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133A -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133A
KR20220115133A KR1020210018391A KR20210018391A KR20220115133A KR 20220115133 A KR20220115133 A KR 20220115133A KR 1020210018391 A KR1020210018391 A KR 1020210018391A KR 20210018391 A KR20210018391 A KR 20210018391A KR 20220115133 A KR20220115133 A KR 2022011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ontent
patient
target patient
treat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520B1 (ko
Inventor
강지연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강지연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지연, 김정석 filed Critical 강지연
Priority to KR10202100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5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Abstract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은,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으로서, 화상 송출장치를 일측면에 거치하거나 장착하고, 화상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고,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로부터 획득한 치료대상환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송출장치의 출력방향을 결정하는 화상송출장치 거치부; 치료사 또는 운용자에 의해 입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컨텐츠 제어부에 제공하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 가능한 치료 컨텐츠, 학습 컨텐츠, 흥미유발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화상 송출장치에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해야 할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탐색하여 선정한 후, 화상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 관리부를 인공지능(AI)에 의해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Therapeutic System Using Image Signal Transmitter, And Therapeu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료대상환자의 저하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치료사 또는 운용자의 노동력을 저감시킬 수 이으며, 치료대상환자로 하여금 치료적 효과 및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신체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 또는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한 치료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졌다.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치료를 수행하는 의사, 간호사, 치료사, 관리사에 의해 치료되었다.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노동력에 의해 치료되었으며, 이로 인해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이 부족할 경우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없었다.
한편, 화상 송출장치, 인터넷 및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을 이용한 원격 치료 프로그램과 학습 프로그램이 크게 발달하고 있다.
즉, 신체적 치료, 정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직접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과 대면한 상태에서 치료 받던 과거 방식에서 현재에는 온라인 방식으로 1:1 더 나아가 1:N 방식(1명의 치료 수행자가 N명의 환자를 케어해주는 방식)의 원격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아니라 영상, 음성, 소리, 그림 등의 다채로운 치료 컨텐츠 및 학습 컨텐츠가 PC, 스마트폰 등을 매개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되는 상태이다.
단순한 문답식과 행동을 요구하는 가벼운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치료 컨텐츠 이외에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특수한 치료 컨텐츠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바, 여기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는 특수부위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환자, 특수부위의 저하/ 손상된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환자, 일반인의 발달 수준보다 낮거나 기능 저하 및 손상된 환자, 신경증, 정신증, 지적 장애, ADHD(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신체 장애, 치매 환자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치료 컨텐츠 만으로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원격 진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병원 진료를 가정까지 연계시켜, 매일 일정한 훈련이 필요한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 아동들이 매일 병원을 다니지 않고서도 적절한 진료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본인의 의지에 따라 치료 받아야 하며, 다양한 컨텐츠가 부족하여 환자가 집중하여 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8145호 (공개일자: 2002년07월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은,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으로서, 화상 송출장치를 일측면에 거치하거나 장착하고, 화상 송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고,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로부터 획득한 치료대상환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송출장치의 출력방향을 결정하는 화상송출장치 거치부; 치료사 또는 운용자에 의해 입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컨텐츠 제어부에 제공하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 가능한 치료 컨텐츠, 학습 컨텐츠, 흥미유발 컨텐츠를 저장하고, 컨텐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화상 송출장치에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해야 할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부로부터 탐색하여 선정한 후, 화상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 관리부를 인공지능(AI)에 의해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 송출장치는,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영사기, 빔 프로젝터, 영상 재생장치 또는 영상 출력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장애 코드에 따라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고, 입력되는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신체적장애와 정신적장애로 대분류하여 저장하는 제1차분류부; 제1차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를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자애로 중분류하여 저장하는 제2차분류부; 및 제2차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의 경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거나, 제2차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내부기관의 장애의 경우,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는 제3차분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체장애는,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 장애, 지체변형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병변장애는,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이고, 상기 시작장애는,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청각장애는,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언어장애는,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안면장애는,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안면부 변형으로 인한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신장장애는,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는 경우이고, 상기 심장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간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호흡기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장류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장애, 