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19B1 -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19B1
KR101707119B1 KR1020150080299A KR20150080299A KR101707119B1 KR 101707119 B1 KR101707119 B1 KR 101707119B1 KR 1020150080299 A KR1020150080299 A KR 1020150080299A KR 20150080299 A KR20150080299 A KR 20150080299A KR 101707119 B1 KR101707119 B1 KR 10170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ng
rotation
charg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043A (ko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19B1/ko
Priority to US15/151,243 priority patent/US10236717B2/en
Priority to CN201610403038.2A priority patent/CN106253364B/zh
Publication of KR2016014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는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충전본체, 충전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및 충전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를 포함하고,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는 충전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본 발명은 접이식 무선 충전 장치 및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성과 이용의 편의성이 증대된 접이식 무선 충전 장치 및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기술이 일반화되면서, 무선 충전 전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충전패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충전패드는 평면에 위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어 유용하지만, 다소 넓은 평면적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전 중에는 휴대용 단말기 역시 평면 상에 위치해야 하므로, 충전 중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시실(showroom)과 같은 곳에서는 평면에 제공되는 충전패드와 달리, 휴대용 단말기의 전시효과를 위해 거치대(cradle) 유형의 충전기를 필요로 한다. 거치대 유형의 충전기는 사용자가 충전 중인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데에도 더 유리한 점이 있다.
거치대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그 부피가 커질 경우 휴대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접이식 거치대 유형의 무선충전기가 제안되고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를 설명한다. 도1a는 휴대를 위해 무선충전 거치대의 구성요소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에서의 전면을 보여주고, 도1b는 같은 상태에서의 후면을 설명한다. 아울러, 도1c는 무선충전 거치대의 구성요소를 펼친 상태를 설명한다.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는 충전본체(12), 거치대 고정부(14), 충전기기 고정부(18), 및 힌지부(16)를 포함한다.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는 이동시에는 휴대성을 향상하기 위해 접힐 수 있다. 충전본체(12)와 거치대 고정부(14)가 접혀있는 경우, 한쪽은 충전본체(12)의 후면(12B)이 보이고, 다른 한쪽은 거치대 고정부(14)가 충전본체(12)의 전면(12B)에 붙어있는 형태가 된다. 거치대 고정부(14)의 회전은 거치대 고정부(14)와 충전본체(12)를 결합시키는 힌지부(16)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서, 거치대 고정부(14)는 회전을 통해 조작이 편리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충전본체(12)에 붙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충전기기 고정부(18)는 충전본체(12)에서 돌출한 구조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전본체(12)에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돌출된 구조로 인해 휴대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분리할 수 있도록 충전기기 고정부(18)를 형성하였으나, 휴대시 충전기기 고정부(18)를 분실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아졌다. 충전기기 고정부(18)를 분실하면, 충전본체(12)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할 수가 없어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의 효용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접이식 무선 충전기가 소개되고 있지만, 부피를 줄여 휴대성의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충전기의 구성물을 휴대 시에 분리하고 사용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면 구성물의 일부를 분실할 위험성이 커진다. 접이식 무선 충전기를 별도의 결합이나 분리과정 없이 휴대 혹은 사용할 수 있다면 구성물을 분실할 위험성이 크게 낮아진다.
KR 20-2013-0000358 U KR 10-2005-0067733 A
본 발명은 접이식 무선 충전기의 충전 기기 고정부와 거치대 고정부를 충전본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여 돌출구조를 제거하고 휴대성을 높이며, 분리되는 구성품이 없어 분실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기기 고정부와 거치대 고정부의 위치를 적정 위치에 고정시켜 주고, 예기치 못한 충격 혹은 과도한 힘으로 인한 충전 기기 고정부와 거치대 고정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는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충전본체, 충전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및 상기 충전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충전본체,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무선충전기는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충전대상에 전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본체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충전대상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거치대는 휴대용 물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상기 휴대용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상기 받침판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 및 상기 받침판,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휴대용 거치대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거치대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거치대는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받침판을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휴대용 물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돌출된 영역이 없는 접이식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성이 증가된 무선충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되는 구성품 없이 하나의 결합된 접이식 휴대용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중 구성품의 분실로 인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를 포함하고 충격이나 과도한 힘에 의해 회전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충전을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조작 중 과도한 힘을 사용하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충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충전기의 조작 중 회전체가 최대 회전값에 가까이 회전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힘을 인가하는 등의 사용자 실수를 줄일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한 무선충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회전체가 충전본체로부터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회전값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휴대 후 충전을 위한 준비 시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무선충전 거치대를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한다.
