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752B1 -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752B1
KR101707752B1 KR1020150154973A KR20150154973A KR101707752B1 KR 101707752 B1 KR101707752 B1 KR 101707752B1 KR 1020150154973 A KR1020150154973 A KR 1020150154973A KR 20150154973 A KR20150154973 A KR 20150154973A KR 101707752 B1 KR101707752 B1 KR 10170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hape
plane
projected im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280A (ko
Inventor
마사히코 야마다
데루토시 다구치
쇼우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06F2217/02
    • G06F2217/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04Annotating, 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는 수신부, 특정부 및 배치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CAD 공간에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시점의 위치의 지정을 수신한다. 특정부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CAD 공간이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표시되는 경우, 해당 시점으로부터 본 경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특정한다. 배치부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정해진 위치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Description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RRANGEMENT POSITION OF LEADER LINE}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의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출선들을 이용한 다양한 문서들이 작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의 설계 또는 생산기술 부문에서는,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설명 및 부품의 조립 방법의 설명을 위하여, 조립도, 부품도, 분해도, 및 조립 수순서 등의 부품을 도시하고 부품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문서들이 작성되어 있다. 이러한 문서에서는, 설명에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품에 대하여 인출선이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선을 보기 쉽게 배치하는 각종의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부품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출선을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6-8388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평 2-264367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개 2002-324085 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개 2002-324086 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개 2003-330970 호 공보
종래기술들은 인출선들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지만, 인출선과 부품 간의 대응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종래기술들은 부품의 어느 위치를 개시 위치로 하여 인출선을 인출할 것인지가 특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예를 들어, CAD(Computer Aided Design)에 의해 생성된 부품의 3차원 모델의 중심 위치, 3차원 모델의 데이터 상의 최초의 정점 위치 등을 개시 위치로 하여 인출선이 인출된다. 이 경우,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모델에서는, 부품의 인출선의 개시 위치가 다른 부품들의 뒤에 숨겨질 수 있고, 인출선과 부품 간의 대응을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품과의 대응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의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 공간을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표시하는 경우, 상기 시점으로부터 볼 때 표시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이 특정된다. 그 후, 특정된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결정된 위치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과의 대응을 이해하기 용이하게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CAD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부품의 형상과 형상 정보 간의 관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형상 정보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주기(note)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투영 화상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투영 화상의 생성의 수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부품 화상의 분할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평균점(average score)의 산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투영 화상의 분할 영역마다 평균점을 나타내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가중치 부여(weighting)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가중치 부여의 결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검색 규칙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인출 화소(drawing pixel)에 대응하는 부품 상의 위치의 좌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부품의 주기 및 인출선을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부품의 주기 및 인출선을 배치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형상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분할 영역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주변 분할 영역 가중치 부여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구분 영역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은 처리 내용들이 모순되지 않을 정도로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a]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가 설명된다. 도 1은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부품들에 관한 문서들이 작성되는 경우 인출선들의 배치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 등의 컴퓨터일 수 있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하나의 컴퓨터로서 구현되거나 복수의 컴퓨터들을 포함하는 클라우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가 하나의 컴퓨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는 CAD(computer aided design) 장치 등의 설계자에 의한 설계를 지원하는 설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설계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는 입력부(20), 표시부(21), 통신 I/F(인터페이스)부(22), 기억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입력부(20)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장치이다. 입력부(20)의 예들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조작의 입력을 받는 입력장치들을 포함한다. 입력부(20)는 각종 정보의 입력을 받는다. 입력부(20)는, 예를 들어, 결함 개소들의 예측에 관한 각종 조작들의 입력을 받는다. 입력부(2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고, 받은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제어부(24)에 입력한다.
표시부(2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표시부(21)의 예들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CRT(Cathode Ray Tube) 등의 표시장치들을 포함한다. 표시부(21)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1)는, 예를 들어, 후술되는 3차원 CAD 공간에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모델의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화면 등의 각종 화면들을 표시한다.
통신 IF부(22)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IF부(22)는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 I/F부(22)는, 예를 들어, 다른 장치로부터 후술하는 CAD 데이터(30)를 수신한다. 통신 I/F부(22)의 예들은 LAN 카드 등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한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를 통하여 CAD 데이터(30)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CAD 데이터(30)는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기억부(23)는 하드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및 광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이다. 기억부(23)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NVSRAM(Non Volatile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데이터 재기록 가능 반도체 메모리일 수 있다.
