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612A -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612A
KR20040105612A KR1020040041648A KR20040041648A KR20040105612A KR 20040105612 A KR20040105612 A KR 20040105612A KR 1020040041648 A KR1020040041648 A KR 1020040041648A KR 20040041648 A KR20040041648 A KR 20040041648A KR 20040105612 A KR20040105612 A KR 20040105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hange
feature
surveillance
imag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728B1 (ko
Inventor
가와베츠요시
우에다히로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ublication of KR2004010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08B13/19615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wherein said pattern is defined by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52Systems using zones in a single scene defined for different treatment, e.g. outer zone gives pre-alarm, inner zone gives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71Addition of non-video data, i.e. metadata, to video stream
    • G08B13/19673Addition of time stamp, i.e. time metadata, to video str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화검출장치 및 그것의 통보장치로서 사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화검출장치는 촬상장치에 의해 얻어진 감시화상의 입력부와, 감시화상상에 N개(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의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지정부와, 감시화상 내의 화상변화의 통보지를 화상변화의 특징별로 미리 각각 지정하는 통보지 지정부와, N개의 영역의 화상변화를 각각 검출하는 변화검출부와, 변화검출부로부터의 각 화상변화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추출부와, 검출된 각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정보생성부와, 감시정보의 송신부를 구비하고, 송신부는 검출된 화상변화의 특징에 의거하여 통보지 지정부에 설정된 소정의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 감시시스템{CHANG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ETHOD OR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변화의 발생을 검지하여 통보하는 변화검출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시스템 내에 있어서의 영상변화의 발생을 검지하여 생성한 감시정보를 네트워크 등으로 접속된 PC(Personal Computer)나 휴대단말 등에 송신하는 변화검출방법과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장치를 사용한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감시카메라를 사용한 침입자 감시에 있어서, 인터넷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기술을 사용한 영상축적 및 영상 배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영상을 하드디스크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억장치에 디지털 데이터로서 축적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또, 화상인식기술을 사용하여 감시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의 변화를 검출하고, 감시정보로서, 네트워크 접속된 PC나 휴대단말에 송신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2002-347202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시각이나 영역에 관한 파라미터를 유지하기 위한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감시 스케줄이나 감시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 감시정보 송신기술이 미국 특허출원제10/840366호(2004년 5월 7일 출원) 및 대응 한국 특허출원제10-2004-0034112호(2004년 5월 14일 출원)(일본국 특허출원제2003-1391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화상인식기술로서, 영상의 변화를 검출하여 이동물체의 크기나 중심위치 등을 산출하고, 그것들을 복수 프레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이동물체의 이동방향을 추적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제6,445,409호 참조.
종래의 감시정보송신기술에 있어서는, 이상을 검출한 경우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는 미리 정해져 있고, 검출한 감시정보에 의거하여 통보지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수단이 없어 통보지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감시정보 송신기술에 있어서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수동으로 재기록하는 수밖에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하나의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이동물체가 검출된 장소나 이동물체의 크기 및 그것들의 조합 등에 따라 상기 감시정보를 다른 통보지에 송신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물체가 검출된 장소나 이동물체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른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변화검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변화검출장치를 통보장치로서 구비한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감시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방법에서 사용하는 통보지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에 사용하는 통보지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도 5a와 도 5b의 통보지 테이블을 사용한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감시정보의 통보지의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언급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정보의 선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트워크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1은 도 10의 감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0의 네트워크 감시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도 5a, 도 5b, 도 6에 언급하여 설명한 통보지 선택방법에 이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도 7, 도 8에 언급하여 설명한 통보지 선택방법에 이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통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a는 영상변화가 검출된 시간과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관련지은 감시영역 (1)용의 통보지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5b는 영상변화가 검출된 시간과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관련지은 감시영역 (2)용의 통보지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통보장치는, 촬상장치에 의해 얻어진 감시화상의 입력부와, 상기 감시화상상에 N개(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의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지정부와, 상기 감시화상 내의 화상변화의 통보지를 화상변화의 특징별로 미리 각각 지정하는 통보지 지정부와, 상기 N개의 영역의 화상변화를 각각 검출하는 변화검출부와, 상기 변화검출부로부터의 각 화상변화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추출부와, 검출된 각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정보 생성부와; 상기 감시정보의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검출된 화상변화의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통보지 지정부에 설정된 소정의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특징은 화상변화가 검출된 영역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그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특징은 상기 영역의 식별정보에 더하여 상기 화상변화의 영역의 크기정보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식별정보와 상기 크기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하는 상기 특징은 상기 감시화상 내의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감시정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하나, 예를 들면 「경고정보」나 「검출정보」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동일한 용어이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감시정보란, 통보장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송신되는 정보의 총칭의 것을 말하고 있고, 「감시」라는 용어의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보장치는, 예를 들면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는 변화검출장치의 것을 말하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감시시스템」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하나, 예를 들면 「통보시스템」이나 「물체검출시스템」이라고 한 단어에 대해서도 동일한 용어이며,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관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먼저, 도 10에 언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네트워크 감시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감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1001-1, 1001-2, …, 1001-n (n = 1, 2, …)은 복수의 감시카메라(촬상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감시카메라를 총칭하는 경우는 1001로 대표하기로 한다. 도 10의 그 밖의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1002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와 같은 영상신호 등의 전송로, 1003-1, 1003-2, …, 1003-n(n = 1, 2, …)은 웹인코더이다. 1004는 영상축적장치이고, 감시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축적하는 기능을 가진다.