도3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를 설명한다.
도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함께 움직이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6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7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보조회전체를 설명한다.
도8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내 제2회전체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9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10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를 설명한다.
도11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의 역회전 방지를 설명한다.
도12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를 설명한다.
도13a및 도13b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가 외부로부터 강한 힘 혹은 충격을 받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가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해 이탈한 후 복구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1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를 설명한다. 도2a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를 설명하고, 도2b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를 일부 회전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도2c는 충전대상을 거치시켜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를 펼친 상태를 설명한다.
도2a를 참조하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충전본체(120), 충전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180), 및 충전본체(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140)를 포함한다.
도2b를 참조하면,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는 회전하는 일부 구간에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2c를 참조하면,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는 충전본체(120)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서로 다른 회전값(R1, R2)을 가진다.
여기서, 충전본체(120)는 충전대상에 전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본체(120)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본체(120)는 유도 방식 및/또는 공진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충전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대상이 이에 대응하는 무선충전 수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무선충전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대상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충전장치(100)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PMA(Power Matters Alliance),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도3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충전본체(120), 제1회전체(180), 제2회전체(140) 및 제1회전체(180)와 제2회전체(140)를 연결하는 힌지부(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는 충전본체(120)로부터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힌지부의 일례로,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310)가 있다. 보조회전체(310)는 충전본체(120),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가 연결되는 양측 빈 공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구성요소가 포개어 접혀진 상태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가 충전본체(120)에 붙어있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회전체(140)를 충전본체(120)에 고정하기 위해 제2회전체(140)와 충전본체(120)가 맞닿는 영역에 결합을 위한 장치를 형성하는데, 제2회전체(140)에 형성된 함몰부(402)와 충전본체(120)에 형성된 돌출부(404)가 그 예이다. 함몰부(402) 내에 돌출부(404)가 맞물리면, 제2회전체(140)가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이 없을 경우 충전본체(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140)와 충전본체(120)가 맞닿는 영역에 결합을 위한 장치는 암수결합을 위한 것으로, 제2회전체(140)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충전본체(120)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1회전체(180)와 제2회전체(140)가 함께 움직이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2b와 도5를 참조하면, 제1회전체(180)와 제2회전체(140)는 일정구간 동안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도4를 참조하면, 제1회전체(180)는 제2회전체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구성요소가 모두 포개어 접혀진 상태에서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이 없을 경우 충전본체(120)에 붙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동시회전장치(412, 414)를 포함한다.
일례로, 동시회전장치(412, 414)는 제1회전체(180)에 형성된 함몰부(414)와 제2회전체(140)에 형성되는 돌출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체(140)가 충전본체(120)에 고정되어 있거나 충전본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동시회전장치(412, 414)는 제1회전체(180)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제1회전체(180)가 제2회전체(140)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동시회전장치가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1회전체(18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체(180)가 충전본체(120)로부터 최대 회전값만큼 움직이면 제2회전체(140)가 더 회전하더라도 제1회전체(180)는 움직임을 멈춘다. 제1회전체(180)에 맞물려 위치한 보조회전체(310)는 제1회전체(180)의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312) 및 제1회전체(180)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316)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본체(120)는 제1경로유도부(312)를 따라 움직이다가 제1차단부(316)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424)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424)는 충전본체(1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426)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충전본체(120)로부터 돌출된 제1회전부(424)의 두께(T1)와 길이(L1)는 보조회전체(310)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6에는 제1회전부(424)의 중심부가 두꺼운 형태의 막대 모양을 하고 있으나, 이는 설계상의 차이일 뿐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도7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보조회전체(31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회전체(310)는 제1회전체(180)에 맞물리는 연결부(320), 제1회전체(180)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312), 제2회전체(140)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314), 및 제1회전체(180)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3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경로유도부(312)와 제2경로보조부(314)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의 관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차단부(316)는 링 구조의 내면을 이루는 제1경로유도부(312) 상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충전본체(120)에 붙어있는 제1회전부(424)는 보조회전체(310)의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제1경로유도부(312)에 위치한다. 링 구조의 내면은 제1차단부(316)에 의해 제1경로유도부(312)를 두 영역으로 나뉘고, 각 영역에 제1회전부(424)의 양끝에 곡면(426)이 위치하여 제1경로유도부(312)와 맞닿아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경로유도부(312)의 폭(W1)은 충전본체(120)에 형성된 제1회전부(424)의 돌출된 두께(T1)보다 커야 한다. 또한, 제1회전부(424)의 길이(L1)는 제1경로유도부(312)를 구성하는 링 구조의 내면의 반지름(D1)의 두 배를 넘을 수 없다.
