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039A -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039A
KR20150110039A KR1020140033814A KR20140033814A KR20150110039A KR 20150110039 A KR20150110039 A KR 20150110039A KR 1020140033814 A KR1020140033814 A KR 1020140033814A KR 20140033814 A KR20140033814 A KR 20140033814A KR 20150110039 A KR20150110039 A KR 2015011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mprovement
information
processes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292B1 (ko
Inventor
윤병운
이기은
정유진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29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서 내부 정보 기반의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고, 기 저장된 기준 그룹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본 발명은 연구 개발의 프로젝트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예상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구개발 활동은 정부, 교육기관, 연구기관에서 핵심적인 활동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 프로세스 평가 시스템은 높은 불확실성을 갖는 연구개발 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연구개발 투자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고 프로세스 평가 시스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는 IT산업에서의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4단계로 평가하고 있으며, EIRMA(European Industrial Research Management Association) 모델은 조직차원에서 각 산업별 다른 지표를 가지고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연구개발 프로세스 평가 시스템은 평가 및 심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평가 후 개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만약 개선을 하는 경우 어떠한 성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 제공에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전무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068호(2010. 07. 1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내부 현황과 비교 대상으로 기준으로 한 상대적 현황을 기반으로 개선안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선 안을 기반으로 예상 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내부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내부 현황 분석부; 기 저장된 기준 그룹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외부 현황 분석부; 및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개선 정보 도출부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X는 i 프로세스의 수행도, A는 i 프로세스 수행 여부, i는 프로세스, n은 프로세스의 개수)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중요 정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Y는 프로세스 i의 중요 정도, B는 i 프로세스 중요도, i는 프로세스, n은 프로세스의 개수)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산출된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최종 상태를 아래와 같은 수학식으로 도출하며, 상기 최종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X는 i 프로세스의 수행도, Y는 i 프로세스의 중요 정도)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외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프로세스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대적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 및 그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개선 정보 도출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외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틱스 각각의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 각각에 대한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개선 정보 도출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연구 개발 기획, 포트폴리오 관리, 아이디어 관리, 지적 재산 관리,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성과 관리, 품질 경영, 인적 자원 관리,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모니터링, 게이트 평가, 협력 관리, 위험 관리, 개념 정립 및 사업성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서 내부 정보 기반의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기 저장된 기준 그룹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프로세스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대적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스세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각 성과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이용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로서, 상기 기업의 각 성과와 기 저장된 비교 군집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성과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성과 입력부;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목표 입력부; 및 상기 수집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개발의 성과 정도에 상기 목표 수준으로 반영하여 예상 성과를 산출하는 예상 성과 산출부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는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 및 비교 군집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한 상대적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선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세스 목록 내 프로세스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상기 예상 성과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예상 성과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Z는 예상 성과, a는 각 성과에 기 설정된 상수 값, i는 프로세스, b는 프로세스의 회귀계수, r은 프로세스의 목표수준, n은 프로세스의 개수)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기업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각 성과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의 각 성과와 기 저장된 비교 군집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성과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개발의 성과 정도에 상기 목표 수준으로 반영하여 예상 성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서 상기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목록 중 선택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서 상기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 및 비교 군집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한 상대적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선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내부 현황과 비교 대상으로 기준으로 한 상대적 현황을 기반으로 개선 안을 제공함으로써, 연구 개발의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그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선 안 적용 시 성과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선 안의 타당성 유무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상 성과 기반의 개선 안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선 안과 예상 성과를 기반으로 정보 이용자로 하여금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있어서 장점과 강점을 알 수 있으며, 차기 연구개발 프로젝트 선정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설문 인터페이스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과 