요루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전증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뇌전증 장애이고, 상기 지적장애는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정신장애는,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자폐성장애는, 소아자폐 등 자폐성 장애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는, 상기 제1차분류부, 제2차분류부 및 제3차분류부를 통해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화상송출장치에 장착되거나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응급상황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는, 응급상황알림부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응급상황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영상촬영부; 치료대상환자의 신체 중 머리, 몸통, 팔, 다리, 관절 중 선택되는 다수의 부위에 장착되고, 치료대상환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동작검출부; 및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생체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생체정보검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영상촬영부 및 생체정보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상기 응급상황알림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패턴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과 상이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획득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심리안정부; 및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심리안정 컨텐츠가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심리안정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영상데이터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화상 송출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패턴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심리안정 컨텐츠의 패턴은, 영상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변환 제시되는 것이거나, 흑백과 색채가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변환 제시되는 패턴이거나, 순차적으로 색체점유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패턴이거나, 일 구간에서부터 색채점유면적이 증가되어 전체구간이 색체를 가지게 되는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안정 컨텐츠의 패턴은, 영상데이터를 복수의 단위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비규칙적으로 배치한 후, 배치된 단위 영상데이터가 서로 조합되어 분할되기 전의 영상데이터로 복귀되도록 변환하는 패턴이거나, 영상데이터의 선명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영상데이터의 식별력을 높이는 패턴이거나, 영상데이터를 흑백으로 변환 제시한 후 일구간에서 전체구간으로 색채점유면적을 증가시켜 흑백의 영상데이터가 색채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리안정부는, 상기 변환되는 패턴의 변환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거나, 동작을 지시하거나, 동작을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치료 컨텐츠;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는 문제 형태로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 및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치료대상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도록 재생되는 흥미유발 컨텐츠;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치료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치료 내용을 기준으로 치료 컨텐츠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학습 컨텐츠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및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흥미유발 컨텐츠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되, 흥미유발 컨텐츠를 기준으로 재생시간의 장단 차이, 텍스트/ 그림/ 영상 형식에 대한 재생 사이즈 및 색상의 차이, 소리/ 음성에 대한 dB의 차이에 따라 흥미유발 정도를 부여하여 이를 흥미유발 정도 코드로 생성 처리하는 흥미유발 정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치료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치료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의 형식, 치료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학습 컨텐츠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은,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의 형식,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를 선택하고,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흥미유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와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를 생성하되, 흥미유발 정도 코드에 따라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될 흥미유발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 상기 통합 컨텐츠를 치료대상환자에게 재생하여 치료대상환자로부터 동작 또는 음성으로 표현되는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모듈; 상기 치료대상환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모듈; 상기 정답 여부 정보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치료진행상태 및 학습진행상태를 파악하는 정답 여부 기반부, 및 흥미유발 컨텐츠가 재생되는 시점에 치료대상환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치료대상환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흥미유발을 파악하는 동공 변화 감지부를 구비한 피드백 분석모듈; 및 상기 정답 여부 및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된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에 동기화된 흥미유발 컨텐츠를 변경 처리하고, 변경된 흥미유발 컨텐츠를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에 재동기화하는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은, 상기 치료 컨텐츠와 흥미유발 컨텐츠의 통합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치료 컨텐츠에 동기화될 흥미유발 컨텐츠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흥미유발효과 컨텐츠와 통합코드에 대한 차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흥미유발 컨텐츠를 조합하는 조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운용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화상 송출장치를 화상송출장치 거치부에 거치한 후,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 치료대상환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입력하는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장애 코드에 따라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는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하는 모니터링단계;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치료 컨텐츠 또는 학습 컨텐츠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제1컨텐츠 제공단계; 및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흥미 유발 컨텐츠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제2컨텐츠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는, 입력되는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신체적장애와 정신적장애로 대분류하여 저장하는 제1차분류단계; 제1차분류단계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를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자애로 중분류하여 저장하는 제2차분류단계; 및 제2차분류단계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의 경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거나, 제2차분류단계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내부기관의 장애의 경우,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는 