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14B1 -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 Google Patents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14B1
KR101182814B1 KR1020100062909A KR20100062909A KR101182814B1 KR 101182814 B1 KR101182814 B1 KR 101182814B1 KR 1020100062909 A KR1020100062909 A KR 1020100062909A KR 20100062909 A KR20100062909 A KR 20100062909A KR 101182814 B1 KR101182814 B1 KR 101182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arch
task
deriving
project
pl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58A (ko
Inventor
김원규
박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은 상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하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접근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및 과제전략수립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의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과제후보군 중에 중점 추진 과제를 선별하고, 과제별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Comprehensive Strategic Planning metho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본 발명은 기획연구를 위한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더 자세히는 과제 도출을 위해, 기술 분야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전략 및 과제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선정하는 작업은 정부 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기획연구의 계획하게 되면, 자체적으로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게 되므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구개발 과제를 중복적으로 선정하여, 수행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는 방법은 국가 연구개발 과제 선정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나아가 국가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는 방법은 선정된 세부과제 중에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선정하거나, 과제별 우선순위 도출하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연구과제 수행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체계적인 과제 전략 및 체계를 구축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목적은 과제후보군 중에 중점 추진 과제를 선별하고, 과제별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상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동향 분석을 통해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하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적 및 시스템 비전에 따른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과제전략수립부를 이용하여, 과제별 연구내용을 정립하고, 과제별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국내외 기술동향 및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스왓(SWOT) 분석을 실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니즈분석을 통한 연구 주안점을 도출하고, 연구과제의 장기 비전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기획연구분야의 기술위상을 분석하고, 과제별 중장기 로드맵을 구상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시장성, 시급성, 위험성 및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과제별 우선순위를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기획연구분야의 국내외 연구사례 및 문헌을 수집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역할 및 시스템 비전을 정립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법, 제도 및 인프라를 고려하여, 최적의 기획연구 추진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비전 및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분야별 기술 요소를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중복성 검토를 통해, 중점 추진해야할 과제의 요소기술을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중점 추지 과제별 연구 예산과 수행기간을 산정하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도출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과제 수행의 역할 분담 및 단계별 로드맵을 정립하고, 신규과제의 통합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은 상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하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접근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및 과제전략수립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의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은 과제후보군 중에 중점 추진 과제를 선별하고, 과제별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함으로써, 기획연구 예산 낭비를 막고 효율적인 예산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함으로써,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동향 분석을 통해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함으로써, 기획연구의 목적 및 시스템 비전에 따른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전략수립부를 이용함으로써, 과제별 연구내용을 정립하고, 과제별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내외 기술동향 및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스왓(SWOT)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즈분석을 통한 연구 주안점을 도출하고, 연구과제의 장기 비전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획연구분야의 기술위상을 분석하고, 과제별 중장기 로드맵을 구상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장성, 시급성, 위험성 및 파급효과를 고려하여, 과제별 우선순위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획연구분야의 국내외 연구사례 및 문헌을 수집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역할 및 시스템 비전을 정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법, 제도 및 인프라를 고려하여, 최적의 기획연구 추진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의 비전 및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분야별 기술 요소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중복성 검토를 통해, 중점 추진해야할 과제의 요소기술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점 추지 과제별 연구 예산과 수행기간을 산정하고,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과제 수행의 역할 분담 및 단계별 로드맵을 정립하고, 신규과제의 통합 및 활용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종 중점 추진 과제가 도출되는 과정에서 여러 차례 중복성 검토를 시행함으로써, 과제 선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과제접근 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상향접근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하향접근분석부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과제전략수립부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S20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S30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S40단계의 상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 크게 데이터입력부(10), 과제접근분석부(20) 및 과제전략수립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입력부(10)는 국가 연구개발을 대상이 되는 분야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과제접근분석부(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는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 용어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 및 관련 분야 자료를 말한다.
상기 과제접근분석부(20)는 기획연구 분야의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접근분석부(23) 및 하향접근분석부(25)를 포함한다.
상기 상향접근분석부(23)는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동향분석부(231), 연구방향분석부(233), 분야별후보군도출부(235), 평가지표개발부(237) 및 과제우선순위도출부(239)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동향분석부(231)는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 동향 시장 환경, 외부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상기 연구방향분석부(23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구방향분석부(233)는 분야별 연구기술의 니즈를 파악하고, 연구방향을 정립하여, 정립된 결과를 상기 분야별후보군도출부(23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야별후보군도출부(235)는 분야별 추진과제에 관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출된 상기 기술 후보군을 상기 평가지표개발부(23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평가지표개발부(237)는 추진과제에 관한 특성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역할을 하며, 개발된 결과는 상기 과제우선순위도출부(239)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향접근분석부(25)는 상기 상향접근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획연구목표수립부(251), 시스템비전분석부(253), 추진전략도출부(255),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257) 및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259)를 포함한다.