산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과 산출부에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에 대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가 도출된 프로세스 개선 이슈를 기반으로 예상 성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가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내부 현황 분석부(130), 외부 현황 분석부(140), 개선 정보 도출부(150), 예상 성과 산출부(160), 출력부(165),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 기업 정보 DB(172) 및 성과 정보 DB(174)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10)는 기업 내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업무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목표 수준, 중요도 등과 같은 내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스의 내부 정보는 프로세스 자체에 대한 정보일 뿐만 아니라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포함된 베스트 프랙티스(BP : Best Practice)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 여부, 목표 수준, 중요도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입력부(110)가 제공하는 설문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는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목표 수준 및 중요도를 체크할 수 있는 설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세스 중 연구 개발 기획 내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BP : Best Practice)의 수행 여부, 목표 수준 및 중요도 등을 체크할 수 있는 설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구성 부재의 요청에 따라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 기업 정보 DB(172) 및 성과 정보 DB(174)에서 데이터를 인출하여 제공하거나 각 구성 부재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예컨대 프로세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내부 현황 분석부(130) 및 외부 현황 분석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설문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복수의 프로세스의 내부 정보를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 및 프로세스 상태 등의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설문 정보를 입력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예컨대 각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 목표 수준 및 중요도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 내 프로세스 수행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프로세스 수행 현황을 기반으로 프로세스 상태, 프로세스 개선 우선 순위, 프로세스 수행도, 중요도 등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목표 달성 수준과 수행도를 기반으로 프로세스의 달성 수준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프로세스의 달성 수준, 프로세스 개선 우선 순위, 프로세스 수행도, 중요도 및 프로세스 상태를 기반으로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상태 및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와 중요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최종 상태를 도출한 후 최종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최종 상태는 상, 중, 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프로세스의 내부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설문 정보를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베스트 프랙티스의 달성 수준, 베스트 프랙티스 개선 우선 순위, 베스트 프랙티스 수행도, 중요도 및 베스트 프랙티스의 상태를 도출하며, 도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스트 프랙티스의 상태 및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기업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기업 정보 DB(172)에서 비교 대상 기업의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비교 대상 기업의 정보와 기업의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상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상대적인 프로세스 현황을 도출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프로세스 선택 기능, 분석 대상 선택 기능, 상하위 기준 선택, 다른 군집 선택 기능 등을 제공하며, 제공되는 기능을 통해 상대적 프로세스 개선 우선 순위, 상대적 프로세스 상태, 비교 대상 기반의 프로세스 수행도 및 중요도 등의 상대적 프로세스 현황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상대적 프로세스 현황을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의 상태, 우선순위 및 기업의 프로세스 달성 수준에 해당하는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내부 현황 분석부(130)와 마찬가지로,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베스트 프랙티스를 기반으로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개선 정보 도출부(150)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분석하여 기업 내의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한 정보, 예컨대 프로세스 및 베스트 프랙티스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선 정보 도출부(150)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 내 개선해야할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 우선 순위,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의 상태와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 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 우선 순위,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 상태간의 비교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를 도출할 수 있다.
예상 성과 산출부(160)는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에 따른 예상 성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목표 수준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거나,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에 의해 기 설정된 값이거나 기업 정보 DB(172)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예상 성과 산출부(160)는 개선 정보도 도출부(160)에 의해 도출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와 그 우선 선위를 기초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165)는 내부 현황 분석부(130), 외부 현황 분석부(140), 개선 정보 도출부(150) 및 예상 성과 산출부(160)에서 도출 또는 산출된 정보를 다양한 형태, 예컨대 그래프, 도표 형태로로 제공할 수 있다.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기업 정보 DB(172)는 기업의 연구 개발에 있어서 전략 정보, 기업의 프로세스 및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 여부와 중요도 정보, 기업의 성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성과 정보 DB(174)에는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상 성과 산출부(160)는 기업의 각 성과와 기 저장된 비교 군집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성과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한 후 수집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개발의 성과 정도에 목표 수준으로 반영하여 예상 성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상 성과 산출부(16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과 산출부(16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상 성과 산출부(160)에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에 대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 성과 산출부(160)는 성과 입력부(210), 정보 제공부(220), 목표 입력부(230) 및 산출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성과 입력부(210)는 기업의 성과와 비교 군집(타 기업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올리고자 하는 성과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성과는 정보 제공부(220)에 제공된다.
