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204B1 -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204B1
KR101338204B1 KR1020120075533A KR20120075533A KR101338204B1 KR 101338204 B1 KR101338204 B1 KR 101338204B1 KR 1020120075533 A KR1020120075533 A KR 1020120075533A KR 20120075533 A KR20120075533 A KR 20120075533A KR 101338204 B1 KR101338204 B1 KR 101338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glass fiber
jam
door fram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승학
Original Assignee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캡스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7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썩지 않도록 하여 교체의 필요성이 없으며, 원목에 가까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 및 이 문틀의 잼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도록 다단 절곡 구조로 형성되며, 유리섬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된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유리섬유의 고유 문양이 외부로 투시됨을 차단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표면 부위를 이루는 표면부로 이루어진 잼(jamb); 그리고, 상기 잼의 전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결합되는 브릭 몰드(brick mol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framework of a door and draw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jamb of the framework}
본 발명은 문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썩지 않도록 하여 교체의 필요성이 없으며, 원목에 가까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 및 이 문틀의 잼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틀은 건물의 출입구에 제공되는 출입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로써, 상기 출입구가 이루는 개구 부위의 내벽면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한 문틀은 양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측벽 프레임과, 상기 두 측벽 프레임의 상측 끝단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부벽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출입구의 특성이나 장소에 따라 상기 두 측벽 프레임의 하측 끝단 사이에는 하부 프레임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문틀을 이루는 각 프레임들은 목재나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 프레임들 간은 볼트 체결이나 요철 구조를 이용한 억지 끼움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결합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일반적인 문틀은 주로 목재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던 불편함이 있었다. 즉, 상기 목재의 경우는 습도나 오염에 의해 쉽게 썩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시되었던 것이다.
물론, 최근에는 상기 문틀의 외표면에 박판의 금속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틀의 외표면이 썩음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금속 재질의 문틀은 무게의 저감을 위해 박판을 다단으로 절곡시켜 만들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의 부딪힘에 의한 변형의 우려가 존재할 뿐 아니라 재질적인 특성에 의한 열팽창률로 인해 외부 온도에 따른 열 변형이 심하게 발생되었으며 금속 재질의 특성상 단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금속 재질은 재질적인 특성상 원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재질은 열팽창률이 높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문의 여닫힘이 상이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외부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문틀의 팽창이 발생됨과 더불어 외부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문틀의 수축이 발생되어 문의 여닫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오랜 기간이 소요되더라도 썩는 등의 변질이 없으면서도 충격에 강하고, 열에 따른 수축 팽창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계절이나 주변 온도에 상관없이 문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 및 이 문틀의 잼을 인발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문틀에 따르면 내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도록 다단 절곡 구조로 형성되며, 유리섬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된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유리섬유의 고유 문양이 외부로 투시됨을 차단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표면 부위를 이루는 표면부로 이루어진 잼(jamb); 그리고, 상기 잼의 전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결합되는 브릭 몰드(brick mol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잼을 이루는 심부는 매트(mat) 형태 혹은, 실 형태의 유리섬유를 합성수지에 함침하여 상기 매트부 및 표면부와 함께 일괄적으로 인발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잼을 이루는 매트부는 부직포 혹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직물 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잼을 이루는 표면부는 상기 매트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원목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베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잼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은 상기 수용홈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 서로 간이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인 상기 수용홈 내로 수용되는 부위의 양측 벽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입구용 문틀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에 따르면 매트 혹은, 실 형태의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한 형태의 유리섬유를 공급하는 유리섬유 공급부;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직물 매트 혹은, 부직포 등의 매트를 공급하는 매트 공급부;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 및 매트 공급부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나무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 재질의 베일을 공급하는 베일 공급부; 합성수지가 충진된 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리섬유가 