상기 기획연구목표수립부(251)는 기획연구의 목표를 수립하는 역할을 하며, 수립된 기획연구의 목표를 상기 시스템비전분석부(25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스템비전분석부(253)는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비전 및 시스템의 역할을 정립하는 역할을 하며, 정립된 결과를 상기 추진전략도출부(25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진전략도출부(255)는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며, 도출된 결과를 상기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257)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257)는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체계를 수립하는 역할을 하며, 도출된 결과를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259)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259)는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제전략수립부(30)는 상기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의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제연구내용정립부(31), 전략체계수립부(33) 및 과제수정보완부(35)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연구내용정립부(31)는 과제별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를 정립하는 역할을 하며, 정립된 결과를 전략체계수립부(3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략체계수립부(33)는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립하는 역할을 하며, 수립된 결과를 상기 과제수정보완부(3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제수정보완부(35)는 상기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정, 보완하여, 과제로드맵을 완성하고, 제안요청서를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데이터입력부(10)를 이용하여, 연구개발 과제의 관련 분야의 키워드 및 관련 자료를 입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해, 자전거 이용활성화의 기획연구의 최종 과제 도출 과정을 일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10단계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따른 기술 용어를 포함하는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향접근분석부(23)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
[도 7]은 상기 S20 단계의 상세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기술동향분석부(231)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 동향 시장 환경, 외부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S21 단계에서는 자전거 관련 국내외 사레와 문헌을 수집하고, 국내외 기술 동향 및 시장 성향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21 단계는 각 기술 분야별로 (SWOT - Strenght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sths)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0]은 자전거 이용활성화 기획연구의 S10단계의 SWOT 도출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구방향분석부(233)를 이용하여, 분야별 연구기술의 니즈를 파악하고, 연구방향을 정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23 단계는 니즈분석을 통한 녹색성장, 자전거 산업 및 이용분야의 미래 이슈와 니즈를 정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S23 단계는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따른 법, 제도, 정책, 산업 및 역량들의 현황을 통해, 장기 비전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상기 S23 단계를 통해, 미래 이슈와 니즈 항목인 친환경적 녹색시스템(Green & Eco-Friendly), 지능형 체계의 고도화(Intelligent & Informative), 확장성 및 다기능성(Scalable & Multi-Functional) 구현, 유지보수 성능의 획기적 개선(Easily Maintainable)을 도출하고, 장기 비전 및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후보군도출부(235)를 이용하여, 분야별 추진과제에 관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25 단계는 자전거 분야의 기술별 위상분석을 수행하고, 자전거 이용활성화에 따른 신규과제 개념(concept)을 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그 결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보군을 도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S25 단계는 각 기술 후보군 간의 연관성 및 선후 수행과제를 파악함과 동시에 1차 중복성 검토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평가지표개발부(237)를 이용하여, 추진과제에 관한 특성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27 단계는 상기 S25 단계에서 도출된 후보군의 기술 특성을 분석하고, 세부 추진기술을 선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평가하며, 그 결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의 이용효율성 및 운영자의 운영효율성의 세부 평가지표를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우선순위도출부(239)를 이용하여, 중점 추진과제 또는 추진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9)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29 단계는 시장성, 시급성, 위험성 및 파급효과를 고려한 기술 개발 과제를 선정하고, 우선순위 선정도구를 이용하여, 과제별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선순위 선정도구(Prioritizing Tools)는 결정이론(Decision Theory), 포트폴리오 최적화(Portfolio Optimiza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 인지 모형(Cognitive modeling), 군집분석 및 판별분석(Cluster Analysis & Discriminant Analysis)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도 14]는 상기 포트폴리오 최적화를 통한 세부 기술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더불어, 상기 S29 단계에서 2차 중복성 검토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향접근분석부(25)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접근분석부(23)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도 8]은 상기 S3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기획연구목표수립부(251)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1 단계는 자전거 관련 국내외 사례와 문헌을 수집하고 검토하며, 국내외 자전거 이용 활성화 현황을 파악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설정하게 되며, 상기 S31 단계를 통해 지능형 다기능 안내표지판 개발의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비전분석부(253)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비전 및 시스템의 역할을 정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3 단계는 교통안내표지의 역할 및 형태 등의 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교통안내표지의 역할을 정립한다.