1005-1, 1005-2, …, 1005-m(m = 1, 2, …)은 브라우저 PC이고, 감시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1006은 허브, 1007은 통보장치, 1008은 모뎀, 1009는 공중회선에 의한 전송로, 1010은 인터넷 등의 WAN(Wide Area Network), 1011은 휴대전화회사의 교환시스템, 1012-1, 1012-2, …, 1012-1(1 = 1, 2, …)은 휴대단말, 1013-1, 1013-2, …, 1013-p(p = 1, 2, …)는 클라이언트 PC 이다.
또한 감시카메라, 웹인코더 등은 1대이어도 되고, 웹인코더 1대에 복수대의 감시카메라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감시카메라, 웹인코더, 영상축적장치, 통보장치 등의 기능이 일체화된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시스템은 예를 들면 로봇의 체내 LAN(Local Area Network), 자동차의 차내 LAN이나 설비기기의 장치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시카메라(1001), 웹인코더(1003), 영상축적장치(1004), 허브(1006), 통보장치(1007), 모뎀(1008) 및 클라이언트 PC(1013)는 예를 들면 LAN 등의 전송로(1002)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휴대전화회사의 교환시스템(1011)은 전송로(1009)와 네트워크(1010)를 거쳐 모뎀(1008)에 접속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회사의 교환시스템(1011)은 휴대단말(1012)과 무선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영상축적장치(1004), 브라우저 PC(1005), 통보장치(1007), 휴대단말(1012) 및 클라이언트 PC(1013)의 개략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물론 각각의 기능적인 차이에 따라 인스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동작프로그램)는 다르나, 하드웨어구성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1101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1102는 동작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1103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1104는 기억장치(storage)이다. 기억장치(1104)는 영상축적장치(1004)의 기억장치로서 감시카메라(1001)의 화상을 기록하기 위하여 기억용량이 큰 기록매체, 예를 들면, VTR 등을 사용하나, 랜덤엑세스 가능한 자기디스크(HD : 하드 디스크)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도 적합하다. 1105는 입력 인터페이스, 1108은 키보드 등의 입력기기, 1109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비이스, 1106은 비디오 인터페이스, 1107은 모니터, 1110은 버스이다.
CPU(1101) ∼ 비디오 인터페이스(1106)는, 버스(1110)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고, 모니터(1107)는 비디오 인터페이스(1106)를 거쳐 버스(1110)와 접속되고, 입력기기(1108)와 포인팅 디바이스(1109)는 입력 인터페이스(1105)를 거쳐 버스(1110)와 접속되어 있다. 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3)는 LAN의 전송로(1002)에 접속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중회선의 전송로(1009)와 필요에 따라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도 11의 구성을 통보장치(1007)에 적용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3)와 그곳에 접속된 전송로(1002)는 통보장치의 화상 입력부를 구성하여 영상축적장치(1004)로부터 영상을 수취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감시카메라(1001)가 소정의 감시위치에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이 감시카메라는 연속하여 항시 촬영을 행하고 있고, 촬영된 영상은 LAN의 전송로(1002), 웹인코더(1003), 허브(1006)를 거쳐 영상축적장치(1004)에 축적된다.
통보장치(1007)는 영상축적장치(1004)로부터 영상을 인출하여 이전에 인출한 영상과 현재 인출한 영상을 비교하여 영상의 변화를 검출하는 이른바 화상인식기술에 의해 이상을 검출하여 축적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화상 인식기술에 의해 이상을 검출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전후의 프레임 화면의 휘도성분의 변화분을 검출하거나, 또는 영상신호의 스펙트럼을 비교하는 방법 등, 종래부터 주지의 방법이기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비교의 결과, 영상에 변화가 있는 경우 등,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는 이상있음으로서, 예를 들면 이상있음의 영상과 이상을 검출한 일시를 필요한 메시지와 함께 통보장치(1007)에 축적함과 동시에 변화의 내용에 따라 통보지를 선택하여, 그들 정보를 감시정보로서 통보지인 사용자의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 (1013)에 배신한다. 즉, 감시정보는 통보장치(1007)로부터 허브(1006), 모뎀(1008), 네트워크(1010)를 거쳐 휴대전화회사의 교환시스템(1011)이나 클라이언트 PC(1013)에 접속된 모뎀(1008)을 거쳐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1013)에 배신된다.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면 「xx month, xx day, xx hour, xx miniute and xx second에 이상이 발생하였습니다.」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9에 언급하여 통보장치(변화검출장치)(100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복수의 감시영역 및 복수의 통보지를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통보장치(1007)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실현수단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회로 또는 장치이어도 상관없고, 또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능실현수단을 복수의 회로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복수의 기능실현수단을 단일의 회로로 실현하여도 좋다.
도 9에 있어서, 메모리부(1201)는 메모리(1201-1), 메모리(1201-2, …), 메모리(1201-q)(q = 1, 2 …)의 복수의 메모리를 가지고, 각각의 메모리에는 다른 감시영역이 설정된 영역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감시영역이란, 하나하나의감시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영역 전체 중, 화상인식처리를 실행하는 영역의 것을 말한다. 또한 메모리부(1201)는 각 감시카메라 대응에 하나씩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모든 감시카메라의 모든 감시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설정한 메모리를 복수로 구비한 하나의 메모리부의 형식이어도 좋다.
화상입력부(1202)는 영상축적장치(1004)로부터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인출하여 검지처리부(1203)에 출력한다.
검지처리부(1203)는 화상인식처리부(1203-1), 화상인식처리부(1203-2, …), 화상인식처리부(1203-q)(q = 1, 2 …)의 복수의 화상인식처리부로 구성되고, 각각 메모리(1201-1), 메모리(1201-2, …), 메모리(1201-q)에 기억되어 있는 영역테이블을 판독한다.
