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796B1 -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796B1
KR101708796B1 KR1020140160367A KR20140160367A KR101708796B1 KR 101708796 B1 KR101708796 B1 KR 101708796B1 KR 1020140160367 A KR1020140160367 A KR 1020140160367A KR 20140160367 A KR20140160367 A KR 20140160367A KR 101708796 B1 KR101708796 B1 KR 10170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priority
technology
planning
planning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36A (ko
Inventor
백승철
박동규
이성덕
한종석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riority to KR102014016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7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으로서,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지표 획득 단계;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 및 상기 위험에 관한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상기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 단계; 및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급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PROJECT OF PLANNING}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다.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획된 과제들 간에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은 한정된 시간과 한정된 자원의 효과적인 분배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이러한 기획과제들이 기술의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을 지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체계적인 R&D 기획/평가/관리 프로세스의 확립을 위해 기획과제들을 다양한 측면(가령, 아이디어의 우수성 측면, 경제성 측면,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IP) 측면 등)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자 하는 자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였더라도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명확히 정의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방식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단순한 투자 원리로 접근하여 과제 선정을 진행하는 것은 기술 및 관련 산업의 성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반대로 기술 및 관련 산업의 특성에만 기반한 과제 선정은 투자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 선정 방식은 창의적/혁신적인 목표를 달성할 만한 기획과제의 적절한 선정을 보장/입증하기 어렵다.
따라서, 우수한 과제 선정을 위해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2158 (2012.01.05.)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기획과제를 평가하여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으로서,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지표 획득 단계;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 및 상기 위험에 관한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상기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 단계; 및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급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형 식별 단계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제1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 또는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제2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가 제1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2 점수가 상기 제2 점수의 최소 가능 값부터 상기 최소 가능 값에 특정 값을 더한 값까지의 범위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 및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하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제3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를 가질 또 다른 기획과제에는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최종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지표 획득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 중 각 검증 지표에 대한 복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으로서 상기 각 검증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의 정책 및 전략 부합도, 결과물 및 파급효과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1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시장위험 및 투자규모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2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위험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 단계는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의 가중 평균 및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의 가중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와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정책 및 R&D 전략 간의 부합성을 나타내는 제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2 지표, 상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출원인에 의해 IP가 확보된 정도 및 상기 기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유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3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기술이 적용될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규모 및 성장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4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의 연관업종 영업이익률을 나타내는 제5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성과가 타 산업 및 타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제6 지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는, 상기 기술의 수준과 현재의 기술 수준 간의 격차를 나타내는 제7 지표, 상기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8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정도를 나타내는 제9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제10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화에 대한 요구 자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위한 총 투자액을 나타내는 제12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지표 획득부;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 및 상기 위험에 관한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및 상기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등급 결정부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제1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 또는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제2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가 제1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2 점수가 상기 제2 점수의 최소 가능 값부터 상기 최소 가능 값에 특정 값을 더한 값까지의 범위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 및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하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등급 결정부는 제3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3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를 가질 또 다른 기획과제에는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최종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
