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280B1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280B1
KR100815280B1 KR1020070088440A KR20070088440A KR100815280B1 KR 100815280 B1 KR100815280 B1 KR 100815280B1 KR 1020070088440 A KR1020070088440 A KR 1020070088440A KR 20070088440 A KR20070088440 A KR 20070088440A KR 100815280 B1 KR100815280 B1 KR 10081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maturity
performance
quality
soft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프트웨어품질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프트웨어품질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프트웨어품질연구소
Priority to KR102007008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프로세스의 품질평가를 통해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SW(Software)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직목표설정단계,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 프레임워크구축단계, 계획관리단계, 프로세스수행단계, 실적관리단계, SW성숙도검증단계, SW품질평가단계,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 조직성숙도평가단계, 문제개선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 과정 중에 SW 품질을 평가하여 SW 품질 수준과 프로세스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품질 평가, 프로젝트 관리, CMMI

Description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Software Process Maturity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이하, 'SW'라 한다)를 생산하는 프로세스의 품질평가를 통해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직에서 수립한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기준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 및 프로세스 계획을 수립하고, 프로세스 수행결과를 검증하며, SW 품질 평가 및 프로세스 성숙도 측정을 통해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고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높은 품질수준의 SW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SW 산업의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경쟁대상이 글로벌화됨에 따라 기업의 SW 프로세스 관리기술과 품질의 객관적 검증요구가 국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SW 개발에 매우 중요한 SW 프로세스 관리 기술이 취약한 가운데 프로세스 이행 및 개선이 취약하고, SW 품질 및 개발 생산성은 여전히 미흡하다.
일반적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에서는 품질 높은 SW를 생산할 목적으로 분석, 설계, 구축, 시험 등의 SW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SW를 개발한다. 그러나 사전에 정해진 납기 기한 또는 비용을 준수하지 못하고, 품질이 낮은 SW를 생산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SW 개발 과정을 관리하는 요구사항관리, 프로젝트관리, 품질관리 등의 SW 관리 프로세스를 SW 개발 프로세스와 함께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세스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트에서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 관리 과정에서는 먼저 프로젝트에서 생산할 SW의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SW 개발 프로세스와 SW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계획을 문서로 작성하고, 프로세스 계획에 따른 세부절차와 산출물에 대한 표준을 작성한다(ST10). 다음으로, 프로젝트에서 작성한 SW 프로세스의 세부절차에 따라 SW 개발 프로세스와 SW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를 산출물로 작성하며, 작성된 산출물을 프로젝트 내에서 공유하기 위해 산출물 보관 장소에 저장한다.(ST20). 이후, 프로젝트에서 SW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SW 프로세스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SW 프로세스의 실적을 수집 및 집계하고, SW 프로세스 세부절차를 기준으로 산출물 검토 또는 담당자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해 프로세스 수행여부를 검토하며, 검토 결과로 도출된 문제점을 기록하여 시정조치하도록 요구하고 문제점을 시정조치한다(ST30). ST30 단계는 SW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SW 생산이 완료되면 프로젝트를 종료하기 위해 SW의 적합성을 산출물 검토 또는 SW 테스트 등의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평가하고, 평가결과가 '합격'이면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T40). 그러나 만약 평가결과가 '불합격'이면 문제가 되는 SW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SW 프로세스를 다시 수행하며, 합격될 때까지 필요한 SW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스 관리 기술의 일례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서 프로세스엔진의 프로세스 상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초기 상태를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수행 전제 조건이 만족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준비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수행중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검토중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프로세스 수행 상태 검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검토 결과가 거부 상태인 경우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상태를 수행중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검토 결과가 승인 상태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하여 승인 대기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 승인 대기 상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하여 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승인 대기 상태로 전이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대해 승인 절차 결과가 거부 상태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는 수행중 상태로 전이되는 단계, 프로세스 수행 상태 승인 절차의 결과가 승인 상태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는 승인 상태로 전이시키고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 형에서 정의된 개발 행위의 수행 전후 조건을 검사하여 수행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형에서 정의한 제한 사항과 수행중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련 정보들을 유지 및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서 프로세스엔진의 프로세스 상태 제어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기술의 다른 예가 하기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프트웨어 품질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해 관련정보를 입력하는 측정대상 및 환경변수 입력부, 소프트웨어의 성능요소에 대한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성능요소 분석엔진, 소프트웨어의 설계요소에 대한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설계요소 분석엔진, 소프트웨어의 적응력요소에 대한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적응력요소 분석엔진, 소프트웨어의 보안요소에 대한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보안요소 분석엔진, 소프트웨어의 품질특성별로 측정기준을 계획, 생성, 관리 및 제공하는 품질 측정 메트릭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통계적 또는 수리적 품질 예측모델을 계획, 생성, 관리 및 제공하는 통계적 품질 예측모델베이스, 소프트웨어의 품질 측정에 필요한 규칙, 절차 및 지식을 계획, 생성, 관리 및 제공하는 품질측정 지식베이스, 품질 측정 메트릭스, 선정된 예측모델, 추출된 특성에 의하여 소프트웨어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엔진,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측정결과 출력부로 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편리하고 정확한 소프트웨어 품질의 측정결과를 제공하여 사업관리 및 엔지니어링의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0276689호 (2000.10.02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4-0024927호 (2004.03.24 공개)