그리고 이들 영역테이블이 정하는 감시영역에 의거하여, 화상입력부(120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각각 화상처리를 행하여 침입물체의 검지처리를 행한다. 즉, 검지처리부(1203)는 감시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영역 내중, 메모리부 (1201)에 기억되어 있는 각각의 영역테이블이 정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주지의 화상인식처리를 행하여 영상의 변화를 검출한다. 영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검지처리부 (1203)의 검출결과인 영상의 변화부분은 특징추출 처리부(1204)에 출력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검출된 영상의 변화부분을 감시의 대상물로서 처리한다.
특징추출 처리부(1204)는, 검지처리부(1203)로부터 수취한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검출된 대상물의 특징, 예를 들면 대상물의 크기, 대상물의 형상, 대상물의 색, 대상물의 이동속도, 대상물의 이동방향, 대상물의 검출된 영역 등을 검출하여대상물의 특징정보로서 변환부(1205)에 출력한다. 이 특징추출 처리부(1204)에 의하여 검출된 대상물이 예를 들면 사람인지 차량인지라는 구별이나, 차량이면 그 색을 특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것 이외의 변별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특징정보에는 검지처리부(1203)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시각, 연월일, 감시카메라의 번호 등도 포함된다. 또 대상물의 특징으로서는 반드시 상기 모든 항목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감시대상이나 감시목적에 따라 필요한 항목을 필요한 항목수만큼 검출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대상물의 특징검출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제6,445,409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기술분야에서 주지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변환부(1205)는 감시정보 생성부(1206), 통보지 판정부(1207), 송신부(1209),통보지 테이블 A(1208)를 구비하고, 특징추출 처리부(1204)의 출력결과에 의거하여 감시정보의 생성, 통보지의 판정, 감시정보의 송신을 행한다.
감시정보 생성부(1206)는 특징추출 처리부(1204)로부터 수취한 대상물의 특징정보에 의거하여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한다.
통보지 판정부(1207)는 특징추출 처리부(1204)로부터 수취한 대상물의 특징정보에 의거하여, 통보지 테이블 A(1208)를 검색하여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통보지를 취득한다. 여기서 통보지 테이블 A(1208)는 통보지의 메일주소 등,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장소를 특정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 통보지 테이블 A(1208)에는 통보지를 결정하는 조건 등도 아울러 기억되어 있다. 즉, 대상물이 검출된 감시영역이나 대상물의 크기 등에 따른 통보지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송신부(1209)는 상기 생성된 감시정보를 통보지 판정부(1207)가 결정한 통보지에 송신을 행한다.
또, 통보장치 내의 메모리에 검지처리부(1203)의 검지결과나 송신한 감시정보등을 로그로서 기억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통보장치(1007)의 기능은, 상기한 CPU(1101), 메모리 (1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3), 기억장치(1104) 등의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화상 입력부는, 전송로(1002)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3)(도 11)에 상당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감시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통보장치(1007)가 예를 들면 영상의 변화 등에 의하여 영상축적장치(1004)에 축적되어 있는 영상에 대한 이상검출을 행하여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1013)에 대하여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단계 201에서 감시개시, 즉 감시시스템의 감시를 시작한다. 소정의 감시카메라(1001)로부터의 감시영상을 웹인코더(1003)로 디지털 압축처리하여 생성한 화상 압축 데이터는 허브(1006)를 거쳐 영상축적장치(1004)에 축적된다.
여기서, 영상축적장치(1004)에 기억되는 화상 압축 데이터는 예를 들면 촬영일시, 감시카메라(1001)의 채널번호, 압축형식 등의 정보가 디지털 압축 화상과 함께 기억된다. 또 어느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도입할지는 브라우저 PC(1005)의 관리에 의하여 미리 스케줄하거나 또는 이상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등 여러가지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통보장치(1007)의 화상입력부(1202)가 영상축적장치(1004)로부터 1 프레임분의 영상을 취득한다. 이 단계에서는 감시카메라(1001)로부터 영상축적장치(1004)에 입력되는 모든 화상이 입력순으로 판독되어 통보장치(1007)의 화상입력부(1202)에 공급된다.
단계 203에서 통보장치(1007)의 검지처리부(1203)가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앞의 영상과 화상입력부(1202)로부터 현재 입력되어 있는 영상을, 예를 들면 휘도값을 비교하여 영상의 변화를 검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지처리부(1203)는 메모리부 (1201)에 기억되어 있는 영역테이블이 정하는 감시영역에 대해서만 화상인식처리를 행하여 각 감시영역 내의 영상의 변화를 검출한다.
단계 204에서 검지처리부(1203)가 단계 203의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영상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영상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는 각 감시영역별로 판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영상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휘도값의 변화를 검출하나, 이 경우 이상검출에 소정의 한계값을 설정하여 소정값 이하의 변화는, 이상이라고 판단하지 않는 등, 오보의 발생을 아주 적게 하는 방법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검출의 결과, 영상에 변화가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205로 진행하고, 없었던 경우에는 단계 202로 되돌아가, 다음 입력영상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205는 단계 204에 있어서의 검지처리부(1203)의 검출결과를 수취한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의 변화부분, 즉 검출된 대상물의 특징(예를 들면, 변화가 검출된 영역, 그 영역의 크기 등)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검출된 특징정보는 변환부 (1205)가 구비하는 감시정보 생성부(1206) 및 통보지 판정부(1207)에 출력된다.