통과되면서 상기 합성수지가 함침되도록 하는 수지 함침부; 상기 수지 함침부를 통과하면서 합성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이 순차적인 적층 구조로 일체화되도록 하면서 잼(jamb)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형상 성형부; 그리고, 상기 형상 성형부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성형된 성형체를 고온의 열기와 고압의 하중을 이용하여 재차적으로 성형하여 굳게 하는 몰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형상 성형부는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다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다이스에는 잼 형상의 성형공이 각각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다이스에 형성된 성형공은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점차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은 코어와 잼 및 브릭 몰드를 모두 목재로 형성하지 않고 유리섬유를 주 재질로 한 합성수지로 구성함에 따라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썩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 출입구용 문틀의 잼은 유리섬유를 주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열전달을 억제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고 온도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원활한 출입문의 여닫힘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며, 상기 잼은 상기 유리섬유를 주 재질로 하면서도 외표면은 그물망 형상의 직물과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원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잼은 인발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 중 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잼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를 평면에서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잼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 중 형상 성형부의 다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출입구용 문틀 및 이 문틀을 이루는 잼을 제조하기 위한 인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외관 및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100)은 코어(core)(110)와, 잼(jamb)(120) 및 브릭 몰드(brick mold)(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잼(120)은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을 합성수지에 함침한 후 일괄적으로 인발하여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코어(110)는 문틀(10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코어(110)가 비교적 견고한 재질인 폴리염화비닐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강도의 보강과 더불어 오랜 기간의 사용시에도 썩는 등의 변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잼(120)의 휨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잼(120)은 문틀(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써, 상기 코어(110)의 표면을 감싸면서 출입문의 사양에 맞도록 다단 절곡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잼(120)이 유리섬유를 인발하여 다단으로 절곡된 판형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하는데, 이는 상기 잼(120)의 주요 재질로써 유리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열팽창이나 열수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계절이나 주변 온도에 상관없이 출입문(10)이 원활히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잼(120)은 단순히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성형하거나 혹은, 몰드 금형으로만 몰드 성형하여 형성한 것이 아니라, 인발 공정을 통해 인발 성형함에 따라, 전체적인 강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연속적인 작업에 의한 제조 공정의 단순화와 제조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게 된 장점을 추가로 가진다.
이때, 상기 잼(120)의 다단 절곡 형상은 문틀(100)의 기본적인 형상에 기인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출입문(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절곡 부위의 단턱 높이가 결정됨과 더불어 건축물 벽면(20)에 관통 형성되는 출입구(21)의 두께에 따라 전체적인 폭이 결정되며, 더욱이 상기 잼(120)이 문틀(100)의 상단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양 측벽을 이루는 측벽 프레임으로 제공되는 등의 여부에 따라 상기 잼(120)의 전체적인 형상이 틀려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잼(120)은 크게 심부(121)와 매트부(122) 및 표면부(123)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심부(121)와 매트부(122) 및 표면부(123)를 일괄적으로 인발하여 성형됨을 제시하며,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심부(121)는 잼(120)의 내측 부위를 이루며, 매트(mat) 형태의 유리섬유와, 실 형태의 유리섬유를 합성수지에 함침시켜 상기 매트부(122) 및 표면부(123)와 함께 일괄적으로 인발하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심부(121)는 실 형태로 이루어진 유리섬유 원사(211)(도 5 참조)의 상하부에 매트 형태로 이루어진 유리섬유 매트(212)(도 5 참조)를 각각 감싸도록 하여 제조함을 그 실시예로 제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심부(121)는 실 형태로 이루어진 유리섬유 원사(211)로만 이루어지거나 혹은, 매트 형태로 이루어진 유리섬유 매트(212)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트부(122)는 상기 심부(121)의 외면을 감싸는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심부(121)를 이루는 유리섬유 원사(211) 혹은, 유리섬유 매트(212)의 고유 문양(예컨대, 가는 유리 파편과 같은 모양)이 외부로 투시됨을 차단하는 역할 및 상기 유리섬유의 유리가 외부로 돌출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한 유리섬유의 고유 문양이 외부로 투시되거나 혹은, 상기 유리섬유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됨으로 인한 사용자의 시각적 거부감을 상기 매트부(122)의 추가적 구성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매트부(122)는 부직포로 구성되거나 혹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직물 매트(221)(도 5 참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한 직물 매트(221)의 재질적 특징에 의해 상기 심부(121)를 이루는 유리섬유의 비침이나 돌출을 방지하면서도 합성수지와의 함침된 심부(121)와의 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인발 성형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표면부(123)는 상기 매트부(122)의 외면을 감싸면서 잼(120)의 표면을 이루는 부위로써, 원목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베일(veil)(231)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표면부(123)는 