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394B1 -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394B1
KR101708394B1 KR1020160082407A KR20160082407A KR101708394B1 KR 101708394 B1 KR101708394 B1 KR 101708394B1 KR 1020160082407 A KR1020160082407 A KR 1020160082407A KR 20160082407 A KR20160082407 A KR 20160082407A KR 101708394 B1 KR101708394 B1 KR 10170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emergency call
room
communication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8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3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및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 개의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모바일 단말기와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모바일 단말기와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콘을 자동 인식하여, 인식된 비콘으로부터 모바일 단말기로 위치 정보와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모바일 단말기는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역무원과 비상 통화하므로, 별도의 통화 장치가 불필요하고, 역무원은 비상 통화를 통해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 및 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PLATFORM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비콘 등의 위치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의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차, 전철 등의 열차는 고도의 안전성이 최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대량 운송 교통 수단으로, 열차와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운행 효율을 높이며 운전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안전에 대한 개념은 열차를 이용한 승객 운송량이 많아지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열차 자체에 대한 안전에서 열차 외적인 공간에 대한 안전으로 진일보함은 물론, 열차 중심의 운행에서 승객 중심의 운행으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열차의 운행 중 또는 정지 중에 객차 또는 승강장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승객들 간의 다툼, 또는 응급환자의 발생 등 다양한 응급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응급 사태의 발생에 대비해서 열차의 각 객차와 승강장 및 역무실에는 운전자 및 역무원과의 비상 통화를 할 수 있는 비상 통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승객들은 이러한 비상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 또는 역무원에게 객차 또는 승강장 내의 비상 사태를 통지하고, 이를 연락받은 운전자 또는 역무원은 적절한 비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 통화 장치는 별도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객차 또는 승강장에 고정 설치된 비상 통화 장치를 이용하여 비상 사태를 통지함으로써, 승객이 비상 통화 장치가 구비된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비상 사태에 대한 신속한 전달 및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미래의 먹거리이자 트랜드의 핵심이라고 불리고 있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이 보급되면서 IT의 개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가전 제품 및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한 각종 컨텐츠들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모바일 기기와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인 블루투스의 경우, 종래에는 블루투스를 사용하기 위해 장치들 간에 페어링(pairing)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페이링 과정은 전력 소모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기에 배터리를 가진 모바일 장치에서 장시간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 BLE)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나 스마트 기기 등은 페어링 과정없이 장치들 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기존 블루투스 방식에 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기가 길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제조 단가도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목적으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블루투스 비콘(beacon)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비콘은 원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페어링 과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블루투스 비콘들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8776호(공고일 2007년 11월 23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5855호(공개일 2007년 06월 25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8342호(공고일 2015년 05월 08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7071호(공개일 2016년 05월 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열차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 통화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 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비상 통화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조치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및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 개의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발생 시, 자동으로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별도의 통화 장치없이 역무원과의 비상 통화하여 비상 상황 발생에 따른 확인 및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통신망; 열차 승강장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열차 승강장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역무실의 역무원과 비상 통화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요청하는 위치 인식 장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역무실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무실 통화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여 등록,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중계를 요청하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비상 통화 중계를 요청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하나의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여 비상 통화를 중계하는 다채널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장치는 상기 열차 승강장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들로 구비되고; 상기 비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비상 통화를 요청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비상 통화 중계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상호 통화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채널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를 연결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통신부와 상기 채널 선택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통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 인식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의 역무실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의 비상 통화 내역이 포함된 비상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상기 프로그램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 가능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하는 중계 요청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의 비상 통화 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비상 통화 이력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서버가 통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 처리하여 등록 관리하는 단계; 승강장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승강장 내에 설치된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장치는 상기 승강장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들로 구비되며; 상기 비상 통화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비상 통화를 요청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 처리된 사용자이면,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역무원과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통화 장치가 불필요하고, 역무원이 비상 통화를 통해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 및 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비콘을 이용하여 역사 및 승강장 등의 원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의 용이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상 통화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 절감 및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역무실 통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채널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역무실 통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및 승강장에 설치된 복수 개의 비콘(200)과, 모바일 단말기(500)의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도 5의 552)을 이용하여 역사 및 승강장에서의 비상 상황 발생 시, 역무원과의 비상 통화하여 비상 상황 발생에 따른 확인 및 조치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통신망(10)과, 복수 개의 비콘(200)과, 다채널 중계 장치(3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모바일 단말기(500) 및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한다.