상기 지표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 중 각 검증 지표에 대한 복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으로서 상기 각 검증 지표를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의 정책 및 전략 부합도, 결과물 및 파급효과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1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시장위험 및 투자규모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2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위험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수 산출부는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의 가중 평균 및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의 가중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와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정책 및 R&D 전략 간의 부합성을 나타내는 제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2 지표, 상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출원인에 의해 IP가 확보된 정도 및 상기 기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유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3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기술이 적용될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규모 및 성장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4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의 연관업종 영업이익률을 나타내는 제5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성과가 타 산업 및 타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제6 지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는, 상기 기술의 수준과 현재의 기술 수준 간의 격차를 나타내는 제7 지표, 상기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8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정도를 나타내는 제9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제10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화에 대한 요구 자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위한 총 투자액을 나타내는 제12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 투자의 지배적인 원리와 더불어 기술 및 관련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획과제를 평가하는 데에 적합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유형의 기획과제에 부여될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른 특정 유형의 기획과제에 부여될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8 각각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검증 지표를 수치화하기 위한 평가 점수의 부여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획과제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획과제를 평가하는 데에 적합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 지표 획득부(120), 점수 산출부(130) 및 등급 결정부(140)를 포함한다.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의 위 모듈들 각각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은 컴퓨팅 장치 내에 구현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그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한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그 컴퓨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 간 입/출력 및/또는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컴퓨팅 장치는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가령, 입력 장치 및/또는 출력 장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장치는 그 컴포넌트들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의 예들은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감지 입력 장치,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출력 장치의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컴퓨팅 장치는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 지표 획득부(120), 점수 산출부(130) 및 등급 결정부(140)를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은 기술개발을 위해 추진될 기획과제의 선정 및 선정된 기획과제에 대한 자원 배분 결정을 기대성과(return) 및 위험(risk)의 개념에 기반하여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은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의 측정/수치화 및 분석을 통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은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의 추진을 위해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검증 지표(가령, 기술개발목표수준, 기술/특허/표준동향조사 및 사전경제성 분석 등의 여러 측면이 반영된 지표)를 활용하여 기획과제의 우수성을 검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국가 R&D 사업에서 여러 기획과제를 우선순위화하여 높은 잠재력의 우수한 과제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며,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과제들을 평가하는 데에도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지표 획득부(120)는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는 데 필요한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러한 검증 지표를 정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입력을 수신한 후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검증 지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어서, 지표 획득부(120)는 수신된 입력 또는 저장된 파일로부터 검증 지표를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로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검증 지표를 산출하는 데 사용되는 소정의 평가 점수들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입력을 수신한 후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평가 점수들을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어서, 지표 획득부(120)는 수신된 입력 또는 저장된 파일로부터 평가 점수들을 식별하고 평가 점수들에 기반하여 검증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대안적인 다른 예로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검증 지표를 산출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 점수들을 나타내는 파일을 여러 외부 평가자의 단말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지표 획득부(120)는 그 파일로부터 평가 점수들을 식별한 후 평가 점수들에 기반하여 검증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검증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점수들에 대해서는 별도로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 지표는 다음의 표에 제시된 12개의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기획과제 평가의 신뢰성을 위해, 이러한 지표들은 상호 간에 상충관계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지표는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아래에서 알 수 있듯이, 이 12개의 지표는 2개의 집합으로 그룹핑(grouping)될 수 있고, 각 집합은 6개의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지표는 외부 전문가가 나름의 기준 하에 수행한 데이터 평가/분석에 따라 설정되는 값을 가지는 정성 지표 또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소정의 평가 기준(가령, 기술 및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기준)에 따라 설정되는 값을 가지는 정량 지표일 수 있다.
Figure 112014110651755-pat00001
기대성과와 연관된 6개의 지표의 제1 집합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어떤 기획과제의 기대성과는 정책적/전략적 부합도(가령, 기획과제의 수행기관이 기획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수립한 계획이 기획과제의 투자기관의 정책 및 전략에 매칭되는 정도) 및 성공적 기술 개발을 통한 단계별 성과들 중 적어도 2개를 종합적으로 나타낸다. 특히, 단계별 성과들은 기술 개발을 통한 직접적인 성과(가령, 수행기관이 기획과제를 완수하여 얻은 기술 개발 성과를 기재한 특허, 논문등과 같이 기술 개발 성과 및 그와 연관된 지식이 재산화 및/또는 유형화된 결과물(output))뿐만 아니라 기술 개발 성과의 사업화를 통한 재무적 수익(가령, 개발된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통해 수행기관이 얻을 수 있는 수익과 같은 활용(outcome)) 및/또는 타 산업 등으로의 파급효과(impact)(가령, 기술 개발 성과가 의도하지 않은 형태로 타 산업 및 타 기술에 미치는 영향)까지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 1에 제시된 12개의 지표 중 다음 6개의 지표(이하, 각각 "기대성과 지표"라고도 지칭됨)를 기반으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에 관한 점수(이하, "기대성과 점수"라고도 지칭됨)가 산출될 수 있다.