실질적으로 잼(120)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임을 고려할 때 원목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베일(veil)(231)(도 5 참조)로 형성하여 원목의 느낌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면이 매끄러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잼(120)은 전체가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 부위는 원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내측 부위는 유리섬유로 제공하여 강도의 확보와 열적 변형의 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심부(121)와 표면부(123) 사이에는 매트부(122)를 추가로 제공하여 유리섬유로 인한 거부감(시각적 거부감 및 촉각적 거부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잼(120)은 상기 심부(121)와 매트부(122) 및 표면부(123)를 단일의 인발 공정을 통해 일괄적으로 인발함으로써 형성하며, 이에 의해 상기 잼(120)은 강도의 향상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 역시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브릭 몰드(brick mold)(130)는 상기 잼(120)의 표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브릭 몰드(130)는 문틀과 출입구의 벽면 간 틈새를 가려주기 위한 구성이지만, 장식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잼(120)의 전방측 표면에는 그 테두리 부위를 따라 수용홈(124)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브릭 몰드(130)의 끝단은 상기 수용홈(124)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 서로 간이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브릭 몰드(130)의 끝단인 상기 수용홈(124) 내로 수용되는 부위의 양측 벽면에는 요철부(131)가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는, 상기 브릭 몰드(130)가 상기 수용홈(124)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한 요철부(131)로 인해 상기 수용홈(124) 내로부터 원치않게 빠지게 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출입구용 문틀 중 잼의 제조를 위한 인발장치(200) 및 이를 이용한 인발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발장치(200)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유리섬유 공급부(210)와, 매트 공급부(220)와, 베일 공급부와, 수지 함침부(240)와, 형상 성형부(250) 및 몰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210)는 유리섬유 원사가 감겨진 복수의 섬유 실패(도시는 생략됨)를 가짐과 더불어 유리섬유 매트가 감겨진 복수의 롤러(도시는 생략됨)를 가지면서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를 공급하는 부위이고, 상기 매트 공급부(220)는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210)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직물 매트 혹은, 부직포 등의 매트(221)를 공급하는 부위이며, 상기 베일 공급부(230)는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210) 및 매트 공급부(220)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나무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 재질의 베일(231)을 공급하는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 함침부(240)는 합성수지가 충진된 통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유리섬유 원사(211)가 통과되면서 상기 합성수지가 함침되도록 부위이다.
이때, 상기 수지 함침부(240) 내에 충전되는 합성수지는 폴리염화비닐(PVC)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리섬유 원사(211)와 폴리염화비닐 간의 혼합 및 경화를 통해 강성의 증대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수지 함침부(240) 내로는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210)를 통해 공급되는 유리섬유 매트(212)도 함께 통과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 성형부(250)는 상기 수지 함침부(240)를 통과한 유리섬유 원사(211)와 상기 매트 공급부(220)를 통해 공급되는 매트(221) 및 상기 베일 공급부(230)를 통해 공급되는 베일(231)을 서로 일체화시킴과 더불어 잼(120)의 기본적인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형상 성형부(250)가 복수의 다이스(dies)(251,252,253,25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는 평판 구조의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세워서 배치함과 더불어 각각은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와 유리섬유 매트(212)와, 매트(221) 및 베일(23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특히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의 면상에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잼(120) 형상의 성형공(251a,252a,253a,254a)이 각각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한 각 성형공(251a,252a,253a,254a)은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 유리섬유 매트(212), 매트(221) 및 베일(231)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점차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즉, 각 다이스(251,252,253,254) 중 후방측에 배치되는 다이스(251,252,253,254) 일수록 해당 다이스(251,252,253,254)의 성형공(251a,252a,253a,254a) 크기가 점차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몰드부(260)는 상기 형상 성형부(250)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성형된 성형체를 고온의 열기와 고압의 하중을 이용하여 재차적으로 성형함으로써 굳게 하는 부위이다.
상기한 몰드부(260)는 상부 금형(261) 및 하부 금형(2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두 금형(261,262)은 서로 간의 사이로는 상기 형상 성형부(250)를 통과한 성형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몰드부(260)의 성형체 유출측에는 상기 성형체를 파지하면서 인발하는 인발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인발기의 구조에 대하여는 기존의 성형체를 인발하는 다양한 종류의 인발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물론, 상기 인발기의 후공정 위치에는 절단기(도시는 생략됨)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인발 성형이 완료된 잼(120)을 출입구(21)의 크기나 폭에 따라 적절히 절단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출입구용 문틀(100)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200)를 이용한 잼(120)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발기를 동작시켜 유리섬유 공급부(210)의 각 섬유 실패(도시는 생략됨) 및 롤러(도시는 생략됨)에 감겨진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들을 인발함과 더불어 매트 공급부(220)에 감겨진 매트(221)와 베일 공급부(230)에 감겨진 베일(231)을 각각 인발한다.