단계 206은 특징추출처리부(1204)로부터 특징정보를 수취한 감시정보 생성부 (1206)가 감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생성된 감시정보는 송신부(1209)에 출력된다. 여기서 감시정보의 내용은 예를 들면 영상의 변화를 검출한 시각, 연월일, 감시카메라의 번호, 검출된 대상물의 특징 등의 항목 중에서 하나 이상을 기재한 메시지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감시정보에는 영상의 변화시의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정지화상및/또는 동작화상을 필요에 따라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메시지를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정지화상 등에 겹치게 하여도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PC(1013)의 수신 가능한 데이터크기나 통신회선의 용량 등에 따라 영상의 크기, 즉 영상의 화소수나 압축율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단계 207은, 통보지 판정부(1207)가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통보지 판정부(1207)는 특징추출처리부(1204)로부터 수취한 특징정보에 의거하여 통보지 테이블 A(1208)를 검색하여 통보지를 선택한다. 선택된 통보지는 송신부(1209)에 출력된다. 또한 통보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송신부(1209)에의 출력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단계 208은, 송신부(1209)가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1013)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감시정보 생성부(1206)에서 생성된 감시정보를, 통보지 판정부(1207)에서 선택한 통보지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는 전자메일이나, 감시정보를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1013)가 수신할 수 있는 송신방법이면 전자메일 이외의 방법이어도 좋다. 단계 209는, 감시종료의 단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보장치(1007)에서는 감시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영역 내에 복수의 감시영역을 설정하고, 그 각 감시영역에서의 검지결과에 따른 감시정보의 송신동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감시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감시카메라로 촬영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검지정보가 얻어져 필요성이 있는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영상의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상인식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화상인식처리시 등에 필요로 하는 메모리용량도 적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영역 전체 중의 일부를 감시영역으로서 미리 설정하고, 그것들의 감시영역에서 영상의 변화, 즉 대상물이 검출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통보지에 통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서 영상의 영역 전체에 대하여 화상인식처리를 행하여 검출된 대상물의 중심위치 등으로부터 대상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에 의거하여 통보지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통보지를 선택하여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도 12에서 나타낸 처리단계는 일례이고, 실제의 감시장면에 있어서는 감시대상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이 이루어져 통보장치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통보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통보장치의 구성은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 1은 어느 건물의 정문부근을 감시하는 경우에, 상기 정문의 앞에 설치한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일례이다. 101은 상기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영역 전체이고, 도면 상부의 화살표의 끝에 1호관이라는 건물, 오른쪽부의 화살표의 끝에 출입금지구역이 존재하는 장소의 감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102는 정문으로부터 1호관으로 연결되는 길 위에 설정한 감시영역 (1), 103은 정문으로부터 출입금지구역으로 연결되는 길 위에 설치한 감시영역 (2)이다. 104는 정문으로부터 들어 온 사람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예는, 정문으로부터 들어 온 사람이 1호관으로 향할지, 출입금지구역으로 향할지라는 행선지의 정보를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검출하여 1호관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1호관의 접수처에 감시정보를 송신하고, 출입금지구역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경비원 대기소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예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감시영역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영상을 16 × 12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있고, 「1」로서 나타내는 블록이 감시영역 (1)에 포함되는 블록을 나타내고, 「2」로서 나타내는 블록이 감시영역 (2)에 포함되는 블록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공백의 블록은 화상인식처리를 실행하지 않은 블록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사람(104)이 감시영역 (1)(102)에 침입한 경우, 「1」로서 나타내는 블록이 검출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사람(104)이 감시영역 (2)(103)에 침입한 경우, 「2」로서 나타내는 블록이 검출상태가 된다.
또한 감시영역의 설정은, 예를 들면 브라우저 PC(1005) 등의 조작자에 의하여 브라우저 PC(1005)가 구비하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1109)를사용하여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을 마우스로 클릭하는, 또는 마우스로 드래그 및 드롭하여 범위를 지정하는 등에 의해 원하는 감시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설정된 감시영역 (1), 감시영역 (2)는 각각 영역테이블로서 도 9에 나타낸 메모리(1201-1), 메모리(1201-2)에 기억된다.
도 3은 이동물체가 검출된 감시영역에 의해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지정하기 위한 통보지 테이블 A(1208)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테이블에 있어서는 감시영역에 대응한 통보지가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영역 1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는 1호관의 접수처이고, 영역 2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는 경비원대기소이다.
또한 통보지는 감시정보로서 전자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일주소이고, 전화 등의 호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가 된다. 그외 구체적으로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장소가 특정 가능한 정보이면 통보수단이나 서식은 묻지 않는다. 이와 같이 통보지 테이블 A(1208)에는 감시시스템의 설치시에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미리 설정한다. 또 감시시스템의 설치시 나중에 브라우저 PC(1005), 휴대단말(1012)이나 클라이언트 PC(1013)로부터 통보지 테이블 A(1208)의 설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도면을 사용하여 화상인식에 의해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의해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선택하는 처리의 예를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401은, 검지처리부(1203)(도 9)가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영상의 변화를 검출하여 영상변화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영상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402로 진행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401의 처리를 속행한다.
단계 402는,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변화가 검출된 영역의 번호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도 1의 예에서는 감시영역 (1)(102)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403으로 진행하고, 감시영역 (2)(103)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404로 진행한다.