- 기획과제의 정책 및 전략 부합도 측면을 기대성과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R&D 정책 및 전략 부합도" 지표(이하, "제1 지표"라고도 지칭됨)
- 기획과제의 결과물 측면을 기대성과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적 수월성 및 타 분야 응용 가능성" 지표 및 "IP 부상도" 지표(이하, 각각 "제2 지표" 및 "제3 지표"라고도 지칭됨)
- 기획과제의 활용 측면을 기대성과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 시장규모 및 성장률" 지표 및 "연관업종 영업이익률" 지표(이하, 각각 "제4 지표" 및 "제5 지표"라고도 지칭됨)
- 기획과제의 파급효과 측면을 기대성과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파급효과" 지표(이하, "제6 지표"라고도 지칭됨)
예를 들어,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는 다음을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 제1 지표: 기획과제와 산업기술 R&D 정책 및 R&D 전략 간의 부합성
- 제2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가령,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 지식이 타분야로 적용 및 활용될 가능성)
- 제3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출원인에 의해 IP가 확보된 정도 및/또는 그 기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유망 정도
- 제4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또는 그 기술이 적용될 제품의 시장규모 및/또는 성장률
- 제5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또는 그 기술이 적용될 제품의 연관업종 영업이익률
- 제6 지표: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성과가 타 산업 및/또는 타 기술에 미치는 영향
도 1에서, 점수 산출부(130)는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를 이용하여 기대성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의 수치들은 동일한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수 산출부(130)는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의 가중 평균(가령, 통상적인 평균 또는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가중 평균)을 기대성과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의 산출을 위해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가중치들은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가령, 원천기술형 또는 혁신제품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획과제가 원천기술형 과제인 경우,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에 대해 각각 20%, 20%, 10%, 15%, 15% 및 20%의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획과제가 혁신제품형 과제인 경우,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에 대해 각각 15%, 25%, 5%, 20%, 15% 및 20%의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점수 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기대성과 점수는 특정 범위(예컨대, 0부터 100점) 내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위험과 연관된 6개의 지표의 제2 집합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어떤 기획과제의 위험은 기술개발에 투입된 자원(즉, 투자규모), 기술개발 과정에서 기술개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즉, 기술위험) 및 기술개발 완료 후 개발된 기술 또는 그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사업화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즉, 시장위험) 중 적어도 2개를 종합적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표 1에 제시된 12개의 지표 중 다음 6개의 지표(이하, 각각 "위험 지표"라고도 지칭됨)를 기반으로 기획과제의 위험에 관한 점수(이하, "위험 점수"라고도 지칭됨)가 산출될 수 있다.
-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측면을 위험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지표, "기술인프라" 지표 및 "IP 장벽도" 지표(이하, 각각 "제7 지표", "제8 지표" 및 "제9 지표"라고도 지칭됨)
- 기획과제의 시장위험 측면을 위험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시장경쟁강도" 지표 및 "사업화 요구자원" 지표(이하, 각각 "제10 지표" 및 "제11 지표"라고도 지칭됨)
- 기획과제의 투자규모 측면을 위험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총 R&D 투자금액" 지표(이하, "제12 지표"라고도 지칭됨)
예를 들어,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는 다음을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 제7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의 수준과 현재의 기술 수준 간의 격차
- 제8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가령,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 지식이 타분야로 적용 및 활용될 가능성)
- 제9 지표: 기획과제에 투입 가능한 연구 인력 및 장비와 같은 연구 개발 역량 등의 기술적 인프라 및/또는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 및 개발될 기술의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법/제도 등의 사회적 인프라 등 기획과제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정도
- 제10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또는 그 기술이 적용될 제품의 시장의 경쟁 정도(가령, 시장의 경쟁자 수, 진입 장벽 및/또는 경쟁 구조 등과 같이 시장 환경 내의 경쟁 강도)
- 제11 지표: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 및/또는 그 기술이 적용될 제품의 사업화에 대한 요구 자원(예컨대, 제품 출시 기간 및 비용 등)의 정도
- 제12 지표: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위한 총 투자액(가령, 그러한 기술개발을 위해 정부가 투자하는 총 출연금)
