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050A -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050A
KR20150033050A KR20130112525A KR20130112525A KR20150033050A KR 20150033050 A KR20150033050 A KR 20150033050A KR 20130112525 A KR20130112525 A KR 20130112525A KR 20130112525 A KR20130112525 A KR 20130112525A KR 20150033050 A KR20150033050 A KR 2015003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s
interference
content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5920B1 (ko
Inventor
장기영
Original Assignee
(주)이든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든교육 filed Critical (주)이든교육
Priority to KR102013011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9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은,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학습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도록 재생되는 간섭 컨텐츠;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간섭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간섭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상기 학습 컨텐츠와 상기 간섭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간섭효과 설정모듈; 상기 통합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재생하여 학습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모듈;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학습장애자에게 교육용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자극적인 소리, 영상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학습장애자의 주의를 환기하면서 집중력을 고취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CENTRATION REINFORCEMENT LEARNING FOR LEARNING DISABLED}
본 발명은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발달지체, 학습장애가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컨텐츠를 문제 형식으로 제공하되 해당 학습 컨텐츠에 학습자의 주의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극적인 컨텐츠, 일명 간섭 효과 컨텐츠(noise effect contents 또는 간섭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자의 문제 해결 능력 고취는 물론 집중력 향상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을 이용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크게 발달하고 있다.
즉, 학습자가 직접 교사와 대면한 상태에서 수업을 받던 과거 방식에서 현재에는 온라인 방식으로 1:N 방식(1명의 교사가 N명의 학습자와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의 원격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영상, 음성, 소리, 그림 등의 다채로운 학습 컨텐츠가 PC, 스마트폰 등을 매개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상태이다.
더욱이 일반 학습자 이외에 특성화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특수한 교육 및 학습 시스템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바, 여기서 특성화된 학습자는 특목고 진학생, 창업 보육생, 학습장애자 등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학습장애자는 학습 능력이 또래에 비해 떨어지는 학습자를 의미하는데, 주로 집중력 저하, 주의력 결핍이나 산만한 상태를 가진 학습자가 그 대상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학습장애자는 일반인과 다른 방식으로 교육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공보를 참조하면 학습장애자를 위한 학습 제공 기술이 다수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02-0058145호는 환자의 읽기/쓰기/셈을 원격 방식으로 진단 및 진료하는 기술인데, 이 기술은 단지 진단만 수행할 뿐 학습장애자에 특화된 교육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2-0135950호의 경우 장애자를 대상으로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공개하나 시각장애자에 한정된 학습 정보를 제공한다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신체적인 장애가 아니라 주의력이 산만한 학습장애자를 대상으로 단순히 진단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학습을 제공하면서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습장애자에게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진 문제를 제공하는 동안 자극을 부여하여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집중력을 도모함으로써 문제 풀이 능력 및 집중력을 고취하는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제를 수록한 학습 컨텐츠 및 자극을 수록한 간섭 컨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함과 아울러 간섭 컨텐츠에서 전달하는 자극의 정도 역시 분류하여 학습장애자 별로 차등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섭 컨텐츠에 대한 자극을 실제 학습장애자가 어떻게 느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학습장애자에게 전달된 자극의 경중(輕重)에 따라 간섭 컨텐츠의 자극을 차등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학습자의 장애 정도를 분류함과 동시에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세부적 기록을 로그 정보로 생성하여 학습자에 대한 합리적인 피드백 교육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은,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학습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도록 재생되는 간섭 컨텐츠;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간섭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간섭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상기 학습 컨텐츠와 상기 간섭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간섭효과 설정모듈; 상기 통합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재생하여 학습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모듈;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간섭 컨텐츠의 형식,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학습 컨텐츠와 간섭 컨텐츠의 통합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시스템은, 의사의 진단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장애도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 코드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는 학습자 분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장애 코드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간섭 컨텐츠를 기준으로 재생시간의 장단 차이, 텍스트/그림/영상 형식에 대한 재생 사이즈 및 색상의 차이, 소리/음성에 대한 dB의 차이에 따라 자극도를 부여하여 이를 자극도 코도로 생성 처리하는 자극도 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자극도 코드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정답 여부 정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파악하는 정답 여부 기반부와, 상기 간섭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에 학습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학습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자극을 파악하는 동공 변화 감지부를 구비한 피드백 분석모듈; 상기 정답 여부 및 동공 변화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된 간섭 컨텐츠를 변경 처리하고, 변경된 간섭 컨텐츠를 학습 컨텐츠에 재동기화하는 간섭효과 차등 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학습장애자에게 교육용 학습을 진행하는 동안 자극적인 소리, 영상, 텍스트 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학습장애자의 주의를 환기하면서 집중력을 고취시키고,
2) 학습자의 장애 수준 등에 따라 다양한 문제를 수록한 학습 컨텐츠는 물론 다양한 자극을 구비한 간섭 컨텐츠를 교사의 수동 선별 내지 자동 선별로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3) 학습장애자가 느끼는 자극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학습장애자가 느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추후 제공될 자극을 차등 선택할 수 있어 효율적 피드백 체계를 수립할 뿐 아니라,
4) 교사가 학습 컨텐츠에 제공되는 자극을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편리하고 수월한 학습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 기능을 개략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효과 라이브러리의 분류 체계를 예시한 블록도.