기억부(23)는 제어부(24)에서 실행되는 OS(operating system) 및 각종 프로그램들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23)에는 후술되는 인출선들의 배치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기억부(23)는 제어부(24)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에서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기억부(23)는 캐드 데이터(30), 주기 정보(31), 및 인출선 위치 정보(32)를 기억한다.
CAD 데이터(30)는 3차원 CAD에 의한 설계 데이터이다. CAD 데이터(30)에는 복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모델에 대한 부품들의 형상들을 나타내는 3차원 좌표 정보 등의 각종 설계 정보가 기억된다.
도 2는 CAD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CAD 데이터(30)에는 어셈블리 모델을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부품에 관한 각종 속성 정보가 기억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CAD 데이터(30)에는, 부품에 관한 속성 정보로서, 부품 번호, 부품의 원점 좌표, 부품의 로컬 좌표계, 및 형상 정보가 기억된다. 부품 번호는 어셈블리 모델을 구성하는 각 부품에 부여된 식별 정보이다. 각 부품에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하여 개별 부품 번호가 부여된다. 부품 번호의 항목에는 부품들에 부여된 부품 번호들이 기억된다. 부품의 식별 정보는 부품명일 수 있다. 부품의 원점 좌표는 3차원 CAD 공간의 좌표에서 부품에 관한 위치 정보의 원점으로서 이용되는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품의 원점 좌표는 부품마다 상이하거나 부품들에 대하여 공통의 원점이 이용될 수 있다. 부품의 로컬 좌표계는 각 부품에 대하여 부품의 원점 좌표에 기초하여 3차원 CAD 공간에서의 부품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좌표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품의 로컬 좌표계는 부품마다 상이하거나, 부품들에 대하여 공통의 좌표계가 이용될 수 있다. 형상 정보는 각 부품에 대하여 부품의 원점 좌표에 기초하여 부품의 로컬 좌표계에서 부품의 형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CAD 데이터(30)는 삼각형 파셋들(facets)의 조합을 통하여 부품의 형상을 기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형상 정보에는 부품의 형상을 구성하는 삼각형 파셋들의 정점 좌표들 및 각각의 삼각형의 면들의 법선 벡터들이 기억된다.
도 3은 부품의 형상과 형상 정보 간의 관계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직방체의 외형(rectangular parallelepipedal outer shape)을 갖는 부품(60)은 삼각형 파셋 1 내지 파셋 N의 조합에 의해 외형의 형상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삼각형 파셋 N은 세 개의 정점들의 3차원 좌표들(x1, y1, z1), (x2, y2, z2), 및 (x3, y3, z3) 및 파셋 N의 법선 벡터에 의해 3차원 CAD 공간에서의 위치가 정해진다.
도 4는 형상 정보에 기억된 데이터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CAD 데이터(30)의 형상 정보에는, 부품을 구성하는 삼각형 파셋 1 내지 파셋 N의 각각에 대하여, 삼각형의 정점 좌표들 및 삼각형의 면의 법선 벡터가 기억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주기 정보(31)는 주기들(notes)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주기 정보(31)에는 주기들이 대응되는 부품들 및 주기 내용들(note contents) 등의 주기들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
도 5는 주기 정보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주기 정보(31)는 부품 번호 및 코멘트의 항목들을 포함한다. 부품 번호의 항목은 주기들이 대응되는 부품들의 부품 번호들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코멘트의 항목은 주기 내용들을 기억하는 영역이다. 도 5의 예에서는 부품 번호 "2"의 부품에 대하여 "확실히 접합하는 것"이라는 주기가 등록되어 있다. 이 부품들의 주기들에 관한 정보는 문서가 작성될 때 작성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부품들의 주기들에 대한 정보는 부품의 설계자 또는 생간을 관리하는 담당자가 툴(tool)을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설계자들을 위한 툴 및 생산 준비 부문을 위한 툴에는 주기들로서 이용되는 내용들 및 등록하는 기능이 표준 기능으로서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기 정보(31)가 사전에 등록되는 경우, 주기 정보(31)는 CAD 데이터(30)와 함께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출선 위치 정보(32)는 각각의 주기들에 이용하는 인출선들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인출선 위치 정보(32)에는 인출선들이 대응되는 부품들의 부품 번호들 및 인출선들의 개시 위치들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24)는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제어부(24)는 등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전자회로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집적회로일 수 있다. 제어부(24)는 각종 처리 수순들을 규정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프로그램들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4)는 각종 처리부들로서 기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4)는 표시 제어부(40), 수신부(41), 및 주기 생성부(42)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40)는 표시부(21)에의 각종 정보의 표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40)는, CAD 데이터(30)에 기초하여, 3차원 CAD 공간의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본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모델의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수신부(41)는 주기들의 생성에 관한 각종 조작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41)는 어셈블리 모델을 표시하기 위한 시점 위치의 지정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설명 및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등의 문서가 작성되는 경우, 유저는 부품의 설명이 용이한 시점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문서에서 설명되는 부품이 용이하게 판별되는 시점 위치 또는 설명에 대응하는 시점 위치를 지정한다. 표시 제어부(40)는 3차원 CAD 공간의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본 어셈블리 모델의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41)는 주기들에 관한 정보의 등록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41)는 주기들이 대응되는 부품들 및 주기 내용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주기들이 대응되는 부품들 및 주기 내용들을 등록한다. 수신부(41)는 수신된 주기들에 관한 정보를 주기 정보(31)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어, 수신부(41)는 주기들의 배치의 지시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41)는 지정된 시점 위치의 화상 상에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주기의 배치의 지시를 수신한다.