점수 산출부(130)는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를 이용하여 위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의 수치들은 동일한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수 산출부(130)는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의 가중 평균(가령, 통상적인 평균 또는 상이한 가중치가 적용된 가중 평균)을 위험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의 산출을 위해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 각각에 대한 가중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 가중치들 역시 기획과제의 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획과제가 원천기술형 과제인 경우,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에 대해 각각 15%, 25%, 15%, 25%, 10% 및 10%의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획과제가 혁신제품형 과제인 경우,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에 대해 각각 10%, 20%, 15%, 25%, 20% 및 10%의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점수 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위험 점수는 특정 범위(예컨대, 0부터 100점) 내에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기획과제의 우선순위화
도 1에서, 등급 결정부(140)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예컨대, 원천기술형 및 혁신제품형) 중에서 기획과제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은 기획과제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등급 결정부(140)는 기획과제에 대하여 산출된 기대성과 점수 및 위험 점수 및 기획과제의 식별된 유형을 기반으로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내지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급 결정부(140)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기획과제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 제1 기준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획과제 평가의 지배적 원리로서 기대성과 평가점수 및 위험 평가 점수와 연관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위험이 비교적 낮고 기대성과가 비교적 높은 기획과제(즉, 지배원리를 충족하는 기획과제)에 가능한 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 제2 기준은 기획과제의 유형을 기획과제 평가에 반영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특정 유형(예컨대, 원천기술형)의 기획과제에 대해서는 그 기획과제의 위험이 비교적 높은 경우 제1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획과제 각각에는 미리 설정된 개수의 등급(가령, 높은 우선순위의 등급부터 낮은 우선순위의 등급 순서로 S 등급, A 등급, B 등급, C 등급 및 D 등급의 5개의 등급) 중 하나가 부여될 수 있다. 등급의 개수는 최소한 여러 기획과제들 간에 원하는 변별력을 줄 수 있을 만큼 클 수 있다. 이 개수가 충분히 크다면, 기획과제들 중 동일한 등급이 부여되는 과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위 등급들 중 동일한 등급이 부여된 기획과제들에 대해 상이한 서브-등급들(가령, 더 높은 서브-등급은 더 작은 양수로 표시될 수 있음)이 각각 부여될 수도 있는데, 그 서브-등급들은 대응하는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점수가 높을수록 더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혁신제품형의 어떤 기획과제에 대해 기대성과 점수(가령, 0부터 100 사이의 점수) 및 위험 점수(가령, 0부터 100 사이의 점수)가 주어진 경우, 그 기획과제에는 기대성과 점수 및 위험 점수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도 2에서 등급을 표기하는 문자 "S", "A", "B" 또는 "C" 직후에 추가된 숫자는 그 등급 내의 서브-등급을 표시한다. 일 예로서, 기대성과 점수가 95점이고 위험 점수가 6점인 기획과제에는 S 등급이 부여될 수 있고, 이 기획과제는 기대성과 점수가 87점이고 위험 점수가 5점인 S 등급의 다른 기획과제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즉, 더 높은 서브-등급)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원천기술형의 어떤 기획과제에 대해 기대성과 점수(가령, 0부터 100 사이의 점수) 및 위험 점수(가령, 0부터 100 사이의 점수)가 주어진 경우, 그 기획과제에는 기대성과 점수 및 위험 점수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도 2와 달리, 도 3은 상당한 기대성과 점수를 가지나 위험 점수가 비교적 높은 기획과제에 높은 등급이 부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 예로서, 기대성과가 95점이고 위험 점수가 57점인 기획과제가 혁신제품형 과제인 경우에는 A 등급이 부여될 수 있는 반면, 그 과제가 원천기술형 과제인 경우에는 S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도 3에서도 등급을 표기하는 문자 "S", "A", "B" 또는 "C" 직후에 추가된 숫자는 그 등급 내의 서브-등급을 표시한다.
기획과제에 대해 결정된 등급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복수의 기획과제 각각의 등급을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10)는 그러한 등급을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검증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 점수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지표 내지 제12 지표를 포함하는 검증 지표는 여러 평가자들이 매긴 평가 점수들로부터 (가령, 지표 획득부(120)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각 지표는 평가자들의 평가점수들의 평균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성 지표인 제1 지표, 제2 지표, 제6 지표, 제8 지표, 제9 지표 및 제10 지표 각각에 대하여, 평가자는 소정의 개수(가령, 5개)의 수준에 각각 대응하는 점수들 중 하나를 평가 점수로 매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낮은 수준, 낮은 수준, 보통 수준, 높은 수준 및 매우 높은 수준 순으로 1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가 평가 점수로서 주어질 수 있다.
한편, 정량 지표인 제3 지표, 제4 지표, 제5 지표, 제7 지표, 제11 지표 및 제12 지표 각각에 대한 평가 점수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매겨질 수 있다.
