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319B1 -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9319B1 KR101709319B1 KR1020160040367A KR20160040367A KR101709319B1 KR 101709319 B1 KR101709319 B1 KR 101709319B1 KR 1020160040367 A KR1020160040367 A KR 1020160040367A KR 20160040367 A KR20160040367 A KR 20160040367A KR 101709319 B1 KR101709319 B1 KR 1017093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learner
- concentration
- confirmation
- provi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3016 learn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6096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802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92 diminish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86 learning perform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44 Bra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496 Disturbance in atten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42 behavior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1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 G09B7/1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확인 학습의 문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를 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학습자의 집중력 부족도를 평가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의 문제 모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의 제공 시점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학습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집중력 모드의 문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3 : 학습 제공 서버 300 : 홈 페이지
Claims (22)
- 각 단계별로 소정 이상의 점수를 받는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의 어려울수록 학습 단계가 높아지는 복수개의 단계로 구성된 난이도의 단계가 높아지는 문제 풀이의 학습을 제공하는 학습 제공부;
제공된 단계에서 소정 미만의 점수를 받은 학습자의 단계가 발생되면, 집중력의 부족인지 학습의 부족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발생된 단계와 동일한 난이도의 단계를 갖는 상기 문제 풀이의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확인 학습 제공부;
상기 확인 학습에서 학습자가 소정 미만의 점수를 받으면, 학습자가 상기 학습의 부족에 의해 확인 학습의 단계를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실패된 확인 학습의 단계보다 1단계 낮은 난이도의 단계를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로 결정하고, 결정된 최종 학습 단계와 최초 확인 학습 단계의 차이가 클수록 집중력 부족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최종 학습 단계 결정부;
상기 확인 학습에서 학습자가 소정 이상의 점수를 받으면, 학습자가 상기 집중력의 부족에 의해 확인 학습을 거쳤으나 집중력의 유지에 의해 확인 학습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제공부로 1단계 높아진 난이도 단계의 학습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집중력의 부족으로 인한 확인 학습의 이력을 기록하는 확인 학습 이력 기록부;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가 결정되면, 기록된 확인 학습의 이력의 학습자를 집중력 개선 학습의 학습자로 결정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자 결정부; 및
결정된 집중력 개선 학습의 학습자에게, 최종 학습 단계보다 1단계 높은 난이도 단계의 학습 내용과 문제 풀이를 포함하고,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에 집중력 개선의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의 효과가 부가되는 집중력 모드로 구성되고, 판단된 집중력 부족이 클수록 상기 집중력 모드의 비중이 늘어나는 집중력 개선 학습을 제공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제공부는,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가 결정되면, 주제별로 분류되고, 분류된 주제의 난이도의 단계별로 복수의 문제가 저장된 문제 풀이 DB로부터 상기 확인 학습의 이력에 기록된 주제와 동일한 주제에 관련되는 단계별 문제들을 조회하여 상기 학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학습 제공부는,
평균 미만의 점수를 받은 학습자의 단계에서 학습자가 틀린 문제와 관련되는 복수의 확인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학습 제공부는, 학습자가 평균 미만의 점수를 받은 단계에서,
틀린 문제의 질문을 변경한 문제;
틀린 문제의 선택안을 변경한 문제;
틀린 문제의 질문과 답을 변경한 문제; 및
틀린 문제의 화면 출력을 음성 출력으로 변경하거나 음성 출력을 화면 출력으로 변경한 문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 개선 학습은,
학습 단계의 문제를 제공한 후, 문제의 평균 풀이 시간까지 시간을 지연 처리하여 학습자가 정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식;
문제를 구성하는 질문, 각각의 선택안 및 정답 제출을 포함하는 항목마다 확인 버튼을 두고, 확인 버튼의 학습자 입력을 수신하면 다음 항목과 확인 버튼을 제공하는 방식;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을 병행하여 제공하는 방식;
복수의 선택안 중에서 학습자가 맞다고 선택하는 선택안과 틀리다고 선택하는 선택안에 대해 고유한 표시 효과를 제공하는 방식;