도 4는 간섭효과 설정모듈에 구비된 사용자 툴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학습자의 피드백 학습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 기능을 개략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정상 학습자와 달리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산만한 학습장애자를 대상으로 문제 형태로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10)를 제공할 때 해당 학습 컨텐츠(10)에 간섭 컨텐츠(20)를 함께 제공, 즉 동기화하여 생성된 통합 컨텐츠(30)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자의 주의가 분산되지 않고 문제 풀이에 집중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학습장애자란, 의학적으로 경계성 장애, 발달지체,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학습자를 비롯하여 정상인보다 유달리 집중력이 떨어지는 학습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장애자는 전문가인 의사의 진단 아래 각기 다른 집중도를 가진 학생들로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 예측되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장애자 대상으로 다양한 집중도 분포를 가진 학습자를 포괄할 수 있는 집중력 학습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간섭 효과'(Noise effect)는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즉 문제가 제공되는 동안에 학습 컨텐츠(10)의 형식, 내용 등을 벗어난 일종의 자극이 일정시간동안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간섭 효과는 문제 출제 도중 갑자기 소음이 나오거나 문제와 상관없는 동영상이 재생되면서 학습자에게 특이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간섭 컨텐츠(20)를 통해 제공되어 간섭효과 라이브러리(25)에 저장되어 있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학습 컨텐츠(10) 및 간섭 컨텐츠(20)는 유형, 난이도, 재생구조 내지 제공시점 등으로 규정된 팩터(factor) 별로 특정한 코드를 부여받은 상태로 분류/저장되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학습장애자의 수준 및 문제 풀이 능력에 따라 획일적이지 않고 맞춤식으로 다양한 학습 컨텐츠(10)와 간섭 컨텐츠(20)를 조합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동일한 학습자라 하더라도 제공된 간섭 효과에 따라 문제에 적응하지 못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간섭 효과의 변화를 주도록 피드백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10),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120), 학습자 분류모듈(130), 간섭효과 설정모듈(140), 문제 제공모듈(150), 평가모듈(160)을 기본으로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로그 기록모듈(170), 피드백 분석모듈(180), 간섭효과 차등 제공모듈(19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10)은 다양한 학습 컨텐츠(10)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학습 컨텐츠(10), 형식 분류부(111), 난이도 분류부(112), 재생구조 분류부(113), 내용 분류부(114), 코드 관리부(115)로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이 분류된 학습 컨텐츠(10)는 학습 라이브러리(15)에 저장되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10)는 학습자(학습장애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로서, 문제 형식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학습자에게 정답 입력을 요구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학습 컨텐츠(10)는 형식(텍스트, 음성, 시각 영상, 시청각 영상), 난이도(학년별, 장애등급/유형별 등), 재생구조(재생시간, 영상의 경우 1초당 프레임 수), 내용(학습 내용 : 국어, 역사, 과학, 산수/수학 등의 대분류 및 역사-인물, 사건 등의 소분류)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입각하여 대-중-소 등의 세부 분류로 후술할 구성에 의하여 분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다양한 문제 형식의 학습 컨텐츠(1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형식 분류부(111)는 학습 컨텐츠(10)의 형식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텍스트, 소리, 음성(사람의 음성), 시각 영상(소리 없이 시각적 영상만으로 이루어진 것), 시청각 영상(소리를 포함한 영상)으로 분류를 함과 동시에 각각의 학습 컨텐츠(10)에 일명 '형식 코드'를 부여하여 학습 라이브러리(15)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형식 코드는 예를 들어 텍스트-A, 소리-B, 음성-C 등으로 구분된 분류 인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후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전제 기준을 제공하고 후술할 코드 관리부(115)에 의하여 모든 학습 컨텐츠(10)는 후술할 여러 코드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부여받게 된다. 즉, 통합 코드는 형식 코드는 물론 후술할 난이도 코드, 제생구조 코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코드 관리부(115)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언급하도록 한다.
