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071A -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071A
KR20160047071A KR1020140142832A KR20140142832A KR20160047071A KR 20160047071 A KR20160047071 A KR 20160047071A KR 1020140142832 A KR1020140142832 A KR 1020140142832A KR 20140142832 A KR20140142832 A KR 20140142832A KR 20160047071 A KR20160047071 A KR 2016004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mergency call
emergency
telephon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357B1 (ko
Inventor
정기혁
장호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리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리아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리아넷
Priority to KR102014014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 인터폰; 상기 내부 인터폰, PSTN 국선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상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채널 비상통화 장치; 상기 내부 인터폰과 연결된 외부 인터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PSTN 국선을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STN 전화기; 및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포함하며,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일정시간 동안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 등록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Emergency call device and method including radio access unit for emergency call}
본 발명은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자가 내부 인터폰의 호출 버튼을 눌러 번호 선택 등 일련의 절차없이 관리실에 구비된 외부 인터폰을 받지 않는 경우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기존 국선 PSTN 전화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국선을 대체하여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4G, 3G 무선접속장치에 내장된 모뎀)를 통해 기 등록된 해당 관리자의 이동 전화번호를 연결하여 비상상황을 통지하고 구조를 요청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및 방법이 특허등록번호 10-0859756에 개시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가 갑작스럽게 정지되거나 정전이 되는 경우, 또는 운행 중 이상이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 내의 비상 통화 버튼을 누를 경우 외부와 전화 통화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 및 대처가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는 하나의 단말기 내에 인터폰기능과 전화연결기능이 구비되어, 엘리베이터카 내부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경비실 또는 관리실의 인터폰과 통화가 가능하며, 외부의 유무선전화기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비상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 전화기와의 연결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하여 비상통화 작동의 오남용을 방지한다. 승강기의 정전 및 고장상황, 지하주차장 등에서 응급상황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대부분의 비상통화장치들은 PSTN(일반전화 국선)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사용한다.
PSTN을 이용하여 비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착신전화기에 컬러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비상통화장치는 착신상대방이 전화를 받았는지 여부를 장치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착신전화로 하여금 특정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tone, 예를 들어 '1'이라는 버튼을 누르도록 방송메시지를 송출하여 착신자가 전화를 받았음을 인지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또한 착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비상통화장치에 Busy Tone(뚜-뚜-뚜)이 전송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절차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1. 전화발신시 통화연결의 인지
착신자가 전화를 받았을 때, 착신여부를 알려주기 위한 DTMF를 요구하는 방송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송출해야 하므로 착신자의 통화상 번거로움이 있다.
비상통화장치가 PSTN 국선이 아닌 3G 또는 4G 이동전화망을 사용하는 경우, 3G/4G 동일망 내에서 DTMF 전송이 불가능한 이유로 이동전화에서 착신할 경우에는 DTMF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통화연결을 인지하지 못하여 본래 의도한 비상통화 절차를 수행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3GPP 규격에 의하면, 동일망 내 이동전화 간의 음성통신에서는 서로 동일한 음성코덱을 사용하므로 DTMF 전송을 위한 코딩과정을 생략하고 있다. 단, 3G/4G 단말기와 이종망 간의 통화에서는 서로 다른 음성코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DTMF 전송에 문제가 없다).