출제자로부터 질문 및 선택안을 포함하는 문제 내용에 대해 키워드를 등록받고, 문제 내용에서 등록된 키워드를 별도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방식; 및
학습자의 집중력이 방해되는 상황에서 더 집중력을 기울이게 하는 백색 소음이 출력되는 문제를 제공하는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출제되는 문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 개선 학습 제공부는,
학습자의 최근 오답률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집중력의 개선을 촉구하는 화면 문구 또는 음성 멘트를 출력하여 문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 개선 학습 제공부는,
전체 학습자의 평균 오답률 이상의 문제별 평균 오답률을 갖는 문제를 제공할 때, 집중력의 개선을 촉구하는 화면 문구 또는 음성 멘트를 출력하여 문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 개선 학습 제공부는,
전체 학습자의 문제별 평균 정답률이 소정 이상이 되는 문제를 학습자가 틀리면 대응되는 학습 내용을 제공하여 다시 한번 문제를 풀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 학습 제공 시스템이 실행하는 학습 제공 방법에 있어서,
(a)각 단계별로 소정 이상의 점수를 받는 학습자에게 학습 내용의 어려울수록 학습 단계가 높아지는 복수개의 단계로 구성된 난이도의 단계가 높아지는 문제 풀이의 학습을 제공하는 학습 제공 단계;
(b)제공된 단계에서 소정 미만의 점수를 받은 학습자의 단계가 발생되면, 집중력의 부족인지 학습의 부족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발생된 단계와 동일한 난이도의 단계를 갖는 상기 문제 풀이의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확인 학습 제공 단계;
(c)상기 확인 학습에서 학습자가 소정 미만의 점수를 받으면, 학습자가 상기 학습의 부족에 의해 확인 학습의 단계를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실패된 확인 학습의 단계보다 1단계 낮은 난이도의 단계를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로 결정하고, 결정된 최종 학습 단계와 최초 확인 학습 단계의 차이가 클수록 집중력 부족이 큰 것으로 판단하는 최종 학습 단계 결정 단계;
(d)상기 확인 학습에서 학습자가 소정 이상의 점수를 받으면, 학습자가 상기 집중력의 부족에 의해 확인 학습을 거쳤으나 집중력의 유지에 의해 확인 학습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난이도의 단계가 1단계 높아진 상기 단계(a)의 학습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집중력의 부족으로 인한 확인 학습의 이력을 기록하는 확인 학습 이력 기록 단계;
(e)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가 결정되면, 확인 학습의 이력이 기록된 학습자를 집중력 개선 학습의 학습자로 결정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자 결정 단계; 및
(f)결정된 집중력 개선 학습의 학습자에게, 최종 학습 단계보다 1단계 높은 난이도 단계의 학습 내용과 문제 풀이를 포함하고, 일반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에 집중력 개선의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의 효과가 부가되는 집중력 모드로 구성되고, 판단된 집중력 부족이 클수록 상기 집중력 모드의 비중이 늘어나는 집중력 개선 학습을 제공하는 집중력 개선 학습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학습자의 최종 학습 단계가 결정되면, 주제별로 분류되고, 분류된 주제의 난이도의 단계별로 복수의 문제가 저장된 문제 풀이 DB로부터 상기 확인 학습의 이력에 기록된 주제와 동일한 주제에 관련되는 단계별 문제들을 조회하여 상기 학습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평균 미만의 점수를 받은 학습자의 단계에서 학습자가 틀린 문제와 관련되는 복수의 확인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학습자가 평균 미만의 점수를 받은 단계에서,
틀린 문제의 질문을 변경한 문제;
틀린 문제의 선택안을 변경한 문제;
틀린 문제의 질문과 답을 변경한 문제;
틀린 문제의 정답을 정답으로 하는 새로운 질문의 문제; 및
틀린 문제의 화면 출력을 음성 출력으로 변경하거나 음성 출력을 화면 출력으로 변경한 문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 학습을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력 개선 학습은,
학습 단계의 문제를 제공한 후, 문제의 평균 풀이 시간까지 시간을 지연 처리하여 학습자가 정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식;
문제를 구성하는 질문, 각각의 선택안 및 정답 제출을 포함하는 항목마다 확인 버튼을 두고, 확인 버튼의 학습자 입력을 수신하면 다음 항목과 확인 버튼을 제공하는 방식;
화면 출력 및 음성 출력을 병행하여 제공하는 방식;
복수의 선택안 중에서 학습자가 맞다고 선택하는 선택안과 틀리다고 선택하는 선택안에 대해 고유한 표시 효과를 제공하는 방식;
출제자로부터 질문 및 선택안을 포함하는 문제 내용에 대해 키워드를 등록받고, 문제 내용에서 등록된 키워드를 별도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방식; 및
학습자의 집중력이 방해되는 상황에서 더 집중력을 기울이게 하는 백색 소음이 출력되는 문제를 제공하는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출제되는 문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학습자의 최근 오답률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집중력의 개선을 촉구하는 화면 문구 또는 음성 멘트를 출력하여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전체 학습자의 평균 오답률 이상의 문제별 평균 오답률을 갖는 문제를 제공할 때, 집중력의 개선을 촉구하는 화면 문구 또는 음성 멘트를 출력하여 문제를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는,
전체 학습자의 문제별 평균 정답률이 소정 이상이 되는 문제를 학습자가 틀리면 대응되는 학습 내용을 제공하여 다시 한번 문제를 풀 것을 안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2869 | 2016-01-08 | ||
KR20160002869 | 2016-01-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319B1 true KR101709319B1 (ko) | 2017-03-08 |
Family