통신망(10)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전력선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고, 비콘(200), 다채널 중계 장치(300), 모바일 단말기(500) 및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한 단일 통신망 또는 복합의 통신망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500)와 비상 통화 서비스 서버(100), 모바일 단말기(500)와 다채널 중계 장치(300) 간에는 무선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고, 다채널 중계 장치(300)와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또 비콘(200)과 모바일 단말기(500)는 블루투스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다채널 중계 장치(3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유선 통신망 또는 전력선 통신망 등으로 연결된다.
비콘(200)은 역사 및 승강장에서 모바일 단말기(5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자동으로 비상 통화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 BLE) 등의 방식으로 구비되고, 일정 영역의 무선 통신 범위를 갖으며,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역사 및 승강장에 설치된다. 비콘(200)은 상호 무선 통신 범위가 중첩되게 설치된다. 비콘(200)은 모바일 단말기(500)의 어플리케이션(522)이 활성화되면, 무선 통신망 즉, 블루투스 통신망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 비콘(200)은 모바일 단말기(500)로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의 비콘(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비콘(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배터리(240)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배터리(24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실시간으로 저장부(2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읽어서 모바일 단말기(5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기(500)가 인식되면, 저장부(23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500)가 자동으로 역무실 통화 장치(400)로 비상 통화하도록 하는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읽어서 모바일 단말기(500)로 비상 통화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20)는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망에 연결되어,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서 모바일 단말기(5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저장부(230)는 비콘(200)이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232)와, 모바일 단말기(500)가 어플리케이션(552)이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비상 통화를 시도하도록 하는 비상 통화 요청 정보(234)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제어부(210)로부터 위치 정보(232)와 비상 통화 요청 정보(234)를 판독하여 통신부(220)로 제공한다. 그리고 배터리(240)는 예컨대, 1 차 전지, 충전 가능한 2 차 전지 등으로 구비되고, 제어부(210)의 제어를 받아서 비콘(2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통신망(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비상 통화가 요청되면, 어느 하나의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한다. 이 때,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된 경우에만 중계 요청을 받아서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중계한다. 만약 사용자 인증이 안된 모바일 단말기(500)의 경우에,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가 일반 통화하도록 중계한다. 이는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가 무분별하게 비상 통화를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선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또는 전력선 통신망을 중계한다.
이 실시예에서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신부(320)와, 유선 통신망 또는 전력선 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신부(340)와,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서 어느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330) 및, 다채널 중계 장치(3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무선 통신망과 전력선 통신망을 중계한다. 통신부(32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와 데이터 수신 및 송신하도록 처리하고, 통신부(340)는 예컨대, 신호 변복조, 증폭 및 필터 등의 기능을 구비하여, 전력선 통신망을 통해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데이터 수신 및 송신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채널 선택부(330)를 제어하여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선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무선 데이터를 전력선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력선 신호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예컨대, 복수 개가 하나의 역무실에 구비되고, 유선 통신망 또는 전력선 통신망에 연결된다. 물론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다른 위치(예컨대, 다른 역사, 다른 환승 역사 등)의 역무실에도 구비될 수 있다.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부터 하나의 통신 채널이 선택되면, 해당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와 비상 통화하도록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10)와, 통신부(420)와, 음성 입력부(430)와, 음성 출력부(440)와, 표시부(450) 및 전원 공급부(460)를 포함한다.