제3차분류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체장애는,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 장애, 지체변형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병변장애는,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이고, 상기 시작장애는,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청각장애는,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언어장애는,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안면장애는,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안면부 변형으로 인한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신장장애는,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는 경우이고, 상기 심장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간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호흡기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장류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장애, 요루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전증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뇌전증 장애이고, 상기 지적장애는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정신장애는,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자폐성장애는, 소아자폐등 자폐성 장애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는,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영상촬영단계; 치료대상환자의 신체 중 머리, 몸통, 팔, 다리, 관절 중 선택되는 다수의 부위에 장착되고, 치료대상환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동작검출단계; 및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생체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및 응급상황알림부에 전달하는 생체정보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응급상황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단계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패턴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로부터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과 상이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환자의 심리 상태의 불안정 정도를 판단한 후,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제3컨텐츠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화상 송출장치, 화상송출장치 거치부, 치료대상환자 관리부, 컨텐츠 관리부 및 컨텐츠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에 따르면,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 모니터링단계,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 제1컨텐츠 제공단계, 제2컨츠 제공단계 및 제3컨텐츠 제공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의해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는 단계에서 활용하는 분류 기준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 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I.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에 관한 설명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화상 송출장치(101),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 컨텐츠 관리부(130) 및 컨텐츠 제어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에 관한 설명>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는, 화상 송출장치(101)를 일측면에 거치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는, 화상 송출장치(101)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의 출력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로부터 획득한 치료대상환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송출장치(101)의 출력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에 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101)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화상 송출장치(101)로 선택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영사기, 빔 프로젝터, 영상 재생장치 또는 영상 출력장치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은,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를 이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송출장치(101)의 출력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효과, 학습 효과 및 흥미유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관한 설명>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에 의해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는 단계에서 활용하는 분류 기준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치료사 또는 운용자에 의해 입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컨텐츠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일련의 분류과정을 수행하는 제1차분류부(121), 제2차분류부(122) 및 제3차분류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차분류부(121)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장애 코드에 따라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고, 입력되는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신체적장애와 정신적장애로 대분류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제2차분류부(122)는, 제1차분류부(121)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를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자애로 중분류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제3차분류부(123)는, 제2차분류부(122)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의 경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거나, 제2차분류부(122)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내부기관의 장애의 경우,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는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체장애는,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 장애, 지체변형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병변장애는,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이고, 상기 시작장애는,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청각장애는,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언어장애는,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안면장애는,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안면부 변형으로 인한 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신장장애는,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받는 경우이고, 상기 심장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간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간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호흡기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애이고, 상기 장류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장애, 요루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뇌전증장애는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 중증의 뇌전증 장애이고, 상기 지적장애는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정신장애는, 정신분열병, 분열형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고, 상기 자폐성장애는, 소아자폐등 자폐성 장애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계별로 치료대상환자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둘 이상의 분류에 속하는 치료대상환자가 발생할 경우, 하나의 카테고리에만 해당 치료대상환자의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머지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분류는 해당 카테고리에 부가적으로 기록하여 참조할 수 있도록 저장되어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모니터링부(12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는, 제1차분류부(121), 제2차분류부(122) 및 제3차분류부(123)를 통해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25)는, 화상 송출장치(101)에 장착되거나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125)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영상촬영부, 동작검출부 및 생체정보검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영상촬영부는,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할 수 있다. 