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382B1 -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382B1
KR101707382B1 KR1020160097276A KR20160097276A KR101707382B1 KR 101707382 B1 KR101707382 B1 KR 101707382B1 KR 1020160097276 A KR1020160097276 A KR 1020160097276A KR 20160097276 A KR20160097276 A KR 20160097276A KR 101707382 B1 KR101707382 B1 KR 10170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unit
notification
imag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형
Original Assignee
윤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형 filed Critical 윤수형
Priority to KR102016009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은,
촬영영역의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CCTV;
상기 CCTV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감지부를 포함하는 영상점검모듈; 및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개인단말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오류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알림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CCTV Malfunction}
본 발명은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CCTV의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CCTV 사용 중 발생하는 상황 등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CCTV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할수록 안전에 대한 욕구가 커짐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대형 건물에서부터 소형 건물에까지 보안 및 시설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력의 충원, 구비되는 시설의 증대 등 보안 및 시설 관리를 위한 비용 지출이 늘어가고 있다.
보안과 관련한 사업은 매년 대략 10%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보안산업 중 CCTV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영상보안 산업은 미래 보안산업에서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테면 CCTV의 저장방식이 과거 비디오테이프 저장방식(VCR:Video Cassette Recorder)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2000년 이후 디지털 영상저장장치(DVR:Digital Video Recorder)로 대체되면서 디지털 영상을 이동형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영상감시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시장조사 업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보안 분야는 2,545만 달러 규모의 시장이었으며, 향후 5년 내에 3,065만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체 국내 보안 분야 중 인력과 영상을 동시에 이용하여 감시를 진행하는 통합 경비 시장 분야는 현재 441만 달러 규모이며, 향후 5년 내에 914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영상감시 시장은 아직까지 아날로그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관련 시장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고 있고, 관공서와 회사 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지능형 스마트 제품이나 통합 관리를 선호하고 있어 지속적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이와 같은 CCTV의 관리에 있어서,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감시카메라의 원격 제어를 위해 중앙관제센터에서 각 위치에 설치된 감시카메라를 원격 제어하고, 해당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중앙관제센터에서 전송받아 감시 및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CCTV 관리 시스템은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CCTV 장비의 이상 유무 상태에 대해서 중앙관제센터에서 알 수가 없으며, CCTV 장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CTV가 설치된 장소에 직접 가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CCTV 시스템 관리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7-0080965호에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으로서, 유비쿼터스 도시 내의 각종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 정의된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정보수집 및 관리부를 구비한다. 정보수집 및 관리부는 수집되는 정보들에 대한 임계치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치를 넘어서는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수집하고, 개별 관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보 수집을 위한 각 외부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외부 컴포넌트들로부터 제공받는 정보의 연속성 및 그 출력 값이 규정된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외부 컴포넌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원격에서 정보수집 및 관리부는 외부 컴포넌트들로부터 제공받는 정보가 끊김 없이 수신되는지 여부 및 그 출력 값이 규정된 정상범위 내에 속해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여 해당 외부 컴포넌트들에 대한 장애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장애발생 시 이력 정보(발생일시, 위치, 기기명, 기기의 관제 범위/역할, 장애 내용 등)를 컴포넌트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고, 장애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운영자 또는 통합 관제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보해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원격에서 CCTV 장비의 장애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나, CCTV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알림설정이 불가능하며, 설치된 CCTV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장애가 있는 CCTV와 함께 정상 작동하고 있는 CCTV에 대한 정상상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CCTV의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CCTV 사용 중 발생하는 상황 등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CCTV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CCTV의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CCTV 사용 중 발생하는 상황 등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CCTV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오류가 발생한 CCTV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보유한 개인단말을 통해 음성안내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류가 발생한 CCTV에 접근함에 따라 개인단말에서의 알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장감을 조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은, 촬영영역의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CCTV; 상기 CCTV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감지부를 포함하는 영상점검모듈; 및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개인단말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오류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알림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점검모듈은, 