주기 생성부(42)는 주기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주기 생성부(42)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지시에 따라, 주기와 주기에 대응하는 부품을 연결하는 인출선을 생성한다. 주기 생성부(42)는 주기 배치부(50), 특정부(determining unit; 51), 및 인출선 배치부(52)를 포함한다.
주기 배치부(50)는 화상 내에 주기들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주기 배치부(50)는 주기 정보(31)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품들의 주기 내용들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시점 화상에서 부품이 표시되는 경우, 주기 배치부(50)는 표시된 부품의 주기 내용들을 표시하는 박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주기는 부품 번호 등의 부품의 식별 정보가 원(circle) 등으로 표시되는 소위 벌룬(balloon)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기는 벌룬을 포함한다.
특정부(51)는 각종 특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특정부(51)는, 어셈블리 모델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부품을 3차원 CAD 공간의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본 경우에 표시되는 부품 오브젝트의 형상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부(51)는 CAD 데이터(30)에 기초하여 3차원 CAD 공간 내의 어셈블리 모델의 부품을 시점 방향으로 투영하여 획득한 투영 화상을 생성한다.
도 6은 투영 화상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2개의 부품들(61A 및 61B)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모델(61)을 예시한다. 특정부(51)는 시점 위치에 어셈블리 모델(61)에 대하여 수직인 투영면(62)을 가상적으로 배치하고, 시점 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부품의 영역을 투영면(62)에 투영시켜 획득한 투영 화상을 생성한다.
도 7은 투영 화상의 생성의 수순의 일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특정부(51)는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의 크기의 비트맵을 제공한다. 배경색은 흑색으로 설정된다(도 7a). 특정부(51)는 비트맵에 대상 부품을 투영하고 투영된 부분을 백색으로 한다(도 7b). 특정부(51)는 대상 부품보다도 시점 측에 더 가까운 다른 부품들을 흑색으로 투영한다(도 7c). 이 동작으로, 부품의 시점 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부분의 화소들은 백색으로 되고, 볼 수 없는 부분의 화소들은 흑색으로 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선들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투영 화상에 의해 특정되는 부품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정해진 위치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특정된 부품 오브젝트의 형상의 경계를 피한 위치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특정된 부품 오브젝트의 형상에서 가장 넓게 표시된 면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투영 화상으로부터, 부품을 중앙에 배치하고 해당 부품을 소정의 사이즈로 확대 또는 축소한 사각형의 부품 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256×256 픽셀들의 화상 내에서, 부품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더 큰 쪽의 사이즈가, 예를 들어, 화상의 80%의 사이즈로 되도록 부품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부품 화상을 생성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부품 화상을 소정의 제1 사이즈의 영역들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256×256 픽셀들의 부품 화상을 각각이 16×16 픽셀들의 사이즈를 갖는 분할 영역들로 분할한다. 도 8은 부품 화상의 분할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 256×256 픽셀들의 부품 화상(70)은 각각이 16×16 픽셀들의 사이즈를 갖는 256개의 분할 영역들(71)로 분할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부품에 의해 점유된 비율을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백색의 화소를 1점으로 하고 흑색의 화소를 0점으로 하여 평균점을 산출한다. 도 9는 평균점의 산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 분할 영역(71)에 대하여 백색의 화소를 1점으로 하고 흑색의 화소를 0점으로 한 경우 평균점은 "0.32"로 산출된다. 분할 영역에서는 평균점이 높을 수록 부품의 점유 면적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투영 화상의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하여 평균점을 나타내는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투영 화상(80) 및 투영 화상(80)의 분할 영역들의 평균점들을 분할 영역들의 전체 화소들의 화소값들로서 계조 표시하여 획득한 화상(81)이 표시되어 있다. 투영 화상(80)에서 백색이 큰 부분에서 분할 영역의 평균치가 더 높기 때문에, 화상(81)에서 분할 영역이 백색에 가깝게 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부품 화상에서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이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부품에 의해 점유되는 비율이 가장 높고 백색에 가까운 분할 영역이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이 아니라 복수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주변의 분할 영역들도 더하여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분할 영역의 평균점에 주변 분할 영역들의 평균점을 가산하여 스코어를 결정한다.