이의 경우,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는 수지 함침부(240)를 통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수지 함침부(240)에 충전된 합성수지는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의 표면에 묻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가 함유된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와, 매트(221) 및 베일(231)은 형상 성형부(250)를 구성하는 각 다이스(251,252,253,254)의 성형공(251a,252a,253a,254a)을 일괄적으로 통과하면서 점차 잼(120)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 원사(211) 및 유리섬유 매트(212)는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에 형성된 성형공(251a,252a,253a,254a) 내의 저부측 부위를 통과하고, 상기 매트(221)는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에 형성된 성형공(251a,252a,253a,254a) 내의 중앙측 부위를 통과하며, 상기 베일(231)은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에 형성된 성형공(251a,252a,253a,254a) 내의 상부측 및 양측 부위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각 다이스(251,252,253,254)를 통과하면서 성형된 성형체는 유리섬유(211,212) 및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심부(121)와, 매트(221)에 의해 형성된 매트부(122) 및 베일(231)에 의해 형성된 표면부(123)를 일체형으로 갖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형상 성형부(250)를 통과하여 일차적인 성형이 이루어진 성형체는 몰드부(260)를 이루는 상부 금형(261) 및 하부 금형(262) 사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몰드부(2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성형체는 고온의 열기와 고압의 하중을 제공받아 재차적인 형상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몰드부(260)로부터 인출된 성형체는 완전한 잼(120)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후공정인 절단기로 제공되어 각 부위별 길이에 맞게 절단됨으로써 각 부위별 잼(120)의 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잼(120)은 건축물의 출입구(21)로 제공된 후 상기 잼(120)과는 별개로 제조된 코어(110) 및 브릭 몰드(130)와 결합됨으로써 해당 출입구(21)의 문틀(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잼(120)은 기 전술된 바와 같이 인발 공정을 통해 제조됨과 더불어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브릭 몰드(130)와의 결합시 상기 브릭 몰드(130)의 끝단은 상기 잼(120)에 형성된 수용홈(124) 내로 원활히 압입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브릭 몰드(130)의 끝단 외면에 형성된 요철부(131)의 추가적 구성으로 인해 상기 잼(120)의 수용홈(124) 내로 수용된 브릭 몰드(130)의 끝단은 상기 잼(120)의 수용홈(124) 내에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잼(120)은 유리섬유를 주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원활한 출입문(10)의 여닫힘이 가능하게 된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의 잼(120)은 상기 유리섬유를 주 재질로 한 심부(121)를 갖도록 하면서도 외표면은 원목의 문양이 형성된 폴리에스터 재질의 베일로 이루어진 표면부(123)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원목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심부(121)와 표면부(123) 사이에는 부직포나 직물 매트로 이루어진 매트부(122)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유리섬유의 고유한 형태가 외부로 투시되거나 혹은, 돌출됨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원목의 느낌을 온전히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문틀(100)의 썩음이 발생되지 않아서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교체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잼(120)은 인발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용 문틀(100)을 이루는 코어(110)는 반드시 제공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코어(110)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잼(120)이 문틀(100)로의 역할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코어(110)가 출입구(21)의 벽면에 의한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잼(120)의 휨을 방지하는 목적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10. 출입문 20. 벽면
21. 출입구 100. 문틀
110. 코어 120. 잼
121. 심부 122. 매트부
123. 표면부 124. 수용홈
130. 브릭 몰드 131. 요철부
200. 인발장치 210. 유리섬유 공급부
211. 유리섬유 원사 212. 유리섬유 매트
220. 매트 공급부 221. 매트
230. 베일 공급부 231. 베일
240. 수지 함침부 250. 형상 성형부
251,252,253,254. 다이스 251a,252a,253a,254a. 성형공
260. 몰드부 261. 상부 금형
262. 하부 금형

Claims (9)

  1. 내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코어(core);
    상기 코어의 표면을 감싸도록 다단 절곡 구조로 형성되며, 유리섬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된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유리섬유의 고유 문양이 외부로 투시됨을 차단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표면 부위를 이루는 표면부로 이루어진 잼(jamb); 그리고,
    상기 잼의 전면 테두리 부위를 따라 결합되는 브릭 몰드(brick mol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잼을 이루는 심부는 매트(mat) 형태 혹은, 실 형태의 유리섬유를 합성수지에 함침하여 상기 매트부 및 표면부와 함께 일괄적으로 인발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잼을 이루는 매트부는
    부직포 혹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직물 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잼을 이루는 표면부는
    상기 매트부의 외면을 감싸면서 원목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베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잼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은 상기 수용홈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 서로 간이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릭 몰드의 끝단인 상기 수용홈 내로 수용되는 부위의 양측 벽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