상기 CCTV와 연결된 저장매체의 현재저장량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용량확인파트 및,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CCTV 사이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접속 여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접속확인파트로 구성되는 저장매체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생성 여부에 따라 상기 개인단말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정상녹화상태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CCTV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오류상태알림부는, 각각의 상기 CCTV마다 각기 다른 상기 사운드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알림모듈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사운드알림을 저장한 사운드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각각의 상기 CCTV마다 지정된 상기 사운드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CCTV는, 일 측에 구비된 비콘을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오작동 알림 시스템은, 상기 개인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파악부와,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 및,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에 구비된 상기 비콘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생성모듈; 및, 상기 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안내지도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경로안내부를 포함하는 경로안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경로생성모듈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안내방향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모듈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개인단말로 출력하는 방향안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오작동 알림 시스템은, 상기 개인단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상기 개인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합성부 및, 상기 사용자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영역반경 내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에 구비된 상기 비콘의 비콘위치정보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비콘위치합성부와, 상기 촬영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비콘위치정보를 합성한 합성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합성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증강영상안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 2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안내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와 상기 비콘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기준거리정보와 비교 처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조절하는 알림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알림크기조절부는, 상기 개인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와, 상기 사운드알림을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은, 상기 촬영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경로안내유닛을 생성하는 유닛생성파트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경로안내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의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방향안내파트 및, 상기 촬영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파트를 포함하는 유닛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은,
1) CCTV와, CCTV의 오류를 감지하는 영상점검모듈 및, 오류를 청각적 수단으로 알림하는 알림모듈로 구성된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CCTV의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CCTV 사용 중 발생하는 상황 등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CCTV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며,
2) 경로생성모듈 및 경로안내모듈, 증강영상안내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오류가 발생한 CCTV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보유한 개인단말을 통해 음성안내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안내를 제공하고,
3) CCTV 각각에 비콘을 구비하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개인단말이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한 CCTV에 구비된 비콘에 접근함에 따라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류가 발생한 CCTV에 접근함에 따라 개인단말에서의 알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음장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인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경로안내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유닛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CCTV(10) 및, CCTV(10)를 통해 주변 영역을 감시 및 관리하며, CCTV(10)에 대한 오류를 관리하는 사용자(1)와, CCTV(10)에 대한 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관리서버(20)로 구성된다.
CCTV(10)에 대한 오류 발생 시 중앙관리서버(20)는 CCTV(10)의 오류를 판단하여 사용자(1)에게 오류 여부를 알리게 되며, 이 때 사용자(1)는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휴대 가능한 개인단말(2)을 통해 중앙관리서버(20)로부터 전송된 CCTV(10) 오류 관련 사항을 보다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어 CCTV(10)에 대한 오류 발생 여부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어 CCTV(10)에 대한 개별 점검 없이도 보다 간편하게 CCTV(10)의 오류 여부를 체크 할 수 있어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개인단말(2)은 중앙관리서버(20)로부터 CCTV(10) 오류 정보를 수신할 시 사용자(1)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알림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 청각적 알림 신호, 즉 사운드알림을 통해 사용자(1)가 개인단말(2)을 응시하고 있지 않은 순간에도 CCTV(10) 고장 또는 오류와 같은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1)로 하여금 이러한 상황에 대해 보다 빠르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은, 촬영영역의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CCTV(10)와, 상기 CCTV(10)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감지부(110)를 포함하는 영상점검모듈(100) 및,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오류상태알림부(210)를 포함하는 알림모듈(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CCTV(10)(Closed-Circuit Television, 감시카메라)는 촬영영역의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촬영영역이라 함은 주차장, 아파트, 오피스텔, 상업 시설 등 CCTV(10)를 이용한 감시나 관리가 필요한 모든 영역을 일컫는 단어로서 사용된다.
이 때 CCTV(10)의 경우 기계적 고장 등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CCTV(10)의 오류를 영상점검모듈(100)에 포함된 오류감지부(110)가 감지하게 된다.