그러나 상기 문헌들을 비롯하여 종래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SW는 명확하게 설정된 SW 품질목표가 없어 요구사항에 적정한지 또는 품질이 양호한지 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측정 및 평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 SW 평가를 담당하는 프로세스 전문가가 부족한 상황에서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최종 평가의 경우 14일 정도)도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며, SW 프로세스가 적정하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또, SW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에서 정해진 납기 기한이나 비용을 초과하고, 품질 낮은 SW를 생산하게 되어 프로젝트를 실패하게 되고, 다음 프로젝트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SW 품질 수준이 향상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또, SW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투자한 비용에 대비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성과를 얻어 효과적으로 SW를 사용할 수 없게 되더라도 SW를 생산하는 조직의 SW 프로세스 수행능력을 검증할 만한 데이터나 근거자료가 없기 때문에 품질 높은 SW 생산 조직을 객관적으로 선정하기가 어렵고, 프로젝트에서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가 적정하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즉시 확인하여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자가 목표한 품질 높은 SW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 과정 중에 SW 품질을 평가하여 SW 품질 수준과 프로세스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W 품질 목표와 대비하여 SW 프로세스 수행결과를 자동으로 측정 및 분석하고, 신속하게 프로세스 수행상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W 프로세스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프로세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SW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SW 품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SW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SW 요구사항이 적정하게 구현되었는지를 검증하여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 수준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품질 높은 SW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SW를 생산하는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조직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기준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달성하도록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고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거나 평 가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프레임워크구축단계, 생성된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계획관리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서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관리하는 프로세스수행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여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실적관리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SW성숙도검증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최종 생산한 SW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SW품질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조직성숙도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도출하여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지시하고 추후 프로세스 수행에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문제개선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워크구축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따라 SW 품질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SW 프로세스별로 설정된 상기 SW 품질 목표를 달성하도록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스가 상기 SW 품질 목표에 적합하게 수행되는지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성과 측정요소를 식별하고, 측정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세스 수행 평가에 필요한 평가요소, 평가등급,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프로세스 수행으로 인한 산출물의 표준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제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SW성숙도검증단계는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실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 측정에 필요한 측정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 수집하고 분석되어 도출된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전송하여 보고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상기 SW 프로세스 실적의 차이를 도출한 후,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 평가기준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여 평가요소별로 평가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평가결과에서 도출된 프로세스 수행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고, 개선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SW품질평가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생산된 상기 SW의 품질에 미친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요소별 근거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SW 품질 목표와 대비하여 SW 품질 평가요소별로 평가 점수 및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생산된 상기 SW의 품질 평가결과를 보고하여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제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 저장된 상기 SW의 품질 평가결과, 저장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를 SW 프로세스별로 판단하여 프로세스 수행상의 장점과 단점을 도출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와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을 컴퓨터로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SW를 생산하는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조직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기준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달성하도록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고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프레임워크구축단계, 생성된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계획관리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서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관리하는 프로세스수행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여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실적관리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SW성숙도검증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최종 생산한 SW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SW품질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조직성숙도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도출하여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지시하고 추후 프로세스 수행에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문제개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SW를 생산하는 프로세스 과정 중에 SW 품질을 평가하여 SW 품질 수준과 프로세스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SW 품질 목표와 대비하여 SW 프로세스 이행을 평가함으로써 SW 프로세스 평가의 객관성을 향상하고 프로세스 문제점을 신속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SW 프로세스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프로세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SW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SW 품질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SW 품질과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SW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품질 높은 SW를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W(Software)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W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시스템은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조직목표설정수단(1),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프로젝트목표설정수단(2),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프레임워크구축수단(3),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계획을 관리하는 계획관리수단(4),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수행을 관리하는 수행관리수단(5),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실적을 관리하는 실적관리수단(6),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성숙도를 검증하는 성숙도검증수단(7), 프로젝트의 SW 품질을 평가하는 품질평가수단(8),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성숙도측정수단(9),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성숙도평가수단(10),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문제개선수단(11), 각각의 수단(1~11)들이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성숙도검증수단(7)은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성과분석부(13),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는 수행평가부(14),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문제점을 개선하는 문제개선부(15)를 구비한다.