동작검출부는, 치료대상환자의 신체 중 머리, 몸통, 팔, 다리, 관절 중 선택되는 다수의 부위에 장착되고, 치료대상환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검출부는,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생체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는, 영상촬영부 및 생체정보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알림부(126)는,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패턴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과 상이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응급상황알림부(12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상황알림부(126)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는, 응급상황알림부(126)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응급상황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심리안정부(127) 및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심리안정부(127)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획득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심리안정 컨텐츠를 저장하고 심리안정부(127)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심리안정 컨텐츠는, 치료대상환자의 심리를 안정시킬 목적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영상데이터 하나 이상이 순차적으로 화상 송출장치(101)에 각각 표시되는 패턴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심리안정 컨텐츠의 패턴은,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촉각적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심리안정 컨텐츠의 패턴의 예로서, 영상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변환 제시되는 것, 흑백과 색채가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변환 제시되는 패턴, 순차적으로 색체점유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패턴, 일 구간에서부터 색채점유면적이 증가되어 전체구간이 색체를 가지게 되는 패턴을 들 수 있다. 또한, 심리안정 컨텐츠의 패턴의 예로서, 영상데이터를 복수의 단위 영상데이터로 분할하여 비규칙적으로 배치한 후, 배치된 단위 영상데이터가 서로 조합되어 분할되기 전의 영상데이터로 복귀되도록 변환하는 패턴, 영상데이터의 선명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영상데이터의 식별력을 높이는 패턴, 영상데이터를 흑백으로 변환 제시한 후 일구간에서 전체구간으로 색채점유면적을 증가시켜 흑백의 영상데이터가 색채를 가지도록 변환하는 패턴을 들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심리안정부(127)는, 앞서 언급한 변환되는 패턴의 변환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패턴의 종류와 패턴의 재생 방법은 설계자의 의도,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거나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은,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를 이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를 정확하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저장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 후, 업데이트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에 대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치료대상환자의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치료대상환자의 심리적 상태까지 모니터링하여 이 또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치료대상환자를 세심히 관찰하며 케어 할 수 있고,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효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노동력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30)에 관한 설명>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130)는, 특정 내용을 포함하는 치료 컨텐츠(C1), 학습 컨텐츠(C2) 및 흥미유발 컨텐츠(C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치료 컨텐츠(C1)는,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거나, 동작을 지시하거나, 동작을 따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C2)는,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는 문제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흥미유발 컨텐츠(C3)는, 치료대상환자로 하여금 치료 과정 또는 학습 과정에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가 재생되는 도중 치료대상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도록 재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13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131),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32) 및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131)은, 치료 컨텐츠(C1)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치료 내용을 기준으로 치료 컨텐츠(C1)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32)은, 학습 컨텐츠(C2)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학습 컨텐츠(C2)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할 수 있다.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은, 흥미유발 컨텐츠(C3)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구성이다.
이때,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은, 흥미유발 컨텐츠(C3)를 기준으로 재생시간의 장단 차이, 텍스트/ 그림/ 영상 형식에 대한 재생 사이즈 및 색상의 차이, 소리/ 음성에 대한 dB의 차이에 따라 흥미유발 정도를 부여하여 이를 흥미유발 정도 코드로 생성 처리하는 흥미유발 정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131)은, 치료 컨텐츠(C1)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치료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은, 흥미유발 컨텐츠(C3)의 형식, 치료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32)은, 학습 컨텐츠(C2)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은, 흥미유발 컨텐츠(C3)의 형식, 학습 내용 별로 각각 코드 처리하여 이를 통합한 통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은, 컨텐츠 관리부(130)에 포함된 치료 컨텐츠(C1), 학습 컨텐츠(C2) 및 흥미유발 컨텐츠(C3)를 활용하여 치료 과정, 학습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에 따라 흥미유발 컨텐츠(C3)를 활용할 수 있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또는 학습 과정에 대한 집중도를 일정 수준이상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및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료대상환자를 세심히 관찰하며 케어 할 수 있고,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효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노동력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컨텐츠 제어부(140)에 관한 설명>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부(14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 문제 제공모듈(142), 평가모듈(143), 피드백 분석모듈(144) 및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14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은,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선택하고,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흥미유발 