영상점검모듈(100)은 상기 CCTV(10)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감지부(110)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중앙관리서버(20)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가 된다. 이와 같이 영상점검모듈(100)의 오류감지부(110)를 통해 생성된 오류감지정보는 알림모듈(200)을 통해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1)에게 전달된다.
이 때 개인단말(2)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PC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1)의 이용 편의성을 보다 부가시키기 위해 휴대 가능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개인단말(2)로 간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알림모듈(200)에 포함된 오류상태알림부(210)는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운드알림이라 함은 청각적인 수단을 통해 사용자(1)에게 CCTV(10)의 오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으로써, 예를 들어 “CCTV(10) 고장입니다”등의 멘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사운드알림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경고음을 송출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1)가 CCTV(10)에 대한 오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끔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영상점검모듈(100)은, 상기 CCTV(10)와 연결된 저장매체의 현재저장량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용량확인파트(121) 및,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CCTV(10) 사이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접속 여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접속확인파트(122)로 구성되는 저장매체확인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모듈(200)은,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생성 여부에 따라 상기 개인단말(2)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정상녹화상태알림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점검모듈(100)은 기본적으로 상기 CCTV(10)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오류감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여기에 상기 CCTV(10)와 연결된 저장매체의 현재저장량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용량확인파트(121) 및,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CCTV(10) 사이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접속 여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접속확인파트(122)로 구성되는 저장매체확인부(120)를 더 포함하여 CCTV(10)의 오류 뿐 아니라 저장매체의 용량 과다 또는 저장매체와 CCTV(10) 사이의 접속 불량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시 알림모듈(200)에 포함된 오류상태알림부(210)는 접속확인파트(122)에 의한 오류감지정보 생성에 따라“접속 불량입니다”와 같은 사운드알림을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에 출력할 수 있으며, 저장매체확인부(120)에 의한 오류감지정보 생성에 따라 “저장매체에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은 사운드알림을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에 출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알림모듈(200)은,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생성 여부에 따라 상기 개인단말(2)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정상녹화상태알림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즉 CCTV(10)의 정상 동작 상황에서는 정상녹화상태알림부(220)를 통해 “정상적으로 녹화되고 있습니다”등의 사운드알림을 개인단말(2)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CCTV(10)는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알림모듈(200)에 포함되는 오류상태알림부(210)는, 각각의 상기 CCTV(10)마다 각기 다른 상기 사운드알림을 출력하게 된다.
이는 정확히 어느 CCTV(10)에서 오류가 일어났는지에 대한 여부를 사용자(1)에게 보다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운드알림에 차이를 두어 사용자(1)로 하여금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상녹화상태알림부(220)의 경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되지 않았을 시, 다시 말해 모든 CCTV(10)에 이상이 없을 경우에 출력되는 것이므로, 각각의 CCTV(10)를 구분하여 알림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나, 오류상태알림부(210)의 경우 CCTV(10) 개별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알림모듈(200)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사운드알림을 저장한 사운드데이터베이스(300) 중에서 각각의 상기 CCTV(10)마다 지정된 상기 사운드알림을 출력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각각의 CCTV(10)에 지정된 사운드알림이 각각 주파수의 차등을 두고 있어 사용자(1)로 하여금 각각의 CCTV(10)에 대한 사운드알림을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에 대해 사용자(1)가 수리 등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CCTV(10)는, 일 측에 구비된 비콘(11)을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오작동 알림 시스템은, 상기 개인단말(2)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1)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파악부(410)와,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1)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420) 및,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10)에 구비된 상기 비콘(11)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430)를 포함하는 경로생성모듈(400) 및, 상기 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안내지도를 상기 개인단말(2)로 전송하는 경로안내부(510)를 포함하는 경로안내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생성모듈(400)은 메인관리서버가 그 수행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인단말(2)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파악부(410)와,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420) 