정보 제공부(220)는 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관 관계가 있는 프로세스들과 그 상태를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220)는 내부 현황 분석부(130)에서 도출한 프로세스 상태를 기반으로 성과와 연관 관계가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를 화면 상에 제공하거나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에서 성과와 연관관계가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검색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된 프로세스들의 목록과 그 상태를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목표 입력부(230)는 정보 제공부(220)에 의해 제공된 프로세스 목록 내 각 프로세스에 대한 목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산출부(240)는 목표 입력부(230)에 의해 설정된 목표 수준에 대한 프로세스 전체의 항목별 다중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목표 수준에 따른 예상 성과를 도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에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방법(3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프로세스 수행 여부, 프로세스 중요도, 베스트 프랙티스 수행 여부, 베스트 프랙티스 중요도, 출원 특허, 기술 이전, 인증된 기술 정보, 연구 개발을 통한 신시장 창출 기여도, 연구 개발을 통한 비용 절감 기여도, 연구 개발을 통한 매출액 상승 기여도, 연구 개발을 통한 생산품 품질과 성능 기여도, 연구 개발을 통한 고객 만족도, 기여도, 완료된 연구 개발 과제 정보, 연구 개발 비용 정도 등과 같은 기업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 진행 여부와 연구 개발 성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310).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기업 정보 DB(172)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내부 현황 분석부(130)를 통해 분석 대상 기업 정보 DB(172)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내부 현황 분석부(130)를 분석 대상 기업 정보 DB(172)에 저장된 기업의 프로세스 수행 여부와 중요도를 분석하여 해당 프로세스가 복수의 프로세스에서 차지하는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산출(단계 312)한 후 수행도와 중요 정도에 근거하여 내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단계 314)할 수 있다.
한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해서도 상기의 단계 312 및 단계 314를 수행하여 내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12에서 산출되는 수행도 및 중요 정도는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기의 수학식 1에서 X는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도 정도를 의미하며, A는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도(전혀 수행하지 않음 = 1, 일부 수행함 = 2, 어느 정도 수행함 = 3, 대부분 수행함 = 4, 완전히 수행함 = 5), i는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를 의미하며, n은 전체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수를 의미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X가 양의 값일 경우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가 잘 수행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X가 음의 값일 경우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가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6
상기의 수학식 2에서 Y는 중요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지 낮은지 여부를 의미하며, B는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중요도(전혀 중요하지 않음 = 1, 일부 중요함 = 2, 어느 정도 중요함 = 3, 매우 중요함 = 4, 반드시 시행해야 함 = 5)를 의미하며, i는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를 의미하며, n은 전체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수를 의미한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Y가 양의 값일 경우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중요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Y가 음의 값일 경우 i 프로세스 또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중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현황 분석부(130)는 상기의 수학식 1, 2에 의해 산출된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최종 상태를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기의 수학식 3에서, S는 프로세스 i의 상태, X는 i 프로세스 수행도, Y는 i 프로세스 중요 정도, i는 프로세스, n은 프로세스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행도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프로세스의 최종 상태를 "상"으로 설정하고, 수행도가 음의 값을 가질 경우에는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곱한 결과 값을 기준으로 프로세스의 최종 상태를 "중" 또는 "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기업 정보 DB(172)에서 기업의 연구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기업(이하, 비교 군집이라고 함)을 검색(단계 316)하고, 검색된 비교 군집의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기반으로 산출된 비교 군집의 평균과 수집된 기업의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비교하여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현황 분석부(140)는 기업의 각 프로세스의 수행 여부와 산출된 평균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인지, 달성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며, 각 프로세스에 대한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대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 달성 수준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단계 318)할 수 있다.
한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해서도 상기의 단계 316 및 단계 318을 수행하여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 달성 수준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개선 정보 도출부(150)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분석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개선 프로세스를 도출한다(단계 320). 구체적으로, 개선 정보 도출부(150)는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하며, 도출된 프로세스와 기업의 성과에 관련된 프로세스 목록간의 비교를 통해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스 개선 이슈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와 그 우선 순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 320에서 산출된 프로세스 개선 이슈는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도출된 프로세스 개선 이슈를 기반으로 예상 성과를 도출하는 방법(40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가 도출된 프로세스 개선 이슈를 기반으로 예상 성과를 도출하는 방법(4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상 성과 산출부(160)는 성과 입력부(210)를 기업의 성과와 비교 군집(타 기업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올리고자 하는 성과의 입력을 요청한다(단계 410).
성과가 입력되면, 정보 제공부(220)는 성과를 높이기 위한 연관 관계가 있는 프로세스들과 상태를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부(220)는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170)에 저장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 중 성과와 연관 관계가 있는 프로세스 목록을 화면 상에 제공하여 선택을 요청한다(단계 412). 이때, 성과와 연관관계가 있는 프로세스 목록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412에서 프로세스가 선택되면, 목표 입력부(230)는 정보 제공부(220)에 의해 제공된 프로세스 목록 내 각 프로세스에 대한 목표 수준 설정을 요청한다(단계 414).