특징추출처리부(1204)에서는, 예를 들면 화상인식처리부(1203-1)에 의해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감시영역 (1)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되었다는 바와 같이 영역번호의 판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방법으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영역의 판정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403은, 변환부(1205)가 감시영역 (1)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3에 나타낸 통보지 테이블 A(1208)를 참조하여 감시영역 (1)에 대응하는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 예에서는 1호관 접수처에 감시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404는, 단계 403과 마찬가지로 변환부(1205)가 감시영역 (2)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3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감시영역 (2)에 대응하는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 예에서는 경비원대기소에 감시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405는, 감시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감시를 속행할지의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감시종료 지시의 유무나, 통보장치의 동작 스케줄을 기억한 테이블(도시 생략)에 의거하여 통보장치의 CPU가 판단한다. 단계 405의 판단의 결과, 감시를 속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401로 진행하고, 종료하는 경우에는 감시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405에 있어서의 판단, 즉 감시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각 감시영역, 또는 각 통보지별로 판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감시영역 (1)의 통보지인 1호관 접수처의 경우는, 1호관의 개관시간 이외는 감시정보의 송신, 또는 감시영역 (1)에 대한 화상처리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감시영역 (2)의 통보지인 경비원대기소는, 24시간 체제로 경비원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감시정보의 송신 및 감시영역 (2)에 대한 화상처리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403 및 단계 404에 있어서는, 또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시간을 고려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5는, 영상변화가 검출된 시간과 감시정보의 통보지가 관련지어진 통보지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5a는 감시영역 (1)에 대하여 설정된 통보지 테이블, 도 15b는 감시영역 (2)에 대하여 설정된 통보지 테이블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영상변화가 검출된 시간과, 감시정보의 통보지가 설정된다.
도 1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호관의 개관시간 내인 9시∼17시에 영상변화가검출된 경우에는 1호관 접수처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개관시간 이외에 영상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감시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물론, 개관시간 이외에 영상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1호관 접수처 이외의 장소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도 15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감시영역 (2)의 통보지인 경비원대기소는, 24시간 체제로 경비원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변화가 검출된 경우는 항상 경비원대기소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복수의 감시영역을 설정하여 각각의 감시영역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감시영역마다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꿀 수 있다.
또, 통보장치의 화상처리에 있어서 복수의 감시영역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대의 카메라를 1대로 실현하였으면 등가의 효과가 얻어져 보다 상세한 감시정보를 얻을 수 있어, 필요에 따른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통보장치를 도 5a, 도 5b, 도 6,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감시카메라의 영상을 사용하나, 상기한 실시예에 더하여, 검출된 물체의 크기에 대한 판단도 더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시영역 (1) 또는 감시영역 (2)에 있어서, 영상변화가 발생한 블록의 수를 합계하여, 예를 들면 상기 합계가 소정수 이상, 또는 소정수 미만의 수치이면 검출대상의 물체로서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보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9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고, 통보지 테이블 B(1208') 이외는 도 9에 나타낸 블록도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도 5b는, 영상변화가 발생한 블록의 합계수와 감시정보의 통보지가 관련지어진 통보지 테이블 B(1208')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5a는 감시영역 (1)에 대하여 설정된 통보지 테이블, 도 5b는 감시영역 (2)에 대하여 설정된 통보지 테이블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와, 감시정보의 통보지가 설정된다.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블록수 6개 이상 12 미만의 크기에 상당하는 물체는 사람(104)이라고 판단하여 1호관 접수처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블록수 12 이상에 상당하는 물체는 자동차라고 판단하여 1호관 차량정리계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또 영상의 변화가 발생한 블록수가 6 미만안 경우에는 송신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블록수 6 미만으로 검지되는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람 이외의 작은 동물 등이다. 이와 같이 블록수 6 미만의 경우에 감시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오보에 의한 알람수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도 5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블록 6개 이상의 크기에 상당하는 물체는 모두 경비원대기소에 감시정보를 송신하고, 영상의 변화가 발생한 블록수가 6 미만인 경우에는 송신을 하지 않는다는 바와 같이 테이블이 구성된다. 또한 통보지 테이블 B(1208')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601은, 검지처리부(1203)가 감시영역 (1)(102) 또는 감시영역 (2)(103)에서 영상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영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602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단계 608로 진행한다.
단계 602는,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변화가 검출된 영역의 번호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영역 (1)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603으로 진행하고, 감시영역 (2)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603은,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의 수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의 수가 6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608로 진행하고, 6 이상 12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604로 진행하고, 12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605로 진행한다.
단계 604는, 변환부(1205)가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5a에 나타낸 감시영역 (1)용의 통보지 테이블로부터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가 6 이상 12 미만에 대응하는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이 예에서는 1호관 접수처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605는, 변환부(1205)가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5a에 나타낸 감시영역 (1)용의 통보지 테이블로부터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가 12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는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이 예에서는 1호동 차량정리계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606은,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단계 603과 마찬가지로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의 수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의 수가 6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608로 진행하고, 6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607로 진행한다.