및, 상기 사용자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10)에 구비된 상기 비콘(11)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치파악부(410) 및 지도수신부(420), 경로생성부(430)를 포함하는 메인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1)의 현재 위치인 사용자위치정보 및, 사용자위치정보로부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에 구비된 비콘(11)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이동경로는 상기 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안내지도를 상기 개인단말(2)로 전송하는 경로안내부(510)를 포함하는 경로안내모듈(500)을 통해 사용자(1)의 개인단말(2)로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1)는 개인단말(2)을 통해 사용자(1) 본인의 현재 위치로부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까지의 이동경로가 지도에 합성되어 있는 안내지도를 제공받을 수 있어, 안내지도를 통해 보다 편하게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에 대한 보수 또는 교체, 관리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경로생성모듈(400)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안내방향생성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모듈(500)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개인단말(2)로 출력하는 방향안내출력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생성모듈(400)에 포함된 안내방향생성부(440) 및 경로안내모듈(500)에 포함된 방향안내출력부(520)를 통해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를 사용자(1)가 찾아갈 때에,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도 개인단말(2)을 통해 방향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를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CCTV(10) 관리를 수행하는 담당자가 변경되어 개별 CCTV(10)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경우에도, 개인단말(2)을 통해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에 대한 길안내를 제공할 수 있어 촬영영역이 넓거나 그 구조가 복잡할 경우, 또는 CCTV(10)의 개수가 매우 많은 경우에도 보다 원활히 CCTV(10)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최근 기술발전을 통해 개발된 것으로서, 실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1)에게 이동경로 등을 안내할 수 있는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1)에게 보다 실감나는 안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오작동 알림 시스템은, 상기 개인단말(2)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상기 개인단말(2)의 디스플레이(700)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610)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합성부(620) 및, 상기 사용자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영역반경 내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10)에 구비된 상기 비콘(11)의 비콘위치정보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비콘위치합성부(630)와, 상기 촬영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비콘위치정보를 합성한 합성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700)에 출력하는 합성영상표시부(640)를 포함하는 증강영상안내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강영상안내모듈(600)에 포함된 영상표시부(610)는 촬영영역을 개인단말(2)로 카메라로 촬영한 촬영영상을 상기 개인단말(2)에 디스플레이(700)에 그대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실제의 영상을 그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합성부(620)를 더 포함하여,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제의 영상에 가상의 안내가 추가되는 것이며, 따라서 사용자(1)는 보다 익숙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비콘위치합성부(630)는 사용자(1)의 현재 위치인 사용자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영역반경 내에 위치한 상기 비콘(11)의 비콘위치정보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1)는 현재 본인의 위치에서 일정 영역반경 내에 위치한 비콘(11)의 위치가 표시된 증강현실 안내를 받아볼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촬영영상에 이동경로 및 비콘위치정보가 합성된 합성영상은 합성영상표시부(640)를 통해 사용자(1)가 소지한 개인단말(2)의 디스플레이(700)에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인단말(2)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경로안내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증강영상안내모듈(600)을 통한 위치안내 시, 상기 디스플레이(700)는, 제 1 영역(710)과, 상기 제 1 영역(71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 2 영역(720)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서, 제 2 영역(720) 안에 제 1 영역(710)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제 1 영역(710)의 경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700)의 4분의 1 가량의 크기를 차지하게끔 하는 것이 미관상 아름다우나 사용자(1)의 니즈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분할된 디스플레이(700)를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600)은, 상기 제 1 영역(710)에 상기 안내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역(720)에 상기 합성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 1 영역(710)에는 안내지도가 표시되므로, ‘지도’라는 특성 상 축척을 줄여 표시하더라도 사용자(1)가 이를 확인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촬영영상에 이동경로 및 비콘위치정보가 합성된 합성영상이 제공되는 제 2 영역(720)은 작은 화면에 나타날 경우 그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안내지도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제 1 영역(710)에, 합성영상은 비교적 크기가 큰 2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필요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증강현실 위치안내를 통해 경로를 안내받는 사용자(1)가 비콘(11)에 접근할 경우 제공되는 사운드알림의 볼륨을 보다 키움으로써 음장감을 겸비하게 하는 것 역시 가능한데, 이를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알림모듈(200)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와 