2. 착신전화의 통화종료에 의한 통화종료시 Busy Tone 인식 문제
착신전화에 의해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 비상통화장치는 Busy Tone 간격을 인지하여 통화를 정상종료(일반전화에서의 Hook Off 동작)를 해야 하지만, 설치된 비상통화가 위치한 장소와 전화국 간의 거리, 교환기 제조사 및 종류 등 상이한 조건에 따라 Busy Tone의 파형이 달라지게 되므로 오동작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Busy Tone에 의하여 통화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일반 전화에서와 같은 Hook off 즉, 수화기를 내려놓은 것과 같은 동작), 비상통화장치는 지속적으로 Busy Tone을 송출하게 되며, 통화중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더 이상의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승강기 내에 설치된 비상통화장치의 경우 승강기 내에 갇힌 탑승자가 지속적으로 Busy Tone을 듣게 되므로 불안감을 증폭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엘리베이트 운행부의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는 최대 2채널로 인터폰과 PSTN 국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사용되었으나, 관리실의 담당자 부재시 WCDMA 이동 전화번호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와 즉시 연결되는 비상통화장치의 유무선 통합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특허등록번호 10-0859756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또는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자가 내부 인터폰의 호출 버튼을 눌러 번호 선택 등 일련의 절차없이 관리실/경비실에 구비된 외부 인터폰을 받지 않는 경우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유선(PSTN)과 무선(WCDMA, LTE)을 선택적으로 운용하여, 즉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기존 국선 PSTN 전화기(국선 일반 전화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국선을 대체하여 비상통화장치에 연결된 무선접속 장치(4G, 3G 무선접속장치에 내장된 모뎀)를 통해 기 등록된 해당 이동 전화번호로 이동통신망(W-CDMA, LTE)을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비상 상황 발생을 통지하고 구조를 요청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는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에 구비되는 내부 인터폰; 상기 내부 인터폰, PSTN 국선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상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채널 비상통화 장치; 상기 내부 인터폰과 연결된 외부 인터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PSTN 국선을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STN 전화기; 및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포함하며,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비상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일정시간 동안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 등록된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인터폰은, 비상상황 발생시 누르기 위한 비상통화 버튼; 비상상황 발생시 상기 비상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PSTN 전화기 파트; 상대방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PSTN 전화기의 전화 번호, 이동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화번호들을 저장하며, DTMF Receiver와 연동되고, 기 저장된 착신전화번호로 자동 Call Setup 기능을 제공하며, 승강기 비상통화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MCU); 상기 MCU에 연결되고 비상통화시 연결될 PSTN 콜센터 전화번호, 건물 내부 국선전화 번호,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화번호와 통화 이력과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DTMF 톤을 수신하는 DTMF 리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8채널 비상통화장치(모델 TEV-3000)를 사용하는 경우, 2대 이상의 승강기가 중대형 건물 및 집합 건물 등에 설치되어 다수 승강기의 비상통화를 지원하는 제품이다. 최대 8대의 비상통화를 지원하며, 8대 이상인 경우 복수의 장치를 연동하여 사용되며,
상기 8채널 비상통화장치(모델 TEV-3000)는 최대 8대 승강기를 수용하고(기본 2채널 제공 및 8대까지 확장 가능), 자기의 교체가 필요없는 인터폰 연동형(B 타입)이며, 최대 32대의 승강기까지 통합관리 기능(RS-485 통신에 의한 장비간 연동)를 제공하고, 내장된 전화번호에 의한 순차적 자동 발신 및 승강기 고유번호 및 건물 지명 녹음 기능을 제공하며, 음성안내 및 착신 통화 기능을 제공하고, 무선 장치용 전원 출력 기능(TWT-1160 연동시 전화선 1가닥만 사용)과 2000mAh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보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는 운용 주파수가 Tx: 1920~1980 MHz, Rx: 2110~2170 MHz이며, 채널 대역폭 WCDMA 3.84MHz로 이동통신 음성통화가 제공되며, USIM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배터리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승강기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방법은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구비하는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a)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시 승강기 내부 인터폰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인터폰 또는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국선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일정시간 동안 내부 인터폰과 국선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동된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WCDMA, LTE)을 통해 기 등록된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c) 승강기 인터폰과->비상통화장치->관리자 전화기 콜인 경우, 상기 비상통화 버튼 터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순차적인 통화를 시도하며, 착신측의 '통화중' 또는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이 인지되는 경우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통화를 시도하고, 통화 연결 후 20초간 '무응답' 상태가 지속된 경우 강제 통화 종료를 하며,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특정 DTMF톤 및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d) 관리자 전화기->비상통화장치->승강기 인터폰 콜 인 경우, 관리자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통화 대기 후 DTMF 신호 수신 대기로 있다가, 5초간 대기 후 DTMF 수신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 