난이도 분류부(112)는 학습 컨텐츠(10)의 난이도를 등급 별로 구분지어 분류한 난이도 코드를 부여하면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난이도는 주관적인 기준 또는 애매한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정상 교과 학년(초/중/고등학생 교과서 기준)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난이도 코드는 예를 들어 초1, 중2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재생구조 분류부(113)는 학습 컨텐츠(10)의 재생시간, 영상의 경우 1초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 수를 미리 측정하여 이를 재생구조 코드로서 규정짓고 분류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2분간 재생되며 1초당 30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의 경우 '120s30f'와 같은 재생구조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내용 분류부(113)는 학습교과 과목을 기준으로 학습 컨텐츠(10)를 분류하는 것으로, 내용은 대분류에서 소분류까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분류는 국어, 수학, 과학, 영어, 역사와 같이 교과 과목을 기준으로 분류를 하고, 중분류는 예를 들어 역사의 경우 인물, 사건, 제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소분류의 경우 상기 인물에서 왕, 장군, 학자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드 관리부(115)는 상기 형식 코드, 난이도 코드, 재생구조 코드, 내용 코드를 통합하여 일명 '통합 코드'를 생성하여 학습 라이브러리(15)의 코드 DB에 저장 처리하고 해당 통합 코드를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합 코드는 각각의 학습 컨텐츠(10)에 대한 세부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분류하여 여러 간섭 컨텐츠(20)와의 다양한 융합/동기화 기반을 편리하게 선택 및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통합 코드는 복수 개의 자리로 이루어져 각 자리에 세부적인 코드가 할당되어 있어 각각의 코드 자리를 해석하는 것으로 학습 컨텐츠(10)의 세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원리는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된다.
즉, 코드 관리부(115)는 학습 컨텐츠(10)에 통합 코드를 부여하여 각각의 자리에 할당된 세부 코드 별로 학습 컨텐츠(10)를 해석한 다음 역시 간섭 컨텐츠(20)에 부여된 간섭 코드와 비교 매칭 처리하는 방식으로 해당 학습 컨텐츠(10)에 적합한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간섭효과 라이브러리(25)에 코드 별로 분류 및 저장된 간섭 컨텐츠(20)에 대한 세부 코드를 해당 학습 컨텐츠(10)의 세부 코드와 매칭하여 상호 일치하거나 유사한 코드를 가진 간섭 컨텐츠(20)를 편리하게 호출하거나 선택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코드 관리부(115)는 후술할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를 해석하여 간섭효과 라이브러리에 역시 별로도 마련된 코드 DB에 분류 및 호출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효과 라이브러리의 분류 체계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120)은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1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간섭 컨텐츠(20)를 기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특정 코드를 부여함과 동시에 간섭 라이브러리(25)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형식 분류부(121), 자극도 분류부(122), 내용 분류부(12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간섭 컨텐츠(20)라 함은 학습 컨텐츠(10)가 재생될 때 일반적인 흐름을 깨는 자극적인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쉽게 말해 문제를 풀기 위한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다가 갑자기 놀랄만한 자극을 가진 텍스트, 소리,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재생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간섭 컨텐츠(20)는 음성 형식의 학습 컨텐츠(10)가 재생될 때, 엄마 음성의"얼른 일어나!"가 출력되거나, "참 잘했어요!"같은 음성 형태로 출력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음성과 "따르릉 거리는 자명종 시청각 영상"이 함께 조합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간섭 컨텐츠(20)는 소리/음성의 경우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도중 재생되도록 하고, 텍스트/그림/영상의 경우 학습 컨텐츠(10)가 차지하는 재생 레이아웃 중 일부 공간에 배치가 되거나 학습 컨텐츠(10)의 재생을 잠시 멈추고 간섭 컨텐츠(20)가 재생되는 방식을 자유로이 취할 수 있다.