또, 도 2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12)에는 시스템 내부의 구성수단들이 기능을 수행하면서 산출하는 결과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다른 구성수단들로 제공되어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W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시스템에서 정보를 수집하거나 처리하는 등의 컴퓨팅 기술은 본 분야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W 생산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관리하는 세부 공정 및 성숙도 관리 방법을 나타낸 공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조직목표설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목표설정단계는 조직목표설정수단(1)이 조직에서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공정이다. 조직의 SW 프로세스 표준으로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와 같은 SW 프로세스 모델을 선정한(ST111) 후, 선정된 SW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레벨1, 레벨2, 레벨3, 레벨4 등과 같이 다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성숙도별로 레벨 달성이 가능한 프로세스 수행 기준을 설정한다(ST112). 다음으로, 조직목표설정수단(1)이 조직에서 SW 생산 시에 품질 향상에 중요하여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중요요소들인 프로젝트관리, 품질관리, 방법론 관리 등의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선정한다(ST113). 다음으로, 조직목표설정수단(1)이 선정된 조직의 SW 프로세스별로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14). 마지막으로, 조직목표설정수단(1)은 설정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부합되는 표준 정 보, 프로세스 정보, 산출물 정보를 입력받아 조직의 표준 SW 프로세스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15).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는 프로젝트목표설정수단(2)이 SW를 실제 생산하는 프로젝트에서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공정이다.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ST121)를 기준으로 하고, 조직의 표준 SW 프로세스, 프로젝트의 규모 또는 환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와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별 성숙도 목표를 설정한다(ST122). 다음으로, 프로젝트목표설정수단(2)이 설정된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대해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확인을 수신하여 승인을 획득한다(ST123). 마지막으로, 프로젝트목표설정수단(2)이 승인된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프로젝트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테일러링(Tailoring)하여 프로젝트의 표준 SW 프로세스로 확정하고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24).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레임워크구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워크구축단계는 프레임워크구축수단(3)이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고 SW 프로세스 성과 측정 및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공정이다. 우선, 프레임워크구축수단(3)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따라 프로세스별로 요구사항 준수율, 결함율, 만족도 등의 SW 품질 목표를 설정하여(ST131) 프로세스 평가 시에 기준이 되는 SW 품질목표를 정하고, SW 프로세스별로 설정된 SW 품질 목표를 달성하도록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32).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프로세스 수행 방침, 프로세스 수행 능력, 프로세스 이행 감독, 프로세스 이행 검증으로 구분하는데, 특히 '수행 능력'은 프로세스 계획수립, 자원 제공, 책임 할당, 인력 교육으로 구성되고, '이행 감독'은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통제 등으로 구성되며, '이행 검증'은 객관적 평가 실시, 프로세스 상태 검토로 구성된다. 또, '프로세스 계획'에는 책임 및 역할, 절차, 산출물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프레임워크구축수단(3)이 프로세스 이행시에 프로세스가 SW 품질 목표에 적합하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성과 측정요소를 식별하고, 측정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세스 수행 평가에 필요한 평가요소, 평가등급 및 평가기준을 설정한다(ST133). 마지막으로, 프레임워크구축수단(3)이 프로세스 계획서의 세부 절차에 정의한 산출물에 대한 표준을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ST134)함으로써 프로젝트에서 프로세스 이행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공정을 완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계획관리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계획관리단계는 계획관리수단(4)이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공정이다. 먼저, 계획관리수단(4)이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설정된 SW 프로세스의 기본계획에 대해 프로젝트 관리자를 포함한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확인을 수신하여 확정하는데(ST141), 자원, 활동, 작업 산출물, 측정이 핵심 계획요소이다. 다음으로, 계획관리수단(4)이 확정된 SW 프로세스 기본계획의 요소에 따라 프로세스 세부 활동별 일정, 담당자, 산출물 등의 SW 프로세스 실행계획을 설정한(ST142) 후, SW 프로세스 수행하면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되는 프로세스 문제점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을 적용하여 프로젝트 수행관계자의 승인을 받아 SW 프로세스 기본계획을 변경하고 지속적으로 개선시킨다(ST143).