착신 후 통화가 연결되며,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며, 통화 버튼을 Disable 상태로 전환하여 승강기 카 내부에서 강제종료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은 실내 또는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탑승자가 내부 인터폰의 호출 버튼을 눌러 번호 선택 등 일련의 절차없이 관리실/경비실에 구비된 외부 인터폰을 받지 않는 경우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유선(PSTN)과 무선(WCDMA, LTE)을 선택적으로 운용하여, 즉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기존 국선 PSTN 전화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국선을 대체하여 비상통화장치에 연결된 무선접속 장치(4G, 3G 무선접속장치에 내장된 모뎀)를 통해 기 등록된 해당 이동 전화번호로 이동통신망(W-CDMA, LTE)을 통해 이동통신 전화를 연결하여 구조를 요청하여 승강기의 안전을 유지하도록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는 최대 8채널까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은행, 주차장 등의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승강기 카 내에 갇힌 탑승자가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버튼을 눌러 별도의 전화번호를 누름없이 시설물 관리자의 외부 인터폰 또는 국선으로 연결된 PSTN 전화기와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통화가 되지 않을 경우, 비상통화장치의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WCDMA, LTE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유지관리업체 또는 자체 점검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승강기의 장애가 발생하여 탑승자가 비상통화장치의 비상버튼 호출 시 해당 건물의 경비실/관리실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곳의 인터폰으로 연결하고, 인터폰으로 내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관리자의 PSTN 전화기 또는 승강기 유지보수업체 점검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는 승강기 내의 비상통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용 3G 무선접속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동되는 이동통신망과 PSTN 망 구성도이다.
도 3은 비상통화 장치와 연결되는 내부 인터폰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의 3G 무선접속장치(WCDMA)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의 전면에 보이는 연결포트와 전원 버튼과 LED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단독형 비상통화장치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8채널 비상통화장치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와 경쟁사들의 비상통화장치의 유무선 방식별 특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에서 승강기->관리자 콜의 비상통화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에서 관리자->승강기 콜의 비상통화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상통화장치(300)는 무선접속장치(WCDMA, LTE)(320)와 연결되어, 은행, 주차장,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에 사용되며, 승강기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은행 금고 또는 실내의 공간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실내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승강기(elevator)의 장애가 발생하여 탑승자가 비상통화장치(300)의 비상버튼 호출 시 해당 건물의 관리실/기계실/경비실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는 곳의 인터폰(310)으로 연결하고, 인터폰(310)으로 내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건물의 관리실/경비실의 관리자의 PSTN 전화기(301) 또는 승강기 유지보수업체 점검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자동으로 비상통화(Emergency Call)를 연결하는 승강기 내의 비상통화장치(300)의 개념도이다.
2013년 3월 14일 안정행정부의 승강기 검사기준 전부 개정고시에서는, "시설물 내부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승강기 유지관리업체 또는 자체 점검자에게 자동으로 통화가 연결되어 신속한 구조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통화장치를 구비할 것"이라고 고지하였다.
승강기(엘리베이터)의 내부 탑승자의 비상 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버튼을 눌러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 또는 이동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하고 탑승자와 직접 통화하여 불안감 및 승강기 구조 시간을 단축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3G 무선장치, TWT1160)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동되는 이동통신망과 PSTN 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각각의 승강기 운행부(100)에 설치된 승강기(100-1,.. 100-N); 승강기 내부 인터폰; 상기 승강기 내부 인터폰과 연결되고, PSTN 국선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상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채널 비상통화 장치(300); 상기 승강기 내부 인터폰과 연결된 관리실(또는 경비실, 기계실)에 구비된 승강기 외부 인터폰(320);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PSTN 국선을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STN 전화기; 상기 비상통화장치(300)와 연결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320);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시 승강기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일정시간 동안 건물의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비상통화장치(300)에 기 등록된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기 등록된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음성통화가 연결되는 승강기 유지보수업체 점검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10);를 포함한다.
다채널 비상통화장치(300)는 비상통화장치(300)와 PSTN 국선을 통해 연결되는 PSTN 전화기(420, 430);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은행 금고, 주차장 등의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시 비상통화장치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일정시간 동안 내부 인터폰(310)과 PSTN 전화기(420,430)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비상통화장치(300)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 등록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한다.