단계 607은, 변환부(1205)가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5b에 나타낸 감시영역 (2)용의 통보지 테이블로부터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가 6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는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대응하는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이 예에서는 경비원대기소에 감시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608은, 변환부(1205)가 감시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를 속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601로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 즉 이동물체의 크기에 따라 이동물체의 종류를 판정하여 상기 이동물체의 종류에 따라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로서 감시영역이 복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감시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감시영역이 1개 뿐인 경우나, 감시카메라의 영상의 영역 전체를 하나의 감시영역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2개의 실시예에서는, 감시영역 (1) 또는 감시영역 (2)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감시영역 (1)에서 검출된 인물이, 정문으로부터 1호관을 향하고 있는 것인지, 반대로 1호관으로부터 정문을 향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감시영역 (1)에서 검출된 인물이 1호관으로부터 정문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1호관의 접수처에 감시정보를 송신할 필요성은 없고, 이러한 불필요한 송신을 없애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 실시예는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에 대하여 도 7, 도 8,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보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9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고, 특징추출처리부(1204') 이외는 도 9에 나타낸 블록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특징추출처리부(1204')는 시간경과의 계측을 행하기 위한 타이머부 (140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물체가 검출된 감시영역의 시간이력을 사용한 간이적인 처리에 의해 이동물체의 이동방향을 파악하여 불필요한 송신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1과 동일하나, 감시영역 (3)(701)이 새롭게 추가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정문으로부터 1호관을 향하는 사람은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1)(102)에서 검출된다. 반대로 1호관으로부터 정문을 향하는 사람은 감시영역 (1)(102)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인물이 검출된 영역의 순서를 판정함으로써 검출된 인물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있어, 보다 확실한 감시정보의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문으로부터 출입금지영역을 향하는 사람은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2)(103)에서 검출되고, 출입금지영역으로부터 정문을 향하는 사람은 감시영역 (2)(103)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1호관으로부터 출입금지영역을 향하는 사람은 먼저 감시영역 (1)(102)에서 검출되나, 그 후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2)(103)에서 검출된다. 또 출입금지구역으로부터 1호관을 향하는 사람도 먼저 감시영역 (2)(103)에서 검출되나, 그후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1)(102)에서 검출된다.
즉, 정문으로부터 1호관을 향하는 사람도, 출입금지영역으로부터 1호관을 향하는 사람도,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 후에 감시영역 (1)(102)에서 검출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다른 장소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의 영상변화가 발생한 블록의 합계수가 6 이상 12 미만인 경우, 즉 사람이 검출된 경우에만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로서 설명한다. 또 검출된 사람이 1호관 또는 출입금지영역을 향하는 경우에만 감시정보를 송신하고, 정문을 향하는 경우에는 감시정보는 송신하지 않기로 한다.
단계 801은, 검지처리부(1203)가 영상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802로 진행하고, 없는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단계 802는,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의 변화가 검출된 영역이 감시영역 (3)(701)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영역 (3)인 경우에는 단계 803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이것은 1호관 또는 출입금지영역을 향하는 경우, 먼저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1호관으로부터 출입금지영역을 향하는 경우 등도, 먼저 감시영역 (3)(701)에서 검출된다고 하여 처리하면 충분한다.
단계 803은,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영상변화가 검출된 블록수에 대한 판정을 행하는 단계이다. 검출된 블록수가 6 이상 12 미만, 즉 사람(104)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804로 진행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단계 804는, 감시영역 (3)(701)에서 사람이 검출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의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이다. 특징추출처리부(1204')는 경과시간을 판정하기 위하여 타이머부(1401)를 리세트하여 새롭게 시간경과의 계측을 시작한다.
단계 805는,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사람(104)이 감시영역 (1)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영역 (1)에서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807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06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805는, 단계 804 다음의 화상입력부(1202)로부터의 영상에 대한 처리 (간단화를 위해 도시는 생략)에 의해 검출처리부(1203)가 영상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실행되는 단계이다. 또 단계 805 및 단계 806 다음에 필요하게 되는 검출된 블록수에 대한 판정처리에 대해서도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806은,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감시영역 (2)에서 사람(104)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영역 (2)에서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809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단계 807은,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감시영역 (3)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되고 나서 감시영역 (1)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의 판정을 행하는 단계이다. 특징추출처리부(1204')는 타이머부(1401)로부터 현재의 경과시간을 판독하여 그 경과시간이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단계 808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단계 808은, 변환부(1205)가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14에 나타낸 통보지 테이블 A(1208)로부터 감시영역 (1)에서 영상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 예에서는 1호관의 접수처에 감시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809는, 특징추출처리부(1204')가 감시영역 (3)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되고 나서, 감시영역 (2)에서 영상의 변화가 검출되기까지의 경과시간의 판정을 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807과 마찬가지로 타이머부(1401)로부터 현재의 경과시간을 판독하여 경과시간이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단계 810으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계 811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809의 판정에서 사용되는 설정시간은, 단계 807에서 사용되는 설정시간과는 다른 시간을 설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감시영역 (3)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단계 807 및 단계 809의 판정에서 사용되는 시간을 미리 정하여 둔다. 또 타이머부(1401)를 사용하여 경과시간을 계측하지 않아도 각 감시영역에 있어서의 영상변화의 검출시각을 기록하여 경과시간의 판정을 행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상이 검출된 감시영역의 번호와, 이상검출시각 등의 정보로 이루어지는 검출이력정보를 통보장치의 메모리에 기억하도록 한다.
단계 810은, 변환부(1205)가 감시정보의 생성을 행하고, 또 도 14에 나타낸 통보지 테이블 A(1208)로부터 감시영역 (2)에서 영상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취득하여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 예에서는 경비원대기소에 감시정보가 송신된다.
단계 811은, 감시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감시를 속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801로 진행한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이동물체가 검출된 감시영역의 시간이력으로부터 이동방향을 판정하여 이동물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꾸는, 또는 송신하지 않는다는 고도의 처리가 가능하다. 즉, 이동방향으로부터 이동물체가 어디를 향하는 것인지의 예측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 단계 807, 단계 809에서는 검출간격을 판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문으로부터 1호관으로 곧장 향하고 있는 것 같은 사람이면, 감시영역 (3)으로부터 감시영역 (1)에 도달하는 시간은 짧아지는 것에 대하여, 정문으로부터 1호관 방면으로 산보를 하고 있고, 1호관에 볼일이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은 사람이면 감시영역 (3)으로부터 감시영역 (1)에 도달하는 시간은 길어져 검출간격도 길어진다. 따라서 이동방향에 더하여 검출간격의 판정거리의 판정도 행함으로써 보다 필요성이 있는 감시정보만을 통보지에 송신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송신을 줄일 수 있다.