컨텐츠(C3)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와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C4)를 생성하되, 흥미유발 정도 코드에 따라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동기화될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문제 제공모듈(142)은, 통합 컨텐츠(C4)를 치료대상환자에게 재생하여 치료대상환자로부터 동작 또는 음성으로 표현되는 정답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평가모듈(143)은, 치료대상환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C4)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피드백 분석모듈(144)은, 정답 여부 정보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치료진행상태 및 학습진행상태를 파악하는 정답 여부 기반부, 및 흥미유발 컨텐츠(C3)가 재생되는 시점에 치료대상환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치료대상환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흥미유발을 파악하는 동공 변화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145)는, 정답 여부 및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된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동기화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변경 처리하고, 변경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재동기화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은, 치료 컨텐츠(C1)와 흥미유발 컨텐츠(C3)의 통합 코드의 일치 여부에 따라 치료 컨텐츠(C1)에 동기화될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은, 흥미유발효과 컨텐츠와 통합코드에 대한 차이를 기준으로 적어도 2개의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조합하는 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 문제 제공모듈(142), 평가모듈(143), 피드백 분석모듈(144) 및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145)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어부(140)를 활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에 따라 흥미유발 컨텐츠(C3)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또는 학습 과정에 대한 집중도를 일정 수준이상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및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치료대상환자를 세심히 관찰하며 케어 할 수 있고,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효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료를 수행하는 사람의 노동력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II.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에 관한 설명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2,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은,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운용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S110),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S130), 모니터링단계(S140),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 제1컨텐츠 제공단계(S161) 및 제2컨텐츠 제공단계(S162)를 구비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를 구성하는 각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S110)는, 화상 송출장치(101)를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에 거치한 후,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정보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 원거리 통신망 모두를 의미하며, 와이파이(WIFI), 랜(LAN), 이더넷(Ethernet), 무선랜(IEEE 802.11 시리즈), 홈 네트워크(HomePNA), 전력선 통신(PLC), 코랜(CO-LAN), MAN, WAN, 인트라넷(INTRANET) 또는 엑스트라넷(Extranet)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는, 치료대상환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S130)는,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장애 코드에 따라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S130)는, 제1차분류단계(S131), 제2차분류단계(S132) 및 제3차분류단계(S133)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입력되는 치료대상환자를 도 5에 도시된 분류 기준표에 따라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제1차분류단계(S131)는, 입력되는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신체적장애와 정신적장애로 대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2차분류단계(S132)는, 제1차분류단계(S131)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를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자애로 중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3차분류단계(S133)는, 제2차분류단계(S132)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외부신체 기능의 장애의 경우,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거나, 제2차분류단계(S132)를 통해 분류된 상태 정보가 내부기관의 장애의 경우,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장애, 뇌전증장애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모니터링단계(S140)는,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101)를 이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단계(S140)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영상촬영단계, 동작검출단계 및 생체정보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모니터링단계(S140)를 구성하는 각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되거나 무작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영상촬영단계는,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동작검출단계는, 치료대상환자의 신체 중 머리, 몸통, 팔, 다리, 관절 중 선택되는 다수의 부위에 장착되고, 치료대상환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생체정보검출단계는,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생체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1컨텐츠 제공단계(S161)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컨텐츠 제공단계(S162)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흥미 유발 컨텐츠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은,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응급상황알림 단계(S17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급상황알림 단계(S170)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모니터링단계(S14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패턴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과 상이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은, 제3컨텐츠 제공단계(S16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컨텐츠 제공단계(S163)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환자의 심리 상태의 불안정 정도를 판단한 후,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S110),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S130), 모니터링단계(S140),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 제1컨텐츠 제공단계(S161), 제2컨츠 제공단계 및 제3컨텐츠 제공단계(S163)를 구비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의 문제에 따라 적절한 치료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저하 및 손상된 기능을 흥미유발시킴으로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연상능력, 언어능력을 흥미유발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정보통신망
100: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101: 화상 송출장치
110: 화상송출장치 거치부
120: 치료대상환자 관리부
121: 제1차분류부
122: 제2차분류부
123: 제3차분류부