최대 회전값(R1)으로 회전한 제1회전체(180)와 충전본체(120)의 사이가 약 90도가 되는 경우, 충전본체(120)에 놓인 충전대상이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대상을 지지하기 위해, 제1경로유도부(312)에서 제1회전부(424)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 따른 제1회전체(180)의 회전값(R1)은 90도에서 140도 사이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체(180)의 회전값(R1)은 제1회전체(180)의 모양에 따라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보조회전체(310)는, 제2회전체(140)가 제1회전체(180)의 최대 회전값(R1)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제1회전체(180)가 제1차단부(316)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제2회전체(140)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제1회전부(42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경로유도부(312)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역회전 방지부(318)는 연결부(320)와 제1 경로유도부(312)가 연결되는 영역인 측면에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1역회전 방지부(318)로 인하여 제1 경로유도부(312)의 폭(W1)이 좁아져 마찰력이 증가되면, 제1회전부(424)가 제1차단부(316)와 인접한 위치에 자리하고 반작용에 의해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8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 내 제2회전체(140)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1회전체(180)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한 뒤 고정되더라도 제2회전체(140)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회전체(180)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제1회전부(424)가 제1역회전 방지부(31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회전부(424)가 고정되고 제2회전체(140) 내 홀(141)로부터 분리되면, 제2회전체(140)는 추가적으로 회전한다.
제2회전체(140)는 제2회전체(140)의 회전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제2경로유도부(142)와 제2회전체(140)의 최대 회전값(R2, 도2c참조)을 결정하는 제2차단부(146)를 포함한다. 제1회전체(180)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있는 보조회전체(310)의 링 구조의 외면인 제2경로보조부(314)를 제2회전체(140)에 형성된 홀에 끼워 제1회전체(180)와 제2 회전체(1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충전본체(120)는 제2경로유도부(14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428)는 충전본체(120)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부(428)은 제2경로보조부(314)와 제2경로유도부(14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제2차단부(146)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될 수 있다.
도9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른 상태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본체(120)에 포함된 제2회전부(428)가 제2경로유도부(142)와 제2경로보조부(314)의 사이 공간을 움직여 제2차단부(146)와 제2회전부(428)가 맞닿으면, 제2회전체(140)는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고정된다.
충전본체(120)의 후면(124)과 제2회전체(140)를 연결하는 영역에는 결합홈(122)이 포함된다.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충전본체(120)를 지지하는 경우, 결합홈(122)의 내부면은 제2회전체(140)의 외부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22)은 제2회전체(140)와 충전본체(120)가 맞닿아 하중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홈(122)은 제2차단부(146)와 함께 제2회전체(140)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회전체(140)는 제2경로유도부(142)와 제2경로보조부(314)의 사이 공간인 제2회전체(140)의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제2회전체(140)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 경고부(148)는 제2경로유도부(142)와 제2경로보조부(314)의 사이 공간의 측벽에 돌출되어 제2회전체(140)에 마찰력 증가로 인해 움직임을 둔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회전 경고부(148)는 제2차단부(146)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10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2회전체(14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체(140)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홀 지름이 상이하여 두 개로 구분할 수 있다. 제2회전체(140)는 보조회전체(310)와 맞물리는 제1홀(144), 제2회전체(140)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즉, 제2경로유도부(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홀(144)의 반지름(D2)보다 제2홀(142)의 반지름(D3)이 더 크다.