단, 검출간격의 판정은 하지 않고, 감시영역 (3)에서 대상물이 검출된 후, 감시영역 (1) 또는 감시영역 (2)에서 대상물이 검출된 경우에 감시정보의 송신을 행하 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어느 하나의 감시영역에서 대상물이 검출된 경우에 반드시 감시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감시정보의 송신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템플릿매칭 등, 종래 주지의 추적처리기술 등의 복잡한 화상처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동물체가 검출된 감시영역의 시간이력을 사용한 간이적인 처리에 의해 이동물체의 이동방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여 통보장치의 CPU의 부담은 경감된다. 단, 종래 주지의 화상인식기술이나 추적처리기술을 조합시켜 동일물체의 판정이나, 보다 정밀도가 높은 동일물체의 추적을 행하여 이동방향, 행선지 등의 파악처리를 행하여, 불필요한 송신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보다 필요성이 있는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감시영역 (1)(102), 감시영역 (2)(103) 또는 감시영역 (3)(701) 중 어느하나의 영역에서 이동물체의 검지가 있는 시점에서, 우선 임시 알람으로서 예비적인 경보정보를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한다고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영역 전체 중의 일부에 설정된 감시영역에서 화상처리를 행하여 침입물체의 검지처리를 행하고 있었으나, 영상의 영역 전체에 대해서도 화상처리를 행하여 어떠한 물체가 검출된 경우에 임시 알람으로서 경보도가 낮은 예비적인 감시정보를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영상의 영역 전체에 대해서도 화상처리를 행하게 되어, 메모리용량, CPU 등, 통보장치의 부담은 증가하나, 별도로 각각의 감시영역에서도 화상처리에 의한 검지를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 전체에 대한 화상처리에 대해서는 화소블록이 큰 개략적인 검출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특징추출처리부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상물의 특징 외에 대상물의 색, 대상물의 이동속도 등을 검출하여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대상물이 검지된 시간대에 따라 감시정보의 통보지를 바꿀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물체가 검출된 장소나 이동물체의 크기 등에 따라 다른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분야로서는 반드시 이상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여러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감시분야 이외에도 적용할 수 있음 물론이다.
상기 기재는 실시예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과 첨부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 및 수정을 할 수음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Claims (18)

  1. 촬상장치에 의해 얻어진 감시화상의 입력부와,
    상기 감시화상상에 N개(N은 2이상의 양의 정수)의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지정부와,
    상기 감시화상 내의 화상변화의 통보지를 화상변화의 특징별로 미리 각각 지정하는 통보지 지정부와,
    상기 N개의 영역의 화상변화를 각각 검출하는 변화검출부와,
    상기 변화검출부로부터의 각 화상변화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추출부와,
    검출된 각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정보생성부와,
    이 감시정보의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송신부는 검출된 화상변화의 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통보지 지정부에 설정된 소정의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서 추출하는 특징은 화상변화가 검출된 영역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그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서 추출하는 특징은 상기 영역의 식별정보에 더하여 상기 화상변화의 영역의 크기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식별정보와 상기 크기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서 추출하는 상기 특징은, 상기 감시화상 내의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변화의 특징은, 화상변화가 상기 N개의 영역 중 소정의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순서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의 순서에 관한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통보지 지정부에 설정된 소정의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순서에 관한 특징에 더하여, 상기 화상변화가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소정의 2개의 영역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의 시간에 관한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순서에 관한 특징과 시간에 관한 특징에 의거하여 소정의 통보지에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장치.
  7. 영상신호 입력부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부와,
    상기 인코더부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는 기능을 가지는 영상축적장치와,
    상기 영상축적장치의 축적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영상의 변화를 검출하는 통보장치와
    상기 영상신호 입력부와, 인코더부와, 영상축적장치와, 통보장치를 상호 접속하는 전송로 및 허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통보장치는, 검출된 영상의 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를 생성하는 감시정보생성부와, 상기 검출된 영상의 변화의 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정보의 송신지를 판정하는 통보지 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변화의 특징은, 적어도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상의 상기 영상변화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보장치는 상기 영상변화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해야 할 통보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영상변화의 위치에 더하여, 상기 영상변화의 영역의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변화위치와 상기 크기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해야 할 통보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시스템.
  10. 카메라의 촬상범위 내에 미리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감시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미리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내의 화상변화의 통보지를 화상변화의 특징별로 설정한 통보지 테이블을 작성하여 두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축적하는 영상축적장치로부터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한 영상 내의 화상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한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특징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화상변화가 어느 감시영역에서 발생하였는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정보는 상기 화상변화가 발생한 감시영역에 의거하여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화상변화가 발생한 감시영역에 더하여 상기 화상변화의 영역의 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정보는 상기 감시영역과 상기 크기에 의거하여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변화의 이동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감시정보가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화상변화가 상기 N개의 영역 중 소정의 2개의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순서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의 순서에 관한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정보는, 상기 순서에 관한 특징에 의거하여 소정의 통보지에 감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순서에 관한 특징에 더하여, 상기 화상변화가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소정의 2개의 영역에서 검출되었는지의 여부의 시간에 관한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정보는 상기 순서에 관한 특징과 시간에 관한 특징에 의거하여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추출부에서 추출하는 특징은 상기 화상변화의 발생시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생시각과 상기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변화에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영상변화의 발생시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보장치는 상기 영상변화의 발생시각과 상기 영상변화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정보를 송신해야 할 통보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화상변화의 특징은 상기 화상변화의 발생시각을 더 포함하고,상기 감시정보는 상기 발생시각과 상기 감시영역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통보지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화검출방법.