목표 수준이 설정되면, 산출부(240)는 목표 입력부(230)에 의해 설정된 목표 수준에 대한 프로세스 전체의 항목별 다중 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목표 수준에 따른 예상 성과를 산출한다(단계 408).
예상 성과는 아래의 수학식 4(다중 선형 회귀식)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의 수학식 4에서 Z는 예상 성과 정도이며, a는 각 성과에 기 설정된 상수 값, i는 프로세스, b는 프로세스의 회귀계수, r은 프로세스의 목표수준, n은 프로세스의 개수이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상수 값은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 내에 설정된 기본값일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3에 대해 설명하면, 예상 성과는 기본적인 성과 정도, 예컨대 각 성과에 기 설정된 상수 값에 선택된 프로세스에 설정된 목표 수준을 연산한 결과 값을 합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는 포트폴리오관리, 품질경영, 지적재산관리, 인프라스트럭처관리, 성과관리, 아이디어관리, 연구개발기획, 프로젝트계획, 프로젝트모니터링, 위험관리, 협력관리, 게이트평가, 개념정립, 사업성분석, 사양정의, 설계, 개발, 프로토타입, 시장테스트, 시장도입, 인적자원관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도출한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 예상 성과, 비교 군집과의 비교 정보 등을 그래프 또는 도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수학식1, 2를 토대로 산출된 중요 정도 및 수행도를 기반으로 복수의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의 상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의 상태가 스파이더 맵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중요도가 높은 프로세스(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수행 여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외부 현황 분석부(140)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다면적 비교 분석을 통해 비교 군집과의 상대적 프로세스 현황 및 베스트 프랙티스 현황 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군집의 수행도 및 중요도의 평균과 기업의 수행도 및 중요도를 하나의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업과 비교 군집간을 비교할 수 있는 현황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과 관계 분석을 통해 개선 대상 프로세스에 대한 현황, 즉 개선 프로세스와 그 수행도를 하나의 도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선 프로세스를 X축으로 하여 비교 군집의 평균 수행도와 기업의 수행도를 비교할 수 있는 그래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의 성과 정보, 즉 기업에서 입력한 성과 값, 성과 평균, 전체 기업의 수를 기반으로 한 기업의 성과 수준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성과 정도(퍼센트) 및 상태 등이 하나의 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100)는 예상 성과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선 프로세스별로 개선했을 때의 개선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미래 예상 성과, 각 성과별 순위 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표와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기업과 비교 군집간의 비교 분석 결과, 예컨대 각 프로세스별 상태, 개선 우선 순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내부 현황 분석부
140 : 외부 현황 분석부
150 : 개선 정보 도출부
160 : 예상 성과 산출부
165 : 출력부
170 : 개선 프로세스 정보 DB
172 : 기업 정보 DB
174 : 성과 정보 DB
210 : 성과 입력부
220 : 정보 제공부
230 : 목표 입력부
240 : 산출부

Claims (23)

  1.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내부 정보를 분석하여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내부 현황 분석부;
    기 저장된 기준 그룹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외부 현황 분석부; 및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개선 정보 도출부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산출된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와 중요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최종 상태를 아래와 같은 수학식으로 도출하며, 상기 최종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Figure pat00009
    (X는 i 프로세스의 수행도, Y는 i 프로세스의 중요 정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Figure pat00010

    (X는 i 프로세스의 수행도, A는 i 프로세스 수행 여부, i는 프로세스, n은 프로세스의 개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중요 정도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Figure pat00011

    (Y는 프로세스 i의 중요 정도, B는 i 프로세스 중요도, i는 프로세스, n은 프로세스의 개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외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프로세스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대적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 및 그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정보 도출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베스트 프랙티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외부 현황 분석부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베스트 프랙티스의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틱스 각각의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 각각에 대한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정보 도출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베스트 프랙티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베스트 프랙티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는 연구 개발 기획, 포트폴리오 관리, 아이디어 관리, 지적 재산 관리,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성과 관리, 품질 경영, 인적 자원 관리,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모니터링, 게이트 평가, 협력 관리, 위험 관리, 개념 정립 및 사업성 분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2.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기업의 연구개발 진행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서 내부 정보 기반의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기 저장된 기준 그룹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와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정보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수행 여부 및 중요도를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각각에 대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수행도 및 중요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태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그룹은 상기 기업의 연구 개발과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준 기업이며,
    상기 제2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기업들의 프로세스 수행도에 대한 평균과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 각각의 수행도를 비교하여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대적 달성 정도,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세스 및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이 필요한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 상기 상대적으로 개선해야할 프로스세의 개선 우선 순위 및 상기 기업의 프로세스에 대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기업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개선 우선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16. 기업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각 성과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이용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로서,