도 11은 가중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에서,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71)에 인접한(상하좌우) 분할 영역들(72)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71)의 비스듬히 인접한(좌상, 좌하, 우상, 우하) 분할 영역들(73)의 각각의 평균점들에 0.75를 승산한 값들을 각각 가산한다. 도 11의 가중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들의 스코어들을 서로 비교한다.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1개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한편,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주변 영역들의 주변 영역들도 더하여 인출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분할 영역의 평균점에, 주변 영역들의 주변 분할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함으로써 스코어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영역들에 인접한(상하좌우) 분할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이 그대로 가산된다. 주변 영역들에 비스듬히 인접하는 분할 영역들의 평균점들이 가중하여 가산될 수 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로 될 때까지 주변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는 것을 반복하고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이러한 주변 영역들도 더해진 비교에 의해, 가장 백색이고 주변 영역이 백색인 분할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분할 영역을 더 분할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분할 영역을 소정의 제2 사이즈의 영역들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16×16 픽셀들의 분할 영역을 각각이 4×4 픽셀들의 사이즈를 갖는 구분 영역들로 분할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구분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백색 화소를 1 점으로 하고 흑색 화소를 0점으로 하여 평균점을 산출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분할 영역에서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개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 개만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 내로부터 인출선의 인출 화소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선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의 화소들을 좌상으로부터 탐색하고, 최초로 등장한 흑색이 아닌 화소를 인출 화소로 한다. 이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부품이 점유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구분 영역 백색의 화소가 인출 화소로 특정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들이 1 개만이 아니라, 복수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주변 영역도 더하여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구분 영역의 평균점에 주변 구분 영역들의 평균치를 가중하여 가산함으로써 스코어를 구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에 인접하는(상하좌우)의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에 비스듬히 인접한(좌상, 좌하, 우상, 우하)의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에 0.75를 승산하여 획득한 각각의 값들을 가산한다. 가중은 일 예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는 가중의 결과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예는 16 개의 구분 영역들(90)로 분할된 분할 영역(71) 및 분할 영역(71) 주위의 구분 영역들(91)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구분 영역(90A)이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인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구분 영역(90A)의 평균점에 구분 영역(90A)의 주변의 구분 영역들(90B 내지 90D 및 91A 내지 91E)의 각각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함으로써 스코어를 구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일수록 백색에 가까운 것으로 예시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들의 스코어들을 서로 비교한다.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개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한편,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주변 영역들의 주변 영역들도 더하여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구분 영역의 평균점에 주변 영역들의 주변 구분 영역들의 평균치를 가중하여 가산함으로써 스코어를 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영역들에 인접한(상하좌우)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이 그대로 가산된다. 주변 영역들에 비스듬히 인접한 구분 영역들의 평균점들은 가중하여 가산할 수 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이 오직 하나만 존재할 때까지 주변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는 것을 반복하고,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 주변 영역들도 더해진 이러한 비교에 의해 분할 영역 내에서 가장 백색이고 또한 주변 영역들이 더 백색인 구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구분 영역 내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인출선의 인출 화소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소정의 검색 규칙에 따라 구분 영역을 검색하고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 중 최초로 등장하는 흑색이 아닌 화소를 인출 화소로 한다.