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세스수행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수행단계는 수행관리수단(5)이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프로세스를 이행하는 공정이다. SW 프로세스 계획은 설정된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 주체인 프로세스 담당자별로 자동 할당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수행관리수단(5)이 프로세스 담당자로부터 계획 조회를 요청받는 경우, 담당자별로 자동 할당된 SW 프로세스 계획을 요청한 담당자에 게 제공한다(ST151). 프로세스 담당자는 프로세스 단계별로 수행할 활동과 활동별 일정 및 산출물 계획을 조회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스 담당자는 해당하는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수행관리수단(5)은 계획에 따라 수행된 프로세스의 수행결과를 프로세스 담당자로부터 수신하여 SW 프로세스 실적으로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52). 다음으로, 수행관리수단(5)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자동화된 프로세스 진행관리 처리로직으로 처리하여 프로세스 범위, 진척, 결함, 이슈 등의 프로세스 진행현황을 도출하고(ST153),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로부터 진행현황 조회를 요청받는 경우에 처리된 진행현황을 제공하게 된다. 만약,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로부터 프로세스 수행상의 미해결 사항에 대한 작업지시가 수신되는 경우, 수행관리수단(5)은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수신된 작업지시를 자동으로 전송하고 작업지시 내용에 따라 프로세스를 다시 수행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게 된다(ST154).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실적관리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적관리단계는 실적관리수단(6)이 프로젝트에서 이행한 SW 프로세스 실적을 수집 및 관리하는 공정이다. 먼저, 실적관리수단(6)이 프로세스 담당자별로 수행한 SW 프로세스 단계별 활동, 일정 및 산출물 실적을 조회하고(ST161), 담당자별로 수행한 프로세스 실적은 SW 프로세스 단위로 실시간으로 자동 수집 및 집계되어(ST162)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는 누구나 빠르고 쉽게 SW 프로세스별로 자원(책임&역할), 입력물, 출력물, 활동, 일정, 작업 산출물, 검토, 측정, 교육, 툴 등의 프로세스 실적을 요약하여 조회가 가능하다(ST163).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성숙도검증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W성숙도검증단계는 성숙도검증수단(7)이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SW 프로세스 실적을 근거로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검증하는 공정이다. 우선, 성과분석부(13)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여 시정조치한다(ST171). 다음으로, 성과분석부(13)가 SW 프로세스 성과 측정에 필요한 측정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한(ST172) 후, 수집하고 분석되어 도출된 SW 프로세스 성과를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성과 보고서 형태로 전송하여 보고한다(ST173).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SW 프로세스 실적의 차이를 도출한 후, 수행평가부(14)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프로세스 성과 평가기준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여 평가요소별로 우수, 양호, 보통 등과 같은 평가등급으로 구분하고,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한다(ST174). 마지막으로, 문제개선부(15)가 평가결과에서 도출된 프로세스 수행상의 문제점에 대해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고, 개선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여 개선된 문제점이 조회가 가능하게 한다(ST175).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품질평가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SW품질평가단계는 품질평가수단(8)이 프로젝트에서 최종 생산한 SW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공정이다. 먼저, 품질평가수단(8)이 프로젝트에서 SW 프로세스를 이행하면서 주기적으로 평가되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프로세스 결과가 생산된 SW의 품질에 미친 강점과 약점을 도출한다(ST181). 다음으로, SW 품질을 간편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품질평가수단(8)이 평가요소별 근거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한(ST182) 후,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SW 품질 목표와 대비하여 SW 품질 평가요소별로 평가 점수 및 등급을 부여한다(ST183). 마지막으로, 품질평가수단(8)이 프로젝트관리자를 포함한 주요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SW의 품질 평가결과를 보고하여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확인을 수신함으로써(ST184) SW의 품질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SW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T185).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는 성숙도측정수단(9)은 SW를 생산한 프로젝트의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공정이다. 먼저, 성숙도측 정수단(9)이 프로젝트에서 SW 프로세스를 수행하면서 평가하여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와 SW의 품질 평가결과를 확인한(ST191, ST192) 후,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SW 프로세스별로 판단하여 프로세스 수행상의 장점과 단점을 도출한다(ST193). 성숙도측정수단(9)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와 비교하여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결정한다(ST194).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조직성숙도평가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성숙도평가단계는 성숙도평가수단(10)이 SW를 생산한 프로젝트가 소속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공정이다.