    상기 기업의 각 성과와 기 저장된 비교 군집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성과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성과 입력부;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목표 입력부; 및
    상기 수집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개발의 성과 정도에 상기 목표 수준으로 반영하여 예상 성과를 산출하는 예상 성과 산출부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는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 및 비교 군집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한 상대적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선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세스 목록 내 프로세스의 상태를 제공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성과 산출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예상 성과를 산출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Figure pat00012

    (Z는 예상 성과, a는 각 성과의 기 설정된 상수, i는 프로세스, b는 i 프로세스의 회귀계수, r은 프로세스의 목표수준, n은 프로세스의 개수)
  21.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에서 기업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각 성과에 관련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의 각 성과와 기 저장된 비교 군집의 성과간의 비교를 통해 향상시키고자 하는 성과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개발의 성과 정도에 상기 목표 수준으로 반영하여 예상 성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성과와 관련된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 목록 중 선택된 프로세스의 목표 수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부 정보 기반의 개선 프로세스 정보 및 비교 군집의 프로세스 내부 정보와 상기 내부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한 상대적 개선 프로세스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도출된 상기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선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20140033814A 2014-03-24 2014-03-24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0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14A KR101609292B1 (ko) 2014-03-24 2014-03-24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14A KR101609292B1 (ko) 2014-03-24 2014-03-24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75A Division KR101649913B1 (ko) 2015-11-10 2015-11-10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039A true KR20150110039A (ko) 2015-10-02
KR101609292B1 KR101609292B1 (ko) 2016-04-05

Family

ID=5434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814A KR101609292B1 (ko) 2014-03-24 2014-03-24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883A (ko) 2020-05-15 2021-11-23 윤창동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크레딧 방식 다각적 할 일 관리 방법
CN116993097A (zh) * 2023-08-03 2023-11-03 中咨高技术咨询中心有限公司 一种科研项目数据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955A (ja) 2002-05-23 2003-12-05 Hitachi Ltd 問題予測および改善プロセス提示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KR100815280B1 (ko) * 2007-08-31 2008-03-19 주식회사 소프트웨어품질연구소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883A (ko) 2020-05-15 2021-11-23 윤창동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크레딧 방식 다각적 할 일 관리 방법
CN116993097A (zh) * 2023-08-03 2023-11-03 中咨高技术咨询中心有限公司 一种科研项目数据处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292B1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ya et al. Integrating AHP with QFD for robot selection under requirement perspective
US20150120263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Large Scale Automatic Forecast Combinations
US200701567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ategy map validation and visualization
US20120310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ustering Time Series Data Based On Forecast Distributions
US8983881B2 (en) Benchmarking progressive systems for solving combinatorial problems
US20130024167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 Scale Automatic Forecast Combinations
Li et al. An ECI-bas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final importance ratings of customer requirements in MP product improvement
US20190205828A1 (en) Delivery prediction with degree of delivery reliability
US20190265679A1 (en) Work Improvement Support Device and Work Improvement Support Method
Framinan et al. Guidelines for the deployment and implementation of manufacturing scheduling systems
WO2018079225A1 (ja) 自動予測システム、自動予測方法および自動予測プログラム
US20170323316A1 (en) Method for Documenting a Customer's Journey Using an Online Survey Platform
US20150347952A1 (en) Partner analytics management tool
Singholi et al. Evaluating the effect of machine and routing flexibility o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performance
Chan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a review-period-based control
KR101649913B1 (ko)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09292B1 (ko)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4081878A (ja) 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Sishi et al. The application of decision tree regression to optimize business processes
JP5140509B2 (ja) 設計事例検索装置,設計事例検索プログラム
Yuhefizar et al. An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Model: Review E-government Web Portal Quality of Service
WO2017103996A1 (ja) 生産計画立案装置、及び生産計画立案方法
Chen et al. Composite dispatching rule design for dynamic scheduling with customer‐oriented production priority control
Kattner et al. Performance metrics in engineering change management: Towards a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handling engineering changes
Grandinetti et al. Knowledge and capabilities in subcontractors’ evolution. The Italia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