통신부(420)는 유선 통신망 또는 전력선 통신망에 연결되고,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부터 선택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한다. 음성 입력부(430)는 예를 들어, 마이크, 증폭부 및 A/D 컨버터 등을 구비하여 비상 통화 시, 역무원의 음성 신호를 입력한다. 음성 출력부(440)는 예를 들어, D/A 컨버터, 증폭부 및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비상 통화 시,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450)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비되고, 선택된 통신 채널을 표시한다. 또 표시부(450)는 비상 통화가 호출되면, 이를 역무원에게 알려주도록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460)는 역무원 통화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통신부(420)와, 음성 입력부(430)와, 음성 출력부(440)와, 표시부(450) 및 전원 공급부(460)들은 제어부(410)의 제어를 받아서 각 기능을 처리한다.
모바일 단말기(500)는 열차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비된다. 모바일 단말기(500)는 내부에 어플리케이션(522)가 설치되며, 역사 및 승강장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어플리케이션(522)을 활성화시켜서 해당 위치의 비콘(200)을 인식하여 비콘(2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들이고, 자동으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이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10)와, 통신부(520)와, 비콘 인식부(530)와, 음성 입출력부(540) 및, 저장부(550)를 포함한다. 저장부(550)에는 어플리케이션(552)이 설치된다. 물론 모바일 단말기(500)는 어플리케이션(552)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표시하거나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터치 패널(미도시됨)을 구비한다.
제어부(510)는 모바일 단말기(5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510)는 통신부(520), 비콘 인식부(530), 음성 입출력부(540) 및 저장부(550)를 제어한다. 통신부(520)는 제어부(510)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망(10) 즉,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또 통신부(520)는 제어부(510)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망(10) 즉,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채널 중계 장치(300)의 중계를 받아서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비콘 인식부(530)는 역사, 승강장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552)이 활성화되면, 모바일 단말기(500)에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콘(200)을 자동 인식한다. 음성 입출력부(540)는 마이크,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을 구비하여,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의 비상 통화 시, 음성 신호를 입출력한다. 그리고 저장부(550)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552)이 설치된다.
어플리케이션(552)은 역사, 승강장 등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어 활성화된다. 어플리케이션(552)은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콘(200)을 인식하고, 인식된 비콘(2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들인다. 또 어플리케이션(552)는 비콘(200)으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의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역무실 위치를 확인하도록 처리하고, 인식된 비콘(200)으로부터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받아서 해당 역무실 통화 장치(400)로 비상 통화를 시도한다. 이에 다채널 중계 장치(300)가 선택한 통신 채널을 통해 하나의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552)은 역사, 승강장에서의 비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독립적인 프로그램 형태나, 철도 또는 지하철에 대한 노선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실시간 안내하는 철도 또는 지하철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플러그 인(plug-in)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10)와 어플리케이션(522)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망(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망(10)을 통해 복수 개의 비콘(200)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이상이 발생되는지 등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사용자 인증 처리하여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 비상 통화를 중계하도록 요청한다.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비상 통화가 완료되면, 비상 통화 내역 및 이력을 저장, 관리한다.