우선, 성숙도평가수단(10)이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측정한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한다(ST201). 다음으로, 성숙도평가수단(10)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SW 프로세스별로 장점과 단점을 도출하여(ST202) 파악한 후, SW 프로세스별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여 결정함으로써(ST203) 조직의 SW 프로세스 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성숙도평가수단(10)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와 결정된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비교하여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조 정한다(ST204).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문제개선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제개선단계는 문제개선수단(11)이 SW를 생산한 프로젝트에서 도출된 프로세스 문제점을 기반으로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프로세스 계획 설정 시에 재사용하는 공정이다. 먼저, 문제개선수단(11)이 다수의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SW 프로세스 문제점을 자동으로 수집 및 집계한(ST211) 후, 공통적인 프로세스 문제점을 도출하여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지시하고(ST212), 프로세스 개선 요구에 따라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다음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수행 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력을 데이터베이스(12)에 보관하여 관리함으로써 조직의 SW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SW 품질이 향상됨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ST21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도 10, 11)과 SW를 실제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도 2~9)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 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체계적인 SW 품질 평가와 프로세스 검증에 따른 프로세스 능력 관리를 통해 SW 품질 확보와 개발 생산성의 향상에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세스 관리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W(Software)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조직목표설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레임워크구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계획관리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세스수행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실적관리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성숙도검증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SW품질평가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조직성숙도평가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의 문제개선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조직목표수립수단 2: 프로젝트목표수립수단
3: 프레임워크구축수단 4: 계획관리수단
5: 수행관리수단 6: 실적관리수단
7: 성숙도검증수단 8: 품질평가수단
9: 성숙도측정수단 10: 성숙도평가수단
11: 문제개선수단 12: 데이터베이스
13: 성과분석부 14: 수행평가부
15: 문제개선부

Claims (6)

  1.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SW(Software)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SW를 생산하는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조직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기준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달성하도록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고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프레임워크구축단계;
    생성된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계획관리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서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관리하는 프로세스수행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여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실적관리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SW성숙도검증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최종 생산한 SW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SW품질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조직성숙도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도출하여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지시하고 추후 프로세스 수행에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문제개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워크구축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따라 SW 품질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SW 프로세스별로 설정된 상기 SW 품질 목표를 달성하도록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스가 상기 SW 품질 목표에 적합하게 수행되는지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성과 측정요소를 식별하고, 측정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세스 수행 평가에 필요한 평가요소, 평가등급,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프로세스 수행으로 인한 산출물의 표준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W성숙도검증단계는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실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 측정에 필요한 측정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단계;
    수집하고 분석되어 도출된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전송하여 보고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계획과 대비하여 상기 SW 프로세스 실적의 차이를 도출한 후, 저장된 상기 SW 프로세스 성과 평가기준에 따라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여 평가요소별로 평가등급으로 구분하고,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평가결과에서 도출된 프로세스 수행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당 프로세스 담당자에게 개선지시를 전송하고, 개선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SW품질평가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생산된 상기 SW의 품질에 미친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평가요소별 근거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SW 품질 목표와 대비하여 SW 품질 평가요소별로 평가 점수 및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생산된 상기 SW의 품질 평가결과를 보고하여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세스 수행 평가결과, 저장된 상기 SW의 품질 평가결과, 저장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SW 프로세스별로 판단하여 프로세스 수행상의 장점과 단점을 도출하는 단계;
    저장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와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6.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관리하는 방법을 컴퓨터로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SW를 생산하는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조직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기준으로 SW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설정하는 프로젝트목표설정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를 달성하도록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고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거나 평가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프레임워크구축단계;
    생성된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계획관리단계;