상기 비콘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기준거리정보와 비교 처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조절하는 알림크기조절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알림크기조절부(230)는, 상기 개인단말(2)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231)와, 상기 사운드알림을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2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음장감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1)가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한 CCTV(10)에 구비된 비콘(11)에 근접함에 따라, 알림모듈(200)에 구비된 알림크기조절부(230)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와 상기 비콘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기준거리정보와 비교 처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한 CCTV(10)에 구비된 비콘(11)에 근접할수록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보다 증폭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1)가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사운드알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알림크기조절부(230)는, 상기 개인단말(2)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231)와, 상기 사운드알림을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보통의 사람은 40dB에서 120dB 사이의 소리 크기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소리 크기 중 주변 환경에서 발생중인 소음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사운드알림을 출력하여, 소음과는 관계없이 사용자(1)가 사운드알림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경로안내유닛(730)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3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600)은, 상기 촬영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경로안내유닛(730)을 생성하는 유닛생성파트(651)와, 상기 사용자(1)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경로안내유닛(730)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의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방향안내파트(652) 및, 상기 촬영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파트(653)를 포함하는 유닛경로안내부(650)(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경로안내유닛(730)은 일종의 아바타로서,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에서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CCTV(10)에 구비된 비콘(11)의 위치를 사용자(1)에게 안내할 가상의 캐릭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안내유닛(730)은 해당 촬영영역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캐릭터를 활용하거나 안내원 복장을 한 캐릭터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동물이나 물건 등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즉, 경로안내유닛(730)은 디스플레이(700)에 표시되는 촬영영상 또는 합성영상에 합성되어 표시되는 것으로서, 특징분석파트(653)에서는 촬영영상을 인식하여 특정 영역(예를 들면 특정 기둥의 뒤편이나 다른 사용자(1)의 뒤편)으로 이동할 수 있어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캐릭터처럼 구성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사용자 2 : 개인단말
10 : CCTV 11 : 비콘
20 : 중앙관리서버 100 : 영상점검모듈
110 : 오류감지부 120 : 저장매체확인부
121 : 용량확인파트 122 : 접속확인파트
200 : 알림모듈 210 : 오류상태알림부
220 : 정상녹화상태알림부 230 : 알림크기조절부
231 : 소음측정파트 232 : 사운드변조파트
300 : 사운드데이터베이스 400 : 경로생성모듈
410 : 위치파악부 420 : 지도수신부
430 : 경로생성부 440 : 안내방향생성부
500 : 경로안내모듈 510 : 경로안내부
520 : 방향안내출력부 600 : 증강영상안내모듈
610 : 영상표시부 620 : 이동경로합성부
630 : 비콘위치합성부 640 : 합성영상표시부
650 : 유닛경로안내부 651 : 유닛생성파트
652 : 방향안내파트 653 : 특징분석파트
700 : 디스플레이 710 : 제 1 영역
720 : 제 2 영역 730 : 경로안내유닛

Claims (11)

  1.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촬영영역의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비콘을 포함한 복수 개의 CCTV;
    상기 CCTV의 오류를 감지하여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CCTV와 연결된 저장매체의 현재 저장량을 확인하고 기설정된 기준용량과 비교하여 비교값의 고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용량확인파트 및, 상기 저장매체와 상기 CCTV 사이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접속 여부에 따라 오류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접속확인파트를 포함하는 영상점검모듈; 및
    상기 오류감지정보의 수신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개인단말에 기 저장된 복수개의 사운드알림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오류상태알림부를 포함하는 알림모듈;
    상기 개인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파악부와,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위치정보로부터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에 구비된 상기 비콘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생성모듈; 및,
    상기 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안내지도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경로안내부를 포함하는 경로안내모듈;