또한, 상기 S33 단계는 지능형 교통체계 내 도로 전광표지의 역할 및 위계 파악을 통한 비전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진전략도출부(255)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5 단계는 지능형 다기능 가변안내표지판 개발의 기획연구를 위하여, 법, 제도 및 인프라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기획연구 추진 전략을 분석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출된 전략을 비교 및 분석하여, 최적의 기획연구 추진 전략을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257)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7 단계는 비전 및 기획연구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시나리오분석을 통해 지능형 교통체계 내부의 추진후보 기술군을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259)를 이용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9)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39 단계는 상기 S37 단계에서 도출된 기술군에 관한 개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3차 중복성 검사를 통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요소기술을 도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전략수립부(30)를 이용하여, 상기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의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
[도 5]는 상기 S4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과제연구내용정립부(31)를 이용하여, 과제별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를 정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41 단계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관련분야의 기술별 영역으로부터 기술체계 및 중점 추진과제를 대분류/중분류/소분류 등으로 나누어 도출하고, 도출된 세부 추진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목표 및 사업 내용을 도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S41 단계는 4차 중복성 검토 작업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진기술별로 정량적, 정성적 성과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전략체계수립부(33)를 이용하여,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3)
본 발명에서 실시예에서 상기 S43 단계는 과제별 역할을 분담하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ar 모형 지수분석을 이용하여, 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한다.
또한, 상기 S43 단계는 분할된 역할 및 추진기술별 연계종합방안을 제시하고,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 및 민자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수정보완부(35)를 이용하여, 상기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정, 보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5)
다음으로, 상기 과제수정보완부(35)를 이용하여, 과제로드맵을 완성하고, 제안요청서를 완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S47 단계를 통해 [도 21]에 도시된 상태천이도에 의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부기술분야 로드맵을 완성하게 하고, 중점 추진기술의 로드맵을 바탕으로 과제를 도출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향접근분석부(23)를 이용하여, 기술동향 및 시장 환경에 따라 중점 추진기술의 후보군을 산출하고, 상기 하향접근분석부(25)를 통해, 기획연구 목표에 따른 중점 추진기술 후보군을 도출하고, 상기 과제전략수립부(30)를 이용하여, 최종 추진과제를 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은 과제후보군 중에 중점 추진 과제를 선별하고, 기술전략 및 과제별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도출함으로써, 기획연구 예산 낭비를 막고 효율적인 예산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 : 데이터입력부 20 : 과제접근분석부
23 : 상향접근분석부 25 : 하향접근분석부
30 : 과제전략분석부 31 : 과제연구내용정립부
33 : 전략체계수립부 35 : 과제수정보완부
231 : 기술동향분석부 233 : 연구방향분석부
235 : 분야별후보군도출부 237 : 평가지표개발부
239 : 과제우선순위도출부 251 : 기획연구목표수립부
253 : 시스템비전분석부 255 : 추진전략도출부
257 :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 259 :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

Claims (16)

  1. 상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하향접근분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향접근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및
    과제전략수립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의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 분야의 시장 환경에 따라 분야별 추진 과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는,
    기술동향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 동향 시장 환경, 외부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
    연구방향분석부를 이용하여, 분야별 연구기술의 니즈를 파악하고, 연구방향을 정립하는 단계;
    후보군도출부를 이용하여, 분야별 추진과제에 관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
    평가지표개발부를 이용하여, 추진과제에 관한 특성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 및
    과제우선순위도출부를 이용하여, 중점 추진과제 또는 추진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기획연구의 목표와 비전과 부합하는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는,
    기획연구목표수립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수립하는 단계;
    시스템비전분석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비전 및 시스템의 역할을 정립하는 단계;
    추진전략도출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단계;
    분야별과제체계수립부를 이용하여,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 및
    중점과제후보군도출부를 이용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별 연구내용에 따라 과제 추진전략 및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는,
    과제연구내용정립부를 이용하여, 과제별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를 정립하는 단계;
    전략체계수립부를 이용하여,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립하는 단계;
    과제수정보완부를 이용하여, 상기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정, 보완하는 단계 및
    과제수정보완부를 이용하여, 과제로드맵을 완성하고, 제안요청서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 동향 시장 환경, 외부요인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단계는,
    기획연구 분야의 국내외 연구 사례 및 문헌을 수집하여 검토하는 단계 및
    국내외 기술 동향 및 시장환경을 고려하여, 스왓(SWOT-strenght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sths)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연구기술의 니즈를 파악하고, 연구방향을 정립하는 단계는,
    니즈분석을 통한 연구 주안점을 도출하는 단계 및
    법, 제도, 정책, 산업 역량의 현황을 파악하여, 장기 비전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야별 추진과제에 관한 기술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는,
    기획연구 분야의 기술위상을 분석하고, 신규과제의 컨셉을 정립하는 단계 및 과제별 연관성 및 선후연구 파악을 통한 로드맵을 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과제에 관한 특성 및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는,
    분야별 추진 과제의 관련 기술과 연구 특징을 파악하는 단계 및
    추진과제 평가지표를 통해 중점 추진과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점 추진과제 또는 추진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는,