    설정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계획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서 상기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관리하는 프로세스수행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실적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집계하여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실적관리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수행된 SW 프로세스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프로세스 수행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SW성숙도검증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최종 생산한 SW의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SW품질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측정하는 프로젝트성숙도측정단계;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 조직성숙도평가단계;
    상기 프로젝트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도출하여 상기 조직의 SW 프로세스를 개선하도록 지시하고 추후 프로세스 수행에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문제개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워크구축단계는
    저장된 상기 프로젝트의 SW 프로세스 성숙도 목표에 따라 SW 품질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SW 프로세스별로 설정된 상기 SW 품질 목표를 달성하도록 상기 SW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프로세스가 상기 SW 품질 목표에 적합하게 수행되는지를 평가하는 프로세스 성과 측정요소를 식별하고, 측정 목표를 설정하며, 프로세스 수행 평가에 필요한 평가요소, 평가등급,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프로세스 수행으로 인한 산출물의 표준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88440A 2007-08-31 2007-08-3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KR10081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440A KR100815280B1 (ko) 2007-08-31 2007-08-3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440A KR100815280B1 (ko) 2007-08-31 2007-08-3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280B1 true KR100815280B1 (ko) 2008-03-19

Family

ID=3941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440A KR100815280B1 (ko) 2007-08-31 2007-08-3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2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59B1 (ko) 2009-05-21 2011-12-08 포이스트(주) Cmmi 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1550672B1 (ko) 2013-05-28 2015-09-0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09292B1 (ko) * 2014-03-24 2016-04-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295232A1 (en) * 2020-03-20 2021-09-23 5thColumn LLC Generation of evaluation regarding fulfillment of business operation objectives of a system aspect of a system
KR20210121638A (ko) * 2020-03-31 2021-10-08 에이비앤아이(주) 개발 프로젝트에서 복수의 분석 의도를 지원하는 목표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3406B1 (ko) * 2020-09-17 2022-03-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비용 관리 장치 및 소프트웨어 비용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232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방법
KR20030073469A (ko) * 2002-03-11 2003-09-19 재단법인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 프로젝트 목표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232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방법
KR20030073469A (ko) * 2002-03-11 2003-09-19 재단법인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 프로젝트 목표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59B1 (ko) 2009-05-21 2011-12-08 포이스트(주) Cmmi 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1550672B1 (ko) 2013-05-28 2015-09-08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09292B1 (ko) * 2014-03-24 2016-04-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 개발 프로젝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10295232A1 (en) * 2020-03-20 2021-09-23 5thColumn LLC Generation of evaluation regarding fulfillment of business operation objectives of a system aspect of a system
KR20210121638A (ko) * 2020-03-31 2021-10-08 에이비앤아이(주) 개발 프로젝트에서 복수의 분석 의도를 지원하는 목표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4930B1 (ko) * 2020-03-31 2021-10-20 에이비앤아이(주) 개발 프로젝트에서 복수의 분석 의도를 지원하는 목표 추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3406B1 (ko) * 2020-09-17 2022-03-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 비용 관리 장치 및 소프트웨어 비용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280B1 (ko)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성숙도 관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Hillman Willis et al. A qualit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construction engineering projects
Kläs et al. Transparent combination of expert and measurement data for defect prediction: an industrial case study
Dabbagh et al. Application of hybrid assessment method for priority assessment of functional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Felderer et al.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introducing risk-based testing in an industrial project
Lami et al. An ISO/IEC 33000-compliant measurement framework for software process sustainability assessment
Jacobs et al. Towards a metrics base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maturity model
Laksono et al. Assessment of test maturity model: A comparative study for process improvement
Orlowski et al. A framework for implementing systems engineering leading indicators for technical reviews and audits
Mohapatra Improvised process for quality through quantitative project management: an experience from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Sanz et al. A proposal of a process model to create a Test Factory
Xu et al.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ies: Are they sufficient to develop quality software
Greenwood A specification for effective simulation project management
Czarnacka-Chrobot The ISO/IEC Standards for the Software Processes and Products Measurement.
Barreto et al. Defining and monitoring strategically aligned software improvement goals
Payne A practical approach to software reliability for army systems
Keuler et al. Architecture Engagement Purposes: Towards a Framework for Planning" Just Enough"-Architecting in Software Engineering
Gupta Software quality assurance
Dey et al. Risk management i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mplementation
Vásquez Maturity Level of Software Development Processes in SMEs Guayaquil
Sarkari Assessment of Factors Affecting Cost of Quality in Construction Project
AČKO et al. Risk Evaluation in Project Planning
Slavek et al. Kritična mjerila uspješnosti za softverski projekt
Venkatasubramanian et al. Software Test Factory (A proposal of a process model to create a Test Factory)
Lutchman Optimized Maintenance, a Roadmap to Excell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