비상통화장치(300)는 1채널/2~8채널, 유무선 별도 제품으로 PSTN 전화기(유선)와 WCDMA 이동전화 통신(무선) 통화 기능, 착신전화번호 저장 기능, 착신 확인 기능, SMS 송수신 기능, 통화이력과 통화 내용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PSTN 전화기는 건물 내부의 일반 전화번호가 할당된 전화기, 콜센터 전화기, 119 전화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비상통화 장치와 연결되는 내부 인터폰의 구성도이다. 은행, 은행금고, 주차장,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에 사용되는 내부 인터폰(300-1)은 정전 또는 장비 고장으로 실내 또는 승강기 비상상황 발생시 누르기 위한 비상통화 버튼; 비상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PSTN 전화기 파트(301); 상대방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302);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의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303); PSTN 전화기의 전화 번호, 이동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화번호들을 저장하며, DTMF Receiver와 연동되고, 기 저장된 착신전화번호로 자동 Call Setup 기능을 제공하며, 비상통화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MCU)(304); MCU(304)에 연결되고 비상통화시 연결될 PSTN 콜센터 전화번호, 건물 내부 국선전화 번호,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이동전화번호 등의 착신전화번호와 통화 이력과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MCU(304)와 연결되고, DTMF 톤을 수신하는 DTMF 리시버(307)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비상통화장치(300)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320)는 승강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무선접속장치(WCDMA, LTE)(320)는 다채널 비상통화장치(300)와 연결되며, 승강기 카 상부/천정, 또는 관리실/기계실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비상통화장치(300)는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관리실에서 외부 인터폰을 받지 않는 경우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카내 탑승자가 내부 인터폰을 사용하여 외부의 관리자의 외부 인터폰/(또는) 기 설정된 PSTN 전화기/(또는)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직접 통화를 연결하여 구조를 요청하는 비상통화장치이다.
본 장치는 예를들면, 승강기 내 비상상황 발생시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에 직접 통화가 가능하도록 해당 전화번호(일반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내부 인터폰의 비상통화 호출버튼을 누르는 경우 번호선택 등 일련의 절차없이 해당 전화로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이 장치는 기존의 인터폰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비상통화 전화기는 수화기와 키 패드 없이 통화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기 입력된 관리자 전화로 자동 착신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내장되는 전화번호는 최소 5개 이상 저장이 가능하며, 관리자가 부재 중 또는 통화중 일 경우에 차순의 번호로 자동 연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① 간편한 전화통화 기능
√ 최대 3개까지 착신번호 저장
√ 통화버튼 터치 만으로 통화연결
② 핸즈프리 통화 기능
√ 키패드, 수화기 없음
③ 다양한 망 구성 (PSTN 또는 WCDMA)
√ 국선 연결포트(RJ-11) 2개
④ 외부 호에 의한 원격 착신 전화번호 설정 및 변경
도 4 및 도 5는 승강기 비상통화장치의 무선접속장치(WCDMA, LTE)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최대 8채널 유무선 비상통화장치(300)는 실내 또는 승강기에 구비된 비상통화장치에서 PSTN 국선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되도록 WCDMA/LTE 이동통신망으로 대체하는 장치로써, 엘리베이터 장애시 시설물 내부 인터폰 또는 PCTN 국선 전화기와 통화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승강기 유지관리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비상 상황을 알리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비상통화장치의 무선접속장치(320, TWT 1160)는 이동통신망의 전화를 사용하므로 PSTN 전화선 연결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비상 배터리를 적용하여 정전시에도 원할한 통화를 제공한다.
비상통화장치의 무선접속장치(320)의 특징
ㆍSLIC 기능을 내장하여 PSTN을 WCDMA로 변환
ㆍRJ-11 전화접속포트 2개 제공
ㆍ고성능 외장안테나를 사용하여 우수한 수신효율 제공
ㆍ상태감시 LED를 통한 장치의 동작상태 확인
ㆍ다양한 비상통화장치 다이얼 방식 수용(DTMF/Pulse Dialing)
ㆍ내장 배터리(정격전원 12VDC/500mA, 3.6V/1.5A Rechargeable)를 사용한 정전보상 기능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의 전면에 보이는 연결포트와 전원 버튼과 LED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의 LED indicator는 배터리 점등시에는 동작되지 않고 DC 전원인가시 점등되는 전원 표시LED, 3G 접속 상태 표시하는 네트워크 상태 LED, 배터리 상태 LED, 신호세기 LED, 후크-온 상태일 때 점등되는 통화상태 LED를 구비한다.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의 제원은 다음 표1과 같이 설명된다.