이 실시예의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와, 통신부(104)와,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이 저장된 저장부(미도시됨)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또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장치, 입출력 장치 및 저장 장치 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2)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을 처리하도록 제어하여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02)는 통신부(104), 저장부(미도시됨)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102)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또는 웹서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2)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을 이용하여 통신망(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로 어플리케이션(118)을 제공한다. 또 제어부(102)는 모바일 단말기(500)의 어플리케이션(522)과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이 상호 연동 처리하여 역사, 승강장에서 비상 상황 발생 시,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02)와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내용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104)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망(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와 다채널 중계 장치(300) 및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서버(10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또 통신부(104)는 비콘(200)으로부터 위치 정보와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전송받는다.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은 통신망(1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통해 해당 역무실 통화 장치(400)를 선택하여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비상 통화 시도 시,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여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 중계를 요청한다.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은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면, 비상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 실시예에서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은 무분별한 비상 통화 시도를 방지하도록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부(112)와, 사용자 인증된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 비상 통화 중계를 요청하는 중계 요청부(114)와,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면, 비상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비상 통화 이력 관리부(116) 및, 모바일 단말기(500)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11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증부(112)는 모바일 단말기(500)에 어플리케이션(522)을 설치할 때,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여,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여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0)는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서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20)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20)는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된 사용자 정보(122)와, 비콘(200)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하는 비콘 위치 정보(124)와, 비콘(200)에 대응하여 가장 인접한 위치의 역무실에 대한 연락처를 포함하는 역무실 정보(126) 및,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면, 비상 통화 일시 및 위치, 역무원 담당자명, 비상 내역 및 조치 사항 등을 포함하는 비상 통화 이력 정보(128)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역사, 승강장에 설치된 비콘(200)과 모바일 단말기(500)의 어플리케이션(552)을 이용하여 역사, 승강장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552)만을 실행시켜서 자동으로 역무실 통화 장치(400)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비콘(200)과 모바일 단말기(500)와 다채널 중계 장치(300) 및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들이 연동 처리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110)으로서, 모바일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552)과 상호 연계 처리되어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은 단계 S600에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어플리케이션(118)을 제공한다. 물론 어플리케이션(118)은 아이폰 앱 스토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 또는 관련 웹 사이트 등과 같은 별도의 서버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 S602에서 모바일 단말기(5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고, 어플리케이션(552)을 다운로드 받아서 내부에 설치한다. 이 때, 모바일 단말기(50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받은 후,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은 모바일 단말기(500)의 전화번호, 공인 인증, 이메일 등을 통해 처리된다. 단계 S604에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 등록하고 관리한다.
단계 S606에서 역사, 승강장 등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모바일 단말기(500)의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고, 단계 S608에서 어플리케이션(522)을 활성화시킨다. 단계 S610에서 모바일 단말기(500)의 어플리케이션(522)가 활성화되면, 모바일 단말기(500)가 가장 인접한 위치의 비콘(200)을 자동 인식하고, 인식된 비콘(200)으로부터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다.
단계 S612에서 모바일 단말기(500)는 어플리케이션(522)을 이용하여 인식된 비콘(200)으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역무실 위치를 확인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계 S614에서 인식된 비콘(200)은 비상 통화를 자동으로 시도하도록 모바일 단말기(500)로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616에서 모바일 단말기(500)는 비상 통화 요청 정보에 응답해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역무실과 비상 통화를 시도한다.
단계 S618에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모바일 단말기(500)에서 비상 통화를 시도하면, 해당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고, 인증된 사용자이면, 단계 S620에서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 비상 통화를 중계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단계 S622에서 다채널 중계 장치(300)로 일반 통화를 중계 요청한다. 이는 무분별한 비상 통화 시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 역무실로 상담하거나 문의할 수 있는 일반 통화를 중계한다.
단계 S624에서 다채널 중계 장치(300)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비상 통화 또는 일반 통화를 중계 요청받으면, 비상 통화 또는 일반 통화에 적합한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고, 단계 S626에서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 간에 비상 통화 또는 일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중계한다. 이에 단계 S628 및 단계 S630에서 모바일 단말기(500)와 역무실 통화 장치(400)는 상호 비상 통화 또는 일반 통화가 이루어진다.