제3 지표인 IP 부상도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유효 특허를 대상으로 출원증가율, 국내출원인 출원건수 증가율, 최근 출원점유율 및 특허 시장확보력에 관한 계량적 분석에 따라 소정의 개수(가령, 5개)의 수준에 각각 대응하는 점수들 중 하나로 매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낮은 수준, 낮은 수준, 보통 수준, 높은 수준 및 매우 높은 수준 순으로 1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가 평가 점수로서 주어질 수 있다. 이 평가 점수는 특허동향조사 분석기관과 같은 외부 평가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표들(410, 420)을 참조하면, 제4 지표인 시장규모 및 성장률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시장규모 점수 및 시장성장률 점수 중 높은 점수로 매겨질 수 있는데, 시장규모 점수는 각 시장규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고 시장성장률 점수는 각 시장성장률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다. 이와 같이, 목표 시장에 따라 시장규모의 편차 및 시장성장률의 편차가 클 수 있는바, 과제별 특성에 따라 평가 점수의 기준이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표(520)를 참조하면, 제5 지표인 연관업종 영업이익률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공적인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소정의 개수(가령, 5개)의 수준에 각각 대응하는 점수들 중 하나로 매겨질 수 있다.
도 6의 표(620)을 참조하면, 제7 지표인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현재의 기술수준과 목표기술수준 간의 상대적 격차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개수(가령, 5개)의 수준에 각각 대응하는 점수들 중 하나로 매겨질 수 있다.
도 7의 표(720)을 참조하면, 제11 지표인 사업화 요구자원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사업화 소요기간(가령,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 완료 후 최초의 관련 매출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및 소요비용(가령, 사업화를 위해 추가로 투자된 R&D 투자액, 생산설비 투자액 및 생산부지 매입 등을 위한 기타 투자액)이 전체적으로 반영되도록 매겨질 수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평가 점수는 소요기간 점수와 소요비용 점수의 통상적인 평균일 수 있고, 편의상 그 평균값의 소수점 이하는 무시될 수 있다.
도 8의 표(820)을 참조하면, 제12 지표인 총 R&D 투자금액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에 기획과제의 투자기관이 투자하는 금액(가령, 정부출연금)의 총액에 따라 소정의 개수(가령, 5개)의 수준에 각각 대응하는 점수들 중 하나로 매겨질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획과제 평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기획과제 평가 과정(900)은 전술한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100)을 구현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동작(S910)에서, 지표 획득부(120)는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한다. 이러한 검증 지표들은 기획과제의 전략 적합도, 결과물 및 파급효과 측면을 기획과제의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 및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시장위험 및 투자규모 측면을 기획과제의 위험에 관한 제2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위험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는 앞서 언급된 제1 지표 내지 제6 지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위험 지표는 앞서 언급된 제7 지표 내지 제12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지표 획득부(120)는 각 검증 지표에 대한 복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으로서 각 검증 지표를 산출하여 이러한 검증 지표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S920)에서, 점수 산출부(130)는 획득된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점수(즉, 제1 점수) 및 위험 점수(즉, 제2 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점수 산출부(130)는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의 평균 및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의 평균을 각각 제1 점수 및 제2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수 및 제2 점수의 산출을 위해, 각 지표에는 상이한 가중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동작(S930)에서, 등급 결정부(140)는 제1 유형(가령, 혁신제품형) 및 제2 유형(가령, 원천기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 중에서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한다.