    상기 개인단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상기 개인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합성부 및, 상기 사용자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기 저장된 영역반경 내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오류감지정보가 생성된 상기 CCTV에 구비된 상기 비콘의 비콘위치정보를 상기 촬영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비콘위치합성부와, 상기 촬영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비콘위치정보를 합성한 합성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합성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증강영상안내모듈;로 구성되되,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와 상기 비콘위치정보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 저장된 기준거리정보와 비교 처리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알림의 크기를 조절하는 알림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개의 사운드알림을 저장한 사운드데이터베이스 중에서 각각의 상기 CCTV마다 지정된 상기 사운드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생성모듈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안내방향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안내모듈은,
    상기 사용자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개인단말로 출력하는 방향안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 2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안내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합성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크기조절부는,
    상기 개인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와,
    상기 사운드알림을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갖도록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영상안내모듈은,
    상기 촬영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경로안내유닛을 생성하는 유닛생성파트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경로안내유닛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의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방향안내파트 및,
    상기 촬영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파트를 포함하는 유닛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97276A 2016-07-29 2016-07-29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KR10170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76A KR101707382B1 (ko) 2016-07-29 2016-07-29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76A KR101707382B1 (ko) 2016-07-29 2016-07-29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382B1 true KR101707382B1 (ko) 2017-02-15

Family

ID=5811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276A KR101707382B1 (ko) 2016-07-29 2016-07-29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452B1 (ko) 2017-03-17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투아이티 카메라 영상에 대한 용량 관리시스템
KR20200066129A (ko)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영상 감지 장치 및 영상 감지 방법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19A (ko) * 2001-05-23 2002-11-30 조종희 일회용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
KR20060094873A (ko) * 2005-02-25 2006-08-30 정양권 신호제어기 및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교통장비 관리 방법과그 시스템
KR20140021097A (ko) * 2012-08-07 2014-02-2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19A (ko) * 2001-05-23 2002-11-30 조종희 일회용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
KR20060094873A (ko) * 2005-02-25 2006-08-30 정양권 신호제어기 및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교통장비 관리 방법과그 시스템
KR20140021097A (ko) * 2012-08-07 2014-02-20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452B1 (ko) 2017-03-17 2017-10-20 주식회사 에이치투아이티 카메라 영상에 대한 용량 관리시스템
KR20200066129A (ko) 2018-11-29 2020-06-09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영상 감지 장치 및 영상 감지 방법
KR102264944B1 (ko) * 2021-03-05 2021-06-14 (주)아름 빌딩 및 감시 설비의 원격 통신 상태 감시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54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camera system, control method for camera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07223332B (zh) 基于声学相机的音频视觉场景分析
US7342489B1 (en) Surveillance system control unit
US9412026B2 (en) Intelligent video analysis system and method
CN106060863B (zh) 针对诊断和性能优化具有集成的基于位置的测量的无线通信系统
KR101073076B1 (ko) 복합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7242295B1 (en) Security data management system
WO2006137072A2 (en) Wide area security system and method
JP4947993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707382B1 (ko) Cctv 오작동 관리 시스템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CN107766788A (zh) 信息处理装置、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40143857A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KR102152123B1 (ko) 상가 화재를 감지 제어하는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지능형 휴대 단말의 영상처리시스템
KR20040105612A (ko)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감시시스템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JP2019016079A (ja) 電力機器の保守支援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92301A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和监视照相机系统
KR102183904B1 (ko) 실내위치인식기반 보안관리장치 및 방법
JP2006074822A (ja) 監視映像配信方法及び監視映像配信装置並びに監視映像配信システム
JP4786447B2 (ja) 監視用画像記録装置
KR102174606B1 (ko) 센서 일체형 ip 네트워크 카메라,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809444B1 (ko) 위치추적 기반의 전시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KR20190023544A (ko) IoT 센서와 연계된 사운드 기반의 디지털 영상저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