즉, 간섭 컨텐츠(20)는 학습자를 놀라게 하는 자극을 줌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합리적인 객체로서, 텍스트(글자 및 문자, 그림)/음성 및 소리/영상 등의 형식을 가지고 이들이 2개 이상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형식 분류부(121)와 내용 분류부(123)는 상술한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10)의 대응 구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여 각각 형식 코드, 내용 코드를 삽입하는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자극도 분류부(122)는 간섭 컨텐츠(20)가 제공하는 간섭/자극의 정도/세기 차이(본 발명에서는 이를 '자극도'라 한다)를 구분 짓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극도를 크게 4가지 분류로 규정한다.
첫 째는 간섭 컨텐츠(20)의 재생시간의 장단(長短) 차이이고, 둘째는 간섭 컨텐츠(20) 중 텍스트/그림/영상의 재생 크기(즉, 학습 컨텐츠의 재생 사이즈 중 간섭 컨텐츠가 차지하는 사이즈)의 차이, 셋째는 간섭 컨텐츠(20) 중 그림/텍스트/영상(시각, 시청각)의 배경 색상(영상의 레이아웃 색상)/지배 색상(영상 자체를 지배하는 색상)의 보색 내지 명도 차이, 넷째는 간섭 컨텐츠(20) 중 소리/음성의 dB 차이로 자극도를 분류할 수 있다.
즉, 자극도 분류부(122)는 상기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된 자극도에 따라 간섭 컨텐츠(20)를 분류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간섭 켄텐츠(20)에 자극도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학습자 분류 모듈(130)은 의사 등의 전문가의 진단을 기준으로 학습자의 장애 정도를 등급/레벨 처리한 다음 각각의 학습자에게 장애 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학습자 분류모듈(130)은 선택적 구성으로서, 특정 학습 컨텐츠(10)에 대해 최적의 간섭 컨텐츠(20)를 선택 및 동기화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장애 수준을 간섭 컨텐츠(20)의 선별 기준으로 수립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섭효과 설정모듈(140)은 특정한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여 학습자의 장애 수준에 따라 교사 등에 의해 미리 선별된 학습 컨텐츠(10)에 적용 및 동기화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택부(141), 조합부(142), 제공 상태 설정부(143), 재공 시점 설정부(144), 동기화부(145)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간섭효과 설정모듈(140)은 간섭 컨텐츠(20)의 수동 설정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툴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간섭효과 설정모듈에 구비된 사용자 툴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사용자 툴(40)은 교사가 수동으로 간섭 컨텐츠(20)를 편리하게 선택하기 위해 교사의 PC, 모바일 환경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으로서, 학습 라이브러리(15) 및 간섭효과 라이브러리(25)와 연동됨과 동시에 간섭효과 설정모듈(140)의 후술할 세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툴(30)은 간섭효과 설정모듈(140)의 수동 설정 기능, 즉 교사가 특정 학습 컨텐츠를 기준으로 이에 맞는 간섭 컨텐츠(20)를 선택, 조합, 상태/제공시점 설정을 하여 학습 컨텐츠(10)와 동기화할 수 있는 설정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 툴(30)은 기본적으로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겸비하여 다양한 형식의 학습 컨텐츠(10)/간섭 컨텐츠(20)를 재생함과 동시에 편집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따라 간섭 컨텐츠(20)의 형식적 편집(간섭 컨텐츠가 학습 컨텐츠에서 재생되는 위치, 사이즈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학습 컨텐츠(10)와 간섭 컨텐츠(20)를 합체(본 발명에서는 이를 '동기화'라 한다)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선택부(141)는 교사 등에 의하여 기 선택된 학습 컨텐츠(10)에 적용될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것으로, 학습 컨텐츠(10)의 통합 코드 및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를 비교 처리하여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학습 컨텐츠(10)/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를 비교 처리하는 방식은 상호 동일/유사한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방식과 세부 코드가 서로 다른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방식, 세부 코드 중 내용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코드가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택부(141)는 1차적으로 학습 컨텐츠(10)와 간섭 컨텐츠(20) 각각의 통합 코드를 구성하는 세부 코드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 및 2차적으로 세부 코드의 일치/비일치에 대한 코드 개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일치된 코드 개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간섭효과가 강한 간섭 컨텐츠(20)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복수 개의 간섭 컨텐츠(20)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학습 컨텐츠(10)와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에서 세부적인 코드가 다를수록 간섭효과가 강해지는데 이 경우 장애 정도가 심한 학습자에게 적합하다. 즉 선택부(141)에서 선택되는 간섭 컨텐츠(20)와 학습 컨텐츠(10) 간 이질적인 정도는 학습자의 장애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바, 정리하면 선택부(141)는 상기 장애 코드에 따라 학습 컨텐츠(10)의 통합 코드와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의 일치 여부에 차등 비교 설정 기준(장애정도에 따라 간섭효과가 강한 간섭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세부 코드의 일치된 개수 선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조합부(142)는 상기 선택부(141)에서 선택된 간섭 컨텐츠(20)를 하나의 재생 매체로 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간섭 컨텐츠(20)가 조합된 것을 '조합 간섭 컨텐츠'라고도 한다.