동작(S940)에서, 등급 결정부(140)는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식별된 유형을 기반으로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이러한 결정을 위해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급 결정부(140)는 기획과제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앞서 언급된 제1 기준이 만족되도록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제1 기준에 따르면,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 또는 제2 점수보다 높은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다. 가령, 도 2를 참조하면, 기대성과 점수가 95점이고 위험 점수가 6점인 기획과제에는 S 등급이 부여될 수 있고, 기대성과 점수가 96점이고 위험 점수가 57점인 다른 기획과제에는 A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등급 결정부(140)는 기획과제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앞서 언급된 제2 기준이 만족되도록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이 제2 기준에 따르면, 제1 점수가 제1 범위에 속하고 제2 점수가 제2 범위(특히, 제2 점수의 최소 가능 값(가령, 0점)부터 그 최소 가능 값에 특정 값을 더한 값(가령, 20점)까지의 범위를 포함하지 않음)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 및 제2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그러한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하의 우선순위가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다. 가령, 도 3을 참조하면, 기대성과 점수가 90점에서 100점 사이의 제1 범위에 속하고(가령, 96점) 위험 점수가 20점에서 60점 사이의 제2 범위에 속하는(가령, 57점)인 기획과제에는 S 등급이 부여될 수 있는 반면,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가령, 95점) 및 제2 범위를 벗어난 위험 점수(가령, 6점)를 갖는 기획과제에는 A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가령, 92점) 및 제2 범위를 벗어난 위험 점수(가령, 81점)를 갖는 기획과제에는 B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나아가, 등급 결정부(140)는 제3 기준이 만족되도록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 제3 기준에 따라 앞서 언급된 서브-등급이 기획과제에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또는 제2 기준에 따라 부여된 우선순위가 어떤 기획과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나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에는 위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최종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서, 기대성과 점수가 95점이고 위험 점수가 6점인 기획과제 및 기대성과 점수가 87점이고 위험 점수가 5점인 다른 기획과제에는 모두 S 등급이 부여될 수 있으나, 서브-등급까지 고려된 최종 우선순위는 각각 S1 등급 및 S2 등급으로서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 기대성과 점수가 95점이고 위험 점수가 6점인 기획과제 및 기대성과 점수가 87점이고 위험 점수가 5점인 다른 기획과제에는 모두 A 등급이 부여될 수 있으나, 서브-등급까지 고려된 최종 우선순위는 각각 A1 등급 및 A2 등급으로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기획과제 평가 시스템
11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120: 지표 획득부
130: 점수 산출부
140: 등급 결정부

Claims (14)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으로서,
    서로 상충관계가 없는 복수의 검증 지표를 정의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입출력 단계;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지표 획득 단계;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 및 상기 위험에 관한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 단계;
    상기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는 유형 식별 단계; 및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급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의 정책 및 전략 부합도, 결과물 및 파급효과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1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시장위험 및 투자규모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2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위험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와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정책 및 R&D 전략 간의 부합성을 나타내는 제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2 지표, 상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출원인에 의해 IP가 확보된 정도 및 상기 기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유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3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기술이 적용될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규모 및 성장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4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의 연관업종 영업이익률을 나타내는 제5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성과가 타 산업 및 타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제6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는 상기 기술의 수준과 현재의 기술 수준 간의 격차를 나타내는 제7 지표, 상기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8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정도를 나타내는 제9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제10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화에 대한 요구 자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위한 총 투자액을 나타내는 제12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유효 특허를 대상으로 출원증가율, 국내출원인 출원건수 증가율, 최근 출원점유율 및 특허 시장확보력에 관한 계량적 분석에 따라 부여되며,
    상기 제12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에 기획과제의 투자기관이 투자하는 금액의 총액에 따라 부여되고,
    상기 점수 산출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의 가중 평균 및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의 가중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형 식별 단계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제1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 또는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며,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제2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가 제1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2 점수가 상기 제2 점수의 최소 가능 값부터 상기 최소 가능 값에 특정 값을 더한 값까지의 범위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 및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하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 단계는 제3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를 가질 또 다른 기획과제에는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최종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표 획득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 중 각 검증 지표에 대한 복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으로서 상기 각 검증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서로 상충관계가 없는 복수의 검증 지표를 정의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기술개발을 위한 기획과제의 기대성과 및 위험을 수치화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지표 획득부;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기반으로 상기 기대성과에 관한 제1 점수 및 상기 위험에 관한 제2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 및