  8. 매트 혹은, 실 형태의 유리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한 형태의 유리섬유를 공급하는 유리섬유 공급부;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직물 매트 혹은, 부직포 등의 매트를 공급하는 매트 공급부;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 및 매트 공급부와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나무 문양이 인쇄된 폴리에스터 재질의 베일을 공급하는 베일 공급부;
    합성수지가 충진된 통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유리섬유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리섬유가 통과되면서 상기 합성수지가 함침되도록 하는 수지 함침부;
    상기 수지 함침부를 통과하면서 합성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이 순차적인 적층 구조로 일체화되도록 하면서 잼(jamb)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형상 성형부; 그리고,
    상기 형상 성형부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성형된 성형체를 고온의 열기와 고압의 하중을 이용하여 재차적으로 성형하여 굳게 하는 몰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성형부는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다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다이스에는 잼 형상의 성형공이 각각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다이스에 형성된 성형공은 상기 유리섬유와 매트 및 베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점차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용 문틀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KR1020120075533A 2012-07-11 2012-07-11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KR101338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33A KR101338204B1 (ko) 2012-07-11 2012-07-11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533A KR101338204B1 (ko) 2012-07-11 2012-07-11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204B1 true KR101338204B1 (ko) 2013-12-10

Family

ID=4998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533A KR101338204B1 (ko) 2012-07-11 2012-07-11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2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116B1 (ko) * 2015-09-24 2017-07-19 주식회사 존스 결로가 방지되는 금속문용 문틀
KR102219253B1 (ko) 2020-05-14 2021-02-24 엄지은 저온초전도선재의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79Y1 (ko) 2002-01-17 2002-04-17 서울임업(주)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이를 이용한 문틀
KR20030062147A (ko) * 2002-01-16 2003-07-23 박준석 조립식 문틀
KR20090121856A (ko) * 2008-05-23 2009-11-26 이봉조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2697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47A (ko) * 2002-01-16 2003-07-23 박준석 조립식 문틀
KR200272179Y1 (ko) 2002-01-17 2002-04-17 서울임업(주) 천연무늬목을 랩핑한 합성목재 및 이를 이용한 문틀
KR20090121856A (ko) * 2008-05-23 2009-11-26 이봉조 문틀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2697A (ko) * 2010-02-10 2011-08-18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116B1 (ko) * 2015-09-24 2017-07-19 주식회사 존스 결로가 방지되는 금속문용 문틀
KR102219253B1 (ko) 2020-05-14 2021-02-24 엄지은 저온초전도선재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204B1 (ko) 출입구용 문틀 및 그의 잼 제조용 인발장치
WO2017216809A3 (en) A composites product; a pultrusion continuou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A2561137A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s and building structures comprising fiber-reinforced composites
KR101323997B1 (ko) 섬유질과 수지가 함침된 합성목재데크 및 이를 생산하는 생산장치와 생산방법
CN203473027U (zh) 玻纤增强聚氨酯/pp蜂窝夹芯复合车用地板
KR101167823B1 (ko) 내구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승강식 도어의 도어패널
GB2471265A (en) Reinforced door
CN208379792U (zh) 一种可拆卸折叠集装箱式活动板房
CN103434427A (zh) 玻纤增强聚氨酯/纸蜂窝夹芯复合车用卧铺板及制备工艺
FR2440261A1 (fr) Procede et moule pour la realisation d'un quelconque produit a parement en matiere synthetique, et produit correspondant
JP2013217093A (ja) 断熱パネル
KR101347337B1 (ko) 이음새 없는 섬유강화플라스틱 공업화 주택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07717A1 (en) Building material for doors and window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514778B1 (ko) 폼블록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폼블록 성형방법
CN104895465A (zh) 一种塑钢窗及其制作方法
CN111546724B (zh) 一种集装箱木塑底板及其制备方法
KR200403420Y1 (ko) 휨보강재가 삽입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을 이용한이중바닥구조용 바닥 구성재
KR200390872Y1 (ko) 창호용 보강재
CN210087165U (zh) 一种复合材料阻燃隔音门
KR200465651Y1 (ko) 복합 창틀
CN202970356U (zh) 新型结构的耐火门框型材
CN203449988U (zh) 玻纤增强聚氨酯/纸蜂窝夹芯复合车用卧铺板
KR100957100B1 (ko) 차량용 범퍼 백빔 성형방법
CN205532194U (zh) 一种建筑外遮阳卷帘的连接装置
KR100947850B1 (ko) 내장용 패널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