ITEM SPECIFICATION
Technical Standard WCDMA
OperatingFrequency Tx: 1920~1980 MHz
Rx: 2110~2170 MHz
Channel Bandwidth WCDMA 3.84MHz
Frequency Stability ±300Hz
Tx Power 200mW Max.
Rx Power Level -104~25 dBm
Number of POTS port 2
POTS Interface RJ-11
USIM Card Interface Standard 6 PIN USIM
Power Supply(AC/DC Adaptor) Input: AC110~240V/50~60Hz
Output: DC 2V/0.5A
Battery Capacity 3.6V/1,500mA/Rechargeable
Battery Back-up Time Talking: 2.5 hours/Stand-by :48 hours
Operation Temperature 0℃ ~ +50℃
Relative Humidity 5% ~ 95%
Dimension(W*D*H) 175.5mm * 126.0mm * 37.5mm
Weight(including Battery) 300g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320)는 예를들면 WCDMA를 사용하여 구현된 경우, 운용 주파수가 Tx: 1920~1980 MHz, Rx: 2110~2170 MHz이며, 채널 대역폭 WCDMA 3.84MHz로 이동통신 음성통화가 제공되며, USIM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3.6V/1,500mA 배터리로 동작된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단독형 비상통화장치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화기 단독형 비상통화장치는 국선 사용이 가능하고, 2대 이하의 승강기가 설치된 소형 건물에 적용되는 제품으로써,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폰과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장치이다.
특징은 기존 인터폰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 전화기형이며, 내장된 전화번호에 의한 순차적 자동 발신, 고감도 마이크 사용으로 우수한 통화품질을 제공하며, 음성 안내 및 착신통화 기능을 제공하다.
설치 가능한 장소는 인터폰이 정상 운용중인 소형 건물이다.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8채널 비상통화장치의 제품 개요 및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8채널 비상통화장치는 2대 이상의 승강기가 중대형 건물 및 집합 건물 등에 설치되어 다수 승강기의 비상통화를 지원하는 제품이다. 최대 8대의 비상통화를 지원하며, 8대 이상인 경우 복수의 장치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8채널 비상통화장치의 특징
ㆍ최대 8대 승강기 수용(기본 2채널 제공 및 8대까지 확장 가능)
ㆍ자기의 교체가 필요없는 인터폰 연동형(B 타입)
ㆍ최대 32대의 승강기까지 통합관리 기능(RS-485 통신에 의한 장비간 연동)
ㆍ내장된 전화번호에 의한 순차적 자동 발신
ㆍ승강기 고유번호 및 건물 지명 녹음 기능
ㆍ음성안내 및 착신 통화 기능
ㆍ무선접속장치용 전원출력 기능(무선접속장치 연동시 전화선 1가닥만 사용)
ㆍ2000mAh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보상 기능 제공
도 9를 참조하면, 8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전원 스위치, 8채널 인터폰 연결, 인터폰 동작 LED, 무선장치 고정홀, 전원 DC12V, 국선 연결포트와 무선접속장치 연결시 전원 동시공급, 보조전화 연결 포트를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와 경쟁사들의 비상통화장치의 유무선 방식별 특징을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상통화장치(300)는 1채널/2~8채널, 유무선 별도 제품으로 PSTN 전화기(유선)와 WCDMA 이동전화 통신(무선) 통화 방식, 착신 확인 기능, SMS 송수신 기능, 통화이력과 통화 내용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경쟁사(F사, I사)의 비상통화장치는 수용 채널수가 4채널/8채널, 유선 전용제품으로 PSTN 전화기 통화(유선) 방식, 통화 이력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경쟁사(B사)의 비상통화장치는 유무선 통합 제품으로 수용채널수가 2채널, PSTN 전화기(유선)와 WCDMA 이동전화 통신(무선) 통화 방식, 착신 확인 기능, SMS 송수신 기능, 통화이력과 통화 내용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도 11은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에서 승강기->관리자 콜의 비상통화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승강기 내부 인터폰과->비상통화장치->관리자 전화기 콜인 경우,비상통화 버튼 터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순차적인 통화를 시도하며, 착신측의 '통화중' 또는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이 인지되는 경우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통화를 시도하고, 통화 연결 후 20초간 '무응답' 상태가 지속된 경우 강제 통화 종료를 하며,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특정 DTMF톤 및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도 12는 승강기의 비상통화장치에서 관리자->승강기 콜의 비상통화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1) 음성통화
관리자 전화기->비상통화장치->승강기 내부 인터폰 콜 인 경우, 관리자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통화 대기 후 DTMF 신호 수신 대기로 있다가, 5초간 대기 후 DTMF 수신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 착신 후 통화 연결이 된다.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한다(통화 버튼을 Disable 상태로 전환하여 승강기 카 내부에서 강제종료 방지).