    상기 기획과제의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점수, 상기 제2 점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기반으로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급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의 정책 및 전략 부합도, 결과물 및 파급효과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1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의 기술위험, 시장위험 및 투자규모 측면 중 적어도 2개를 상기 제2 점수에 반영하기 위한 복수의 위험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는 상기 기획과제와 산업기술 연구개발(R&D) 정책 및 R&D 전략 간의 부합성을 나타내는 제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해 개발될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2 지표, 상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 출원인에 의해 IP가 확보된 정도 및 상기 기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유망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3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기술이 적용될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규모 및 성장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4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의 연관업종 영업이익률을 나타내는 제5 지표 및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성과가 타 산업 및 타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제6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는 상기 기술의 수준과 현재의 기술 수준 간의 격차를 나타내는 제7 지표, 상기 기술이 가지는 독창성 및 차별성을 나타내는 제8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정도를 나타내는 제9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의 경쟁 정도를 나타내는 제10 지표, 상기 기술 및 상기 제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업화에 대한 요구 자원의 정도를 나타내는 제11 지표, 상기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을 위한 총 투자액을 나타내는 제12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유효 특허를 대상으로 출원증가율, 국내출원인 출원건수 증가율, 최근 출원점유율 및 특허 시장확보력에 관한 계량적 분석에 따라 부여되며,
    상기 제12 지표에 관한 평가 점수는 기획과제를 통한 기술개발에 기획과제의 투자기관이 투자하는 금액의 총액에 따라 부여되고,
    상기 점수 산출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상기 복수의 기대성과 지표의 가중 평균 및 상기 복수의 위험 지표의 가중 평균을 각각 상기 제1 점수 및 상기 제2 점수로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유형 중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1 유형인 경우 제1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1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 또는 상기 제2 점수보다 높은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며,
    상기 등급 결정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유형이 상기 제2 유형인 경우 제2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2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점수가 제1 범위에 속하고 상기 제2 점수가 상기 제2 점수의 최소 가능 값부터 상기 최소 가능 값에 특정 값을 더한 값까지의 범위를 포함하지 않는 제2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범위에 속하는 기대성과 점수 및 상기 제2 범위를 벗어나는 위험 점수를 가질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상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이하의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에 부여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등급 결정부는 제3 기준이 만족되도록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되, 상기 제3 기준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에 따라 부여된 우선순위가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점수보다 낮은 기대성과 점수를 가질 또 다른 기획과제에는 상기 기획과제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최종 우선순위가 부여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표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 중 각 검증 지표에 대한 복수의 평가 점수의 평균으로서 상기 각 검증 지표를 산출하여 상기 복수의 검증 지표를 획득하는,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60367A 2014-11-17 2014-11-17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70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67A KR101708796B1 (ko) 2014-11-17 2014-11-17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67A KR101708796B1 (ko) 2014-11-17 2014-11-17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36A KR20160058636A (ko) 2016-05-25
KR101708796B1 true KR101708796B1 (ko) 2017-02-21

Family

ID=5611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67A KR101708796B1 (ko) 2014-11-17 2014-11-17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969B1 (ko) * 2018-11-30 2020-10-28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기획과제 우선순위 선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590A (ko) * 2003-07-23 2005-0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투자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2814B1 (ko) 2010-06-30 2012-09-1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KR101245650B1 (ko) * 2011-03-17 2013-03-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구개발기술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36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06096A (zh) 基于捞回用户管理授信额度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0659985A (zh) 一种捞回误拒潜在用户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5460426B2 (ja) 生産性評価装置、生産性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jarnason et al. Overscoping: Reasons and consequences—A case study on decision making in software product management
CN113535546B (zh) 一种开源组件评估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345109A (zh) 一种基于分类预测模型的员工评估方法及终端设备
Cheng et al. Integrating chaotic initialized opposition multiple-objective differential evolution and stochastic simulation to optimize ready-mixed concrete truck dispatch schedule
CN110764999A (zh) 自动化测试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存储介质
WO2023179386A1 (zh) 数据处理方法、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Olsson et al. An empirical study on decision making for quality requirements
Buglione et al. Estimation tools and techniques
US20130013244A1 (en) Pattern based test prioritization using weight factors
Park et al. Correlations between construction firm value and top management characteristics
KR20130012845A (ko) 의사결정문제 해결 대응 시스템
Acosta-Ramirez et al. Application of Lean Manufacturing tools under DMAIC approach to increase the NPS in a real estate company: A Research in Peru
KR101708796B1 (ko)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US20180081867A1 (en) Actively adapted knowledge base, content calibr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US20040024673A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resources based on market and technology considerations
KR101836333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설계 자동 검증 시스템
CN102968305A (zh) 逻辑处理方法、装置及测评系统
Inoki et al. Application of requirements prioritization decision rules in software product line evolution
Kuhlen et al. Business process analysis by model checking.
Guimarães et al. Critical overview of urban sustainability assessment tools
Spiess-Knafl et al. Social Impact Assessment
Chugh et al. Assimilation of four layered approach to NFR in agile requirement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