특히,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진 간섭 컨텐츠(20) 간의 조합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제 1,2 간섭 컨텐츠를 조합할 경우 제 1 간섭 컨텐츠는 자명종 소리로 이루어진 소리 형식의 컨텐츠이고, 제 2 간섭 컨텐츠는 자명종 영상으로 이루어진 시각 영상일 수 있다.
특히 영상과 다른 형식의 간섭 컨텐츠(20)가 조합되는 경우에는 해당 영상 내의 일부 위치에 텍스트/그림을 삽입하여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삽입된 텍스트/그림의 컨텐츠가 같이 재생되도록 조합 간섭 컨텐츠가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소리 형식의 컨텐츠도 마찬가지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간섭 컨텐츠(20)를 조합하는 이유는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간섭효과의 다양성을 부가함과 동시에 간섭효과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즉, 단지 하나로 이루어진 간섭 컨텐츠(20)에 의한 간섭효과보다 강도 높고 다채로운 간섭 컨텐츠(20)를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조합이 되는 간섭 컨텐츠(20)는 간섭 컨텐츠(20)의 통합 코드를 기준으로 코드의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2개 이상의 간섭 컨텐츠(20)를 선별하여 조합하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아니면 교사 등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합될 간섭 컨텐츠(20)가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공 상태 설정부(143)는 학습 컨텐츠(10)에서 재생될 간섭 컨텐츠(20)(특히 소리 이외의 시각적 컨텐츠)의 위치, 사이즈, 볼륨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툴을 통해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간섭 컨텐츠(20)는 학습 컨텐츠(10)에 종속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구조에 맞게 간섭 컨텐츠(20)를 재생할 수 있는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데 바로 상기 제공 상태 설정부(143)에서 기본적인 상태(즉 위치, 사이즈, 볼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툴(40)에서 학습 컨텐츠(10)를 활성 처리한 다음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방식이 지원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학습 컨텐츠(10) 내에 간섭 컨텐츠(20)를 삽입하고 간섭 컨텐츠의 사이즈 증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제공 시점 설정부(144)는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도중에 간섭 컨텐츠(20)(조합 간섭 컨텐츠 포함)가 재생이 되는 시점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공 시점 설정부(144)는 교사가 수동으로 특정 시점을 간섭 컨텐츠(20)의 재생 시점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시간을 상기 재생 구조 분류부(113)를 통해 파악한 다음 미리 정한 기준(학습 컨텐츠의 총 재생 시간 중 1/3 재생 시점, 1/2 재생 시점, 2/3 재생 시점)에 따라 자동으로 학습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특정 시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동기화부(145)는 상기 조합부(142), 제공 상태 설정부(143), 제공 시점 설정부(144)에서 조합 및 설정된 것을 기준으로 간섭 컨텐츠(20)를 학습 컨텐츠(10)와 하나의 파일 형식으로 합체, 즉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기화된 하나의 파일 형식을 통합 컨텐츠(30)라 명명한다. 다시 말해 동기화부(145)는 학습 컨텐츠(10)에 맞게 선택된 간섭 컨텐츠(20)를 해당 학습 컨텐츠(10)와 하나의 파일 형식의 통합 컨텐츠(30)로서 동기화하여, 이 통합 컨텐츠(30)를 재생하면서 학습자에게 문제와 간섭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
정리하면, 간섭효과 설정모듈(140)은 하나의 학습 컨텐츠(10)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장애 수준과 이해도에 따라 다양한 간섭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섭 컨텐츠(20)를 선택, 편집, 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여 문제 풀이 능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학습효과를 추구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문제 제공모듈(150)은 상기 통합 컨텐츠(30)를 학습자에게 재생하여 학습자의 답안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문제 제공모듈(150)은 PC, 모바일 환경에서 상기 통합 컨텐츠(30)를 모니터,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장치를 매개로 재생하여 학습자가 기본적으로 문제 형식으로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10)를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되, 학습 컨텐츠(10)의 재생 도중 간섭 컨텐츠(20)의 재생에 따른 자극을 받아 주의를 집중시키고 산만한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학습자는 별도로 제공된 키보드, 터치 패드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답안은 문제 제공모듈(150)에서 저장한다.