2) 전화번호 변경
통화 대기시간(5초) 내에 DTMF 신호가 수신되며 전화번호 설정 모드로 전환하며, 음성 신호는 연결하지 않는다.
비상통화장치의 미리 약속된 번호 설정 규칙에 의하여 전화번호가 설정 변경된다.
전화번호 설정 후 종료 표시(*)가 수신되면,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통화를 종료한다.
종료 표시(*)가 수신되지 않고 음성통화가 종료된 경우, 종료 전까지의 번호입력 절차가 정상이면 저장하고, 비정상 종료이면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전화번호는 변경하는 해당 번호 외에 다른 번호는 이전 상태를 유지한다.
3) 전화번호 저장 방법
3.1) 비밀번호 변경
√최초 출하시 비밀번호는 '0000'
√통화가 연결된 후 현재 비밀번호를 누른다(0-0-0-0-#)
√변경할 비밀번호 입력(예, 1-2-3-4-#)
√비밀번호 반복입력(예, 1-2-3-4-#)
√딩동댕~ 확인음 확인 후 통화종료(확인음 송출 후 통화종료)
3.2) 전화번호 설정
√비밀번호 입력(예, 1-2-3-4-#)
√관리자 번호 선택(예, 1-#)
√전화번호 입력(xxx-xxxx-xxxx-#)
√연속하여 다른 관리자 번호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위 과정 반복 수행
√전화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마지막에 종료 표시(*)를 입력하고 통화 종료(종료 표시가 입력되면 확인음(딩동댕~)을 출력하고 즉시 통화 종료)
√설정 예
ㆍ1-2-3-4-# 비밀번호 입력
ㆍ1-#-0-7-0-1-2-3-4-5-6-7-# 관리자1 번호 입력
ㆍ2-#-0-3-1-7-3-2-2-5-0-1-# 관리자2 번호 입력
ㆍ3-#-0-1-0-3-2-1-7-6-5-4-# 관리자3 번호 입력
ㆍ* 입력 종료
본 발명의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방법은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구비하는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a)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국선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일정시간 동안 내부 인터폰과 국선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동된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WCDMA, LTE)을 통해 기 등록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c)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 인터폰과->비상통화장치->관리자 전화기 콜인 경우, 상기 비상통화 버튼 터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순차적인 통화를 시도하며, 착신측의 '통화중' 또는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이 인지되는 경우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통화를 시도하고, 통화 연결 후 20초간 '무응답' 상태가 지속된 경우 강제 통화 종료를 하며,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특정 DTMF톤 및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d) 관리자 전화기->비상통화장치->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 인터폰 콜 인 경우, 관리자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통화 대기 후 DTMF 신호 수신 대기로 있다가, 5초간 대기 후 DTMF 수신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 착신 후 통화가 연결되며,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며, 통화 버튼을 Disable 상태로 전환하여 승강기 카 내부에서 강제종료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승강기 운행부 100, 100-1, 100-N : 승강기
200: 이동통신 단말기 300: 비상통화 장치
300-1: 내부 인터폰
301: PSTN 전화기 파트 302: 스피커(SPK)
303: 마이크(MIC) 304: MCU
307: DTMF 리시버 310: 외부 인터폰
320: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
410: 휴대폰 420: 전화기
430: 119 전화기

Claims (8)

  1. 특정 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내부 인터폰;
    상기 내부 인터폰, PSTN 국선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비상통화 기능을 제공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채널 비상통화 장치;
    상기 내부 인터폰과 연결된 외부 인터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PSTN 국선을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STN 전화기; 및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무선으로 접속하는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포함하며,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비상상황 발생시 내부 인터폰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국선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며, 일정시간 동안 외부 인터폰 또는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비상통화장치와 연결된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 등록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인터폰은