또한, 제2회전체(140)는 제2회전체(144)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제2홀-즉, 제2경로유도부(142)-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146) 및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제2회전체(140)를 충전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변형방지부(530)를 더 포함한다.
제2회전체(140)의 최대 회전값(R2)는 제2차단부(146)에서부터 제2경로유도부(142)를 따라 변형방지부(530)에 이르는 값이다. 제2회전체(140)의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최대 회전값(R2)는 270도에서 330도 사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140)는 제2차단부(146)에서부터 제2경로유도부(142)를 따라 제2회전 경고부(148)까지의 구간에서 장애물 없이 제2경로유도부(142)를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자유 회전값(R3)의 범위는 220도에서 270도 사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유 회전값(R3)까지는 아무런 저항 없이 제2회전체(14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자유 회전값(R3)을 초과하는 범위에서는 약간의 저항을 느낄 수 있어 제2회전체(140)를 회전이 최대 회전값(R2)에 다다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최대 회전값(R2)과 자유 회전값(R3)의 범위는 제2회전체(140) 혹은 충전본체 등의 구조와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도11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2회전체(140)의 역회전 방지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고정되면, 충전본체(120)의 후면(124)에 위치하는 결합홈(122)의 내부면이 제2회전체(140)의 외부면에 맞닿아 연결된다. 이때, 제2회전체(140)는 최대 회전값(R2)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본체(120)는 결합홈(122) 내부에 제2역회전 방지부(504)에 대응하는 걸림새(5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역회전 방지부(504)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걸림새(502)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제2역회전 방지부(504)를 홈이 아닌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새(502)를 돌기가 아닌 홈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역회전 방지부(504)와 걸림새(502)가 결합하면, 제2회전체(140)는 움직임이 고정되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새(502)는 제2역회전 방지부(504)에 위치하기 전까지 제2회전체(140)가 결합홈(122)을 채우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제2회전체(140)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R2)에 근접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도12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제1회전체(180)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체(180)는 제1회전체(180)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 방지를 위한 포함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충전대상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한다. 제1미끄럼방지부 막대형태의 제1트랜치(182)에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매워 형성할 수 있고, 반대면의 제2미끄럼방지부는 충전대상의 폭/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1트랜치(182)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막대형태의 제2트랜치(184)에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매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로는 고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회전체(180)는 제2회전체(140, 도8참조)와의 결합을 위한 외곽면(186)을 포함한다. 제2회전체(140)는 제1회전체(180)와 결합할 수 있는 홀(141)을 구비하고 있고, 서로 맞닿는 홀(141)의 내부면의 일부와 제1회전체의 외곽면(186)의 일부가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회전체(180)가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고정되고 제2회전체(140)만 추가적인 회전을 할 경우, 경사를 가진 외곽면(186)은 제2회전체(140)와 제1회전체(180)의 분리를 용이하게 도와준다. 또한, 제2회전체(140)가 충전본체(120, 도8참조)에 포개어지기 위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회전체(140)의 홀(141)의 경사진 내부면이 제1회전체(180)의 외곽면(186)에 맞닿아 제1회전체(180)가 함께 역회전하여 충전본체(120)에 포개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13a및 도13b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가 외부로부터 강한 힘 혹은 충격을 받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3a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강한 힘 혹은 충격이 인가되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2회전체(140) 내 변형취약부(147)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제2회전체(140)는 제1회전체(180)의 결합을 위해 홀(141)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홀(141)의 양측인 변형취약부(147)가 제2회전체(140)의 다른 영역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변형취약부(147)가 제2회전체(140)의 다른 영역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강한 힘 혹은 충격에 약하고 변형되기 쉬울 수 있다.