이러한 문제 제공모듈(150)은 단지 하나의 문제만을 학습자에게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간섭 컨텐츠(20)와 동기화된 학습 컨텐츠(10), 즉 통합 컨텐츠(30)가 복수 개로 재생하여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평가 모듈(160)은 상기 문제 제공모듈(150)을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답안을 채점/체크하여 점수를 산정하고 더 나아가 각각의 통합 컨텐츠(30)에 대한 문제별 정답 여부를 평가하여 이를 통해 통합 컨텐츠(30) 내지 학습 컨텐츠(10) 별로 일명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답 여부 정보는 학습 컨텐츠에 따라 특정 학습자가 정답을 맞추었는지 여부를 기록한 것으로, 해당 학습자에 대한 피드백 기준 및 간섭 컨텐츠(20)의 자극도 설정과 간섭 컨텐츠 변경 여부에 대한 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그 기록모듈(170)은 각각의 학습 컨텐츠(10)에 따라 동기화된 간섭 컨텐츠(20)의 종류, 통합 컨텐츠(30) 및 학습자 장애 수준 별 정답 여부 정보를 일명 '로그 정보'로 기록하여 별도의 DB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로그 정보는 학습자에게 실제 통합 컨텐츠(30)를 적용하여 도출된 점수 내지 정답률 등을 파악하여 추후 해당 학습자를 대상으로 간섭 컨텐츠(20)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해당 학습자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장애 수준을 가진 다른 학습자에게 제공될 학습 컨텐츠(10)나 간섭 컨텐츠(20)를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그 정보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10)와 간섭 컨텐츠(20)를 실제 학습자(다양한 장애수준을 가진 학습자를 대상)에게 적용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학습 효과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히스토리 내지 실험 결과로서의 의미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5는 학습자의 피드백 학습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피드백 분석모듈(180)은 학습자에게 제공된 통합 컨텐츠(30)의 효율을 파악하여 추후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될 간섭 컨텐츠(20)를 차등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답 여부 정보 기반부(181)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선택적으로 동공 변화 기반부(18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세부 구성에 의해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정답 여부 기반부(181)는 문제를 푼 학습자의 정답 여부 정보를 기반으로 정답의 고저 내지 점수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파악하여, 학습자에게 추후 제공될 간섭 컨텐츠(20)를 변경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동공 변화 기반부(182)는 학습자의 동공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동공 파악 센서(182a)를 학습자의 PC 내지 스마트폰에서 캠 내지 카메라 형태로 구비하여 간섭 컨텐츠(20)가 재생되는 시점에서의 학습자의 동공 변화를 감지하여 동공 변화량에 따라 학습자의 자극을 파악하여, 이로써 학습자에게 추후 제공될 간섭 컨텐츠(20)를 변경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동공 파악 센서(182a)는 공지된 스마트폰에서의 카메라를 통해 동공을 감지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우선 학습자의 동공 영역을 감지하고 이를 촬영한 다음 특히 간섭 컨텐츠(20)가 재생되는 시점에서의 동공의 움직임 및 눈 깜빡임, 떨림과 같은 변화 여부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학습자의 얼굴 중 동공을 확대 관찰하여 간섭 컨텐츠(20)가 재생될 때 학습자가 놀라는지, 자극을 받는지 여부를 동공의 변화를 통해 파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피드백 분석모듈(180)은 이와 같은 정답 여부 기반부(181) 및 동공 변화 기반부(182)에서 파악한 분석 결과를 통해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간섭효과 차등제공 모듈(190)은 상기 피드백 분석모듈(180)에서의 생성한 피드백 정보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간섭 컨텐츠(20)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120)의 자극도 분류부(122)에서 분류한 자극도 코드를 기준으로 간섭 컨텐츠(20)를 차등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학습 컨텐츠(10)에서의 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오답을 냈거나 간섭 컨텐츠(20)가 재생되는 동안 동공의 변화가 별로 없을 때 간섭 컨텐츠(20)가 학습자에게 자극을 주지 않았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자극적인 간섭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그 반대의 기능(학습자가 필요 이상으로 놀라는 것이 동공 상태로서 감지된 경우 자극도가 덜한 것을 선택)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간섭 컨텐츠 차등 제공모듈(190)은 상기 피드백 분석모듈(180)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정답 여부 정보와 동공 변화에 따라 학습 컨텐츠(10)에 동기화되는 간섭 컨텐츠(20)를 자극도 코드를 기준으로 차등 선택하여 재선택된 간섭 컨텐츠(20)를 해당 학습 컨텐츠(10)와 동기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신속한 맞춤식 설계로 학습 컨텐츠(10)에 부여되는 간섭 컨텐츠(20)에 대한 변화를 다양하게 줄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물론 간섭 컨텐츠(20)만을 변경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 컨텐츠(10)의 난이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학습 컨텐츠 15: 학습 라이브러리