ID=5840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367A Active KR101709319B1 (ko) | 2016-01-08 | 2016-04-01 |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3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212B1 (ko) * | 2018-01-25 | 2019-07-18 | 심현보 | 인공지능 타이머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공부시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9098A (ko) * | 2003-11-21 | 2005-05-25 | 에듀토피아중앙교육 주식회사 | 개인별 보충 및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10107454A (ko) * | 2010-03-25 | 2011-10-04 | 최영민 | 학습 몰입 강화를 위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KR20140071746A (ko) * | 2012-12-04 | 2014-06-12 | 이해덕 |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50033050A (ko) * | 2013-09-23 | 2015-04-01 | (주)이든교육 |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
-
2016
- 2016-04-01 KR KR1020160040367A patent/KR1017093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9098A (ko) * | 2003-11-21 | 2005-05-25 | 에듀토피아중앙교육 주식회사 | 개인별 보충 및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KR20110107454A (ko) * | 2010-03-25 | 2011-10-04 | 최영민 | 학습 몰입 강화를 위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KR20140071746A (ko) * | 2012-12-04 | 2014-06-12 | 이해덕 |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50033050A (ko) * | 2013-09-23 | 2015-04-01 | (주)이든교육 |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
KR101525920B1 (ko) | 2013-09-23 | 2015-06-04 | (주)이든교육 |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212B1 (ko) * | 2018-01-25 | 2019-07-18 | 심현보 | 인공지능 타이머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공부시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aun et al. | The deaf mentoring survey: A community cultural wealth framework for measuring mentoring effectiveness with underrepresented students | |
Tecedor et al. | Videoconferencing and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nsights from students' self‐reflections | |
US9672752B2 (en) | Learning assistance server, learning assistance system, and learning assistance program | |
Lim et al. | Standard setting to an international reference framework: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 |
KR20190123105A (ko) | 사용자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20110165550A1 (en) | Management system for online test assessment and method thereof | |
KR20170100491A (ko) | 게임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의 능력, 실력 및 관심사의 확인 | |
CN108122437A (zh) | 自适应学习方法及装置 | |
US20190266909A1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n examination | |
JP6142491B2 (ja) | 学習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学習通信システム | |
Nichols et al. | Standard‐setting methods as measurement processes | |
US2021006557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mptly connecting a knowledge seeker to a subject matter expert | |
KR102091789B1 (ko) | 온라인 기반의 자기 주도 학습 코칭 방법 | |
CN111739366B (zh) | 基于自洽性体系的自适应考前冲刺在线学习方法及系统 | |
KR102231392B1 (ko) | 빅 데이터 및 머신 러닝 모델을 이용한 추천 교육 컨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Nizam et al. | Scheme for cheating prevention in online exams during social distancing | |
JPWO2006093065A1 (ja) | 学習レベル判定装置及び学習レベル判定プログラム | |
Hatcher et al. | The IIS–32: A brief inventory of interpersonal strengths | |
KR102091258B1 (ko) | 인공지능 제어 이러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1709319B1 (ko) |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 |
US20150364051A1 (en) | Generating a comprehension indicator that indicates how well an individual understood the subject matter covered by a test | |
Baldwin et al. | The choice of response probability in bookmark standard setting: an experimental study | |
KR102179957B1 (ko) |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보완 문제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CN118644203A (zh) | 一种面向实践项目的选课系统 | |
Miočić et al. | The positive attitude approach for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An untrodden path for policy and pract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