도13b에 도시된 실험결과는 충전본체(120)에 인가되는 힘(force)에 따라 제2회전체(140) 내 변형취약부(147)에 가해지는 응력(stress)는 비례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례로, 변형취약부(147)의 변형은 55.86 메가파스칼(MPa)을 넘어가면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제2회전체(140) 내 변형취약부(147)가 변형되는 임계값(threshold)은 제2회전체(140)를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충전본체(120)에 인가되는 힘은 사용자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고, 충전본체(120)에 위치하는 충전대상이 과도한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140)을 최대 회전값 이상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경우에도 제2회전체(140) 내 변형취약부(147)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도14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가 외부에서 인가된 힘에 의해 이탈한 후 복구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충전본체(120)로부터 제1회전체(180)와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까지 회전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14의 (b)를 참조하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충전본체(1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2회전체(140)와 맞물린 충전본체(120)의 일부가 제1방향(V1)으로 이탈할 수 있다. 도14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탈된 충전본체(120)의 일부에 제1방향(V1)에 반대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복구시킬 수 있다.
도15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 각각이 최대 회전값에 이르러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다.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의 움직임이 고정되는 과정이나 이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변형취약부(147) 등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힘의 인가 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의 구성요소인 충전본체(120), 제1회전체(180) 및 제2회전체(140)의 변형, 파괴 및 손실 등에 대비하기 위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제1변형방지부(520), 제2변형방지부(530), 제1이탈부(522) 및 제2이탈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변형방지부(520)는 보조회전체(310)에 형성된다. 일례로, 제1변형방지부(520)는 보조회전체(310) 내 제1차단부(312)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경사면(522)과 제1턱(524)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회전체(310)는 제1경로유도부(312)와 제1차단부(316)를 통해 제1회전체(180)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충전본체(120) 내 형성된 제1회전부(424)가 제1경로유도부(312)를 따라 움직이다가 제1차단부(316)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다. 이 위치의 제1차단부(316)의 일측에 제1경로유도부(312)의 폭(W1, 도7참조)에 절반에 해당하는 내측에는 제1턱(524)을 형성하고, 외측의 나머지는 제1경사면(522)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1경로유도부(312)의 폭(W1, 도7참조)에 대비하여 어느 정도를 제1턱(524) 혹은 제1경사면(522)으로 형성할지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변형방지부(520)에 대응하는 제1이탈부(528)은 제1회전부(424)의 양끝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1이탈부(528)의 경사면은 제1변형방지부(520)의 제1경사면(522)에 맞물릴 수 있다. 제1회전체(180)가 최대 회전값(R1, 도2c참조)만큼 회전하면 내측에 형성된 제1턱(524)에 의해 제1회전부(424)의 움직임이 멈추고, 그 상태에서 과도한 힘이 인가되면 제1경사면(522)에 의해 제1회전부(424)가 제1방향(V1)으로 이탈할 수 있다. 이때, 제1경사면(522)과 제1이탈부(528)가 보조회전체(310)로부터 충전본체(120)가 부드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본체(120) 및 제2회전체(140) 등의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변형방지부(530)는 제2회전체(140)에 형성된다. 일례로, 제2변형방지부(530)는 제2회전체(140) 내 제2차단부(146)의 일측에 형성된 제2경사면(532)과 제2턱(5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체(140)의 움직임은 제2경로유도부(142)와 제2차단부(146)를 통해 제어된다. 충전본체(120) 내 형성된 제2회전부(428)가 제2경로유도부(142)를 따라 움직이다가 최대 회전값(R2, 도2c참조)에 이르면 제2차단부(146)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다. 이 위치의 제2차단부(146)의 일측에 내측에는 제2턱(534)을 형성하고, 외측의 나머지는 제2경사면(532)으로 형성한다.