    비상상황 발생시 누르기 위한 비상통화 버튼;
    상기 비상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PSTN 전화기 파트;
    상대방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내부의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PSTN 전화기의 전화 번호, 이동 전화번호 착신전화번호를 저장하며, DTMF Receiver와 연동되고, 기 저장된 착신전화번호로 자동 Call Setup 기능을 제공하며, 승강기 비상통화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MCU);
    상기 MCU에 연결되고 비상통화시 연결될 PSTN 콜센터 전화번호, 건물 내부 국선전화 번호,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이동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착신전화번호와 통화 이력과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MCU와 연결되어, DTMF 톤을 수신하는 DTMF 리시버;
    를 포함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수용채널수가 1채널/2~8채널, 유무선 별도 제품으로 PSTN 전화기(유선)와 WCDMA 이동전화 통신(무선) 통화 기능, 착신전화번호 저장 기능, 착신 확인 기능, SMS 송수신 기능, 통화이력과 통화 내용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는
    8채널 비상통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2대 이상의 승강기가 중대형 건물 및 집합 건물 등에 설치되어 다수 승강기의 비상통화를 지원하는 제품이며, 최대 8대의 비상통화를 지원하고, 8대 이상인 경우 복수의 장치를 연동하여 사용되며,
    상기 8채널 비상통화장치는 최대 8대 승강기를 수용하고(기본 2채널 제공 및 8대까지 확장 가능), 자기의 교체가 필요없는 인터폰 연동형(B 타입)이며, 최대 32대의 승강기까지 통합관리 기능(RS-485 통신에 의한 장비간 연동)를 제공하고, 내장된 전화번호에 의한 순차적 자동 발신 및 승강기 고유번호 및 건물 지명 녹음 기능을 제공하며, 음성안내 및 착신 통화 기능을 제공하고, 무선 장치용 전원 출력 기능(TWT-1160 연동시 전화선 1가닥만 사용)과 2000mAh 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를 내장하여 정전보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는
    운용 주파수가 Tx: 1920~1980 MHz, Rx: 2110~2170 MHz이며, 채널 대역폭 WCDMA 3.84MHz로 이동통신 음성통화가 제공되며, USIM 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배터리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6.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에 있어서,
    (a) 정전 또는 기기 고장으로 승강기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시 특정지역의 실내 또는 승강기 내부 인터폰의 통화 버튼이 눌려지면 건물의 관리실의 외부 인터폰 또는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국선 PSTN 전화기로 연결되어 음성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일정시간 동안 내부 인터폰과 국선 PSTN 전화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다채널 비상통화장치와 연동된 비상통화용 무선접속장치(WCDMA, LTE)를 통해 이동통신망(WCDMA, LTE)을 통해 기 등록된 유지보수업체의 담당자의 이동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다이얼링되어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c) 내부 인터폰과->비상통화장치->관리자 전화기 콜인 경우, 상기 비상통화 버튼 터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순차적인 통화를 시도하며, 착신측의 '통화중' 또는 일정시간 동안 '무응답'이 인지되는 경우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통화를 시도하고, 통화 연결 후 20초간 '무응답' 상태가 지속된 경우 강제 통화 종료를 하며, 상대방이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특정 DTMF톤 및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d) 관리자 전화기->비상통화장치->내부 인터폰 콜 인 경우, 관리자 전화기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음성통화 대기 후 DTMF 신호 수신 대기로 있다가, 5초간 대기 후 DTMF 수신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 착신 후 통화가 연결되며, 발신자가 먼저 전화를 끊은 경우, BUSY 톤을 인식하여 통화를 종료하며, 통화 버튼을 Disable 상태로 전환하여 승강기 카 내부에서 강제종료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방법.