20: 간섭 컨텐츠 25: 간섭효과 라이브러리
30: 통합 컨텐츠 40: 사용자 툴
110: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111: 형식 분류뷰
112: 난이도 분류부 113: 재생구조 분류부
114: 내용 분류부 115: 코드 관리부
120: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 121: 형식 분류부
122: 자극도 분류부 123: 내용 분류부
130: 학습자 분류모듈 140: 간섭효과 설정모듈
141: 선택부 142: 조합부
143: 제공 상태 설정부 144: 제공 시점 설정부
145: 동기화부 150: 문제 제공모듈
160: 평가 모듈 170: 로그 기록모듈
180: 피드백 분석모듈 181: 정답 여부 기반부
182: 동공 변화 기반부 182a: 동공 파악 센서
190: 간섭효과 차등 제공모듈

Claims (6)

  1.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으로서,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학습자에게 질문하는 문제 형태로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학습자에게 자극을 전달하도록 재생되는 간섭 컨텐츠;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간섭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
    상기 간섭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간섭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상기 학습 컨텐츠와 상기 간섭 컨텐츠를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는 간섭효과 설정모듈;
    상기 통합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재생하여 학습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모듈;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간섭 컨텐츠의 형식,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학습 컨텐츠와 간섭 컨텐츠의 통합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의사의 진단에 따라 상기 학습자의 장애도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장애 코드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하는 학습자 분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장애 코드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간섭 컨텐츠를 기준으로 재생시간의 장단 차이, 텍스트/그림/영상 형식에 대한 재생 사이즈 및 색상의 차이, 소리/음성에 대한 dB의 차이에 따라 자극도를 부여하여 이를 자극도 코도로 생성 처리하는 자극도 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자극도 코드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상기 간섭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간섭효과 컨텐츠의 통합 코드에 대한 차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간섭 컨텐츠를 조합하는 조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정답 여부 정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파악하는 정답 여부 기반부와, 상기 간섭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에 학습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학습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자극을 파악하는 동공 변화 감지부를 구비한 피드백 분석모듈;
    상기 정답 여부 및 동공 변화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된 간섭 컨텐츠를 변경 처리하고, 변경된 간섭 컨텐츠를 학습 컨텐츠에 재동기화하는 간섭효과 차등 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KR1020130112525A 2013-09-23 2013-09-23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KR101525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25A KR101525920B1 (ko) 2013-09-23 2013-09-23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525A KR101525920B1 (ko) 2013-09-23 2013-09-23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50A true KR20150033050A (ko) 2015-04-01
KR101525920B1 KR101525920B1 (ko) 2015-06-04

Family

ID=5303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525A KR101525920B1 (ko) 2013-09-23 2013-09-23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9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19B1 (ko) * 2016-01-08 2017-03-08 이종호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WO2021261944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하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5133A (ko) * 2021-02-09 2022-08-17 강지연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22250233A1 (ko) * 2021-05-24 2022-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299B1 (ko) 2021-11-23 2023-03-23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개인 맞춤형 온라인 교육의 