제2변형방지부(530)에 대응하는 제2이탈부(538)은 제2회전부(428)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2이탈부(538)의 경사면은 제2변형방지부(530)의 제2경사면(532)에 맞물릴 수 있다. 제2회전체(140)가 최대 회전값(R2)만큼 회전하면 내측에 형성된 제1턱(534)에 의해 제2회전부(428)의 움직임이 멈추고, 그 상태에서 과도한 힘이 인가되면 제2경사면(532)에 의해 제2회전부(428)가 제1방향(V1)으로 이탈할 수 있다. 이때, 제2경사면(532)과 제2이탈부(538)가 제2회전체(140)로부터 충전본체(120)가 부드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본체(120) 및 제2회전체(140) 등의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a 내지 도15에서 충전본체(120)는 맞닿아 위치할 수 있는 충전대상에 전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및 코일 등의 무선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충전본체(120)가 무선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면, 휴대용 무선충전장치(100)는 휴대용 거치대(cradle)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거치대는 충전본체(120) 대신 휴대용 물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판은 충전본체(1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필요가 없어 얇은 평판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거치대는 받침판, 제1회전체, 제2회전체 등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안전하게 거치 혹은 전시할 수 있는 휴대용 물건으로 인한 하중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받침판의 크기(평면적 등)에 따라 거치 혹은 전시할 수 있는 휴대용 물건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거치대의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의 움직임과 제어는 전술한 휴대용 무선충전장치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20: 충전본체
180: 제1회전체
140: 제2회전체
310: 보조회전체

Claims (67)

  1.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충전본체;
    충전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상기 충전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 및
    상기 충전본체,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충전본체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인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큰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충전본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은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충전본체를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상기 충전대상에 전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안테나 및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본체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충전대상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진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36. 휴대용 물건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상기 휴대용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제1회전체;
    상기 받침판를 지지하기 위한 제2회전체; 및
    상기 받침판,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맞물리는 보조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에 고정되는 연결부;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1경로유도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제2경로보조부; 및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결정하는 제1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2회전체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회전장치는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받침판에 붙어있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받침판에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90도에서 140도 범위이고,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은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270도에서 33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치대.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최대 회전값을 가지는 휴대용 거치대.
  43. 삭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유도부와 제2경로보조부는 링 구조의 내면과 외면인 휴대용 거치대.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는 상기 링 구조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링구조의 내면에 맞물려 상기 제1경로유도부를 따라 움직이다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차단되는 제1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끝에 곡면을 포함하는 막대형태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회전체는, 상기 제2회전체가 상기 제1회전체의 최대 회전값보다 더 크게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체가 상기 제1차단부에 의해 움직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역회전 방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1 경로유도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상기 제1경로유도부가 안내하는 회전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측면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제1홀;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범위를 결정하는 제2홀;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최대 회전값을 정하기 위해 상기 제2홀 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보다 상기 제2홀의 지름이 더 큰 휴대용 거치대.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힌지부와 상기 제2홀 사이에 형성된 경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역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에 대응하는 걸림새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역회전 방지부는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새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치대.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새는 상기 홈에 위치하기 전에 상기 제2회전체에 맞닿아 상기 제2회전체의 움직임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휴대용 거치대.
  58.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2홀에 의한 회전 경로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량이 최대 회전값에 근접하였음을 알릴 수 있는 제2회전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경고부는 상기 제2차단부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은 휴대용 거치대.
  6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회전하도록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기 받침판을 상기 힌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변형방지부와 상기 받침판을 상기 제2회전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변형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1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1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형방지부는 상기 제2회전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제2경사면과 맞물리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 형태의 제2이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5.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가 최대 회전값만큼 회전하면 하부 구조물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의 반대면에 상기 휴대용 물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제2미끄럼방지부는 상기 제1회전체를 구성하는 물질보다 막대형상의 마찰계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거치대.
  6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포함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홀의 내부면의 일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외곽면의 일부가 상기 방향으로 기울어진 휴대용 거치대.