    시장성, 시급성, 위험성 및 파급효과를 고려한 기술 개발 과제를 선정하는 단계;
    우선순위 선정도구를 이용하여, 과제별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종합분석을 통한 과제별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우선순위 선정도구는 결정이론, 포트폴리오 최적화, 시뮬레이션, 인지 모형, 군집분석 및 판별분석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의 목표를 수립하는 단계는,
    기획연구 분야의 국내외 연구사례와 문헌을 수집하여, 검토하는 단계 및
    국내외 현황 파악을 통해, 기획연구의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 분야의 시스템 비전 및 시스템의 역할을 정립하는 단계는,
    기획연구분야의 이용현황에 따른 시스템 역할을 정립하는 단계 및
    기획연구분야 내에서의 시스템 비전을 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단계는,
    법, 제도 및 인프라를 고려하여, 기획연구의 추진 전략을 도출하는 단계 및
    도출된 기획연구의 추진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기획연구 추진 전략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획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 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비전 및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한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단계 및 각 분야별 요소 기술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향접근분석부에서 도출된 분야별 기술 후보군에서 중복성 검토 후, 중복된 과제 후보군이 제외된 중점 추진 과제 후보군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별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를 정립하는 단계는,
    과제별 연구 목표 및 연구 내용을 정립하는 단계;
    국가 연구개발 예산을 기준으로 과제 수행 기간을 산정하는 단계 및
    과제별 최소규모 및 확장가능성, 차별성, 중복성을 검토하여,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별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를 수립하는 단계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의 역할 분담 및 관계를 정립하는 단계;
    기업화 또는 상용화 시기에 따른 장기 비전 및 단계별 로드맵을 수립하는 단계;
    신규 과제별 연계, 통합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는 단계 및
    민간개발의 적격성을 판단하고, 테스트 베드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KR1020100062909A 2010-06-30 2010-06-30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KR10118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09A KR101182814B1 (ko) 2010-06-30 2010-06-30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909A KR101182814B1 (ko) 2010-06-30 2010-06-30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58A KR20120002158A (ko) 2012-01-05
KR101182814B1 true KR101182814B1 (ko) 2012-09-13

Family

ID=4560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909A KR101182814B1 (ko) 2010-06-30 2010-06-30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12B1 (ko) * 2013-11-27 2015-06-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현안 키워드 대응 연구개발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08796B1 (ko) 2014-11-17 2017-02-21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기획과제의 우선순위 선정 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119B1 (ko) 2005-12-22 2007-06-2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 계량지수를 활용한 연구개발 의사결정 지원 방법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58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og et al.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strategic energy planning based on Danish and international insights
Lamba et al. Modeling big data enablers for operation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Ahi et al. An analysis of metrics used to measure performance in green and sustainable supply chains
Orji et al. Evaluating challenges to implementing eco-innovation for freight logistics sustainability in Nigeria
Srai et al. Understanding sustainable supply network capabilities of multinationals: A capability maturity model approach
Gedam et al. Moving the circular economy forward in the mining industry: Challenges to closed-loop in an emerging economy
Song et al. Prescriptive analytics system for improving research power
Huang et al.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mprovement: A bibliometric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Roghanian et al. A fuzzy model for achieving lean attributes for competitive advantages development using AHP-QFD-PROMETHEE
Cavada et al. A smart city case study of Singapore—Is Singapore truly smart?
León et al. Data quality assessment framework for critical raw materials. The case of cobalt
Bhuyan et al. Evaluating the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industry in an emerging economy: A multi-stakeholder an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pproach
Gélinas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KR101182814B1 (ko) 국가 연구개발 과제 도출 방법
Wieninger et al. The strategic analysis of business ecosystems: New concep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a research approach
Leach et al. The Liveable Cities Method: establishing the case for transformative change for a UK metro
Bouillass et al. Digital technologies to advance circular economy at territorial level: Challenges and solutions
Sommer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Management: A Case Study.
Barquet et al. Piloting the SDG Synergies approach in Mongolia
KR101609292B1 (ko)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Pohl et al. Assessment of Energy and Emission Reduction Measures in Container Terminals using PROMETHEE for Portfolio Selection
Topcu et al. A decision support methodology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largest border crossing between Europe and Turkey
Sarram et al. Investigating customer satisfaction patterns in a community livability context: An efficiency-oriented decision-making approach
Purwanto et al. Hybrid solar-electric cart efficiency enhancement: A bibliometric analysis
McKernan et al. Using metrics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the adaptive acquisition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