도 13은 검색 규칙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구분 영역 내의 화소들을 검색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들을 예시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구분 영역 내의 화소들의 각각의 횡방향 라인들이 좌에서 우로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검색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에서, 구분 영역 내에서 가장 좌상측에 존재하는 화소가 인출 화소로 특정된다. 도 13의 검색 순서는 일 예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3차원 CAD 공간에서 부품 화상 내의 인출 화소에 대응하는 부품 상의 위치의 좌표들을 특정한다.
도 14는 인출 화소에 대응하는 부품 상의 위치의 좌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3차원 CAD 공간에서 투영면(62)의 인출 화소의 위치로부터의 투영면(62)에 대하여 수직인 벡터가 부품(61A)과 교차하는 교점의 좌표를 구하고, 교점의 좌표를 인출 위치의 좌표로 특정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인출 위치의 좌표를 인출선 위치 정보(32)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3차원 CAD 공간에서의 인출 위치의 좌표를 기억시키는 것에 의하여, 시점이 다소 이동해도, 인출 위치의 좌표에 따라 인출선의 일 단을 배치함으로써 부품과의 대응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선 위치 정보(32)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부품과 주기를 대응시키는 인출선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부품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인출선의 타방의 단을 해당 정보에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수신된 시점의 화상에서 부품이 표시되는 경우, 표시된 부품과 해당 부품의 주기를 대응시키는 인출선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표시된 부품의 인출 위치의 좌표를 인출선 위치 정보(32)로부터 판독하고, 3차원 CAD 공간의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본 경우의 인출선의 인출 위치를 구하고,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표시되는 부품에 일방의 단을 배치한 인출선의 타방의 단을 해당 부품의 주기에 배치하고 주기에 대응시킨다.
부품들의 주기들 및 인출선들을 배치한 일 예가 예시될 것이다. 도 1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부품들의 주기들과 인출선들을 배치한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의 예에서는, 주기들로서 부품들을 나타내는 번호 "1" 내지 "4"의 벌룬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벌룬과 대응하는 부품 간을 연결하는 인출선들이 배치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부품 측의 인출선의 단을 부품의 중심 위치로부터 인출하고 있다. 도 15에서, 인출선에 의해 표시되는 부품과의 대응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 "1"의 인출선(101)은 부품(111)에 대응되고 있지만, 부품(112)과 대응되는 것처럼 보인다. 번호 "3"의 인출선(103)은 부품(113)에 대응되고 있지만, 부품(112)과 대응되는 것처럼 보인다. 번호 "4"의 인출선(104)은 부품(114)에 대응되지만, 부품(112)에 대응되는 것처럼 보인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해 부품들의 주기들 및 인출선들을 배치한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예에서도, 주기들로서 부품들을 나타내는 번호 "1" 내지 "4"의 벌룬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벌룬과 대응하는 부품 간을 연결하는 인출선이 배치되어 있다. 도 16의 예에서는, 인출선에 의해 나타내는 부품과의 대응이 이해하기 쉽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번호 "1"의 인출선(101)은 부품(111)에 대응된다. 번호 "3"의 인출선(103)은 부품(113)에 대응된다. 번호 "4"의 인출선(104)은 부품(114)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부품과의 대응이 쉽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가 인출선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하는 각종 처리의 수순들이 설명될 것이다. 최초로,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가 부품 오브젝트의 형상을 특정하는 형상 특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7은 형상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부(51)는 화상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의 크기의 흑색의 배경색을 갖는 비트맵을 준비한다(S10). 특정부(51)는 인출선이 배치되는 대상의 부품만 표시하고 다른 부품들은 표시하지 않는다(S11). 특정부(51)는 비트맵에 대상의 부품을 투영하고 투영된 부분을 백색으로 한다(S12). 특정부(51)는 대상의 부품보다도 시점에 더 가까운 다른 부품들을 흑색으로 투영하고(S13),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가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되는 분할 영역을 특정하는 분할 영역 특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8은 분할 영역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 배치부(52)는 부품 화상을 제1 사이즈의 영역들로 분할한다(S20).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256×256 픽셀들의 부품 화상을 각각이 16×16 픽셀들의 사이즈를 갖는 분할 영역들로 분할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백색의 화소를 1점으로 하고 백색의 화소를 0점으로 하여 평균점을 산출한다(S21). 인출선 배치부(52)는 부품 화상에서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 한 개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2).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S22에서 부정의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후술하는 주변 분할 영역 가중 처리를 수행하고(S23), 후술하는 S24로 이행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1개만 존재하는 경우(S22에서 긍정의 경우), 후술하는 S24로 이행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 또는 스코어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하고(S24),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장치(10)가 주변의 분할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는 주변 분할 영역 가중 처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9는 주변 분할 영역 가중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분할 영역의 평균점에 주변 분할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여 스코어를 구한다(S30).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71)에 인접한 분할 영역들(72)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71)에 비스듬히 인접한 분할 영역들(73)의 각각의 평균점들에 0.75를 승산하여 획득한 각각의 값들을 가산한다.