KR1020150080299A 2015-06-08 2015-06-08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KR10170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99A KR101707119B1 (ko) 2015-06-08 2015-06-08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US15/151,243 US10236717B2 (en) 2015-06-08 2016-05-10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CN201610403038.2A CN106253364B (zh) 2015-06-08 2016-06-08 便携式无线充电器和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99A KR101707119B1 (ko) 2015-06-08 2015-06-08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043A KR20160144043A (ko) 2016-12-16
KR101707119B1 true KR101707119B1 (ko) 2017-02-27

Family

ID=5745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299A KR101707119B1 (ko) 2015-06-08 2015-06-08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6717B2 (ko)
KR (1) KR101707119B1 (ko)
CN (1) CN1062533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49A (ko) * 2019-09-04 2021-03-12 조준래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KR20210093717A (ko)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65742A1 (en) * 2015-06-12 2016-12-15 Fiber Fix Usa, Llc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USD803779S1 (en) * 2015-08-05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KR102661490B1 (ko) * 2016-12-23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US10389180B2 (en) * 2017-09-12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iv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7968489A (zh) * 2017-12-29 2018-04-27 中山市飞特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形变展纳无线充电装置
CN207530626U (zh) * 2018-02-06 2018-06-22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无线充电器
CN108258774A (zh) * 2018-03-15 2018-07-06 卢华装 一种带支架结构的无线充电器
CN108418286A (zh) * 2018-05-14 2018-08-17 深圳市新维度产品设计策划有限公司 立式无线充电装置
WO2020013405A1 (ko) * 2018-07-13 2020-01-16 (주)엑스퍼넷 스마트 식기 및 이의 충전 장치
KR102127187B1 (ko) * 2019-02-15 2020-06-26 엑스카즈믹 주식회사 다목적 사용기능을 갖는 휴대용 점프스타터
CN111049236A (zh) * 2020-01-13 2020-04-21 傲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无线充电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88Y1 (ko) 2010-04-13 2011-02-16 주식회사 필리 핸드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20B1 (ko) * 2001-01-05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KR100663503B1 (ko) 2003-12-29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 거치대
US8169185B2 (en) *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KR100754586B1 (ko) 2006-02-21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접이 거치대
US8294418B2 (en) * 2010-02-03 2012-10-23 ConvenientPower, Ltd.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KR2011010329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0467441Y1 (ko)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30008317A (ko) * 2011-07-12 2013-01-22 원혜숙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화장품 케이스
KR101332224B1 (ko) * 2011-12-28 2013-11-25 주식회사 스파콘 무선 전력전송장치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US9325187B2 (en) * 2012-05-21 2016-04-26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in wireless charging system
CN203466598U (zh) 2013-09-05 2014-03-05 湖北联云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器
KR101443007B1 (ko)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203788012U (zh) 2014-03-18 2014-08-20 深圳市科帝电子有限公司 充电中心可调的无线充电装置
CN204145016U (zh) 2014-10-16 2015-02-04 凯晖皮草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便携式无线充电折叠支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88Y1 (ko) 2010-04-13 2011-02-16 주식회사 필리 핸드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49A (ko) * 2019-09-04 2021-03-12 조준래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KR102253037B1 (ko) 2019-09-04 2021-05-18 조준래 허리 부착을 위한 착탈식 다기능 거치대
KR20210093717A (ko) 2020-01-20 2021-07-28 안영철 거치대 교체가 용이한 논슬립형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3364A (zh) 2016-12-21
US20160359356A1 (en) 2016-12-08
CN106253364B (zh) 2019-03-15
US10236717B2 (en) 2019-03-19
KR20160144043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119B1 (ko) 휴대용 무선충전장치 및 거치대
US9537346B2 (en) Extendable wireless power delivery for small devices
CN105308534B (zh) 用于便携电子装置的防盗装置
KR101154541B1 (ko) 스탠드가 내장된 태블릿 컴퓨터용 무선 키보드
TWI433424B (zh) 具有導引定位機構之無線充電器
EP2033075B1 (en) Input device charging system
JP2009500233A (ja) 荷物用電子装置
US20160091926A1 (en) Docking apparatus and system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2119928B1 (ko) 개방형 베이스에서 회동되는 지지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무선 충전기
KR20170059456A (ko) 유도성 주변기기 보유 디바이스
KR20220000871U (ko) 모바일기기용 그립톡
US10355524B2 (en) Electronic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US1063726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harging module
KR20190109101A (ko) 컵 홀더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101827859B1 (ko) 이송 및 패킹이 용이한 캐리어
KR200484442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US20200373771A1 (en) Device charging system
CN106340918A (zh) 带支架的充电宝
KR101555235B1 (ko) 다양한 두께를 갖는 휴대기기용 마운트
CN213043724U (zh) 防摔保护壳
CN207098138U (zh) 一种支撑插座
US11996234B2 (en) Coupling system for hand held device and base
CN209473856U (zh) 平板电脑保护套
JP3222288U (ja) 携帯端末用バッテリ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