단계 S632에서 역무실 통화 장치(400)가 모바일 단말기(500)와 비상 통화가 완료되면,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비상 통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이에 역무원은 비상 통화 내역과 비상 상황 발생 위치를 확인하고, 비상 상황을 조치할 수 있도록 신속히 대응한다. 이어서 단계 S634에서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비상 통화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비스(120)에 저장, 관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통신망
100 :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
110 :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서비스 처리 프로그램
120 : 데이터베이스
200 : 비콘
300 : 다채널 중계 장치
400 : 역무실 통화 장치
500 : 모바일 단말기
552 : 어플리케이션

Claims (7)

  1.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
    상기 열차 승강장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들를 포함하고, 상기 열차 승강장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역무실의 역무원과 비상 통화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관련 역무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역무실과 비상 통화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 인식 장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역무실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무실 통화 장치;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여 등록, 관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중계를 요청하는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비상 통화 중계를 요청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하나의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여 비상 통화를 중계하는 다채널 중계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비콘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상 통화 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비상 통화 중계가 요청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상호 통화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부;
    상기 채널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를 연결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통신부와 상기 채널 선택부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통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통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 인식 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의 역무실 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의 비상 통화 내역이 포함된 비상 통화 이력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해서 상기 프로그램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 가능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하는 중계 요청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의 비상 통화 내역을 저장, 관리하는 비상 통화 이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5.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통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인증 처리하여 등록 관리하는 단계;
    승강장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승강장 내에 설치된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관련 역무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가 시도되면,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 간에 비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나의 통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가 비상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인식 장치는 상기 승강장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비콘들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 통화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콘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역무실 통화 장치와 비상 통화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비상 통화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 처리된 사용자이면, 상기 다채널 중계 장치로 중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60082407A 2016-06-30 2016-06-30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70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07A KR101708394B1 (ko) 2016-06-30 2016-06-30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407A KR101708394B1 (ko) 2016-06-30 2016-06-30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394B1 true KR101708394B1 (ko) 2017-02-20

Family

ID=582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407A KR101708394B1 (ko) 2016-06-30 2016-06-30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68B1 (ko) * 2019-03-25 2020-07-03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지하철 역사에서 교통 약자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WO2023166835A1 (ja) * 2022-03-01 2023-09-07 ヤマハ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855A (ko) 2007-05-22 2007-06-25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에 적용 가능한 비상통화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100778776B1 (ko) 2007-07-24 2007-11-23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140068809A (ko) * 2011-05-23 2014-06-09 와이즈-세크 리미티드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과, 계산 장치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 기반 수정
KR101518342B1 (ko) 2007-12-12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
KR20160047071A (ko) 2014-10-21 2016-05-02 주식회사 텔리아넷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855A (ko) 2007-05-22 2007-06-25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에 적용 가능한 비상통화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100778776B1 (ko) 2007-07-24 2007-11-23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1518342B1 (ko) 2007-12-12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비상 통화 방법
KR20140068809A (ko) * 2011-05-23 2014-06-09 와이즈-세크 리미티드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과, 계산 장치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 기반 수정
KR20160047071A (ko) 2014-10-21 2016-05-02 주식회사 텔리아넷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68B1 (ko) * 2019-03-25 2020-07-03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지하철 역사에서 교통 약자 에스코트 시스템 및 방법
WO2023166835A1 (ja) * 2022-03-01 2023-09-07 ヤマハ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992B2 (en) Method for providing a visitor controlled access into a building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JP616156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KR1022083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키오스크 제어 리모컨 시스템
US11110020B2 (en) Smart hospital headwall system
WO2017068560A1 (ja) 通信装置
US115147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KR20130100807A (ko)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한 타겟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30084464A (ko) 호 전환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16087356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8710980B2 (en) Asset control in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1708394B1 (ko)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2016192676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US2020027461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terminal
KR20100131156A (ko) 관람자 단말기, 전시물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2325B1 (ko) 장애 인증에 따른 무인화 기기의 맞춤 서비스 지원 시스템
JP2009212813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60038542A (ko)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협업 시스템
JP2018152718A (ja) 携帯電話機遠隔制御機能を有する内線電話機
KR101260889B1 (ko)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한 이동통신 장치 및 그 방법
JP3190098U (ja) ガイディングシステム
KR102155638B1 (ko) 주거공간에 특화된 IoT 통합형 스마트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8133620A (ja) 受電システム
KR101888544B1 (ko) 지정 영역별 설정 서비스 수행방법
KR20160101434A (ko) 영업사원 모바일 선물쿠폰 지원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