124: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
125: 모니터링부
126: 응급상황알림부
127: 심리안정부
128: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
130: 컨텐츠 관리부
C1: 치료 컨텐츠
C2: 학습 컨텐츠
C3: 흥미유발 컨텐츠
C4: 통합 컨텐츠
131: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
132: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
133: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
140: 컨텐츠 제어부
141: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
142: 문제 제공모듈
143: 평가모듈
144: 피드백 분석모듈
145: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
S100: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
S110: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
S120: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
S130: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
S131: 제1차분류단계
S132: 제2차분류단계
S133: 제3차분류단계
S140: 모니터링단계
S150: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
S161: 제1컨텐츠 제공단계
S162: 제2컨텐츠 제공단계
S163: 제3컨텐츠 제공단계
S170: 응급상황알림 단계

Claims (10)

  1.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100)으로서,
    화상 송출장치(101)를 일측면에 거치하거나 장착하고, 화상 송출장치(101)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의 출력 방향을 제어하고,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로부터 획득한 치료대상환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송출장치(101)의 출력방향을 결정하는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
    치료사 또는 운용자에 의해 입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컨텐츠 제어부(140)에 제공하는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 가능한 치료 컨텐츠(C1), 학습 컨텐츠(C2),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저장하고, 컨텐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화상 송출장치(101)에 해당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관리부(130); 및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해야 할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부(130)로부터 탐색하여 선정한 후, 화상 송출장치(101)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게 해당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 관리부(130)를 인공지능(AI)에 의해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상기 제1차분류부(121), 제2차분류부(122) 및 제3차분류부(123)를 통해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상기 화상 송출장치(101)에 장착되거나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하는 모니터링부(125);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응급상황알림부(12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는, 응급상황알림부(126)를 통해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응급상황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는,
    상기 영상촬영부 및 생체정보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상기 응급상황알림부(126)는,
    상기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패턴이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의 패턴과 상이한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로부터 분석된 결과를 획득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심리안정부(127); 및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심리안정 컨텐츠가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130)는,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거나, 동작을 지시하거나, 동작을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치료 컨텐츠(C1);
    텍스트, 그림, 소리,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대상환자에게 질문하는 문제 형태로 이루어진 학습 컨텐츠(C2); 및
    텍스트, 그림, 소리, 음성, 영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가 재생되는 도중 치료대상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도록 재생되는 흥미유발 컨텐츠(C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130)는,
    치료 컨텐츠(C1)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치료 내용을 기준으로 치료 컨텐츠(C1)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치료 컨텐츠 분류모듈(131);
    학습 컨텐츠(C2)의 형식, 난이도, 재생시간, 프레임 수, 학습 내용을 기준으로 학습 컨텐츠(C2)를 분류 및 학습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는 학습 컨텐츠 분류모듈(132); 및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C3)의 형식, 내용을 기준으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분류 및 치료 라이브러리에 저장 처리하되, 흥미유발 컨텐츠(C3)를 기준으로 재생시간의 장단 차이, 텍스트/ 그림/ 영상 형식에 대한 재생 사이즈 및 색상의 차이, 소리/ 음성에 대한 dB의 차이에 따라 흥미유발 정도를 부여하여 이를 흥미유발 정도 코드로 생성 처리하는 흥미유발 정도 분류부;를 포함하는 흥미유발 컨텐츠 분류모듈(1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7. 제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140)는,
    상기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선택하고,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에서 흥미유발 컨텐츠(C3)가 재생되도록 설정한 다음,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와 동기화하여 통합 컨텐츠(C4)를 생성하되, 흥미유발 정도 코드에 따라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동기화될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차등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흥미유발효과 설정모듈(141);
    상기 통합 컨텐츠(C4)를 치료대상환자에게 재생하여 치료대상환자로부터 동작 또는 음성으로 표현되는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모듈(142);
    상기 치료대상환자가 입력한 정답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통합 컨텐츠(C4) 별로 정답 여부를 기록한 정답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모듈(143);
    상기 정답 여부 정보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치료진행상태 및 학습진행상태를 파악하는 정답 여부 기반부, 및 흥미유발 컨텐츠(C3)가 재생되는 시점에 치료대상환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치료대상환자의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의 흥미유발을 파악하는 동공 변화 감지부를 구비한 피드백 분석모듈(144); 및
    상기 정답 여부 및 동공 변화에 따라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된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동기화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변경 처리하고, 변경된 흥미유발 컨텐츠(C3)를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에 재동기화하는 흥미유발효과 차등 제공모듈(14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8. 신체적장애 및 정신적장애를 가진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을 운용함으로써, 치료대상환자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S100)으로서,
    화상 송출장치(101)를 화상송출장치 거치부(110)에 거치한 후,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화상송출장치 설치단계(S110);
    치료대상환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입력하는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
    치료대상환자 상태정보 초기입력단계(S12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 관한 상태 정보를 분류한 장애 코드를 생성하여, 장애 코드에 따라 치료대상환자를 분류하는 치료대상환자 분류단계(S130);