KR1020140142832A 2014-10-21 2014-10-21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KR10165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32A KR101650357B1 (ko) 2014-10-21 2014-10-21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832A KR101650357B1 (ko) 2014-10-21 2014-10-21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71A true KR20160047071A (ko) 2016-05-02
KR101650357B1 KR101650357B1 (ko) 2016-08-24

Family

ID=5602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832A KR101650357B1 (ko) 2014-10-21 2014-10-21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94B1 (ko) 2016-06-30 2017-02-20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80111138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양한 설정 모드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33161A (ko) * 2017-06-05 2018-12-13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CN114229647A (zh) * 2021-12-13 2022-03-25 无锡小爱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无线救援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276774A (zh) * 2022-08-04 2022-11-01 西华大学 多通道话音通信方法
AU2018200088B2 (en) * 2017-01-04 2022-12-15 Romteck Australia Pty Ltd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756B1 (ko) 2008-04-30 2008-09-23 김성우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및 그 비상 통화 방법
KR20110120029A (ko) * 2010-04-28 2011-11-03 (주)에이치피엔알티 비상시 음성 고장 신고 시스템
KR101390428B1 (ko) * 2012-09-10 2014-04-29 허성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756B1 (ko) 2008-04-30 2008-09-23 김성우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및 그 비상 통화 방법
KR20110120029A (ko) * 2010-04-28 2011-11-03 (주)에이치피엔알티 비상시 음성 고장 신고 시스템
KR101390428B1 (ko) * 2012-09-10 2014-04-29 허성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94B1 (ko) 2016-06-30 2017-02-20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열차 승강장 비상 통화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AU2018200088B2 (en) * 2017-01-04 2022-12-15 Romteck Australia Pty Ltd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KR20180111138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양한 설정 모드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33161A (ko) * 2017-06-05 2018-12-13 고구려엔지니어링(주) 전동차용 비상통화 녹음장치
CN114229647A (zh) * 2021-12-13 2022-03-25 无锡小爱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无线救援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229647B (zh) * 2021-12-13 2023-07-28 无锡小爱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无线救援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276774A (zh) * 2022-08-04 2022-11-01 西华大学 多通道话音通信方法
CN115276774B (zh) * 2022-08-04 2023-09-15 西华大学 多通道话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357B1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57B1 (ko)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 및 방법
US6959172B2 (en) Docking station for enabling landline telephones to send/receive calls via a docked mobile telephone
WO2003029122A1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apparatus
EP1706947A1 (en) Docking station for enabling landline telephones to send/receive calls via a docked mobile telephone
KR101390428B1 (ko)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US20050143017A1 (en) Docking station for enabling landline telephones to send/receive calls via a docked walkie-talkie-type mobile telephone
KR101855364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CN106953993A (zh) 一种智能安防实现方法及系统
CN109412731B (zh) 矿用语音耦合应急广播终端装置
KR101652100B1 (ko) 비상통화용 무선접속 장치를 구비하는 비상통화장치에서 dtmf를 이용한 착신 통화 연결 및 통화종료 확인 방법
US7526269B1 (en) Remote intercom and automatic dialing system
JPH06291814A (ja) 自動電話転送及び応答装置のため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CN201207681Y (zh) 新型室内对讲分机
CN209402576U (zh) 一种煤矿扩播电话系统
CN208939971U (zh) 矿用语音耦合应急广播终端装置
CN108513021A (zh) 一种电梯专用通讯方法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KR20150060148A (ko) 유무선 하이브리드 방식의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887444B2 (en)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n analog telephone and telephone incorporating the same
CN211945789U (zh) 电梯紧急报警装置、系统
CN202551265U (zh) 一种电梯对讲主机
US20050045425A1 (en) Ring down intercom
JP2004328059A (ja) 簡易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ボタン電話システムおよび該ボタン電話システムを構成するボタン電話主装置
RU1588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редствами радиосвязи или аппаратурой оповещения "упор"
CN211769595U (zh) 电梯专用无线报警对讲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