집중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091B1 (ko) * 2009-10-30 2012-11-0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61771B1 (ko) * 2009-11-30 2011-09-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놀이치료를 위한 로봇 및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10065860A (ko) * 2009-12-10 2011-06-16 (주)더힘스 상황과 문맥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5111A (ko) * 2010-12-10 2012-06-20 박찬시 몰입도 평가 기반 맞춤형 온라인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19B1 (ko) * 2016-01-08 2017-03-08 이종호 학습자의 집중력을 개선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및 학습 제공 방법
WO2021261944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하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58781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하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15133A (ko) * 2021-02-09 2022-08-17 강지연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WO2022250233A1 (ko) * 2021-05-24 2022-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920B1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veklev et al.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ing about nursing through drama
CN102245085B (zh) 利用眼跟踪的认知和语言评估
Knoop‐van Campen et al. The modality and redundancy effects in multimedia learning in children with dyslexia
KR101525920B1 (ko)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60077200A (ko) 언어-관련 장애들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컴퓨팅 기술들
KR102153782B1 (ko) 학습자의 학습 행위에 관한 학습 가치를 결정하는 학습 가치 결정 방법
Mastrantuono et al. An eye tracking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mprehension of unimodal and bimodal linguistic inputs by deaf adolescents
Dutsinma et al. VARK learning style classification using decision tree with physiological signals
Padrón-Rivera et al. Identification of action units related to affective states in a tutoring system for mathematics
Latif et al. Joint engagement and movement: Active ingredients of a music-based intervention with school-age children with autism
Suvorov Context visuals in L2 listening tests: The effectiveness of photographs and video vs. audio-only format
Chen et al. Riding an Emotional Roller-Coaster: A Multimodal Study of Young Child's Math Problem Solving Activities.
Neves et al. Sentenc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Errorless procedures and equivalence‐based instruction
Drigas et al. Tools and E-tools for Memory and Attention Problems in Pre-school Education
Ceccato et al. Influence of stimuli emotional features and typicality on memory performance: insights from a virtual reality context
Farmer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curricular guide for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ans
Eilers A Critical Disability Studies Approach to ‘Inclusive’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Mehta et 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Educational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AI)
Ng et al. A review on courseware for Down syndrome children
Zhang Cerebral hemispheres and learning: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brain dominations and learning styles
Simões de Almeida et al. Handbook of Research on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ies to Promote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Mehigan et al. Modelling an holistic artificial intelligent education model for optimal learner engagement and inclusion
O'Mara Commonalities in Evidence-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English Language Learners
Wilkinson et al. Interprofessional practice in developing an AAC system for children with Down syndrome
McKinney et al.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Effective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