KR1020040041648A 2003-06-09 2004-06-08 감시정보송신장치 및 감시정보송신방법 KR100696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3918 2003-06-09
JPJP-P-2003-00163918 2003-06-09
JP2003338676 2003-09-29
JPJP-P-2003-00338676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12A true KR20040105612A (ko) 2004-12-16
KR100696728B1 KR100696728B1 (ko) 2007-03-20

Family

ID=3349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48A KR100696728B1 (ko) 2003-06-09 2004-06-08 감시정보송신장치 및 감시정보송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81814B2 (ko)
KR (1) KR100696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549A (ko) * 2013-09-30 2015-04-0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0753B2 (en) 2004-12-31 2012-09-04 Emc Corporation Backup information management
US20080162685A1 (en) * 2004-12-31 2008-07-03 Emc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rchitecture
US7716171B2 (en) * 2005-08-18 2010-05-11 Emc Corporation Snapshot indexing
US9026512B2 (en) * 2005-08-18 2015-05-05 Emc Corporation Data object search and retrieval
US20070043705A1 (en) * 2005-08-18 2007-02-22 Emc Corporation Searchable backups
US7912981B2 (en) * 2006-10-09 2011-03-22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data routing
US9068836B2 (en) * 2007-10-18 2015-06-30 Carlos Arteaga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multiple positioning technologies
FR2929734A1 (fr) * 2008-04-03 2009-10-09 St Microelectronics Rousset Procede et systeme de videosurveillance.
US20090322489A1 (en) * 2008-04-14 2009-12-31 Christopher Jones Machine vision rfid exciter triggering system
CA2795338A1 (en) * 2010-04-08 2011-10-13 Delta Vidyo, Inc. Remote gaz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459324B2 (ja) 2012-01-17 201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周辺監視装置
EP2826029A4 (en) 2012-03-15 2016-10-26 Behavioral Recognition Sys Inc ALERT DIRECTIVES AND TARGETED ALERT DIRECTIVES IN A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
JP6018821B2 (ja) * 2012-07-09 2016-11-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クリーンルームの監視装置及びクリーンルームの監視方法
KR101767497B1 (ko) * 2013-01-29 2017-08-11 유겐가이샤 라므롯쿠에조우기쥬츠켄큐쇼 감시 시스템
US9626580B2 (en) * 2014-07-22 2017-04-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fining region for motion detection
JP6278280B2 (ja) * 2015-09-30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6210651B (zh) * 2016-08-10 2019-01-25 杜卫国 一种智能安全监控系统
US11545013B2 (en) * 2016-10-26 2023-01-03 A9.Com, Inc. Customizable intrusion zone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10891839B2 (en) 2016-10-26 2021-01-12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able intrusion zones associated with security systems
US20180176512A1 (en) * 2016-10-26 2018-06-21 Ring Inc. Customizable intrusion zones associated with security systems
TWI639978B (zh) * 2017-07-19 2018-11-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視訊監控系統與視訊監控方法
SE545091C2 (en) * 2019-10-11 2023-03-28 Assa Abloy Ab Detecting changes in a physical spa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2708A (en) * 1993-03-12 1995-05-02 Katz; Ronald A. Videophone system for scrutiny monitoring with computer control
US6587046B2 (en) * 1996-03-27 2003-07-01 Raymond Anthony Joao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6445409B1 (en) * 1997-05-14 2002-09-03 Hitachi Dens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distinguishing a moving object and apparatus of tracking and monitoring a moving object
DE59913752D1 (de) * 1998-07-13 2006-09-21 Contraves Ag Verfahren zur Verfolgung bewegter Objekte anhand spezifischer Merkmale
US6466258B1 (en) * 1999-02-12 2002-10-15 Lockheed Martin Corporation 911 real time information communication
JP3567114B2 (ja) 1999-12-08 2004-09-22 株式会社東芝 画像監視装置及び画像監視方法
JP2001283225A (ja) 2000-03-28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空間内異常検出装置及び空間内異常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549A (ko) * 2013-09-30 2015-04-0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US9367746B2 (en) 2013-09-30 2016-06-1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pecifying an image relating to a predetermined moment from among a plurality of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46123A1 (en) 2004-12-09
KR100696728B1 (ko) 2007-03-20
US7081814B2 (en)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728B1 (ko) 감시정보송신장치 및 감시정보송신방법
US10123051B2 (en) Video analytics with pre-processing at the source end
EP0967584B1 (en) Automatic video monitoring system
JP4629090B2 (ja) カメラ・タンパリング検出
US6774905B2 (en) Image data processing
US8184154B2 (en) Video surveillance correlating detected moving objects and RF signals
US96792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isplay control unit configured to display on a display apparatus a frame image,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KR100837406B1 (ko)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JP3942606B2 (ja) 変化検出装置
US11836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deviation in a video
EP1266525B1 (en) Image data processing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5202419B2 (ja) 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方法
JP2006093955A (ja) 映像処理装置
JP2012099940A (ja) 撮影妨害検知方法、妨害検知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839815B1 (ko) 차량번호 인식 및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및 검색방법
JP6508329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対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2864A (ko)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US10922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viation from a motion pattern in a video
US20190188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deviation in a video sequence
WO2022009356A1 (ja) 監視システム
KR200388526Y1 (ko)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장치
JP2005005782A (ja) 監視システム
KR20030090441A (ko)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