    치료대상환자와 인접하여 설치된 화상 송출장치(101)를 이용하여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를 관찰하는 모니터링단계(S140);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저장된 치료대상환자의 상태정보에 모니터링부(12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치료 컨텐츠(C1) 또는 학습 컨텐츠(C2)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제1컨텐츠 제공단계(S161); 및
    치료대상환자 관리부(120)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대상환자에게 필요한 흥미 유발 컨텐츠를 선정하여 치료대상환자에게 제공하는 제2컨텐츠 제공단계(S1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단계(S140)는,
    치료대상환자의 움직임에 관한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영상촬영단계;
    치료대상환자의 신체 중 머리, 몸통, 팔, 다리, 관절 중 선택되는 다수의 부위에 장착되고, 치료대상환자의 동작을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동작검출단계; 및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치료대상환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생체 정보를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 및 응급상황알림부(126)에 전달하는 생체정보검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은,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치료대상환자의 신체상태 및 정신상태의 위급성 정도를 판단하여 실시간 데이터 관리부(124)에 저장하고, 위급성 정도가 기 설정기준를 초과하거나, 치료대상환자의 치료 과정, 학습 과정 및 행동 상태 정보에 있어 위급상황에 해당하는 정보가 검출될 경우, 치료대상환자에 배정된 치료사 또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응급상황을 경보하는 응급상황알림 단계(S170);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관리단계(S15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상환자의 심리 상태의 불안정 정도를 판단한 후, 치료대상환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불안정해질 위험성이 검출될 경우, 심리안정 컨텐츠 저장부(128)에 저장된 심리안정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송출장치를 통해 치료대상 환자에게 제공하는 제3컨텐츠 제공단계(S16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0210018391A 2021-02-09 2021-02-09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KR10246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91A KR102465520B1 (ko) 2021-02-09 2021-02-09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91A KR102465520B1 (ko) 2021-02-09 2021-02-09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33A true KR20220115133A (ko) 2022-08-17
KR102465520B1 KR102465520B1 (ko) 2022-11-10

Family

ID=8311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91A KR102465520B1 (ko) 2021-02-09 2021-02-09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5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45A (ko) 2000-12-29 2002-07-12 신성웅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150009783A (ko) * 2013-07-17 2015-01-27 문경업 인지능력 차등화 기반의 인지 재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모바일단말
KR20150033050A (ko) * 2013-09-23 2015-04-01 (주)이든교육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70141490A (ko) * 2016-06-15 2017-12-26 (주)팜스포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180061824A (ko) * 2016-11-30 2018-06-08 김우현 난독증 진단 및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145A (ko) 2000-12-29 2002-07-12 신성웅 학습 장애 및 주의력 결핍 장애를 진료하기 위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150009783A (ko) * 2013-07-17 2015-01-27 문경업 인지능력 차등화 기반의 인지 재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모바일단말
KR20150033050A (ko) * 2013-09-23 2015-04-01 (주)이든교육 학습장애자용 집중력 강화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70141490A (ko) * 2016-06-15 2017-12-26 (주)팜스포 발달장애 재활을 위한 운동치료시스템
KR20180061824A (ko) * 2016-11-30 2018-06-08 김우현 난독증 진단 및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520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t et al. Chimpanzees and humans mimic pupil-size of conspecifics
JP7002143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解析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測定・フィードバック装置、インタラクション装置
Yu et al. Embodied attention and word learning by toddlers
Mendelson et al. The relation between audition and vision in the human newborn
Deruelle et al. Configural and local processing of faces in children with Williams syndrome
Cleary et al. Some measures of verb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in eight-and nine-year-old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Guntupalli et al. Emotion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luent listeners while watching the speech of adults who stutter
Santos et al. An open sensing and acting platform for context-aware affective support in ambient intelligent educational settings
JP2021052812A (ja) 感情分析システム
Sydnor-Greenberg et al. Coping and caring in different ways: understanding and meaningful involvement
Kelleher et al. Virtual reality for improving pain and pain-related symptoms i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colorectal cancer: A pilot trial to test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Lancioni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severe/profound intellect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Castellanos et al. Embodied cognition in prelingually dea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Preliminary findings
De Pace et al. Promoting environmental control, social interaction, and leisure/academy engagement among people with severe/profound multiple disabilities through assistive technology
KR102465520B1 (ko) 화상 송출장치를 이용한 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Bonneh et al. Cross-modal extinction in a boy with severely autistic behaviour and high verbal intelligence
Chiarion et al. e-Pupil: Io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 exploiting the pupillary near-reflex
Holth An operant analysis of joint attention skills
Wright et al. Using an 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device to augment vision: evidence from eye movements
JP2020047025A (ja) 医療トレーニングを支援する情報処理装置
Grigonis Taking a Breath: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of Breath in Dance/Movement Therapy and Everyday Life
Kidmose et al. A Yarbus-style experiment to determine auditory attention
Couchman Using video and conversational analysis to train staff working with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Li et al. Applying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managing alarm safety: A university health network case study
CN112618912B (zh) 一种调节视听时间整合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