스코어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1). 스코어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S31에서 부정의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그 주변의 분할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고(S32), 처리는 S31로 이행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스코어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에 대하여 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방향의 분할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분할 영역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S31에서 긍정의 경우), 본 처리를 종료하고, S24로 이행한다.
다음,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가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되는 구분 영역을 특정하는 구분 영역 특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구분 영역 특정 처리의 수순의 일 예를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분할 영역을 제2 사이즈의 영역들로 분할한다(S40).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16×16 픽셀들의 분할 영역을 각각이 4×4 픽셀들의 사이즈를 갖는 분할 영역들로 분할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구분 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백색의 화소를 1점으로 하고 흑색의 화소를 0점으로 하여, 평균점을 산출한다(S41).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분할 영역에서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 개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2).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 개만 존재하는 경우(S42에서 긍정의 경우), 처리는 후술하는 S46으로 이행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S42에서 부정의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주변 영역들도 더하여 인출 영역으로 특정한다(S43).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에 인접한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에 비스듬히 인접한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에 0.75를 승산하여 획득한 각각의 값들을 가산한다.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 개만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4).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S44에서 부정의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영역들의 각각에 대하여 그 주변의 구분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중하여 가산하고(S45), 처리는 S44로 이행한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스코어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에 대하여, 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구분 영역들의 각각의 평균점들을 그대로 가산한다.
한편, 평균치가 가장 높은 구분 영역이 1 개만 존재하는 경우(S44에서 긍정의 경우), 처리는 후술하는 S46으로 이행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 영역으로 특정된 구분 영역 내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인출선의 인출 화소를 특정한다(S46).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소정의 검색 규칙에 따라 구분 영역을 검색하고, 가장 스코어가 높은 구분 영역 중 최초로 등장한 흑색이 아닌 화소를 인출 화소로 한다.
인출선 배치부(52)는 3차원 CAD 공간에서, 부품 화상 내의 인출 화소에 대응하는 부품 상의 위치의 좌표들을 특정하고, 인출 위치의 좌표들을 인출선 위치 정보(32)에 기억시킨다(S47).
인출선 배치부(52)는, 인출선 위치 정보(32)에 기초하여, 각각의 부품에 대하여 부품과 주기를 대응시키는 인출선을 배치하고(S48),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오브젝트가 배치된 3차원 CAD 공간을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표시하는 경우에, 해당 시점으로부터 본 경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특정한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형상으로부터 정해진 위치에 인출선의 일방의 단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인출선의 타방의 단은 다른 부품들 뒤에 숨겨지지 않으며,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부품과의 대응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형상의 경계를 피한 위치에 인출선의 타방의 단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인출선의 타방의 단은 경계에 배치되지 않고 부품 상에 배치되며,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부품과의 대응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특정된 오브젝트의 형상에서 가장 넓게 표시되는 면에 인출선의 타방의 단을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인출선의 타방의 단은 부품의 형상에서 가장 넓게 표시되는 면에 인출선의 타방의 단이 배치되므로,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인출선에 의해 나타내는 부품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오브젝트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인출선의 타방의 단을 해당 정보에 대응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10)는 인출선에 의해 오브젝트와 해당 오브젝트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b] 제2 실시예
지금까지 개시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개시의 기술은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각종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 또는 구분 영역이 특정될 때까지 주변 영역들의 평균치들을 가산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개시의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들의 평균치들의 가산이 소정 회수 반복되어도 가장 스코어가 높은 분할 영역 또는 구분 영역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인출선 배치부(52)는 소정의 검색 규칙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고 가장 스코어가 높은 최초의 분할 영역 또는 구분 영역을 인출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출선 배치부(52)는 분할 영역 또는 구분 영역의 각각의 횡방향 라인들을 좌에서 우로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검색하고 가장 좌상측에 존재하는 분할 영역 또는 구분 영역을 인출선의 인출 영역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시된 각 장치들의 각 구성요소들은 기능 개념적인 것이고 반드시 물리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각 장치의 분산 및 통합의 구체적인 상태들은 예시된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각종 부하, 사용상황 등에 따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 또는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하는 표시 제어부(40), 수신부(41), 주기 생성부(42), 주기 배치부(50), 특정부(51), 및 인출선 배치부(52)의 각각의 처리부들은 적절히 통합 또는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처리부들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처리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CPU 및 CPU에 의해 해석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거나 와이어드 로직(wired logic)에 의한 하드웨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의 처리는 미리 준비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 및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300)는 CPU(310), ROM(read only memory; 320), HDD(hard disk drive; 33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340)를 포함한다. 이 유닛들(310 내지 340)은 버스(4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ROM(320)에는 상기 실시예의 각각의 처리부와 유사한 기능들을 발휘하는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이 미리 기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표시 제어부(40), 수신부(41), 주기 생성부(42), 주기 배치부(50), 특정부(51), 인출선 배치부(52)와 유사한 기능들을 발휘하는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이 기억된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은 적절히 분산될 수 있다.
