Holzformteilen
EP2842714B1 (de) Druckausgleichselement
DE10155631A1 (de) Klimakastengerät
EP2508328B1 (de)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en
DE212009000120U1 (de) Kunststoffrohr
DE102010062295A1 (de) Kompositwerkstoff, Formkörper, elektronisches Gerät mit Formkörp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für einen Formkörper
DE102009043581A1 (de) IMD-Form, Spritzgus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IMD-For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liendekorierten Kunststoffteils
DE102006011562A1 (de) Herstellungs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sowie ein Presswerkzeug
DE102013222358B4 (de) Werk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verstärkten Kunststoffteils
DE102011082624A1 (de) Trocknungskörper und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m solchen Trocknungskörper
KR20050079752A (ko) 중공성형된 합성수지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패널의 제조방법
US2020003107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and manufacture of molded components with vacuum assist
CN208052463U (zh) 一种用于制作可伸缩型连接座的模具
DE102014221158A1 (de) Mehrkomponentenspritzgussbauteil und Kunststoffspritzguss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Mehrkomponentenspritzgussbauteils
WO2015185250A1 (de) GEHÄUS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UND SPRITZGIEß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