HDD(330)에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예를 들어, HDD(330)에는 OS 및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CPU(310)는 ROM(320)으로부터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시예의 각각의 처리부들과 유사한 동작들을 실행한다. 즉,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은 실시예의 표시 제어부(40), 수신부(41), 주기 생성부(42), 주기 배치부(50), 특정부(51), 인출선 배치부(52)와 유사한 동작들을 실행한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은 미리 ROM(320)에 기억될 필요는 없다.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프로그램(320a)은 HDD(330)에 기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300)에 삽입되는 FD(flexible disk),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등의 "휴대형 물리 매체"에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컴퓨터(300)는 이들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중회선, 인터넷, LAN, WAN 등을 통하여 컴퓨터(300)에 접속되는 "다른 컴퓨터(또는 서버)"에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컴퓨터(300)는 상기 다른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품과의 대응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인출선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형상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형상은 표시부 상에 표시되고 지정된 시점(viewpoint)으로부터 보여지며, 상기 오브젝트는 복수의 부품 오브젝트들에 의해 구성되고 3차원 CAD(Computer Aided Design)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형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부품 오브젝트를 상기 시점이 존재하는 평면 상에 수직으로 투영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제1 투영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CAD 공간 내에서 상기 부품 오브젝트보다 상기 평면에 더 가까이 존재하는 다른 부품 오브젝트의 제2 투영 화상을 상기 평면 상에 생성하는 단계, 및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투영 화상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1 투영 화상인 화상을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으로서 생성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획득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획득된 형상 내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영역 내에 인출선의 일단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획득된 형상 내에 포함된 부품 오브젝트들의 경계를 피한 위치에 상기 인출선의 일단을 배치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획득된 형상 내에 포함된 부품 오브젝트 내의 가장 넓게 표시되는 면에 상기 인출선의 일단을 배치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상기 부품 오브젝트에 대하여 정보가 표시될 때, 상기 인출선의 타단을 상기 정보에 대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5.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형상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형상은 표시부 상에 표시되고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보여지며, 상기 오브젝트는 복수의 부품 오브젝트들에 의해 구성되고 3차원 CAD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형상 획득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부품 오브젝트를 상기 시점이 존재하는 평면 상에 수직으로 투영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제1 투영 화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차원 CAD 공간 내에서 상기 부품 오브젝트보다 상기 평면에 더 가까이 존재하는 다른 부품 오브젝트의 제2 투영 화상을 상기 평면 상에 생성하는 단계, 및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투영 화상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1 투영 화상인 화상을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으로서 생성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획득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획득된 형상 내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영역 내에 인출선의 일단을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인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6.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
    3차원 CAD 공간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부품 오브젝트들에 의해 구성되는 오브젝트를 표시부 상에 표시하기 위해 시점의 위치의 지정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 상기 형상은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고 상기 지정된 시점으로부터 보여짐 - 을 획득하는 특정부(determining unit)로서,
    상기 오브젝트의 부품 오브젝트를 상기 시점이 존재하는 평면 상에 수직으로 투영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제1 투영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3차원 CAD 공간 내에서 상기 부품 오브젝트보다 상기 평면에 더 가까이 존재하는 다른 부품 오브젝트의 제2 투영 화상을 상기 평면 상에 생성하고,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일부가 상기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투영 화상의 일부와 중첩되는 상기 제1 투영 화상인 화상을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으로서 생성함으로써 상기 형상을 획득하는 상기 특정부; 및
    상기 오브젝트의 획득된 형상 내에 포함되는 상기 부품 오브젝트의 영역 내에 인출선의 일단을 배치하는 배치부
    를 포함하는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KR1020150154973A 2014-11-11 2015-11-05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KR101707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8973 2014-11-11
JP2014228973A JP6467879B2 (ja) 2014-11-11 2014-11-11 引出線配置位置決定プログラム、引出線配置位置決定方法および引出線配置位置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280A KR20160056280A (ko) 2016-05-19
KR101707752B1 true KR101707752B1 (ko) 2017-02-16

Family

ID=5436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973A KR101707752B1 (ko) 2014-11-11 2015-11-05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89795B2 (ko)
EP (1) EP3021241A1 (ko)
JP (1) JP6467879B2 (ko)
KR (1) KR101707752B1 (ko)
CN (1) CN105608246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083A (ja) * 2001-02-20 2002-11-0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3330970A (ja) 2002-05-10 2003-11-2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9176248A (ja) * 2008-01-28 2009-08-0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54712A (ja) 2001-02-20 2011-08-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4367A (ja) 1989-04-05 1990-10-29 Toshiba Corp 組立図における部品番号作成方法
JPH0683881A (ja) 1992-05-14 1994-03-25 Sanyo Electric Co Ltd 組立図における部品番号の付与方法
WO2000055815A1 (fr) * 1999-03-17 2000-09-21 Fujitsu Limited Systeme de cao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2324085A (ja) 2001-02-20 2002-11-0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4845289B2 (ja) 2001-02-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30210244A1 (en) * 2002-05-10 2003-11-1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6917360B2 (en) * 2002-06-21 2005-07-1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labeling multi-dimensional images
JP2005267280A (ja) * 2004-03-18 2005-09-29 Ricoh Co Ltd 3次元形状処理装置、3次元形状処理方法および媒体
JP5035066B2 (ja) * 2008-03-27 2012-09-26 富士通株式会社 表示位置決定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表示位置決定装置および表示位置決定方法
IT1391595B1 (it) * 2008-10-30 2012-01-11 Caleffi Spa Dispositivo valvolare antigelo per impianti idraulici e/o di accumulo di acqua
JP2012043032A (ja) * 2010-08-13 2012-03-01 Fujitsu Ltd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および設計支援プログラム
US8670957B2 (en) * 2011-06-08 2014-03-11 Dassault Systemes Automatic positioning of secondary obje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083A (ja) * 2001-02-20 2002-11-0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11154712A (ja) 2001-02-20 2011-08-1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330970A (ja) 2002-05-10 2003-11-2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9176248A (ja) * 2008-01-28 2009-08-0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1503A (ja) 2016-05-23
US20160133059A1 (en) 2016-05-12
CN105608246A (zh) 2016-05-25
KR20160056280A (ko) 2016-05-19
US10089795B2 (en) 2018-10-02
CN105608246B (zh) 2019-05-17
JP6467879B2 (ja) 2019-02-13
EP3021241A1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5912B2 (ja) 画像内の文字領域を認識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538435B2 (ja) 画像特徴抽出方法及びシステム
JP5062884B2 (ja) 画像検索装置、画像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6262789B2 (en) 3d modeling by tracing 2d image ui
US11043027B2 (en) Three-dimensional graphics image processing
EP3252628A1 (en) Selection control method, selection control device, and selection control program
JP2012194910A (ja) メッシュ数予測方法、解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403040B2 (en) Vector graphics rendering techniques
JP2015184061A (ja) 抽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492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execute an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90110297A1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difference emphasizing program, difference emphasizing method, and difference emphasizing apparatus
JP5560925B2 (ja) 3次元形状検索装置、3次元形状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07752B1 (ko)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인출선 배치 위치 결정 장치
CN110226183B (zh) 信息提示装置、信息提示方法及程序
CN110853122A (zh) 动画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6696149B2 (ja) 画像生成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150808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250640A (ja) 図形処理装置
US201700980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825173B2 (ja) 輪郭特定装置、輪郭特定方法および輪郭特定プログラム
JP20131966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0738097B1 (ko) 3차원 디스플레이를 위한 쿼리의 효율적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401183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CN113987650A (zh) 梁模型的生成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2010003191A (ja) 形状解析装置、形状解析方法、および、形状解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